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767B1 -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767B1
KR101228767B1 KR1020100134517A KR20100134517A KR101228767B1 KR 101228767 B1 KR101228767 B1 KR 101228767B1 KR 1020100134517 A KR1020100134517 A KR 1020100134517A KR 20100134517 A KR20100134517 A KR 20100134517A KR 101228767 B1 KR101228767 B1 KR 101228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converter
un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659A (ko
Inventor
김영주
이호재
김민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767B1/ko
Priority to US13/333,167 priority patent/US20120163034A1/en
Publication of KR2012007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5Converters combining the concepts of switch-mode regulation and linear regulation, e.g. linear pre-regulator to switching converter, linear and switching converter in parallel, same converter or same transistor operating either in linear or switch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류전압의 레벨을 부하의 변화에 따라 변환하며, 1차코일 및 2차코일을 포함하는 직류/직류변환부;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전압을 제1모드에서 승압하여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승압부;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전압을 제2모드에서 바이패스시켜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바이패스부 및 직류/직류변환부의 2차코일의 중간탭에서 검출된 전압에 따라 승압부를 제어하는 승압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DC/DC컨버터가 저전압을 생성하므로 발열 등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트랜스포머가 불필요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형 어댑터에 상기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출력단자가 2개이면 충분하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MULTIPLE OUTPUT}
본 발명은 복수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공급장치는 소형화, 고효율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스위칭 모드 방식의 전원공급장치(SMPS : 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널리 사용된다. 그리고 부하의 동작모드에 따라 별개의 전압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멀티출력을 생성할 수 있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에는, 트랜스포머의 중간탭의 전압을 이용하거나 복수의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부하의 동작모드 중 대기모드의 전압을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중간탭을 이용해 대기모드의 필요전압을 공급하는 경우에도 DC/DC컨버터는 상기 대기모드의 필요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생성하므로, 발열 등으로 인해 소비전력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복수의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경우, 부품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장형 어댑터(Adapter)에 상기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가 적용될 경우, 출력 단자가 3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DC/DC컨버터의 발열 등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이면서도 부하의 동작모드에 따라 멀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기술적인 측면은, 직류전압의 레벨을 부하의 변화에 따라 변환하며, 1차코일 및 2차코일을 포함하는 직류/직류변환부;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전압을 제1모드에서 승압하여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승압부;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전압을 제2모드에서 바이패스시켜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바이패스부; 직류/직류변환부의 2차코일의 중간탭에서 검출된 전압에 따라 승압부를 제어하는 승압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기술적인 측면에서, 승압제어부는, 상기 중간탭으로부터 검출된 전압에 따라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전압에 따라 상기 승압부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I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중간탭에 애노드(Anode)가 연결되어 중간탭에서 검출된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 및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에 연결된 베이스와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콜렉터와 접지 및 제어IC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공통콜렉터(Common collector) 구조의 바이폴라트랜지스터(BJT : Bipolar junction transis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기술적인 측면은, 직류전압의 레벨을 부하의 변화에 따라 변환하는 직류/직류변환부;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전압을 제1모드에서 승압하여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승압부;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전압을 제2모드에서 바이패스시켜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바이패스부; 출력단의 전류를 검출하여 승압부를 제어하는 승압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제 2 기술적인 측면에서, 승압제어부는, 상기 출력단의 전압를 검출하여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전압에 따라 상기 승압부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I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일단을 가지며, 출력단의 출력을 검출하는 저항 및 상기 저항의 타단에 연결된 베이스와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에 연결된 콜렉터와 접지 및 제어IC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공통콜렉터 구조의 바이폴라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및 2 기술적인 측면은, 바이패스부의 출력 또는 승압부의 출력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피드백시키는 피드백회로부 및 피드백회로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직류/직류변환부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PWM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압부는,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인덕터; 인덕터의 타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다이오드 및 인덕터와 다이오드의 접속노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이패스부는,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가지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모드는 출력단에 연결된 부하가 동작상태인 동작모드이고, 제2모드는 부하가 대기상태인 대기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DC/DC컨버터가 저전압을 생성하므로 발열 등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트랜스포머가 불필요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형 어댑터에 상기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출력단자가 2개이면 충분하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의 승압부의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는, 직류/직류변환부(100), 바이패스부(200), 승압부(300) 및 승압제어부(400), 피드백회로부(500), PWM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류/직류변환부(100)는, 1차 코일에서 펄스형태의 직류전압을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하여 2차 코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직류전압의 레벨을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의 권선비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2차 코일에 전달된 전압은 다이오드(D1)을 통해 정류되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직류전압은 입력 교류전원을, 브릿지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정류부로부터 정류된 직류전압일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부(200)는, 대기모드에서 직류/직류변환부(10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을 출력단(OUT)으로 바이패스시켜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패스부(200)는, 직류/직류변환부(100)의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출력단(OUT)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바이패스 다이오드(210)일 수 있다.
