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818B1 - 용기용 팩 - Google Patents

용기용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818B1
KR101228818B1 KR1020080103914A KR20080103914A KR101228818B1 KR 101228818 B1 KR101228818 B1 KR 101228818B1 KR 1020080103914 A KR1020080103914 A KR 1020080103914A KR 20080103914 A KR20080103914 A KR 20080103914A KR 101228818 B1 KR101228818 B1 KR 10122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ck
inlet
assemble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056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080103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8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용 팩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료수용으로 사용되는 용기에서 주입구에 고정하면서 내측공간에다 삽입하여 주되, 필요에 따라 세척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제공함으로 위생적인 용기를 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용 용기는 주로 보관이나 이동에 의한 운반을 위하는 동안에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입구는 축소된 좁은 공간을 형성하면 이에 연결로 형성되는 몸체는 확대된 내측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주입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에는 같은 크기의 캡을 나선조립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용기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간단히 세척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여서 위생적인 음료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음료수 등을 담아서 운반하도록 바닥면(43)의 가장자리인 하측모서리(47')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벽면의 상측 모서리(47)에서 상측벽(41')을 구비하면서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는 주입부(28)를 구비하여주고, 상기 주입부(28)에는 주입구(30)가 원주형으로 형성되도록 두께부(31)의 외측면에 구성하는 나사부(26)에다 매인캡(48)으로 조립되어 제공되는 용기(25)에 있어서,
상기 용기(25)로 형성되는 내측공간에 맞추어서 팩(45)의 몸체가 형성되는 상측으로 입출구(35')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25)의 주입구(30) 구간에 삽입된 입출구(35')에 삽입되되, 상기 입출구(35')에 삽입되도록 통과구(49)가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프레임(50)을 형성하되,
상기 원통형의 지지프레임(50)의 상측 모서리에는 두께부(31)에 조립되는 걸림리브(46)를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서, 상기 용기(25)의 두께부(31)에 조립에서 용기(25)의 내측구간의 하측부위까지 돌출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용기(25)의 내측공간에 팩(45)을 삽입하여 주면서 입출구(35')의 상측부위를 주입구(30)구간을 감싸주도록 두께부(31)로 조립하여 주되, 상기 두께부(31)에는 확대부(37)로 조립하여 주고, 상기 나사부(26)에는 조립부(40)를 외삽으로 조립이 용이하여 주도록 손잡이(36)를 조립부(40)의 모서리에 구비하여주고,
상기 확대부(37)가 조립되는 나사부(26)에 매인캡(48)으로 조여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주입부(28)을 구성하는 두께부(31)의 모서리의 양측으로 요홈부(41)를 형성하여 주고, 이에 연결되도록 두께부(3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나사부(26)에 이동로(42)를 형성하여 주면서 원호형 나사부(35)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원호형 나사부(35)에 조립되는 조임링구(33)을 조립함으로서 요홈구(32)를 형성시켜서, 상기 용기(25)와 팩(45) 사이의 완충구간의 공기가 원할히 이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용기, 팩, 주입로

Description

용기용 팩{omitted}
