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118Y1 - 창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118Y1
KR910001118Y1 KR2019870020275U KR870020275U KR910001118Y1 KR 910001118 Y1 KR910001118 Y1 KR 910001118Y1 KR 2019870020275 U KR2019870020275 U KR 2019870020275U KR 870020275 U KR870020275 U KR 870020275U KR 910001118 Y1 KR910001118 Y1 KR 910001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inge
stopper
ro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0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830U (ko
Inventor
탁동호
Original Assignee
탁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동호 filed Critical 탁동호
Priority to KR2019870020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118Y1/ko
Publication of KR8900108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8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 E05D15/5217Tilt-lock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41Tilt-and-tur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문 개폐장치
제1도는 여닫이식으로 사용하는 상태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창문의 측면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로 우측은 원형 점선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제3도는 상부 경첩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하부에 설치되는 이중 경첩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내닫이식으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
제6도는 창문상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로서 우측은 원형 점선부의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걸림턱 A : 경첩
B : 이중경첩 7 : 로드
8 : 지지편 10 : 장공
11 : 돌기 12 : 스톱퍼
13,14 : 연결간 15 : 보턴
19,20 : 스톱퍼 21,22 : 연결간
23 : 하부보턴 27 : 작동간
30 : 괘지편
본 고안은 하나의 창문으로 내닫이식과 여닫이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한 창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출원인의 선고안(실용신안 공고번호 81-1138호, 실용신안출원 85-117호)에서의 복잡한 구성을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개선하고, 필요이상의 3가지 용도중에서 사용 용도가 많은 내닫이식과 여닫이식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2가지 기능으로 구성하여 제작 및 시공설치가 간편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선 고안은 내닫이, 여닫이, 미닫이의 3가지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내닫이 기능에 필요한 구성부, 여닫이 기능에 필요한 구성부, 그리고 미닫이 기능에 필요한 구성부가 각각 설치되며, 이들의 괘, 해정부 구성도 각각 설치되는 등의 복잡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만큼 이들의 작동도 정확성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더구나 미닫이 기능을 위해서 문틀에서 상하부 레일을, 창문에는 로울러 또는 호차를 설치하여야 하며, 창문을 내닫이나 여닫이로 전환시킬때 조작이 힘들고 창문이 흔들리거나 틈새가 크게 생겨 바람이 들어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미닫이 구성없이 내닫이와 여닫이만의 구성으로 창문을 형성하되, 간단한 구성과 간편한 조작으로 취급사용할 수 있게 하고, 제작 및 시공설치 작업이 편리하게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문틀(1)과 창문(2)으로 구성되며, 문틀(1)의 일측 상부에는 걸림턱(3)이, 하부에는 걸고리(3′)가 형성된다.
문틀(1)의 타측 상단은 제3도에서와 같이 경첩(A)이 체결되고, 하단은 제4도에서와 같이 이중경첩(B)이 체결된다.
이중경첩(B)은 중간판(4)에서 수직경첩(5)과 수평경첩(6)이 결속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수직경첩(5)은 문틀(1)에 착설되고 수평경첩(6)은 창문(2)에 착설된다.
또한, 상부경첩(A)의 회동편(16)과 창문(2) 상단 사이에는 로드(7)가 연결되며, 지지편(8)과 브라켓트(9)의 장공(10)에 유착된다.
로드(7) 저면에는 돌기(11)가 있으며, 창문상단의 스톱퍼(12) 윗쪽에 위치된다.
스톱퍼(12)는 스프링에 탄지되어 항상 들려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간(13)(14)에 의해 보턴(15)과 연결되어 승강작동을 하는 것이다.
연결간(13)(14) 사이에는 ㄴ형 연결편(17)이 연결되며, 지축(18)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회동이 용이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창문(2) 상하 전단부에는 스톱퍼(19)(20)가 각각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이들의 연결간(21)(22)은 하부보턴(23)과 연결되어 있다.
상,하부 보턴(15)(23)은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지며, 각각 ㄴ형 연결편(24)에 의해 해당 연결간과 결속되어 보턴을 누르면 연결간이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연결간(13) 중간에는 지축(25)으로 유착된 연동간(26)이 연결되고, 연동간(26)후단에는 전단부 스톱퍼(19)를 눌러주는 작동간(27)에 결속된다.
따라서, 상부 연결간(13)이 당겨지면 연동간(26)이 중심 지축(25)을 지점으로 하여 작동간(27)을 끌어당기고, 작동간(27) 후단의 레버(28)는 스톱퍼(19)를 눌러주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부연결간(13) 후단의 누름편(29)도 역시 후단스톱퍼(12)를 눌러서 로드의 걸림턱(11)에서 이탈될 수 있게 하므로서 제5도와 같이 내닫이 창문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 것이며, 이 상태에서는 창문 하단의 괘지편(30)이 문틀 걸고리(3′)에 걸려져서 힌지 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부 보턴(23)을 누르면 창문(2)이 제1도의 상태처럼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바, 이때는 상,하부 경첩(A)(B)이 힌지 기능을 하게 되며, 특히 이때는 하부 이중경첩(B)의 수직경첩(5)에 의해 통상의 경첩처럼 여닫이식 개폐가 성립될 수 있고, 상부경첩(A)의 로드(7)는 그 저면의 걸림턱(11)이 스톱퍼(12)에 걸려져서 창문과 일체로 되므로 창문(2)은 통상의 창문처럼 상,하부 힌지에 의해 유연한 여닫이식 개폐작동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창문(2)을 닫아주면 전단부의 스톱퍼(19)(20)가 문틀(1)의 걸림턱(3)과 걸고리(3′)에 걸려지면서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하부 스톱퍼(19)(20)는 각각 스프링에 탄지되어 탄동력을 갖고 있으므로 눌려졌다가 다시 복귀되는 작용을 하므로 걸림턱(3)과 걸고리(3′)에 쉽게 걸려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다시 창문을 열때는 하부 보턴(23)을 누르면 연결간(21)(22)이 해당 스톱퍼(19)(20)를 당겨서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하므로 창문을 제1도의 상태처럼 열어줄 수 있게 되며, 창문(2)을 다시 닫아주면 전기한 작동순서에 의해 잠겨지게 되며, 이를 제1도 및 2도에서 잘 표현하고 있다.