상기 승압부(300)는, 동작모드에서 직류/직류변환부(10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을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높은 전압으로 승압하여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승압제어부(400)는, 직류/직류변환부(100)의 2차 코일의 중간탭에서 전압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전압에 따라 승압부(300)를 제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압제어부(400)는 2차 코일의 중간탭으로부터 검출된 전압에 따라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구동부(410)와 생성된 구동전압에 따라 승압부(300) 를 제어하는 제어IC(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구동부(410)는 2차코일의 중간탭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상기 중간탭에서 검출된 전압을 정류할 수 있는 다이오드(411) 및 다이오드(411)의 캐소드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직류/직류변환부(100)의 출력단에 연결된 콜렉터와 접지 및 상기 제어IC(420)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공통콜렉터 구조의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회로부(500)는, 부하에 연결되는 출력단(OUT)으로부터 상기 직류/직류변환부(100)로 출력을 피드백시킨다. 즉 부하의 동작모드에 따라 바이패스부(200)의 출력 또는 승압부(300)의 출력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직류/직류변환부(100)로 피드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드백회로부(500)는 절연형 직류/직류변환부(100)를 고려하여 포토커플러(Photo cupl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WM제어부(600)는, 피드백회로부(500)로부터 전달된 출력단(OUT)의 전압에 따라 펄스 폭을 변조하여 직류/직류변환부(100)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는, 직류/직류변환부(150), 바이패스부(200), 승압부(300) 및 승압제어부(400), 피드백회로부(500), PWM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직류/직류변환부(150), 피드백회로부(500), 바이패스부(200), 승압부(300)는 도 1의 본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와 구성이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승압제어부(400)는, 출력단(OUT)의 전압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전압에 따라 승압부(300)를 제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압제어부(400)는 부하에 연결되는 출력단(OUT)에서 검출된 전압에 따라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구동부(410)와 생성된 구동전압에 따라 승압부(300) 를 제어하는 제어IC(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구동부(410)는 출력단(OUT)의 전압을 센싱할 수 있는 저항(415) 및 상기 저항(415)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직류/직류변환부(100)의 출력단에 연결된 콜렉터와 접지 및 상기 제어IC(420)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공통콜렉터 구조의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를 포함 할 수 있다.
부하에 연결되는 출력단(OUT)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가 어댑터에 적용되는 경우, 출력단자가 멀티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단(OUT)와 그라운드전위(GND) 두개의 단자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의 승압부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승압부(300)는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노드(N1)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인덕터(310)와 상기 인덕터(310)의 타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출력단 노드(N2)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다이오드(320), 상기 인덕터(310)와 다이오드(320)의 접속노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된 스위치(330)를 포함하는 부스트컨버터(Boost converter)일 수 있다. 스위치는 제어IC와의 접속노드(NC)를 통해 제어IC의 제어를 받는다.
여기서 승압부(300)는 상기 부스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벅-부스트 컨버터(Buck-boost converter)등 직류전압의 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직류/직류변환부(100)는, 1차 코일에 입력된 펄스형태의 직류전압을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하여 2차 코일로 전달한다. 이 경우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의 권선비에 따라 2차측에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결정된다. 2차 코일에 전달된 전압은 교류전압이므로 다이오드(411)에서 정류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직류/직류변환부(100)는 부하에 연결되는 출력단(OUT)의 전압을 피드백 받은 PWM제어부(600)에 의해 스위칭 듀티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직류/직류변환부(1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은, 부하의 동작모드 중 대기모드에서 필요로 하는 낮은 전압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이패스부(200)는 부하가 제2모드 즉, 대기모드일 때 필요한 낮은 전압인, 상기 직류/직류변환부(100)의 출력전압을 그대로 부하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바이패스부(200)는 직류/직류변환부(100)의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출력단(OUT)에 연결된 캐소드(Cathod)를 갖는 바이패스 다이오드(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압부(300)는, 부하가 제1모드 즉, 동작모드일 때 필요한 전압을 공급한다. 즉, 승압부(300)는 승압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부하가 대기모드일때의 필요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생성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부(200)와 승압부(300)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는, 부하가 대기모드인 경우 바이패스부(200)를 이용하여 직류/직류변환부(100)의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고, 동작모드인 경우 승압부(300)를 이용하여 직류/직류변환부(100)의 전압보다 승압된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직류/직류변환부(100)는 항상 동작모드에서 필요한 높은 전압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발열 등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승압제어부(400)는 다이오드(411)와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를 포함하는 구동부(410) 및 승압부(300)를 제어하는 제어IC(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10)는 직류/직류변환부(100)의 2차 코일의 중간탭에서 검출된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411)와 이 정류된 전압을 베이스 전압으로 하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직류/직류변환부(100)의 2차 코일의 중간탭에서 검출된 전압은 다이오드(411)에서 정류되어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의 베이스로 전달된다. 이 경우 부하가 대기모드인 경우에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의 문턱전압보다 낮으므로,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는 도통되지 않아 제어IC(420)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승압부(300)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부하가 동작모드가 되는 경우에는 피드백회로부(500) 및 PWM제어부(600)를 통해 직류/직류변환부(100)의 출력이 약간 상승하게 되고, 중간탭에서 검출되는 전압도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는 턴 온(turn on)되므로, 제어IC(420)가 구동되어 출력단(OUT)에는 승압된 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는 공통콜렉터 구조인데, 제어IC(420)로 출력되는 전압은 상기 다이오드(411)에서 정류된 베이스 전압보다는 낮은 레벨로써, 제어IC에서 필요로 하는 레벨의 전압이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승압제어부(400)의 구동부(410)의 구성만 달리 하므로, 중복되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410)는, 출력단(OUT)의 전압을 센싱할 수 있는 저항(415) 및 상기 저항(415)에 연결된 베이스와 직류/직류변환부(150)의 출력단에 연결된 콜렉터와 접지 및 상기 제어IC(420)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공통콜렉터 구조의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로 구성된다.
