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077B1 -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077B1
KR101228077B1 KR1020100083268A KR20100083268A KR101228077B1 KR 101228077 B1 KR101228077 B1 KR 101228077B1 KR 1020100083268 A KR1020100083268 A KR 1020100083268A KR 20100083268 A KR20100083268 A KR 20100083268A KR 101228077 B1 KR101228077 B1 KR 10122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colloidal solution
latex foam
water
nanoparticle colloi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817A (ko
Inventor
김범수
송재용
이효정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0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077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1태양은,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및 라텍스를 포함하는 라텍스 폼 원료를 발포 및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2태양은, 라텍스 폼을,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Antibacterial latex foam containing Cu or Cu-Ag bimetal nanoparticl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텍스 폼 (latex foam)"은, 천연 또는 합성 라텍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만들어진 탄성이 우수하며 기공이 많은 재료로서, 통풍성 및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다. 라텍스 폼은, 예를 들면, 매트리스, 베개, 쇼파, 자동차 시트 등의 안에 넣어져 충격이나 마찰을 완화시키는 완충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위생적이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라텍스 폼에는 향상된 항균성이 요구된다. 천연 라텍스 폼의 경우 그 자체로서 어느 정도의 항균성을 지니고 있으나 그 정도는 매우 미약하다. 그리하여, 라텍스 폼의 항균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그 유력한 대안 중의 하나가, 은 또는 구리와 같은 항균제를 첨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495530 호에, 항균제로서 은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08/0057049 A1호에는, 생활성 음이온성 폴리머 라텍스를 얻기 위하여, 생활성 성분으로서 구리를 사용한 사례가 개시되어 있다.
비용 측면에서 은(Ag)과 구리(Cu)를 비교하면, 가격이 훨씬 저렴한 구리가 유리하다. 은 나노입자의 주 원료인 수용성 은(Ag)-화합물의 구입 단가를 살펴보면 시그마-알드리치사에서 판매하는 순도 99% AgNO3 의 경우 100 g 당 435,000원 정도인 반면, 구리(Cu)-화합물의 구입 단가는 같은 회사 제품인 순도 99% CuSO4 의 경우 100 g 당 가격이 66,000원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라텍스 폼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한 항균제로서 구리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항균제로서의 구리는 나노입자의 형태로서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구리 나노입자 항균제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화학적 환원제에 의한 구리함유화합물의 환원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10270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구리 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라텍스 폼의 항균성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를 사용한 사례는 개시된 바가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495530 호.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08/0057049 A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102704 호.
본 발명에서는, 식물 추출액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항균제로서 사용하므로써, 라텍스 폼의 항균성을 현저하게 강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또한, 완제품의 라텍스 폼을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으로 후처리하므로써, 현저히 강화된 항균성을 갖는 라텍스 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내었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서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1태양은,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및 라텍스를 포함하는 라텍스 폼 원료를 발포 및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2태양은,
라텍스 폼을,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은,
라텍스 폼; 및
상기 라텍스 폼의 외부 표면 및 내부기공의 표면에 담지되어 있는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1태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1태양은,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및 라텍스를 포함하는 라텍스 폼 원료를 발포 및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콜로이드 용액을 의미한다.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예를 들면, 수계 반응매질 상에서 식물추출액과 수용성 구리(Cu)-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은 반응혼합물이다.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예를 들면, 수계 반응매질 상에서,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혼합물을 식물추출액과 반응시켜 얻은 반응혼합물이다. 이때, 식물 추출액은 환원제로서 작용하고, 수용성 구리-화합물 또는 은-화합물은 구리-공급원 또는 은-공급원으로서 작용한다. 수용성 구리-화합물 또는 은-화합물은 식물 추출액에 의하여 환원되어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로 전환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반응혼합물은, 수계 반응매질, 식물 추출액 및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이 된다.
