KR101229917B1 - 철재 거푸집에 설치하기 위한 삼각면목 - Google Patents

철재 거푸집에 설치하기 위한 삼각면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917B1
KR101229917B1 KR1020120036713A KR20120036713A KR101229917B1 KR 101229917 B1 KR101229917 B1 KR 101229917B1 KR 1020120036713 A KR1020120036713 A KR 1020120036713A KR 20120036713 A KR20120036713 A KR 20120036713A KR 101229917 B1 KR101229917 B1 KR 101229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ngular
fixed support
unit
fitting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연철
임병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Priority to KR102012003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4Strips for creating a chamfered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틀공사에서 기둥이나 돌출되는 벽체의 콘크리트 모서리를 면취하기 위해 철재 거푸집의 마구리 내측에 설치하는 삼각면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 거푸집의 마구리에 밀착되는 삼각면목의 면취성형부에 대한 두께를 동일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면취성형부와 연결되는 고정지지부의 끝단에는 면취성형부를 향하여 돌출된 탄성날개를 형성하며, 삼각면목의 고정지지부에는 단면 보강을 통해 반복된 다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고, 고정지지부의 끝단에는 끼움홈 및 끼움턱을 갖는 끼움유도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항상 평활한 면취성형부를 바르게 제 위치에 제공하므로 기둥이나 돌출되는 벽체에 대한 콘크리트 모서리의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철재 거푸집의 표면에 이물질이 있더라도 삼각면목의 면취성형부는 항상 밀착 고정으로 인해 미려한 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개선된 체결구조로 인해 삼각면목에 대한 조립과 해체가 간단하면서도 손쉬운 것이고, 반복된 다수개의 체결공으로 인한 재료비의 절감은 물론 필요한 길이의 삼각면목을 얻기 위한 재단 및 절단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자재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정밀 시공에 의해 재시공 및 보완 시공이 불필요하므로 작업기간의 단축으로 인해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Description

철재 거푸집에 설치하기 위한 삼각면목 {Chamfer strip of Triangle shape}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틀공사에서 기둥이나 돌출되는 벽체의 콘크리트 모서리를 면취하기 위해 철재 거푸집의 마구리 내측에 설치하는 삼각면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취성형부와 고정지지부를 갖고 압출 성형되는 기존의 삼각면목으로부터 면취성형부에 대한 구조의 개선 및 고정지지부에 대한 구조 개선을 하고, 상기 고정지지부의 끝단에 대하여 일체의 끼움유도부를 형성함에 따라 기존의 삼각면목으로부터 발생되어 온 문제점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철재 거푸집에 설치를 목적으로 한 삼각면목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기둥이나 돌출되는 벽체의 경우에는 직각면을 형성하는 유해한 모서리 형성을 방지하고자 거푸집의 설치 과정에서 거푸집의 내측 코너 부분(마구리)에 별도의 삼각면목을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이나 돌출된 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삼각면목은 단면상 삼각형상의 합성수지재 압출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필요 길이만큼 절단하여 기존의 합판 거푸집에 못을 사용하여 고정 및 설치하였다.
그러나, 합판 거푸집 대신 구조적 강도가 우수하고 사용 수명이 긴 철재 거푸집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못을 이용한 삼각면목의 고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철재 거푸집의 마구리에 삼각면목을 부착한 상태에서 거푸집의 체결과 동시에 삼각면목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시공하고자 하는 기둥이나 돌출되는 벽체의 형상에 따라 일측의 거푸집을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설치된 철재 거푸집의 마구리에 삼각면목을 끼우고, 맞은 편의 철재 거푸집을 추가로 세워 설치한 후, 외측에 코너앵글(Corner angle)을 덧댄 상태에서 철재 거푸집과 삼각면목을 웨지핀(Wedge pin)에 의해 동시에 체결 및 고정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삼각면목에 대한 고정 및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삼각면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철재 거푸집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성형되는 기둥이나 돌출되는 벽체의 경우 그 모서리 부분이 삼각면목에 의해 면취된 상태를 갖게 되므로 유해한 직각 형태의 모서리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여 된 기존의 삼각면목은 압출 성형 후 냉각과정에서 단면의 두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량의 수축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서, 삼각면목의 단면 특성으로 인해 삼각면목의 중앙부에는 과다 수축으로 인한 오목한 형태의 곡면이 형성될 것이고 이와 같은 오목한 곡면부는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성형면이 불룩하게 성형되도록 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므로 결국 불룩한 콘크리트 성형면을 수정하기 위한 파치 작업 및 면처리 작업을 추가로 시행하여야 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삼각면목을 설치하는 철재 거푸집의 표면에 콘크리트 잔재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어 이물질로 인하여 삼각면목이 철재 거푸집에 밀착되지 않아 거푸집과 삼각면목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틈으로 콘크리트가 충전되면서 면접된 성형면의 불량 및 선형이 바르지 