부하가 대기모드인 경우에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가 턴온되지 않도록 저항(415)이 기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어IC(420)를 구동시키지 못한다. 부하가 동작모드가 되는 경우에는 출력단(OUT)의 전압이 상승하여 바이폴라트랜지스터(413)의 문턱전압보다 높게 되어 제어IC(420)를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역시,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하가 대기모드인 경우 바이패스부(200)를 이용하여 직류/직류변환부(150)의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고, 동작모드인 경우 승압부(300)를 이용하여 직류/직류변환부(150)의 출력전압보다 승압된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게 된다.
도 3에서 승압부(300)는 일 실시 형태로써, 인덕터(310), 다이오드(320) 및 스위치(330)를 포함하는 부스트컨버터로 도시되어 있다. 승압부(300)는 접속노드(NC)에 연결된 제어IC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330)의 온/오프를 조절하여 인덕터(310) 전류의 도통기간을 조절함으로써, 입력전압을 승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DC/DC컨버터가 저전압을 생성하므로 발열 등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트랜스포머가 불필요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형 어댑터에 상기 멀티 출력 전원공급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출력단자가 2개이면 충분하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00 : 직류/직류변환부 200 : 바이패스부
210 : 바이패스다이오드 300 : 승압부
400 : 승압제어부 410 : 구동부
420 : 제어IC N1,N2,NC : 접속노드

Claims (13)

  1. 직류전압의 레벨을 부하의 변화에 따라 변환하며, 1차코일 및 2차코일을 포함하는 직류/직류변환부;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전압을 제1모드에서 승압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승압부;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전압을 제2모드에서 상기 출력단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부; 및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2차코일의 중간탭에서 검출된 전압에 따라 상기 승압부를 제어하는 승압제어부
    를 포함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바이패스부의 출력 또는 승압부의 출력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피드백시키는 피드백회로부; 및
    상기 피드백회로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PWM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가지는 바이패스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부는,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다이오드; 및
    상기 인덕터와 상기 다이오드의 접속노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된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제어부는,
    상기 중간탭으로부터 검출된 전압에 따라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전압에 따라 상기 승압부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I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중간탭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상기 중간탭에서 검출된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콜렉터와 접지 및 상기 제어IC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공통콜렉터 구조의 바이폴라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7. 직류전압의 레벨을 부하의 변화에 따라 변환하는 직류/직류변환부;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전압을 제1모드에서 승압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승압부;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전압을 제2모드에서 바이패스시켜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바이패스부; 및
    상기 출력단의 전압을 검출하여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승압부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IC를 구비한 승압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일단을 가지며, 상기 출력단의 전압을 검출하는 저항; 및
    상기 저항의 타단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에 연결된 콜렉터와 접지 및 상기 제어IC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공통콜렉터 구조의 바이폴라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바이패스부의 출력 또는 승압부의 출력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피드백시키는 피드백회로부; 및
    상기 피드백회로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PWM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가지는 바이패스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부는,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다이오드; 및
    상기 인덕터와 상기 다이오드의 접속노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된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는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부하가 동작상태인 동작모드이고,
    상기 제2모드는 상기 부하가 대기상태인 대기모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KR1020100134517A 2010-12-24 2010-12-24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KR101228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517A KR101228767B1 (ko) 2010-12-24 2010-12-24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US13/333,167 US20120163034A1 (en) 2010-12-24 2011-12-21 Switching mode power supply having multiple out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517A KR101228767B1 (ko) 2010-12-24 2010-12-24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659A KR20120072659A (ko) 2012-07-04
KR101228767B1 true KR101228767B1 (ko) 2013-01-31

Family

ID=4631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517A KR101228767B1 (ko) 2010-12-24 2010-12-24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63034A1 (ko)