수계 반응매질의 주성분은 물이다. 수계 반응매질은, 경우에 따라서, 유기용매를 소량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옥탄올, 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식물 추출액은 식물의 조직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을 의미한다. 식물의 조직은, 예를 들면, 잎, 줄기, 뿌리, 꽃, 열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채취, 분쇄 및 추출이 용이한 잎이 사용될 수 있다. 식물 추출액은, 예를 들면, 추출용매에, 건조되거나 건조되지 않은 또는 분쇄되거나 분쇄되지 않은 상기 식물의 조직을 투입한 후, 가열 또는 비가열 상태에서, 상기 식물의 조직으로부터 용출가능한 성분을 용출시켜서 얻은, 상기 용출성분과 상기 추출용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추출용매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옥탄올, 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 추출액은, 식물의 조직과 물의 혼합물을, 물이 비등하도록 가열한 다음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일 수 있다. 식물 추출액을 얻는 과정에 있어서,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식물조직 건조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하여, 약 100 내지 약 10,000 중량부일 수 있다.
식물로서는, 예를 들면, 은행나무과 식물, 소나무과 식물, 감나무과 식물, 플라타너스과 식물, 목련과 식물,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은행나무과 식물은, 은행나무과(Ginkgoaceae)에 속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서는, 대표적인 예를 들면, 은행나무(Ginkgo biloba)가 사용될 수 있다.
소나무과 식물은, 소나무과(Ginkgoaceae)에 속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소나무과(Pin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는, 대표적인 예를 들면, 젓나무속(Abies), 케텔레에리아속(Keteleeria), 카타야속(Cathaya), 미송속(Pseudotsuga), 솔송나무속(Tsuga), 가문비나무속(Picea), 금잎갈나무속(Pseudolarix), 개잎갈나무속(Cedrus), 소나무속(Pinus),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면, 소나무(Pinus densiflora)가 사용될 수 있다.
감나무과 식물은, 감나무과(Ebenaceae)에 속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감나무과(Eben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는, 대표적인 예를 들면, 감나무속(Diospyros)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감나무(Diopyros kaki), 고욤나무(Diospyros lotus), 퍼심몬나무(Diospyros verginiana), 흑단나무(Diospyros spp),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플라타너스과 식물은, 플라타너스과(Platanaceae)에 속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플라타너스과(Platan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는, 대표적인 예를 들면, 버즘나무(Platanus orientalis),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 단풍버즘나무(Platanus acerifolia),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목련과 식물은,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는, 대표적인 예를 들면,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일본목련(Magnolia ovovata),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별목련(Magnolia stellata), 백목련(Magnolia heptapeta), 지목련(Magnolia lilifolra), 목련(Magnolia kobus)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구리(Cu)-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수용성 구리-염, 수용성 구리-산화물염,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면, 수용성 구리-화합물로서는, CuCl2, CuNO3, Cu(NO3)2, CuSO4, CuSO4·5H2O, (CH3COO)2Cu,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은(Ag)-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수용성 은-염, 수용성 은-산화물염,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면, 수용성 은-화합물로서는, Ag2CO3, Ag(NH3)2, AgNO2, AgNO3, AgCl, AgClO4, AgClO3, AgCOOCCH3,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수계 반응매질 상에서 식물 추출액과 수용성 구리(Cu)-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수계 반응매질의 양, 식물 추출액의 양, 수용성 구리-화합물의 양의 상대적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예를 들면, 수용성 구리-화합물의 양은, 수계 반응매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0.00245 내지 약 24.5 중량부일 수 있으며, 식물 추출액의 양은, 수계 반응매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약 50 중량부일 수 있다.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혼합물에 함유되는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중량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예를 들면, 수용성 구리(Cu)-화합물 대 수용성 은(Ag)-화합물의 중량비는, 약 5 : 95 내지 약 95 : 5 일 수 있다.
수계 반응매질 상에서 식물 추출액과,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수계 반응매질의 양, 식물 추출액의 양, 수용성 은-화합물의 양의 상대적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예를 들면,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혼합물의 양은, 수계 반응매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0.00169 내지 약 16.9 중량부일 수 있으며, 식물 추출액의 양은, 수계 반응매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약 50 중량부일 수 있다.