못해 파치 작업 등 보수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는 것이며, 아무리 노력하고 보완하여도 본래의 미려한 시공면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철재 거푸집의 마구리에 밀착되는 삼각면목의 면취성형부에 대한 두께를 동일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면취성형부와 연결되는 고정지지부의 끝단에는 면취성형부를 향하여 돌출된 탄성날개를 형성하며, 삼각면목의 고정지지부에는 단면 보강을 통해 반복된 다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고, 고정지지부의 끝단에는 끼움홈 및 끼움턱을 갖는 끼움유도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개선된 구조의 삼각면목을 통해 평활한 상태의 콘크리트 성형면을 형성할 수 있어 우수한 시공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고, 시공부에 대한 미려한 선형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며, 삼각면목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특징을 갖는 삼각면목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재 거푸집의 마구리에 밀착되는 평면상 삼각형태의 면취성형부와, 상기 면취성형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고정지지부를 갖고 연속하여 압출 성형되는 철재 거푸집용 삼각면목에 있어서,
상기 면취성형부는 고정지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일측으로 경사각을 갖고 형성된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끝단으로부터 직교방향으로 형성된 성형지지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부의 끝단에는 면취성형부의 양측 끝단을 향하여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고 면취성형부와는 분리된 탄성날개를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고정지지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된 다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부의 끝단에는 일측으로 끼움홈과 끼움턱이 형성되어 있는 끼움유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항상 평활한 면취성형부를 바르게 제 위치에 제공하므로 기둥이나 돌출되는 벽체에 대한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철재 거푸집의 표면에 이물질이 있더라도 탄성날개가 안쪽으로 휘어져 삼각면목의 면취성형부는 항상 밀착 고정되므로 미려한 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개선된 체결구조로 인해 삼각면목에 대한 조립과 해체가 간단하면서도 손쉬운 것이고, 반복된 다수개의 체결공으로 인한 재료비의 절감은 물론 소요 길이의 삼각면목을 얻기 위한 재단 및 절단 작업이 용이하면서 자재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정밀 시공에 의해 재시공 및 보완 시공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의 평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의 면취성형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의 체결공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의 끼움유도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과 철재 거푸집의 시공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의 평면 전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의 면취성형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의 체결공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의 끼움유도부 확대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각면목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삼각면목은 기둥이나 돌출되는 벽체의 모서리에 면취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재 거푸집의 내측 마구리에 위치하게 되는 면취성형부(10)와, 상기 면취성형부(10)로부터 일체로 연결되어 철재 거푸집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지지부(20)와, 상기 고정지지부(20)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철재 거푸집의 측부 끝단에 고정되게 하는 끼움유도부(4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면취성형부(10)는 고정지지부(20)의 끝단으로부터 일측 경사진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연결대(11)와, 상기 연결대(11)로부터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성형지지부(12)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의 성형지지부(12)는 기둥이나 돌출된 벽체의 모서리에 면취부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성형지지부(12)의 양측 끝단부는 일측 편향 상태로 점차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이는 직교하는 철재 거푸집의 내면에 상기 형성지지부(12)의 양측 끝단이 완전히 밀착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연결대(11)로 인해 면취성형부(10)는 중앙부분이 두꺼운 형태의 삼각 단면을 형성하는 것이 아닌 "T"자 형태의 균일한 단면을 갖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두께를 형성하도록 함에 따라 수축량 차이에 의한 오목한 부분이 생성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면취성형부(10)와 연결된 고정지지부(20)의 끝단에는 상기 성형지지부(12)를 향하여 직각 형태로 돌출되고 면취성형부(10)와는 분리된 두 개의 탄성날개(30)(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탄성날개(30)(30')는 철재 거푸집(100)(110')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면취성형부(10)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철재 거푸집(100)(100')을 향하여 만곡의 형태로 외향 돌출되게 함에 따라 탄력적으로 철재 거푸집(100)(100')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탄성날개(30)(30')는 만곡의 형태로 외향 