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320Y1 -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 Google Patents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320Y1
KR200319320Y1 KR20-2003-0012012U KR20030012012U KR200319320Y1 KR 200319320 Y1 KR200319320 Y1 KR 200319320Y1 KR 20030012012 U KR20030012012 U KR 20030012012U KR 200319320 Y1 KR200319320 Y1 KR 200319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body portion
temporary
head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진
Original Assignee
인덱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덱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덱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2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3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35Elements with sockets receiving removal bolt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2017/008Pin and hole connec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조립된 가설구조물을 해체할 때 못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아도 자력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단부가 첨예하게 이루어져 일측 구조물에 삽입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분리된 상태로 위치하며 타측 구조물에 지지되는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와 머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와 머리부는 구조물을 분리할 때 구조물과 함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SELF-REMOVING DOUBLE SECTION NAIL FOR TEMPORARY STRUCTURE}
본 고안은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못이 연결부로 채결된 2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조립된 가설자재를 해체할 때 못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아도 자력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축조시 가설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되는데, 이러한 가설구조물의 설치와 해체 작업은 공사기간의 단축정도를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소 중의 하나이다.
통상적인 가설구조물은 건축물의 축조를 위한 수단으로서 일정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하여 조립하고, 이를 해체하여 반복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콘크리트 성형을 위한 거푸집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거푸집은 존치기간이 매우 짧은 가설구조물로서, 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철제와 목재 및 합판 등이 사용되며, 상기 철제중 철제구조부재는 기성품으로 모듈화하여 제작될 경우에만 사용되고, 대부분의 현장조립용 거푸집은 목재와 합판으로 제작된다.
이때 목재와 합판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못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못은 조립하고자 하는 부재들을 관통시켜 마찰력과 전단응력으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을 견디게 하고 또 부재들을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그러나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후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을 해체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재사용하고, 또 다른 형태의 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하여 재조립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거푸집 조립시 사용하였던 못은, 부재를 분리할 경우 한쪽부재에 남아있거나, 또는 콘크리트면에 매입된 상태로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거푸집 해체 후, 한쪽부재에 남아있는 못을 빼내거나 콘크리트에 박힌 못을 절단하는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못이 2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조립된 가설자재를 해체할 때 못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아도 자력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용 못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립용 못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의 연결부가 여러 가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은, 선단부가 첨예하게 이루어져 일측 구조물에 삽입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분리된 상태로 위치하며 타측 구조물에 지지되는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와 머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와 머리부는 구조물을 분리할 때 구조물과 함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을 제공한다.
상기 몸통부의 끝단부와 머리부의 선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의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은, 선단부가 첨예하게 이루어진 몸통부(2)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머리부(4)와, 상기몸통부(2)와 머리부(4)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몸통부(2)와 머리부(4)를 연결하는 연결부(6)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2)와 머리부(4)는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제작되고, 몸통부(2)의 끝단부와 머리부(4)의 선단부에는 돌기(8)(1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6)에는 상기 돌기(8)(10)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못은 연결부(6)에 몸통부(2)와 머리부(4)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6)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상하부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연결부(6)는 플랜지(12)를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 것으로 나타냈지만 도 2에서와 같이 연결부(14)를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슬리브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와 같은 가설조립용 못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3은 본 고안의 못을 이용하여 철판데크와 목재를 조립하는 경우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못을 이용하여 목재와 목재를 조립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3a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위하여 철판데크(16)와 가설용 목재(18)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플랜지(12)를 갖는 연결부(6)로 조립된 못을 사용하여 머리부(4)가 철판데크(16)쪽으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망치와 같은 도구로 머리부(4)를 타격하여 철판데크(16)와 가설용 목재(18)를 조립한다.
이렇게 조립된 못은 플랜지(12)로 인하여 머리부(4)가 철판데크(16)와 일정한 간격이 떨어져 있게되며, 이 상태에서 거푸집을 이루는 철판데크(16) 내측에 콘크리트(20)를 타설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20)가 양생되면 거푸집을 해체하기 위하여 가설용목재(18)를 도 3b에서와 같이 해체하면, 조립용 못의 몸통부(2)는 가설용 목재(18)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부(6)에서 분리되고, 머리부(4) 및 연결부(6)는 콘크리트(20)에 매입된 상태로 남아있게된다.
즉, 연결부(6)에는 몸통부(2)의 끝부분만 삽입되어있고 몸통부(2)의 대부분은 가설용 목재(18)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마찰력의 차이로 인하여 몸통부(2)는 가설용 목재(18)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부(6)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철판데크(16)를 분리하면 거푸집의 해체가 완료되는데, 이때 머리부(4)는 연결부(6) 내부에 위치한 상태가 되어 콘크리트(20)의 외측면은 못이 돌출되지 않은 매끈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가설용 목재(18)와 합판(22)을 조립할 때에는, 도 2에서와 같은 슬리브 형태의 연결부(14)로 조립된 못을 사용하게 되는데, 머리부(4)가 합판(22)쪽으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망치와 같은 도구로 머리부(4)를 타격하여 합판(22)과 가설용 목재(18)를 조립한다.
이렇게 조립된 못은 연결부(14)가 철재의 슬리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머리부(4) 및 연결부(14)도 합판(22)에 삽입된다.
이렇게 설치된 가설구조물을 사용한 다음, 가설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하여 가설용목재(18)를 도 4b에서와 같이 젖혀 해체하면, 조립용 못의 몸통부(2)는 가설용 목재(18)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부(14)에서 분리되고, 머리부(4) 및 연결부(14)는합판(22)에 매입된 상태로 분리된다.
도 5는 연결부가 여러 가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5a에서와 같이 조립용 못의 몸통부(2a)에만 돌기(8a)를 형성하고, 이 돌기(8a)와 대응되는 홈을 갖는 연결부(24a)에 몸통부(2a)와 머리부(4a)를 조립할 수도 있고, 도 5b에서와 같이 조립용 못의 몸통부(2b)에만 돌기(8b)를 형성하고, 이 몸통부(2b)가 삽입되고 상기 돌기(8b)와 대응되는 홈을 갖는 연결부(24b)를 몸통부(2b) 상부에 조립하여 조립용 못을 제작할 수도 있다.
또 도 5c에서와 같이 몸통부(2c)와 머리부(4c)를 돌기가 없는 일자형으로 제작하고, 연결부(24c)도 상기 몸통부(2c)와 머리부(4c)가 긴밀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형성하여 조립할 수도 있고, 도 5d에서와 같이 몸통부(2d)는 돌기가 없는 일자형으로 제작하고 머리부는 없는 상태로 내향돌기(26)를 갖는 연결부(24d)를 몸통부(2d)의 끝단부가 내향돌기(26)에 걸리도록 삽입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도 5e에서와 같이 조립용 못의 몸통부(2e)에만 돌기(8e)를 형성하고, 이 돌기(8e)와 대응되는 부분의 외측이 외향곡면(28)을 갖는 연결부(24e)로 제작하여 몸통부(2e)와 머리부(4e)를 조립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도 5a 및 도 5b에 제공된 연결부(24a)(24b)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24a)(24b)로 조립된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위하여 철판데크와 가설용 목재를 조립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c, 도 5d, 도 5e에 제공된 연결부(24c)(24d)(24e)는 금속재질로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24c)(24d)(24e)로 조립된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은 가설용 목재와 합판을 조립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조립용 못은 몸통부와 머리부를 연결부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나타냈지만, 몸통부와 머리부에 서로 체결되는 나사부를 가공하여 나사 결합으로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은, 몸통부와 머리부로 분할되어 구조물을 분리할 때 구조물과 함께 몸통부와 머리부가 각각 분리되므로, 종래와 같이 거푸집 해체 후 한쪽부재에 남아있는 못을 빼내거나 콘크리트에 박힌 못을 절단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6)