수계 반응매질 상에서 식물 추출액과 수용성 구리(Cu)-화합물, 또는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반응조건(온도, 압력 및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예를 들면, 반응온도는, 약 20 ℃ 내지 약 100 ℃ 일 수 있다. 반응온도의 상승에 따라 구리-이온 또는 은-이온의 환원 속도가 증가한다는 점과, 수계 반응매질의 사용으로 인하여 약 100 ℃ 를 초과하는 반응온도의 구현이 번거롭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반응온도는 약 90 ℃ 내지 약 100 ℃ 일 수 있다. 반응압력은, 통상적인 예를 들면, 상압 또는 가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수계 반응매질 상에서 식물 추출액과 수용성 구리(Cu)-화합물, 또는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혼합물을 반응시켜 얻은 반응혼합물에 있어서,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의 농도는, 구리 나노입자의 경우 약 0.0245 g/L 내지 약 0.245 g/L 이며,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의 농도는 약 0.0412 g/L 내지 약 0.412 g/L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다른 예를 들면, "수계 반응매질 상에서 식물 추출액과 수용성 구리(Cu-화합물), 또는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혼합물을 반응시켜 얻은 반응혼합물로부터 분리된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식물 추출액; 및 물;을 혼합하여 얻은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일 수 있다. 이 경우, 구리 나노입자의 농도는 약 0.0245 g/L 내지 약 0.245 g/L 일 수 있으며,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의 농도는 약 0.0412 g/L 내지 약 0.412 g/L 일 수 있다. 식물 추출액의 함량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약 50 중량부일 수 있다. 물론, 식물 추출액은 식물로부터 추출된 액상 그대로 투입될 수도 있고, 건조된 건조물의 형태로 투입될 수도 있다.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또 다른 예를 들면, "수계 반응매질 상에서 식물 추출액과 수용성 구리(Cu)-화합물, 또는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혼합물을 반응시켜 얻은 반응혼합물로부터 분리된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분산용매;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얻은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일 수 있다. 이 경우, 구리 나노입자의 농도는 약 0.0245 g/L 내지 약 0.245 g/L 일 수 있다.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의 농도는 약 0.0412 g/L 내지 약 0.412 g/L 일 수 있다.
분산매질로서는, 예를 들면, 물, 에탄올, 메탄올,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윈20(Tween 20), 트윈80(Tween 80), 폴리비닐알콜과 같은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분산제의 함량은 약 0.1 g/L 내지 약 50 g/L 일 수 있다.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에 있어서,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는, 통상적으로, 약 10 nm 내지 약 200 nm의 직경을 갖는 구형입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라텍스(latex)는 고무유액이다. 라텍스는, 예를 들면, 천연라텍스, 합성라텍스, 인조라텍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라텍스 폼 원료는,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과 라텍스를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혼합은, 종래의 라텍스 폼 원료의 숙성과정에서, 주 원료인 라텍스 유액을 관을 통하여 거품 발생기로 주입할 때, 관 중간에 노즐 또는 연결관을 설치하여, 압축펌프를 이용하여 구리 나노 콜로이드 용액 또는 은구리 합금 콜로이드 용액을 주입하는 방법을 포괄한다. 라텍스 폼 원료를 얻는 과정에서,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사용량은, 예를 들면, 라텍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20 중량부일 수 있다.
라텍스 폼 원료는, 예를 들면, 유황, 가황촉진제, 산화방지제, 경화제, 기포안정제, 충진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텍스 폼 원료의 발포 및 경화는, 예를 들면, 탈라레이(Talalay) 공법, 던롭(Dunlop) 공법, 또는, 마이크로벤트(micro-vent) 공법과 같은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2태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2태양은, 라텍스 폼을,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라텍스 폼은, 예를 들면, 천연라텍스, 합성라텍스, 인조라텍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된 라텍스 폼일 수 있다. 라텍스 폼은, 예를 들면, 탈라레이(Talalay) 공법, 던롭(Dunlop) 공법, 또는, 마이크로벤트(micro-vent) 공법과 같은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라텍스 폼으로서는, 앞으로 개발될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라텍스 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라텍스 폼은 성형되어 있거나 성형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예를 들면, 침지 또는 분무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계에서,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침지시키고자 하는 라텍스 폼의 외부 표면 및/또는 내부기공의 표면에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이 도포되기에 충분한 양이면 된다.