돌출되어 있으므로 철재 거푸집(100)(100')의 내측 마구리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내측으로 오므려 들면서 중앙부의 면취성형부(10)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철재 거푸집(100)(100')의 내면에 시멘트 등의 이물질이 붙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의 탄성날개(30)(30')가 내측으로 유동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결국 면취성형부(10)는 철재 거푸집(100)(100')의 내면 이물질과는 관계없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 일정하게 자리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지지부(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체결공(2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체결공(21)(21')은 본 발명의 삼각면목을 철재 거푸집에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되는 삼각면목에 대한 필요 길이의 절단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체결공(21)(21')은 철재 거푸집(100)(100')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공(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의 간격과 일치되는 동시에 상기 조립공 보다는 더욱 조밀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를 연속 배치함에 따라 철재 거푸집(100)(100')과의 조립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정확하게 삼각면목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공(21)(21')의 내측에는 고정지지부(20)의 단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뾰족홈부(22)(22')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타원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뾰족홈부(22)(22')는 금속편 형태로 된 웨지핀(101)(101')에 대한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본 발명의 삼각면목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뾰족홈부(22)(22')를 이용하여 손쉽게 절단할 수 있음은 물론 절단면 감소로 인해 삼각면목에 대한 절단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고정지지부(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공(21)(21')의 형성으로 인한 고정지지부(20) 자체의 단면 감소를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측으로 융출된 형태의 보강부(23)를 형성한 것인데, 상기 체결공(21)(21')이 연속하여 반복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부(20)의 단면 감소로 인한 구조적인 취약점이 발생할 것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보강부(23)를 통해 단면 증대를 실현함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부(20)는 안정적이고 견고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지지부(20)의 하단에는 일체로 연결 형성된 끼움유도부(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끼움유도부(40)는 고정지지부(20)의 끝단 일측으로부터 끼움홈(41)과 끼움턱(42)이 형성된 걸고리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끼움홈(41)의 내측으로는 철재 거푸집(100)(100')의 두께 부분이 삽입 안치되는 것이고, 상기의 끼움턱(42)은 철재 거푸집(100)(100')의 끝단 금속부에 걸쳐져 상호 간의 고정력을 유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삼각면목을 이용한 철재 거푸집의 설치 과정을 보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우선 기둥이나 돌출되는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철재 거푸집(100)(100')의 끝단이 직교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마구리를 형성한다.
이어, 상기 철재 거푸집(100)(100')의 내측 마구리에 면취성형부(10)가 위치되도록 하고 고정지지부(20)는 일측 철재 거푸집(100)(100')의 측부 끝단면에 밀착되도록 하며, 끼움유도부(40)는 상기 철재 거푸집(100)(100')의 끝단에 걸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면취성형부(10)의 성형지지부(12)는 철재 거푸집(100)(100')의 직각 마구리 내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이고, 양측의 탄성날개(30)(30')는 철재 거푸집(100)(100')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철재 거푸집(100)(100')의 표면에 이물질이 붙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탄성날개(30)(30')가 직선 형태로 위치하게 될 것이나 철재 거푸집(100)(100')의 표면에 이물질이 붙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의 탄성날개(30)(30')는 면취성형부(10)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내측으로 휘어져 오목한 형태를 갖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탄성날개(30)(30')는 면취성형부(10)의 양측에서 탄력적인 밀착력을 제공하여 면취성형부(10)가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철재 거푸집(100)(100')의 내표면에 이물질이 붙어 있더라도 상기의 면취성형부(10)가 이물질과 간섭되어 들뜨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철재 거푸집(100)(100')의 외측 경계부에 별도의 코너 앵글(102)을 밀착시킨 후 별도의 웨지핀(101)(101')을 철재 거푸집(100)(100')과 고정지지부(20)의 체결공(21)(21')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또 다른 웨지핀(101)(101')을 수직방향으로 교차 삽입함에 따라 면취 성형된 기둥 및 돌출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및 삼각면목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콘크리트는 철재 거푸집(100)(100')의 내부 형태에 따라 기둥 또는 돌출 형태의 벽체로 시공되는 것이고, 상기 거푸집(100)(100')과 삼각면목을 해체하게 되면 삼각면목의 면취성형부(10)에 의해 벽체 및 기둥의 모서리는 미려한 시공면을 갖는 경사상의 면취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면취성형부 11 : 연결대