  1. 선단부가 첨예하게 이루어져 일측 구조물에 삽입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분리된 상태로 위치하며 타측 구조물에 지지되는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와 머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와 머리부는 구조물을 분리할 때 구조물과 함께 각각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끝단부 및 머리부의 선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몸통부 및 머리부는 연결부의 돌기와 홈을 통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플랜지를 갖도록 이루어지거나 슬리브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및 머리부는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부와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6. 선단부가 첨예하게 이루어져 일측 구조물에 삽입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와 연결부는 구조물을 분리할 때 구조물과 함께 각각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KR20-2003-0012012U 2003-04-18 2003-04-18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KR200319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012U KR200319320Y1 (ko) 2003-04-18 2003-04-18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012U KR200319320Y1 (ko) 2003-04-18 2003-04-18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320Y1 true KR200319320Y1 (ko) 2003-07-07

Family

ID=4933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012U KR200319320Y1 (ko) 2003-04-18 2003-04-18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3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1347B1 (en) Building block, as well as an insert piece to be applied in such a building block
KR101068636B1 (ko) 데크플레이트 고정용 자동 해체형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KR101812565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0319320Y1 (ko) 철거시 자력으로 제거되는 가설구조물 조립용 못
KR20190019654A (ko) 폼타이에 결합되는 거푸집 고정구
KR101900689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KR20170111429A (ko)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고정바
KR200447273Y1 (ko) 유로폼 거푸집용 줄눈 성형장치
KR200370140Y1 (ko) 건축용 플렛타이
KR20110068459A (ko) 외부장착이 가능한 거푸집 연결구
KR200410980Y1 (ko) 탈형홈을 갖는 유로폼
KR200362755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모따기 부재
KR200342757Y1 (ko) 콘크리트 옹벽 구축용 거푸집 연결구
KR200271718Y1 (ko)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KR200363079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261346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앵커핀 셋트
TWI839187B (zh) 木鋁模板連接器及其模板總成
JPH07113236B2 (ja) 鉄筋ホルダ
KR20090096964A (ko)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KR100797486B1 (ko)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KR200249933Y1 (ko) 건축용 폼의 연결 고정장치
KR200370222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결합핀
KR920006951Y1 (ko) 철근 콘크리트용 앵커
JPS637644Y2 (ko)
KR200355069Y1 (ko) 건축용 거푸집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