침지 공정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침지 공정은, 용기에 담겨있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중에 라텍스 폼을 담그어 둠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이 라텍스 폼의 내부 기공에까지 고르게 스며드는 것을 촉진하기 위하여, 침지 공정 중에, 구리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라텍스 폼에 기계적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진동은, 예를 들면, 교반기, 초음파 진동기, 균질기 등에 의하여 가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진동기 및 가열을 통하여 구리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의 라텍스 표면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침지 수용액의 가열은 라텍스 폼의 물리적 손상이 가해지지 않은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며, 통상적인 가열 온도는 70 ℃ 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1 및 제2 태양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성 라텍스 폼은, 후처리 단계로서, 통상적인 세척 또는 탈수 공정 및 건조 공정을 거칠 수 있다. 탈수 및 건조 공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탈수기기를 사용하여 탈수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탈수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담지한 라텍스 폼을 그대로 자연건조시키거나, 오븐 등에서 70 ℃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1 및 제2 태양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성 라텍스 폼에 있어서,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는 라텍스 폼의 외부 표면 및 내부기공의 표면에 담지된다. 게다가, 상기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는 라텍스 폼 표면에 조밀하면서도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1 및 제2 태양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성 라텍스 폼은 매우 강화된 항균성능을 발휘한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서는, 라텍스 폼; 및 상기 라텍스 폼의 외부 표면 및 내부기공의 표면에 담지되어 있는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를 포함하는 라텍스 폼 용 항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1 및 제2 태양에 의하여 제조된 항균성 라텍스 폼은, 하기 실시예에서 밝혀지는 바와 같이, 대조군으로 사용한 무처리 라텍스 폼과 비교하여, 현저히 향상된 항균성능을 발휘한다.
구리 나노입자의 항균 효과의 메커니즘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균-특히 음전하를 띠는 미생물, 표면의 단백질 내 아미노산의 SH기 등과 구리 입자의 결합을 통하여 균체의 여러 대사 과정을 저해하거나 결합된 구리 나노입자에서 방출되는 구리 이온의 세포내 침투를 통하여 원형질 내에 존재하는 리보좀, 핵 등의 기관의 작용을 저해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2태양에 따라, 단순히, 완성된 라텍스 폼과 "식물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접촉시키더라도, 항균성능이 현저히 개선된 항균성 라텍스 폼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의 제2태양을 사용하므로써, 더욱 간단하게, 라텍스 폼에 강화된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식물추출액 20 중량%로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에 대하여 에너지여과형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사진이다.
도 2는, 식물추출액 15 중량%로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에 대하여 에너지여과형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사진이다.
도 3은, 식물추출액 10 중량%로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에 대하여 에너지여과형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사진이다.
도 4는, 식물추출액 15% 중량%로 제조된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에 대하여 에너지여과형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균성 라텍스 폼에 대한 항균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실시예>
제조예 1 --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
제조예 1에서는 목련잎 추출물을 환원제로 사용하고, 금속공급원으로서 황산구리(CuSO4·5H20)를 사용하며 안정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구리 나노 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였다.
먼저, 1 L의 물을 끓인 후 2일 동안 상온에서 건조된 목련잎 50 g을 첨가하여 5분 동안 더 끓였다. 이렇게 얻은 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었다. 이 여과액이 목련잎 추출액이다.
그 다음, 황산구리 0.0498 g를 160 mL의 물에 해리시켜서 얻은 황산구리 수용액을 95℃로 반응온도를 올려준 뒤 목련잎 추출액 40 mL를 첨가함으로써, 목련잎 추출액과 황산구리 수용액을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 중 식물추출액 함량 20 중량%). 반응시간은 24 시간이었다.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반응 혼합물의 색깔은 노란색에서 진한 갈색으로 변하였다. 도 1 은 제조예 1에서 얻은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에 대하여 에너지여과형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사진이다. 도 1 을 보면 90 내지 100 nm 크기의 입자를 확인 할 수 있다.