본 발명은 용기용 팩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료수용으로 사용되는 용기에서 주입구에 고정하면서 내측공간에다 삽입하여 주되, 필요에 따라 세척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위생적인 용기용 팩을 제공하기 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합성수지제 또는 알미늄 합금과 같은 경질의 재질로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하는 경우, 음료수 등을 저장하는 내측공간의 내측 표면에 사용하는 물이 뭇어있으므로 이는 장기간 방치하는 경우, 대장균 등의 번식 등으로 인한 부패의 위험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일회용 비닐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팩 등은 주로 1회용으로 사용하므로, 이로 인하여 위생적인 용기용 팩을 제공하였으나, 이는 유연한 재질로 인하여 운반이나 보관에 대한 파손의 위험이 상존하므로 사용하는 범위가 한정되는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용 용기는 몸체에 비교하여 좁은 주입구를 구비하여 주면서 이에 대한 캡으로 닫아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주로 보관이나 이동에 의한 운반을 위하는 동안에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입구는 축소된 좁은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에 연결로 형성되는 몸체는 확대된 내측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주입구에는 같은 크기의 캡을 나선조립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특히 더운 여름철인 하절기에서는, 용기에 음료수 등을 담아서 저장이나 운반을 하는 동안에 소요되는 기간에 내용물인 용수 등이 대장균과 같은 위해요소 등이 증식으로 인하여 위생상 문제가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고로 대부분의 음료수 용기는 저장을 위하여 냉장고에 저장을 하거나, 운반 도중에 이동이나 저장하는 시간에 대하여 유효기간으로 지정되는 시간 내에 처리를 하여야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료수 용기에서는 경제적인 이유 또는 자원 보호 차원에서 재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용기 내에 세척수를 담은 다음, 브러시 등의 손잡이를 이용하여서 주입구로 주입하는 브러시에 대한 세척은 비교적 용기의 바닥면이나 벽면의 하측부위는 용이하나, 주입구로 연결되는 천정부위에 대한 세척은 구조상 거의 불가능 하여서, 용기의 내측구간에서의 완벽한 세척작업은 매우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기 내측면에 대한 완벽한 세척을 위하는 팩에 대한 발명으로서, 용기의 내측구간에 맞추어서 주입구로부터 내장되도록 별도의 팩을 접은 상태로 삽입하여서 용기의 내측구간에서 펴주도록 구성하되, 주입구의 몸체에 대한 모서리로 조립되면서 외측면으로 굴절로 덮어주도록 손잡이를 구비하여 주되, 상기 주입구의 외측면에 덮어주는 외측으로 캡을 조립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며, 상기 팩에는 용기에 담으려는 용수를 주입시켜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의 팩에 주입된 용수를 사용하고 난 뒤에, 상기 용기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세척작업을 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팩을 손잡이로 용기의 주입구로부터 인출하여 주면, 상기 팩은 확대부를 기준으로 뒤집은 상태로 인출이 되므로 음료수가 직접 닿아서 담아주는 팩의 내측면이 노출이 되므로 완벽하면서 용이하게 위생적으로 세척 한 다음, 용기의 내측공간으로 주입시켜 주어서 음료수 등을 담아서 사용하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되는 팩을 교환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용기의 주입구로부터 인출하여 주면, 상기 팩은 확대부를 기준으로 뒤집은 상태로 인출이 되어 주므로, 이때 인출되는 팩은 분리하여 주고, 별도의 신규 팩을 확대부를 기준으로 조립하되, 용기의 내측공간으로 주입시켜서 사용되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음료수 등을 담아서 운반하도록 바닥면(43)의 가장자리인 하측모서리(47')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벽면의 상측 모서리(47)에서 상측벽(41')을 구비하면서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는 주입부(28)를 구비하여주고, 상기 주입부(28)에는 주입구(30)가 원주형으로 형성되도록 두께부(31)의 외측면에 구성하는 나사부(26)에다 매인캡(48)으로 조립되어 제공되는 용기(25)에 있어서,
상기 용기(25)로 형성되는 내측공간에 맞추어서 팩(45)의 몸체가 형성되는 상측으로 입출구(35')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25)의 주입구(30) 구간에 삽입된 입출구(35')에 삽입되되, 상기 입출구(35')에 삽입되도록 통과구(49)가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프레임(50)을 형성하되,
상기 원통형의 지지프레임(50)의 상측 모서리에는 두께부(31)에 조립되는 걸림리브(46)를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서, 상기 용기(25)의 두께부(31)에 조립에서 용기(25)의 내측구간의 하측부위까지 돌출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용기(25)의 내측공간에 팩(45)을 삽입하여 주면서 입출구(35')의 상측부위를 주입구(30)구간을 감싸주도록 두께부(31)로 조립하여 주되,
상기 두께부(31)에는 확대부(37)로 조립하여 주고,
상기 나사부(26)에는 조립부(40)를 외삽으로 조립이 용이하여 주도록 손잡이(36)를 조립부(40)의 모서리에 구비하여주고,
