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995B1 -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995B1
KR101228995B1 KR1020110053206A KR20110053206A KR101228995B1 KR 101228995 B1 KR101228995 B1 KR 101228995B1 KR 1020110053206 A KR1020110053206 A KR 1020110053206A KR 20110053206 A KR20110053206 A KR 20110053206A KR 101228995 B1 KR101228995 B1 KR 101228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window
fixture
motor
connecto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355A (ko
Inventor
이경규
Original Assignee
(주) 지에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에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 지에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1005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99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5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related to specific positions
    • E05Y2400/356Intermediate positions
    • E05Y2400/358Intermediate positions in the proximity of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는, 농산물 보관 창고의 상부 벽면에 여닫이 형태로 마련된 환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 장치로서, 환기 창문을 개폐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터의 구동축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 고정구; 제1 고정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제1 고정구의 타단부에 대향하고, 타단부는 환기 창문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 고정구;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제1 고정구의 타단부와 제2 고정구의 일단부를 연결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제1 고정구로부터 전달받아 제2 고정구를 통해 환기 창문의 회전축으로 전달하고, 모터의 구동력으로 인해 환기 창문이 개방될 때 인장됨으로써 축적되는 탄성 에너지로 환기 창문의 회전에 의한 관성 모멘트를 상쇄시키도록 마련되는 연결구; 및 연결구가 제1 고정구의 타단부와 제2 고정구의 일단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1 고정구의 타단부와 제2 고정구의 일단부 및 연결구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를 이용하여 환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할 때 더욱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으면서도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APPARATUS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FOR VENTILATING A WAREHOUSE STORING AGRICULTURE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를 이용하여 환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할 때 더욱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으면서도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삶의 질이 점차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점차 신선하고 고품질의 농산물을 선호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소비자들의 추세에 대응하여 각 유통업체는 농산물을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공산품과 별도로 농산물을 보관하기 위한 창고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공산품과는 달리 농산물은 주변 환경에 매우 민감한 특징이 있으므로 이에 적합한 창고를 설치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농산물은 공산품과 달리 자체적으로 호흡을 하고 있으므로 농산물을 보관하는 창고에는 환기를 위해 환기 창문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이러한 농산물 보관 창고 및 이에 설치되는 환기 창문은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산물 보관 창고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농산물 보관 창고(1)는 농산물이 입·출고되기 위한 도어(3)와, 농산물의 호흡을 고려하여 농산물 보관 창고(1) 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구(2)를 포함한다.
이때, 도어(3)는 농산물이 입·출고되기 용이하도록 사람 키보다 크게 구성되고, 환기구(2)는 환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어(3)보다 위쪽에 마련되며, 환기구(2)에는 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여닫이 형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환기 창문(20)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을 회전시킴으로써 환기 창문(20)을 개폐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수동식 환기 창문(20) 개폐방법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끊이지 않으므로 이를 대체하기 위해 모터를 사용하여 환기 창문(20)을 개폐하는 방법이 개발된바 있다.
