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140Y1 - 건축용 플렛타이 - Google Patents

건축용 플렛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140Y1
KR200370140Y1 KR20-2004-0025983U KR20040025983U KR200370140Y1 KR 200370140 Y1 KR200370140 Y1 KR 200370140Y1 KR 20040025983 U KR20040025983 U KR 20040025983U KR 200370140 Y1 KR200370140 Y1 KR 200370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tie
construction
tie
cut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원
Original Assignee
박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원 filed Critical 박영원
Priority to KR20-2004-0025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1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07One-piece elements
    • E04G17/0721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플렛타이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체시공시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플렛타이 제작시 별도의 스크랩을 발생시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110) 양측 단부에 절단홈(111)을 형성하여 절단부(120)를 구성하고, 절단부(120)에 체결공(121)이 형성되게 한 통상의 건축용 플렛타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110)상에 별도의 절개공(112)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플렛타이{Flat tie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플렛타이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렛타이의 제작시 본체 내측부에 별도의 절개공을 구성하여 시공시 플렛타이가 벽체내를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크랩의 량을 증가시켜 원가를 절감할 수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시공을 위한 수단으로서는 주로 벽체의 두께를 기준으로 거푸집을 먼저 설치하고,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 양생하여 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이때 거푸집설치시 거푸집의 간격유지를 위하여서는 긴 철판으로 구성된 플렛타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렛타이는 도5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긴철판으로 구성된 본체(20) 양측단부에 절단홈(21)을 구성하여 절단부(30)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절단부(30)에 체결공(31)을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플렛타이 사용은 도6에서와 같다.
거푸집(40) 사이에 원하는 벽체의 두께를 지지하는 플렛타이(10)를 끼운다음 체결편(41)을 체결공(31)에 끼워 거푸집(40)이 체결고정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거푸집사이에 콘크리트몰탈(42)을 타설, 양생한 다음 거푸집(40)을 분리시키고, 플렛타이(10)의 본체(20) 양측단부에 구성된 절단부(30)를 절단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콘크리트몰탈(12) 내에 잔류하는 플렛타이(10)의 본체(20)에는 아무런 걸림수단이 없기 때문에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뿐 아니라 벽체내에 잔류하는 본체(20)의 소재낭비가 많은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건축용 플렛타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공시 플렛타이가 벽체내에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프레스절단시 스크랩의 량을 증가시켜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용 플렛타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공시 벽체상에 매립 위치하는 본체상에 별도의 절개공을 구성하여 시공시 콘크리트몰탈이 주입되게 함과 동시에 절개공 성형시 발생한 스크랩은 재활용 고철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 플렛타이의 평면구성도.
도 2 : 본 고안 플렛타이의 타실시예의 평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 플렛타이의 사시도.
도 4 :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 : 종래 플렛타이의 평면구성도.
도 6 : 종래 플렛타이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플렛타이 (110)--본체
(111)--절단홈 (112)--절개공
(120)--절단부 (121)--체결공
이하 본 고안의 실시에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건축용 플렛타이(100)의 평면구성도로서 플렛타이(100)의 규격이 서로 다른 것일뿐 구성은 동일하다.
통상적으로 플렛타이는 2.5∼3.5mm정도 두께의 철판을 길게 절단한 본체 (110) 양측단부에 절단홈(111)을 구성하여 절단부(120)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절단부(120)에 장방향의 체결공(121)을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플렛타이(100)는 본체(110)상에 또 다른 장방형의 절개공(130)을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건축용 플렛타이(100)의 폭(A)은 대략 19mm정도이고, 길이(B)는 225mm∼475mm로서 규격별로 50mm씩 길이가 길어지게 구성되며, 체결공(121) 및 절개공(112)의 폭(C)은 약 5.5mm정도이고, 길이(D)는 약 20mm정도이다.
또한 절단홈(111) 중심부로부터 절개공(112)까지의 길이(E)는 32.5mm로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플렛타이(100)의 폭(A)과 길이(B)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플렛타이와 동일하게 하여 금형의 수정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절개공(112)의 폭(C)와 길이(D)는 종래 플렛타이의 체결공의 규격과 동일하게 하여 금형의 간단한 수정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절개공(112)의 위치가 절단홈(111)으로부터 32.5mm되는 지점에 구성한 것은 플렛타이(100)의 사용시 절개공(112)이 벽체의 양측 중심부에 위치되게 하여 충분한 지탱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과 동시에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작업시 자동화 공정이 가능케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플렛타이(100)의 사용은 도4에서와 같다.
즉 벽체(130) 시공을 위한 거푸집(140) 설치시 플렛타이(100)를 이용하여 연결되게 한 다음 체결편(141)을 절단부(120)에 위치하는 체결공(121)에 끼워 거푸집(140)이 고정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거푸집(140) 사이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 양생하여 벽체(130)를 시공하게 된다.
이때 플렛타이(100)의 본체(110)는 거푸집(140)사이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 양생하여 벽체(130)를 시공하게 된다.
이때 플렛타이(100)의 본체(110)는 거푸집(140)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본체(110)에 형성된 절개공(112)에는 벽체(130)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몰탈 타설시 몰탈의 일부가 절개공(112)에 주입되면서 플렛타이(100)의 본체(110)가 벽체(130)내에 견고히 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플렛타이(100)를 프레스 작업하여 제작함에 있어서, 종래와는 달리 본체(110)내에 구성되는 절개공(112)형성시 별도의 스크랩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적은량의 플렛타이 생산시에는 발생되는 스크랩의 량이 소량이어서 차이가 없으나, 월생산량이나 년간 생산량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의 량은 엄청나게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양질의 강철로 된 스크랩처분에 따른 원가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축용 플렛타이를 제작함에 있어서 시공시 벽체내에 위치하는 본체상에 별도의 절개공을 형성하여 그에 따른 스크랩을 발생시켜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본체에 형성된 절개공에 의해 플렛타이의 견고한 시공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10) 양측단부에 절단홈(111)을 형성하여 절단부(120)를 구성하고, 상기 절단부(120)에 체결공(121)이 형성되게 한 통상의 건축용 플렛타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플렛타이(100)의 본체(110)상에 별도의 절개공(112)을 형성하되, 절단홈(11)을 기준으로 본체(110) 좌우에 형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플렛타이.
KR20-2004-0025983U 2004-09-09 2004-09-09 건축용 플렛타이 KR200370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83U KR200370140Y1 (ko) 2004-09-09 2004-09-09 건축용 플렛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83U KR200370140Y1 (ko) 2004-09-09 2004-09-09 건축용 플렛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140Y1 true KR200370140Y1 (ko) 2004-12-13