상기 확대부(37)가 조립되는 나사부(26)에 매인캡(48)으로 조여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주입부(28)을 구성하는 두께부(31)의 모서리의 양측으로 요홈부(41)를 형성하여 주고, 이에 연결되도록 두께부(3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나사부(26)에 이동로(42)를 형성하여 주면서 원호형 나사부(35)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원호형 나사부(35)에 조립되는 조임링구(33)을 조립함으로서 요홈구(32)를 형성시켜서, 상기 용기(25)와 팩(45) 사이의 완충구간의 공기가 원할히 이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음료수용 용기에서 사용할수록 내측공간의 내측의 표면에 쌓이거나 침전되는 물때 또는 대장균 등을 용이하게 제거하며, 또한 팩을 간단히 분리하여서 세척으로서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특히 하절기에 위생적인 멀리 이동하는 등산이나 여행에서 음료수 용기를 제공하기 위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분해된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서 조립된 요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3은 도1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5은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며, 도6는 도5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확대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8은 도7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확대된 단면도이며, 도9은 도7에서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10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수 또는 생수용 용기에서 내측구간에 대한 위생적인 여건을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특히 혹서기에 용기에 담아진 음료에 대한 위생성에 대한 여건을 보강하면서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음료수 용기의 내측공간과 아울러 주입부(28)를 감싸 주면서 조여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음료수 등을 담아서 운반하도록 바닥면(43)의 가장자리인 하측모서리(47')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벽면의 상측 모서리(47)에서 상측벽(41')을 구비하면서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는 주입부(28)를 구비하여주고, 상기 주입부(28)에는 주입구(30)가 원주형으로 형성되도록 두께부(31)의 외측면에 구성하는 나사부(26)에다 매인캡(48)으로 조립되어 제공되는 용기(25)로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고로 상기 설명되는 용기에 대한 위생적인 사용을 위하도록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용기(25)의 내측공간에 맞추어 주는 팩(45)의 몸체에서 상기 상측벽(41')의 구간에 맞추어 주면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주입로(35')를 구비하여 주어서 상기 설명되는 용기(25)의 주입부(28)를 감싸주도록 형성시켜서 제공을 하도록 제공함이며,
특히 상기 주입부(28)을 구비하여 주는 주입구(30)의 내측면과 두께부(31)와 나사부(26)를 감싸서, 용기(25)의 내측공간에 삽입도록 후술로 설명되는 팩(45)을 결합으로 고정을 시켜서 음료수에 대한 저장이나 담아주거나 부어줄 경우, 안정적으로 이용하도록 제공하여 주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팩(45)을 용기(25)의 내측공간에 삽입으로 사용하기 위하는 상세한 설명은, 상기 팩(45)의 몸체를 서로 접어서 주입구(30)로 삽입하여 주되, 입출구(35')로 주입구(30)의 상측 모서리에서 외측방향으로 접어주면서 나사부(26)의 외측면을 덮어줌이며, 상기 입출구(35')가 접어주는 상태에서의 나사부(26) 외측으로 매인캡(48)으로 조립하여서 사용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며, 여기서 상기 주입로(35')로 돌출되는 길이는 이에 결합되는 용기(25)에서 형성되는 주입구(30)와 이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부(26)와 상측벽(41)의 구간에다 덮어주는 길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구(30) 구간에 삽입된 입출구(35')을 밀착으로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입출구(35')의 내측구간의 크기에 맞추어 삽입되어 주도록, 통과구(49)가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프레임(50)을 삽입하여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의 지지프레임(50)의 상측 모서리에는 두께부(31)에 결합되는 걸림리브(46)를 형성으로 용기(25)의 두께부(31)에 조립되면서, 용기의 내측구간의 하측부위까지 돌출로 형성하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25)의 내측구간에 삽입된 팩(45)의 몸체에 담아진 음료수를 주입구(30)을 통하여 배출시켜 주는 경우, 연질이면서 유연한 팩(45)의 몸체가 주입구(30)의 밖으로 음료수와 같이 흘러나오는, 즉 쏠려나오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주입구(30)에 삽입된 입출구(35')에다 삽입함으로서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구(49)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로 관통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프레임(50)을 용기(25)의 내측구간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일측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걸림리브(46)을 형성하면서 용기(25)의 두께부(31)의 모서리에 맞추어주도록 밀착으로 고정하여 제공함으로서,