그러나, 모터를 이용하여 환기 창문(20)을 개폐하는 경우, 환기 창문(20)에 발생되는 관성 모멘트, 환기 창문(20)을 밀폐하기 위해 제공되는 모터의 추가적인 구동력 및 환기 창문(20)의 개방시 발생하는 헌팅 현상(모터의 갑작스런 구동에 따라 순간적으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 등으로 인해 환기 창문(20)을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없으며, 나아가 모터 또는 이에 연결된 감속기 등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태핑 모터, 서보 모터, 스톱 모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모터들은 매우 고가이므로 현실적으로 농산물 저장창고에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모터를 이용하여 환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할 때 더욱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으면서도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농산물 보관 창고의 상부 벽면에 여닫이 형태로 마련된 환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 장치로서, 상기 환기 창문을 개폐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 고정구; 상기 제1 고정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에 대향하고, 타단부는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 고정구; 서로 대향하고 있는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고정구의 일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제1 고정구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제2 고정구를 통해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으로 전달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으로 인해 상기 환기 창문이 개방될 때 인장됨으로써 축적되는 탄성 에너지로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에 의한 관성 모멘트를 상쇄시키도록 마련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가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고정구의 일단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연결구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환기 창문이 폐쇄될 때 상기 환기 창문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환기 창문을 개방할 때 제공하는 구동력에 여분의 추가적인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여분의 추가적인 구동력으로 인해 상기 환기 창문이 완전히 밀폐될 때 기설정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여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환기 창문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모터가 작동할 때 상기 연결구에 축적되어 있던 상기 기설정된 탄성 에너지에 의해 인장되면서 상기 모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헌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과 동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코일 형상으로 감겨 있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되, 상기 환기 창문이 완전히 밀폐되어 있을 때에는 압축되어 감겨 있다가, 상기 환기 창문이 개방되는 중에 모두 풀려지며, 상기 환기 창문이 완전히 개방될 때 인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의 양단부는 상기 연결구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될 때 그려지는 원의 지름을 따라 상기 원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일단부에는 절곡된 상기 연결구의 양단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된 슬릿홈이 마련되어, 상기 연결구의 양단부가 상기 슬림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연결구가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는, 상기 제1 고정부의 타단부에 마련된 슬릿홈과 상기 제2 고정부의 일단부에 마련된 슬릿홈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환기 창문이 완전히 밀폐되어 있을 때 상기 연결구가 압축되어 감겨 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고정홈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홈의 일면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에 마련된 홈에 대응하는 키-홈이 마련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에 마련된 홈과 상기 키-홈에 키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이 상기 고정홈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부에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고정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홈까지 연통된 체결홀이 마련되며,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핀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의 외면이 상기 고정홈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이 상기 고정홈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부에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 및 환기 창문의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고정구, 제2 고정구 및 연결구를 이용하여 환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할 때 더욱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으면서도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농산물 보관 창고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방향으로 절개한 도 5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방향으로 절개한 도 5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32)는 모터(36), 제1 고정구(100), 제2 고정구(200), 연결구(300), 및 커버(400)를 포함한다.
모터(36)는 환기 창문(20)을 개폐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모터(36)는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축(36a)을 회전시켜 환기 창문(20)을 개폐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모터(36)의 일측에는 등속도로 환기 창문(20)이 개폐될 수 있도록 감속 기어 박스(34)가 연결된다. 물론, 감속 기어 박스(34)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모터(36) 자체에 감속 기어가 내장된 감속 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고정구(100) 및 제2 고정구(200)는 후술할 연결구(300)와 함께 모터(36)의 구동축(36a)과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제1 고정구(100)는 모터(36)의 구동축(36a)에 연결되며, 제2 고정구(200)는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구(100)의 일단부(130)는 모터(36)의 구동축(36a)에 고정되고, 제1 고정구(100)의 타단부(120)는 제2 고정구(200)의 일단부에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고정구(200)의 일단부(220)는 제1 고정구(100)의 타단부(120)에 대향하고, 제2 고정구(200)의 타단부(230)는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 고정구(100) 및 제2 고정구(200)는 그 형상 및 구조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나, 모터(36)의 구동축(36a) 및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과 함께 회전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즉, 제1 고정구(100)의 몸체(110) 및 제2 고정구(200)의 몸체(210)는 동일축상에 단부가 대향하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고정구(100) 및 제2 고정구(200)가 모터(36)의 구동축(36a) 및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에 각각 고정되는 방법에 대하여도 다양한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36)의 구동축(36a) 및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고정구(100)의 일단부(130) 및 제2 고정구(200)의 타단부(230)에 원통형으로 마련된 고정홈(도면부호 미부여)의 일면에 키-홈(132, 제2 고정구에 대한 키-홈은 미도시)을 마련한다.