이렇게 창문(2)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5도의 상태처럼 내닫이식으로 개폐시킬때는 상부보턴(15)을 사용한다.
즉, 상부보턴(15)을 눌러주면 상부쪽 연결간(14)(13)이 연동 작동하여 후단 스톱퍼(12)를 눌러주게 되며, 이와 동시에 연결간(13)중간에 연결 접속된 연동간(26)과 작동간(27)이 레버(28)를 눌러줌에 의해 전단 스톱퍼(19)가 하강하여 걸고리(3)에서 이탈된다.
이때 후단 스톱퍼(12)는 로드(7)의 걸림턱(11)에서 이탈됨에 의해 창문(2)이 양쪽 하부 힌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제5도 및 6도의 상태처럼 열리게 되며, 이때는 로드(7)가 장공(10) 범위내에서 후진하면서 창문의 열림을 허락하고, 지지편(8)은 창문과 로드와의 지지력을 갖게 하면서도 창문의 열림 정도를 제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창문(2)을 닫아주면 전단의 상부 스톱퍼(19)는 걸고리(3)에 걸려지고, 후단 스톱퍼(12)는 로드 걸림턱(11)에 걸려진 상태로 닫혀 있게되는 것이다.
이렇게된 본 고안은 창문(2) 외주면에 설치된 연동링크 창치들을 커버로 덮어주고 필요작동부인 각 스톱퍼만 노출되게 하여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상,하 보턴 및 연동구성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창문을 개폐할 수 있고, 전체적인 연동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부드럽게 작동되므로 종래 복잡한 구성의 창문 개폐장치에 비해서 사용이 편리하고 값싸게 제작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문틀(1)의 일측 상부에 걸림턱(3)을, 하부에는 걸괼(3′)를 형성하고 타측 상단에는 경첩(A)을, 하단에는 중간판(4)에 수직경첩(5)과 수평경첩(6)이 결속된 이중경첩(B)을 착설하며, 상부경첩(A)과 창문(2)상단의 장공(10)사이에 로드(7)를 연결하고, 창문 전단부 상하에 설치된 스톱퍼(19)(20)는 하부 보턴(23)과 연결된 연결간(21)(22)에 연결하며, 상부 연결간(13)중간에 연동간(26)과 작동간(27), 레버(28)을 연결하여 전단스톱퍼(19)를 눌러주게 하며 하부 스톱퍼(20)하방에 괘지편(30)을 설치하고, 로드(7)저면에는 후단 스톱퍼(12)가 걸려지는 걸림턱(11)을 형성하여서 된 창문 개폐장치.
KR2019870020275U 1987-11-23 1987-11-23 창문 개폐장치 KR910001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275U KR910001118Y1 (ko) 1987-11-23 1987-11-23 창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275U KR910001118Y1 (ko) 1987-11-23 1987-11-23 창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30U KR890010830U (ko) 1989-07-11
KR910001118Y1 true KR910001118Y1 (ko) 1991-02-25

Family

ID=1926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0275U KR910001118Y1 (ko) 1987-11-23 1987-11-23 창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1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95B1 (ko) * 2011-06-02 2013-02-15 (주) 지에스이엔지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95B1 (ko) * 2011-06-02 2013-02-15 (주) 지에스이엔지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30U (ko) 198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97195A (en) Latch
US4242773A (en) Cabinet hinge
US4035953A (en) Hinge and hinge and pivot arrangement
US3422575A (en) Closure operator
CA2303055C (en) Improved hinge for furniture and the like, with movable arm arranged inside the fixed arm
GB1459237A (en) Electric oven toaster
CA2331080A1 (en) Over center door closing mechanism
US2195991A (en) Door mounting and latching means
US2220766A (en) Door control device
US3109675A (en) Toggle type window lock
KR910001118Y1 (ko) 창문 개폐장치
US3589759A (en) Locking device for movable leaves such as window panes
US3694017A (en) Remote control latch and recessed bail for the same
US5683124A (en) Latching device for a hinged panel
US1940537A (en) Latch mechanism
GB2309484A (en) Door or window stay
US2913758A (en) Latch apparatus for right- and left-hand doors
KR102598170B1 (ko) 여닫이문용 열림 조절 장치
US2830837A (en) Hardware for combination sash and screen
JPS5923178Y2 (ja) 開き窓の開閉固定装置
KR890000504Y1 (ko) 가변창문
JP2000073639A (ja) 観音開き式扉装置のラッチ機構
JP2543074Y2 (ja) 折り戸
JPH0111912Y2 (ko)
US856008A (en) Four-way gate-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