상기 용기(25)의 주입구(30)에서 팩(45)과 같이 조립함으로서 제공을 하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 설명되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용기(25)의 내측공간에 내장된 팩(45)의 몸체에 저장된 내용물인 음료수를 인출시켜주는 경우, 상기 팩(45)이 주입구(30)의 밖으로 음료수와 같이 쏠려나오는 현상을,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지지력과 상기 지지프레임(50)에 형성된 통과구(49)로 공기의 공급 등으로 용기(25)의 내측공간에서 저지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주입구(30)로 삽입되는 팩(45)의 입출구(35')의 직경은 상기 주입구(3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느슨한 칫수로 형성되도록 제공을 하며, 이와 더불어 두께부(31)의 외측으로 덮어주면서 씌워주는 정도의 크기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 사용되는 용기(25)을 형성하는 내측공간의 용량에 맞추어 주는 팩(45)의 몸체에 구비되는 입출구(35')의 크기와 길이는, 여유로움이 있도록 형성하되, 용기(25)의 주입부(28)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를 나사부(26)의 외측면을 덮어 주도록 접어주되, 매인캡(48)으로 상기 나사부(26)에 맞추어서 나선조립으로 밀착되면서 닫아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제공되는 팩(45)의 두께는 비닐로서 합성수지제 필름으로 제조함이며, 이에 대한 일실시예는 두께가 얇은 정도의 초박 필름(예; 두께가 0.01∼0.3m/m 정도)으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나사부(26)의 외측으로 접어주는 입출구(35')를 형성하는 필름을 끼워주더라도 매인캡(48)의 내측면의 원주방향에 형성되는 나사부가, 상기 용기의 주입부(28)에 형성되는 나사부(26)와 같이 견고하게 조여 준다.
또한 상기 용기(25)의 주입부(28)를 형성하는 두께부(31)의 구조에 맞추어서 팩(45)을 구비하는 입출구(35')에 대한 호환성을 보강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용기(25)의 내측공간에 팩(45)을 삽입하여 주면서 입출구(35')를 주입구(30)구간에서는 두께부(31)의 크기로 조정하여서 조립하여 주되,
상기 두께부(31)의 두께에 맞추어서 외측방향으로 접어주도록 확대부(37)을 형성하여 주되되, 주입부(28)의 내측구간인 주입구(30)에서 형성된 입출구(35')용 비닐이 두께부(31)의 외측으로 연신을 함으로서 감아주어서 상기 주입부(28)의 외측구간인 나사부(26)로 감싸주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나사부(26)에는 팩(45)에서 구비된 조립부(40)를 외삽으로 조립하여 주도록 손잡이(36)를 조립부(40)의 모서리에 구비하여주고,
상기 확대부(37)가 조립되는 나사부(26)에 매인캡(48)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이는 유연하면서 초박의 비닐로 형성되는 팩(45)의 일부를 형성하는 조립부(40)가 용기(25)의 주입부(28)에서 외측방향으로 접어주면서 나사부(39)를 덮어주기 위하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공정은, 일상생활에서 음료수 용기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쉽게 사용하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36)를 조립부(40)의 모서리에서 돌출로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주입부(28)에서 용기(25)의 내측구간에 삽설된 팩(45)에 음료수를 담는 과정에서 용기(25)의 내측면과 팩(45) 사이의 유휴 공간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여야 용이하게 물을 담아주도록 구비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하여 상기 유휴공간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용기(25)의 외부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주입부(28)을 구성하는 두께부(31)의 모서리 양측으로 요홈부(41)를 형성하여 주고, 이에 연결되도록 두께부(3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나사부(26)에 이동로(42)를 상하측 방향으로 연결되게 형성하여 줌으로서 원호형 나사부(35)를 구비하는 이동구(44)를 형성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원호형 나사부(35)의 구성은, 상기 설명되는 나사부(26)의 전체 구간 중에서 상측으로 형성하여 제공하고, 하측에는 매인 켑(48)으로 조립되는 구간의 나사부(26')를 상기 원호형 나사부(35) 보다 외측으로 형성하여서 매인 켑(48)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공하여 준다.