이때, 키-홈(132, 제2 고정구에 대한 키-홈은 미도시)은 모터(36)의 구동축(36a) 및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의 축 상에 마련된 홈에 대응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키-홈(132, 제2 고정구에 대한 키-홈은 미도시) 및 모터(36)의 구동축(36a) 및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의 축 상에 마련된 홈 사이에 키(134, 234)를 삽입시킴으로써, 제1 고정구(100) 및 제2 고정구(200)를 모터(36)의 구동축(36a) 및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에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 고정구(100) 및 제2 고정구(200)가 모터(36)의 구동축(36a) 및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에 각각 고정되면, 모터(36)의 구동축(36a) 및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의 회전시 제1 고정구(100) 및 제2 고정구(200)에 마련된 고정홈(도면부호 미부여)에서 헛돌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된다.
또한, 키-홈(132, 제2 고정구에 대한 키-홈은 미도시)과 키(134, 234)는 체결홈(112, 제2 고정구에 대한 체결홈은 미도시)과 이에 체결되는 체결핀(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구(100)의 일단부(130) 및 제2 고정구(200)의 타단부(230)의 외측면에 고정홈(도면부호 미부여)까지 연통되도록 마련된 체결홀(112, 제2 고정구에 대한 체결홈은 미도시)에 체결핀(미도시)을 관통시켜, 고정홈(도면부호 미부여)에 삽입된 모터(36)의 구동축(36a) 및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의 외면을 밀게 한다.
이와 같이 체결핀(미도시)에 의해 밀려지는 모터(36)의 구동축(36a) 및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의 외면은 고정홈(도면부호 미부여)의 내면에 밀착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호 단단하게 고정된다.
한편, 연결구(300)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제1 고정구(100)의 타단부(120)와 제2 고정구(200)의 일단부(22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모터(36)의 구동력을 제1 고정구(100)로부터 전달받아 제2 고정구(200)를 통해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구(300)는 단순히 모터(36)의 구동력을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으로 전달하기 위한 역할에 그치지 않고, 환기 창문(20)이 회전할 때 발생되는 관성 모멘트를 상쇄시키는 역할, 환기 창문(20)이 개방될 때 발생되는 헌팅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 등을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구(300)의 추가적인 역할은 연결구(300)의 구성에 대하여 먼저 상세히 설명한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의 일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구(3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성 모멘트를 상쇄하고 헌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의 연결구(300)는 다음과 같은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즉, 연결구(300)는 모터(36)의 구동축(36a) 및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과 같은 축 상에 가상의 중심축이 배치되고 이러한 가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코일 형상으로 감겨 있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연결구(300)는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밀폐되어 있을 때에는 압축되어 감겨 있다가, 환기 창문(20)이 개방되는 중에 모두 풀려지며,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개방될 때 인장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구(300)를 구성하는 이유 역시 연결구(300)의 역할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연결구(300)의 양단부는 제1 고정구(100) 및 제2 고정구(200)에 마련된 슬릿홈(122, 2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코일 형상으로 형성될 때 그려지는 원의 지름을 따라 원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절곡된다.
즉, 제1 고정구(100)의 타단부(120) 및 제2 고정구(200)의 일단부(220)에는 단부를 가로질러 함몰된 슬릿홈(122, 222)이 각각 마련되며, 슬릿홈(122, 222)에 절곡된 연결구(300)의 양단부가 끼워짐으로써, 연결구(300)는 제1 고정구(100) 및 제2 고정구(200)에 연결된다.