12 : 성형지지부
20 : 고정지지부 21,21' : 체결공
22,22' : 뾰족홈부 23 : 보강부
30,30' : 탄성날개
40 : 끼움유도부 41 : 끼움홈
42 : 끼움턱
100,100' : 철재 거푸집 101,101' : 웨지핀
102 : 코너앵글

Claims (4)

  1. 고정지지부(20)의 끝단으로부터 일측으로 경사각을 갖고 형성된 연결대(11)와 상기 연결대(11)의 끝단으로부터 직교방향으로 형성된 성형지지부(12)에 의해 이루어지되 철재 거푸집(100)(100')의 마구리에 밀착되는 평면상 삼각형태의 면취성형부(10)와, 상기 고정지지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된 다수개의 체결공(21)(2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부(20)의 끝단에는 일측으로 끼움홈(41)과 끼움턱(42)이 형성되어 있는 끼움유도부(40)를 형성한 철재 거푸집용 삼각면목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20)의 끝단에는 성형지지부(12)를 향하여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면취성형부(10)와는 분리된 탄성날개(30)(30')를 구비하되, 탄성날개(30)(30')의 끝단이 철재 거푸집(100)(100')을 향하여 만곡 형태로 휘어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체결공(21)(21')은 고정지지부(20)의 단방향을 따라 내부 양측에 뾰족홈부(22)(22')가 형성되게 한 타원형상으로 구성하며, 상기 고정지지부(20)는 체결공(21)(21')이 형성된 부분의 단방향 단면 두께가 체결공(21)(21') 이외 부분의 단방향 단면 두께보다 두껍도록 하는 보강부(23)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거푸집에 설치하기 위한 삼각면목.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36713A 2012-04-09 2012-04-09 철재 거푸집에 설치하기 위한 삼각면목 KR101229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713A KR101229917B1 (ko) 2012-04-09 2012-04-09 철재 거푸집에 설치하기 위한 삼각면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713A KR101229917B1 (ko) 2012-04-09 2012-04-09 철재 거푸집에 설치하기 위한 삼각면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917B1 true KR101229917B1 (ko) 2013-02-05

Family

ID=4789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713A KR101229917B1 (ko) 2012-04-09 2012-04-09 철재 거푸집에 설치하기 위한 삼각면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9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5294A (zh) * 2019-10-23 2020-01-14 界首市天瓴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混凝土基座的成模装置
KR20200098198A (ko) 2019-02-12 2020-08-20 김영조 석이면목 및 제조 장치
CN113700273A (zh) * 2021-09-02 2021-11-2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大型电子洁净厂房Cheese板及施工方法
KR102421869B1 (ko) 2021-03-31 2022-07-18 김영조 석이면목 제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002U (ko) * 2008-02-01 2009-08-05 (주)화인테크 탈부착이 가능한 면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002U (ko) * 2008-02-01 2009-08-05 (주)화인테크 탈부착이 가능한 면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198A (ko) 2019-02-12 2020-08-20 김영조 석이면목 및 제조 장치
CN110685294A (zh) * 2019-10-23 2020-01-14 界首市天瓴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混凝土基座的成模装置
CN110685294B (zh) * 2019-10-23 2021-08-03 滕州中联水泥有限公司 一种用于混凝土基座的成模装置
KR102421869B1 (ko) 2021-03-31 2022-07-18 김영조 석이면목 제조 장치
CN113700273A (zh) * 2021-09-02 2021-11-2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大型电子洁净厂房Cheese板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4338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KR101229917B1 (ko) 철재 거푸집에 설치하기 위한 삼각면목
JP510200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壁の目地棒
CN201158937Y (zh) 工程塑料模板
KR200449853Y1 (ko) 탈부착이 가능한 면귀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100512075B1 (ko) 건축용 조립식 강재 거푸집
KR101435004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20150071124A (ko) 콘크리트 벽체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
KR20160140120A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CN211473375U (zh) 现浇剪力墙装配式模具
KR102175946B1 (ko) 철근간격 유지구
KR102163647B1 (ko) 거푸집용 지지대 고정구
KR101812560B1 (ko) 건축 시공방법
KR101627971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상하수평재
KR200370140Y1 (ko) 건축용 플렛타이
KR102106106B1 (ko) 알폼용 간격유지장치
KR200241690Y1 (ko) 거푸집용 인코너틀
KR101693743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CN113107189B (zh) 一种铝模板结构
KR102022185B1 (ko) 거푸집용 목재 지지대 고정구
KR101207014B1 (ko) 면귀를 구비한 코너앵글
CN211566293U (zh) 模块化混凝土浇筑模具拼接结构
KR20100061030A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101034462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