제조예 2 --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
제조예 2는 황산구리 0.0498 g을 170 mL의 물에 해리시켜서 얻은 황산구리 수용액을 95℃로 반응온도를 올려준 뒤 목련잎 추출액 30 mL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제조방법은 동일하다 (반응혼합물 중 식물추출액 함량 15 중량%). 도 2는 제조예 2에서 얻은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용액에 대하여 에너지여과형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사진이다. 도 2로부터 40 내지 50 nm 크기의 입자를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3 --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
제조예 3은 황산구리 0.0498 g를 180 mL의 물에 해리시켜서 얻은 황산구리 수용액을 95℃로 반응온도를 올려준 뒤 목련잎 추출액 20 mL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제조방법은 동일하다(반응혼합물 중 식물추출액 함량 10 중량%). 도 3은 제조예 3에서 얻은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용액에 대하여 에너지여과형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사진이다. 도 3으로부터 70 내지 80 nm 크기의 입자를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4 --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
먼저 질산은 0.0338 g을 140 mL의 물에 해리시켜서 얻은 질산은 수용액을 95℃로 반응온도를 올려준 뒤 목련잎 추출액을 30 m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을 시켰다. 그 다음 황산구리 0.0498 g을 30 mL의 물에 해리시켜 얻은 황산구리 수용액을 첨가하고, 95℃에서, 24 시간 동안 더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 중 식물추출액 함량 15 중량%). 도 4는 제조예 4에서 얻은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용액에 대하여 에너지여과형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사진이다. 도 4로부터 50 내지 60 nm 크기의 입자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 생물학적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한 항균성 라텍스 폼의 제조
실시예 1에서는, (주)라텍스 코리아의 라텍스 폼 제품과,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제조예 1의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항균성 라텍스 폼을 제조하였다.
먼저, 교반되고 있는 100 mL의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에 라텍스 폼을 1시간 동안 담가 두었다.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온도는 상온으로 유지되었다. 그 다음, 라텍스 폼을, 그 내부의 구리 나노 콜로이드 용액을 짜내지 않은 상태로 꺼내어 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실시예 2 --- 생물학적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한 항균성 라텍스 폼의 제조
실시예 2에서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제조예 2의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성 라텍스 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생물학적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한 항균성 라텍스 폼의 제조
실시예 3에서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제조예 3의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성 라텍스 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생물학적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한 항균성 라텍스 폼의 제조
실시예 4에서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제조예 4의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성 라텍스 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화학적 방법에 의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를 사용한 항균성 라텍스 폼의 제조
먼저, 황산구리 0.0498 g을 188 mL의 물에 해리시켜서 얻은 황산구리 수용액에 2 mL의 트윈20(Tween 20)을 첨가 후 상온에서 1 M NaBH4 수용액 10 mL를 첨가함으로써, NaBH4 수용액과 황산구리 수용액을 반응시켰다. 반응시간은 2시간이었다.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반응 혼합물의 색깔은 노란색에서 진한 갈색으로 변하였다. 그 다음, 이렇게 얻은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성 라텍스 폼을 제조하였다.