물론, 이와 같이 연결구(300)가 제1 고정구(100) 및 제2 고정구(200)에 연결되는 방법은 연결구(300)가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된다는 점을 고려한 하나의 예시적이 방법에 불과하다. 즉, 연결구(300)가 제1 고정구(100) 및 제2 고정구(200)에 연결되는 방법은 제한적이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커버(400)는 제1 고정구(100)의 타단부(120)와 제2 고정구(200)의 일단부(220) 및 연결구(300)를 감싸는 구성요소로서, 연결구(300)가 제1 고정구(100)의 타단부(120)와 제2 고정구(200)의 일단부(2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탈방지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연결구(300) 사이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끼어 연결구(300)의 작용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커버(400)는, 도면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작하거나 연결구(300)의 상태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제1 고정구(100)의 몸체(110) 및 제2 고정구(200)의 몸체(210) 외측면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의 일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가 적용되는 환기 창문(20)은 개폐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개방되기 이전에 어느 정도 개방되었을 때를 먼저 설명하고, 이어서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폐쇄될 때, 환기 창문(20)이 다시 개방되기 시작할 때 순으로 차례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개방되기 이전에 어느 정도 개방되었을 때에도 모터(36)는 계속하여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는바, 환기 창문(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도록 계속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환기 창문(20)의 회전축(22)은 환기 창문(20)의 무게중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일측에 있기 때문에, 환기 창문(20)은 계속하여 전달되는 모터(36)의 구동력에 의해 관성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관성 모멘트는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창틀(10)과 이루는 회전각인 180도를 넘어서까지 환기 창문(20)을 회전시키게 되어 모터(36) 또는 감속 기어 박스(34)를 파손시키게 될 위험성을 가져온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환기 창문(20)이 개방될 때 인장되도록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된 연결구(300)에 의해 이와 같은 관성 모멘트를 상쇄할 수 있다.
즉, 연결구(300)는 환기 창문(20)이 회전할 때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며, 이와 같이 축적된 탄성 에너지는 환기 창문(20)에 발생되는 관성 모멘트를 보상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구(300)를 통해 모터(36) 또는 감속 기어 박스(34)를 파손시키게 될 위험성이 배제된 상태에서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개방시켜 환기를 완료한 후에는 농산물 보관 창고를 밀폐하기 위해 환기 창문(20)을 폐쇄하게 된다.
환기 창문(20)이 폐쇄될 때 인장되어 있는 연결구(300)는 반대로 환기 창문(20)에 발생될 수 있는 관성 모멘트에 추가적으로 탄성 에너지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 아닐지에 대한 의문점이 들 수 있다.
그러나, 연결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폐쇄될 때에는 오히려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오히려 반대의 경우에도 환기 창문(20)에 발생되는 관성 모멘트를 상쇄할 수 있다.
즉, 연결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개방되지도 폐쇄되지도 않은 중간 지점에서 인장되지도 압축되지도 않은 상태(풀리지도 감기지도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환기 창문(20)이 개방될 때에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에너지가 축적되어 관성 모멘트를 상쇄시킨다고 할 것이고, 환기 창문(20)이 폐쇄될 때에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에너지가 축적되어 관성 모멘트를 상쇄시킨다고 할 것이다.
한편, 환기 창문(20)이 폐쇄될 때에는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폐쇄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모터(36)는 환기 창문(20)이 개방할 때 제공하는 구동력에 여분의 추가적인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여분의 추가적인 구동력은 실질적으로 환기 창문(20)을 회전시키는데 이용되지 않으므로 모터(36) 또는 이에 연결된 감속 기어 박스(34)에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며, 이와 같이 작용하는 저항력은 모터(36) 또는 감속 기어 박스(34)에 열 에너지와 같은 다른 형태의 에너지를 발생시켜 이들을 파손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구(300)를 통해 이러한 다른 형태의 에너지도 상쇄할 수 있다. 