또한 상기 원호형 나사부(35)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구간, 즉 상기 팩(45)의 입출구(35')에 구비되는 확대부(37)에 대한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하는 실시예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호형 나사부(35) 구간에서, 상하측 구간에 형성되는 이동구(44)를 상기 원호형 나사부(35) 구간을, 조임링구(33)를 외접으로 조여줌으로서 형성되는 요홈구(32)의 구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요홈부(41)과 연동이 되도록 연질이면서 유연성이 보강된 조임링구(33)를 원호형 나사부(35)의 외측면에 따라 조여줌으로서, 상기 요홈부(41)가 요홈구(32)로 형성시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고로 상기 설명되는 두께부(31)의 모서리 양측으로 요홈부(41)와 이에 연결되는 요홈구(32)의 구비로서, 상기 용기(25)와 팩(45) 사이의 완충구간의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본 발명의 요부인 상기 상기 팩(45)의 입출구(35')에 구비되는 조립부(40)의 모서리에 구비하여 주는 손잡이(36)를 다수개로 분리하여 주어서, 사용 현장에서 용기의 크기에 에 따라 유연성의 제공으로 대,소형의 용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이 되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25)용 팩(45)에 음료수와 같은 내용물을 담고 부을 경우에는 상기 설명되는 요홈부(41)와 이에 연결되는 요홈구(32)의 구간의 관통으로 용기(25)와 팩(45) 사이의 완충구간의 공기가 용기(25)의 외부로 유동이 제공됨으로서, 용이하게 용기에 음료수 등을 담고, 또한 부어 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되는 용기(25)에서 매인갭(48)으로 나선조임 등으로 주입구(30)을 차단으로, 운반이나 저장을 하는 경우에는 첨부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5)의 상측벽(41')의 상측에서 별도의 나사부(26')을 구비하여 줌과 동시에, 이에 맞추어 주는 상기 매인갭(48)의 나사부로 조여 줌으로서, 안전하게 용기를 위하는 밀폐의 구조를 제공하여 주기 위하는 일실시예에 대한 발명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예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형상이 4각형의 네모구조의 운반 및 저장용 용기(25)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되는 용수 등에 대한 위생적인 발명이다.
도1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분해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조립된 요부에 대한 단면도
도3은 도1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4는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예의 부분 단면도
도5은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6는 도5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단면도
도7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확대된 단면도
도8은 도7에서 요부의 분해된 단면도
도9은 도7에서 A-A선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예에 대한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5. 용기 26. 나사부 28. 주입부 30. 주입구 31. 두께부
32. 요홈구 33. 조임링구 34. 링구캠
35. 원호형 나사부 36. 손잡이 37.확대부 39. 나사부
40. 조립부 41. 요홈부 42. 이동로 43. 바닥면 44. 이동구
45. 팩 46. 걸림리브 47,47'. 상,하측모서리부 48. 매인캡
49. 통과구 50. 지지프레임

Claims (4)

  1. 음료수 등을 담아서 운반하도록 바닥면(43)의 가장자리인 하측모서리(47')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벽면의 상측 모서리(47)에서 상측벽(41')을 구비하면서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는 주입부(28)를 구비하여주고, 상기 주입부(28)에는 주입구(30)가 원주형으로 형성되도록 두께부(31)의 외측면에 구성하는 나사부(26)에다 매인캡(48)으로 조립되어 제공되는 용기(25)에 있어서,
    상기 용기(25)로 형성되는 내측공간에 맞추어서 팩(45)의 몸체가 형성되는 상측으로 입출구(35')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25)의 주입구(30) 구간에 입출구(35')를 삽입되되, 상기 입출구(35')에 삽입되도록 통과구(49)가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프레임(50)을 형성하되,
    상기 원통형의 지지프레임(50)의 상측 모서리에는 두께부(31)에 조립되는 걸림리브(46)를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서, 상기 용기(25)의 두께부(31)에 조립에서 용기(25)의 내측구간의 하측부위까지 돌출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용기용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5)의 내측공간에 팩(45)을 삽입하여 주면서 입출구(35')의 상측부위를 주입구(30)구간을 감싸주도록 두께부(31)를 조립하여 주되,