Family

ID=4944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983U KR200370140Y1 (ko) 2004-09-09 2004-09-09 건축용 플렛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1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512B1 (ko) 2008-01-09 2009-03-06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거푸집 간격유지용 체결구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8851A (ko) 2021-02-19 2022-08-26 이기훈 셀프 록킹 기능을 갖는 거푸집 고정용 타이
KR20230016512A (ko) 2021-07-26 2023-02-02 이기훈 건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512B1 (ko) 2008-01-09 2009-03-06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거푸집 간격유지용 체결구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8851A (ko) 2021-02-19 2022-08-26 이기훈 셀프 록킹 기능을 갖는 거푸집 고정용 타이
KR20230016512A (ko) 2021-07-26 2023-02-02 이기훈 건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89215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CA2868950C (en) Building block, as well as an insert piece to be applied in such a building block
BR0012399A (pt) Elemento de molde perdido para a construção de lajes lisas de concreto reforçadas tradicionais
KR101422076B1 (ko) 플랫타이 및 이 플랫타이와 비금속제 거푸집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KR101812565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0370140Y1 (ko) 건축용 플렛타이
KR101820790B1 (ko) 건물의 외부단열재와 외장재 시공용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1791043B1 (ko)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고정바
KR101900689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1854653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 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20100023228A (ko) 분리형 플렛타이
KR20160140120A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200354549Y1 (ko) 건축용 플레이트 타이
KR102163647B1 (ko) 거푸집용 지지대 고정구
KR101812560B1 (ko) 건축 시공방법
KR200423452Y1 (ko) 거푸집 고정용 세파타이
KR200281866Y1 (ko) 철근골조용 스페이서
KR20050100777A (ko) 건축용 플레이트 타이
KR102021119B1 (ko) 개구부를 구비하는 채널식 하프 pc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pc슬래브의 개구부 시공방법
KR200319320Y1 (ko)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KR200394623Y1 (ko) 유로폼 보강재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KR10191518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2106106B1 (ko) 알폼용 간격유지장치
KR200352520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조절구
KR100579448B1 (ko) 건축 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의 측면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