즉, 연결구(300)는 전술한 여분의 추가적인 구동력을 탄성 에너지로 변환시켜 모터(36) 또는 감속 기어 박스(34)를 파손시키는 원인이 되는 다른 형태의 에너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연결구(300)는 전술한 여분의 추가적인 구동력으로 인해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밀폐될 때 기설정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여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밀폐될 때 기설정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여 압축되도록 연결구(300)를 구성하는 방법은 제한적이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제1 고정구(100)의 타단부(120)에 마련된 슬릿홈(122)과 제2 고정구(200)의 일단부(220)에 마련된 슬릿홈(222)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밀폐되어 있을 때 연결구(300)가 압축되어 감겨 있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제1 고정구(100)의 타단부(120)에 마련된 슬릿홈(122)과 제2 고정구(200)의 일단부(220)에 마련된 슬릿홈(222)이 서로 평행한 경우에는 연결구(300) 자체를 압축하여 각각의 슬릿홈(112, 222)에 끼우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밀폐될 때 기설정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여 압축되도록 연결구(300)를 구성함으로써, 도 2와 같이 완전히 밀폐된 환기 창문(20)이 개방되기 시작할 때 모터(36)에 발생할 수 있는 헌팅(hunting)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즉,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밀폐되어 있을 때 모터(36)는 구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 있다고 할 것인데, 환기 창문(20)을 개방하기 위해 모터(36)를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36)의 구동축(36a)에는 갑작스런 회전수나 속도 등의 주기적인 변화가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갑작스럽게 모터(36)에 작용하게 되는 주기적인 변화는 계속되는 회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헌팅 현상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구(300)는 환기 창문(20)이 완전히 폐쇄되어 있을 때 기설정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었는바, 환기 창문(20)이 개방되기 시작하면 탄성 에너지에 의해 인장되면서 모터(36)에 갑작스럽게 주기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구(300)는 환기 창문(20)의 개방시 모터(36)에 발생될 수 있는 헌팅 형상 또한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의 일 실시예의 작용에 의하면,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된 연결구(300)를 통해, 환기 창문(20)의 개방시 발생되는 관성 모멘트를 상쇄하고, 환기 창문(20)을 밀폐하기 위해 제공되는 여분의 추가적인 구동력에 의한 모터(36) 및 감속 기어 박스(34)의 손상도 방지하며, 환기 창문(20)의 개방시 모터(36)에 발생되는 헌팅 현상까지 방지할 수 있는 등 더욱 안정적으로 환기 창문(20)을 개폐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농산물 보관 창고 2 : 환기구
3 : 창고 문 10 : 창틀
12 : 브래킷 20 : 환기 창문
22 : 환기 창문의 회전축 30 : 개폐 장치
32 : 커플링 34 : 감속 기어 박스
36 : 모터 36a : 모터의 구동축
100 : 제1 고정구 110 : 제1 고정구의 몸체
112 : 제1 고정구의 체결홀 120 : 제1 고정구의 타단부
122 : 제1 고정구의 슬릿홈 130 : 제1 고정구의 일단부
132 : 제1 고정구의 키-홈 134, 234 : 키
200 : 제2 고정구 210 : 제2 고정구의 몸체
220 : 제2 고정구의 일단부 222 : 제2 고정구의 슬릿홈
230 : 제2 고정구의 타단부 300 : 연결구
310 : 연결구의 일단부 320 : 연결구의 타단부
400 : 커버

Claims (8)

  1. 농산물 보관 창고의 상부 벽면에 여닫이 형태로 마련된 환기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 장치로서,
    상기 환기 창문을 개폐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 고정구;
    상기 제1 고정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에 대향하고, 타단부는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 고정구;
    서로 대향하고 있는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고정구의 일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제1 고정구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제2 고정구를 통해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으로 전달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으로 인해 상기 환기 창문이 개방될 때 인장됨으로써 축적되는 탄성 에너지로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에 의한 관성 모멘트를 상쇄시키도록 마련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가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고정구의 일단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연결구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환기 창문이 폐쇄될 때 상기 환기 창문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환기 창문을 개방할 때 제공하는 구동력에 여분의 추가적인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여분의 추가적인 구동력으로 인해 상기 환기 창문이 완전히 밀폐될 때 기설정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여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환기 창문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모터가 작동할 때 상기 연결구에 축적되어 있던 상기 기설정된 탄성 에너지에 의해 인장되면서 상기 모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헌팅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과 동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코일 형상으로 감겨 있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되, 상기 환기 창문이 완전히 밀폐되어 있을 때에는 압축되어 감겨 있다가, 상기 환기 창문이 개방되는 중에 모두 풀려지며, 상기 환기 창문이 완전히 개방될 때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양단부는 상기 연결구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될 때 그려지는 원의 지름을 따라 상기 원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일단부에는 절곡된 상기 연결구의 양단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된 슬릿홈이 마련되어,