    상기 두께부(31)에는 확대부(37)로 조립하여 주고,
    상기 나사부(26)에는 조립부(40)를 외삽으로 조립이 용이하여 주도록 손잡이(36)를 조립부(40)의 모서리에 구비하여주고,
    상기 확대부(37)가 조립되는 나사부(26)에 매인캡(48)으로 조여 주도록 구성되는 용기용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28)을 구성하는 두께부(31)의 모서리의 양측으로 요홈부(41)를 형성하여 주고, 이에 연결되도록 두께부(3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나사부(26)에 이동로(42)를 형성하여 주면서 원호형 나사부(35)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원호형 나사부(35)에 조립되는 조임링구(33)을 조립함으로서 요홈구(32)를 형성시켜서, 상기 용기(25)와 팩(45) 사이의 완충구간의 공기가 원활히 이동하도록 이동구(44)가 구성되는 용기용 팩.
  4. 삭제
KR1020080103914A 2008-10-21 2008-10-21 용기용 팩 KR10122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14A KR101228818B1 (ko) 2008-10-21 2008-10-21 용기용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14A KR101228818B1 (ko) 2008-10-21 2008-10-21 용기용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56A KR20100044056A (ko) 2010-04-29
KR101228818B1 true KR101228818B1 (ko) 2013-02-07

Family

ID=4221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914A KR101228818B1 (ko) 2008-10-21 2008-10-21 용기용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8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087A (ja) * 1992-09-11 1994-04-12 Now Technol Inc 液体薬品用の容器、液体薬品ハンドリング装置及び方法
JP2002211589A (ja) * 2001-01-19 2002-07-31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立袋
JP2003305107A (ja) * 2002-02-14 2003-10-28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薬剤排出部材及び医療用複室容器
JP2004123099A (ja) * 2002-09-30 2004-04-22 Brother Ind Ltd インクパッケージの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087A (ja) * 1992-09-11 1994-04-12 Now Technol Inc 液体薬品用の容器、液体薬品ハンドリング装置及び方法
JP2002211589A (ja) * 2001-01-19 2002-07-31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立袋
JP2003305107A (ja) * 2002-02-14 2003-10-28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薬剤排出部材及び医療用複室容器
JP2004123099A (ja) * 2002-09-30 2004-04-22 Brother Ind Ltd インクパッケージの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56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8607B2 (ja) 飲料用容器
KR20110051255A (ko) 2개의 마주하는 뚜껑을 구비한 용기
US20160362225A1 (en) Connectible container
MX2014009540A (es) Pieza de cierre para cuello de recipiente.
KR101228818B1 (ko) 용기용 팩
WO2010059999A1 (en) Hydration system with disposable bag and sleeve fastening assembly
JP2011011773A (ja) 詰め替え容器
KR200456968Y1 (ko) 다중 결합 용기
JP5616202B2 (ja) 2重構造容器
KR101134236B1 (ko) 용기
KR20110095080A (ko) 용기용 팩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US20160060003A1 (en)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KR20160015642A (ko) 다기능성 용기
JP2004161308A (ja) 内装容器
KR200487134Y1 (ko) 섭취도구가 보관된 식품용기 뚜껑
KR102351533B1 (ko)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KR20130059664A (ko) 배출호스용 보관홈을 갖는 저장통
JP2004275726A (ja) 開閉機構付きスパウト
KR100811790B1 (ko) 3중구조의 우편용 포장상자
KR200493844Y1 (ko) 휴대용 아이스컵
AU2004242481B2 (en) Container
US6138829A (en) Beverage containment device
EP0689998B1 (en) A refillable container
JP4999481B2 (ja) ストロー兼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205

Effective date: 2012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