KR (1) KR101228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56724A1 (en) * 2014-08-21 2016-02-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witching Power Supplies And Methods Of Operating Switching Power Supplies
EP3207765B1 (en) 2014-10-14 2019-08-28 Signify Holding B.V. A lighting controller, a light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KR20160046195A (ko) 2014-10-20 2016-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420590B1 (ko) * 2015-08-07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ic 및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4029A (en) * 1988-05-18 1990-10-16 Viteq Corporation AC to DC power converter with input current waveform control for buck-boost regulation of output
JPH0421362A (ja) * 1990-05-15 1992-01-24 Sanyo Electric Co Ltd 電力変換装置
JPH07177731A (ja) * 1993-10-22 1995-07-14 Sgs Thomson Microelettronica Spa 不連続モードで動作するdc−dcコンバータ
US20090085546A1 (en) * 2007-09-28 2009-04-02 Astec International Limited Fast Transient Step Load Response in a Power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508A (en) * 1991-10-15 1993-0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tandby boost converter
US5867377A (en) * 1997-03-12 1999-02-02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serve battery-powered, partitioned power conversion systems under light load conditions
US6356467B1 (en) * 1999-10-01 2002-03-12 Metropolitan Industries, Inc. DC/DC boost converter with bypass circuitry
US6845021B2 (en) * 2000-12-26 2005-01-18 Sony Corporation Multi-output DC-DC converter
US6445165B1 (en) * 2001-09-21 2002-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ircuit for limiting inrush current to a power source
US6856149B2 (en) * 2003-06-19 2005-02-15 Niko Semiconductor Co., Ltd. Current detecting circuit AC/DC flyback switching power supply
JP2005110486A (ja) * 2003-08-06 2005-04-21 Son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100568319B1 (ko) * 2004-10-22 2006-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JP4315097B2 (ja) * 2004-11-19 2009-08-19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TW200814501A (en) * 2006-09-12 2008-03-16 Delta Electronics Inc Power adapter and power supply system using the same
KR100950913B1 (ko) * 2007-11-29 2010-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KR101018114B1 (ko) * 2008-12-22 2011-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US7898826B2 (en) * 2009-04-13 2011-03-01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maximum output power of a power converter
JP5544745B2 (ja) * 2009-04-16 2014-07-09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力率改善コンバータ
JP2011019371A (ja) * 2009-07-10 2011-01-27 Sanken Electric Co Ltd Dc−dcコンバータ
CN103503294B (zh) * 2011-05-10 2016-08-1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开关模式电源的开关延迟控制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4029A (en) * 1988-05-18 1990-10-16 Viteq Corporation AC to DC power converter with input current waveform control for buck-boost regulation of output
JPH0421362A (ja) * 1990-05-15 1992-01-24 Sanyo Electric Co Ltd 電力変換装置
JPH07177731A (ja) * 1993-10-22 1995-07-14 Sgs Thomson Microelettronica Spa 不連続モードで動作するdc−dcコンバータ
US20090085546A1 (en) * 2007-09-28 2009-04-02 Astec International Limited Fast Transient Step Load Response in a Power Co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3034A1 (en) 2012-06-28
KR20120072659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26275A1 (en) Voltage-regulating circuit with input voltage detecting circuit and parallel voltage-regulating circuit system using the same
JP6430665B2 (ja) Ledドライバ及び駆動方法
US8300437B2 (en) Multi-output DC-to-DC conversion apparatus with voltage-stabilizing function
KR20100069581A (ko) 전원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319244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007503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11271483B2 (en) Bias power regulator circuit for isolated converters with a wide output voltage range
JP201008815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228767B1 (ko)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US20090097291A1 (en) Universal power supply for a laptop
JP7424970B2 (ja) Ac/dc変換器、照明器具、及び改善された起動回路を供給する方法
CN114094854B (zh) 一种电源变换系统及其控制芯片和供电控制电路
CN113381626B (zh) 一种适于调光驱动的负载供电系统和调光驱动系统
CN212627697U (zh) 一种多路输出供电系统
CN114583984A (zh) 一种供电电路及其电源变换系统和控制芯片
WO2018141766A1 (en) A power converter and power conversion method
JP200828933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2022178982A (ja) 電源回路、電源装置
CN111769744A (zh) 一种多路输出供电系统和供电方法
CN110521284B (zh) Led照明驱动器及驱动方法
KR102422113B1 (ko) 보조 전원이 개선된 양방향 dc-dc 컨버터
JP200910614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5495679B2 (ja) 電源回路
CN112260558A (zh) 交流-直流转换电路和方法以及充电器
JP2005204463A (ja) Dc−dc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