    상기 연결구의 양단부가 상기 슬릿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연결구가 상기 제1 고정구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의 타단부에 마련된 슬릿홈과 상기 제2 고정부의 일단부에 마련된 슬릿홈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환기 창문이 완전히 밀폐되어 있을 때 상기 연결구가 압축되어 감겨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고정홈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홈의 일면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에 마련된 홈에 대응하는 키-홈이 마련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에 마련된 홈과 상기 키-홈에 키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이 상기 고정홈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부에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을 각각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고정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홈까지 연통된 체결홀이 마련되며,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핀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의 외면이 상기 고정홈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이 상기 고정홈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 고정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타단부에 상기 모터의 구동축 및 상기 환기 창문의 회전축을 각각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KR1020110053206A 2011-06-02 2011-06-02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KR101228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06A KR101228995B1 (ko) 2011-06-02 2011-06-02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06A KR101228995B1 (ko) 2011-06-02 2011-06-02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355A KR20120134355A (ko) 2012-12-12
KR101228995B1 true KR101228995B1 (ko) 2013-02-15

Family

ID=4790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206A KR101228995B1 (ko) 2011-06-02 2011-06-02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189B1 (ko) * 2013-03-07 2014-05-15 주식회사 에이디에스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KR101877691B1 (ko) * 2017-11-17 2018-07-11 최승영 접이식문 창틀의 내문편을 자동 접힘 및 펼침 유도가동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118Y1 (ko) * 1987-11-23 1991-02-25 탁동호 창문 개폐장치
KR200307825Y1 (ko) 2002-12-30 2003-03-17 주식회사새한공조 도어 개폐제어장치
KR200382597Y1 (ko) 2005-01-31 2005-04-22 권오원 전동창문용 구동장치
KR100612434B1 (ko) 2004-07-16 2006-08-16 박영환 자동 개폐수단이 구비된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118Y1 (ko) * 1987-11-23 1991-02-25 탁동호 창문 개폐장치
KR200307825Y1 (ko) 2002-12-30 2003-03-17 주식회사새한공조 도어 개폐제어장치
KR100612434B1 (ko) 2004-07-16 2006-08-16 박영환 자동 개폐수단이 구비된 도어
KR200382597Y1 (ko) 2005-01-31 2005-04-22 권오원 전동창문용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355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0257B2 (en) Slat rotation, slat winding and unwinding control device of window blind
US20190284876A1 (en) Control of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US9702189B2 (en) Energy saving apparatus for electric roller shutter
EP2957700B1 (en) Roof window operator
KR101228995B1 (ko)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US9631410B2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US11187034B2 (en) Driving mechanism for curtain cord winding reels
CN211313962U (zh) 一种防火车库门
JP5698478B2 (ja) 窓開閉操作装置
KR101145725B1 (ko)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CN202000873U (zh) 内置有遮阳帘的中空玻璃及中空玻璃系统
KR200398772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감속장치
CN201786223U (zh) 一种带遮阳帘的中空玻璃及其驱动系统
KR20190124220A (ko) 롤업스크린 및 그 스크린 포지셔닝 장치
JP4446462B2 (ja) 網戸、網窓等におけるネット調整装置
KR20050081344A (ko) 김치 냉장고
KR101144240B1 (ko) 롤 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
KR100671712B1 (ko) 롤러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제어장치
CN200958360Y (zh) 卷门侧装电机的离合装置
JP2000240382A (ja) 電動機及び電動シャッター
JP6893798B2 (ja) 引戸用クローザ装置
CN101942960A (zh) 一种内置电控遮阳帘的中空玻璃及其驱动系统
EP3263816B1 (fr) Fenêtre pour un bâtiment et installation domotique comprenant une telle fenêtre
KR200398773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감속장치
KR200383864Y1 (ko) 롤러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