항균성능 평가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은 항균성 라텍스 폼에 대하여, CFU 카운트 (Colony Forming Unit Count) 법으로 항균성능을 측정하였다. 항균성 라텍스 폼 5 g을 일정한 크기로 잘게 절단하였다. 시험 균주는 대장균(E. coli ATCC 25922)을 사용하였다. 시험균액은 36℃ 에서 24 시간 동안 진탕배양되었다. 영양분이 풍부한 고체 배지(LB-Agar) 위에, 진탕배양된 시험균액 100 ㎕를 도말시킨 후, 24 시간 동안 36 ℃ 에서 배양하여 콜로니카운트(colony count)를 실시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항균성 라텍스 폼에 대한 항균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대조군은 항균처리를 하지 않은 라텍스 폼이다. 도 5의 대조군은 시료를 10배 희석한 것으로, 대조군에 대한 콜로니카운트 값은 22,400 CFU/ml 이었다.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얻은 실시예 1에 대한 콜로니 카운트 값은 4,790 CFU/ml로 78.62%의 항균성을 나타냈으며, 실시예 2에 대한 콜로니 카운트값은 190 CFU/ml로 99.16%의 항균성을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3에 대한 콜로니카운트 값은 2,350 CFU/ml로 89.57%의 항균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4에 대한 콜로니 카운트값은 1,040 CFU/ml로 95.36%의 항균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1에 대한 콜로니 카운트값은 18,600 CFU/ml로 16.96%의 항균성을 나타냈다.
표 1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항균성 라텍스 폼에 대한 항균성 테스트 결과를 요약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나노입자 성분 (생물학적)
Cu
(생물학적)
Cu
(생물학적)
Cu
(생물학적)
Cu-Ag
(화학적)
Cu
나노입자크기(nm) 90 ~ 100 40 ~ 50 70 ~ 80 50 ~ 60 50~200
항균성(%) 78.62 99.16 89.57 95.36 16.96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적 환원제로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를 사용한 비교예 1의 항균성 라텍스 폼의 항균성에 비하여, 식물추출액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제조된 구리 또는 구리-은 나노입자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항균성 라텍스 폼의 항균성이 월등하게 우수하였다.
본 발명은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를 사용하므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매우 우수한 항균성을 갖는 항균성 라텍스 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목련잎 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및 라텍스를 포함하는 라텍스 폼 원료를 발포 및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련잎 추출액은, 추출용매에, 건조되거나 건조되지 않은 또는 분쇄되거나 분쇄되지 않은 목련잎을 투입한 후, 가열 또는 비가열 상태에서, 목련잎으로부터 용출가능한 성분을 용출시켜서 얻은, 상기 용출성분과 상기 추출용매의 혼합물이며,
    상기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수계 반응매질 상에서 상기 목련잎 추출액과 수용성 구리(Cu)-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은 반응혼합물이며,
    상기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수계반응매질 상에서,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혼합물을 상기 목련잎 추출액과 반응시켜 얻은 반응혼합물인,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
  2. 라텍스 폼을, 목련잎 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련잎 추출액은, 추출용매에, 건조되거나 건조되지 않은 또는 분쇄되거나 분쇄되지 않은 목련잎을 투입한 후, 가열 또는 비가열 상태에서, 목련잎으로부터 용출가능한 성분을 용출시켜서 얻은, 상기 용출성분과 상기 추출용매의 혼합물이며,
    상기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수계 반응매질 상에서 상기 목련잎 추출액과 수용성 구리(Cu)-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은 반응혼합물이며,
    상기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수계반응매질 상에서,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혼합물을 상기 목련잎 추출액과 반응시켜 얻은 반응혼합물인,
    항균성 라텍스 폼 제조방법.
  3. 라텍스 폼; 및
    상기 라텍스 폼의 외부 표면 및 내부기공의 표면에 담지되어 있는 "목련잎 추출액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목련잎 추출액은, 추출용매에, 건조되거나 건조되지 않은 또는 분쇄되거나 분쇄되지 않은 목련잎을 투입한 후, 가열 또는 비가열 상태에서, 목련잎으로부터 용출가능한 성분을 용출시켜서 얻은, 상기 용출성분과 상기 추출용매의 혼합물이며,
    상기 구리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수계 반응매질 상에서 상기 목련잎 추출액과 수용성 구리(Cu)-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은 반응혼합물이며,
    상기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수계반응매질 상에서, 수용성 구리(Cu)-화합물과 수용성 은(Ag)-화합물의 혼합물을 상기 목련잎 추출액과 반응시켜 얻은 반응혼합물인,
    항균성 라텍스 폼.
KR1020100083268A 2010-08-27 2010-08-27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KR10122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268A KR101228077B1 (ko) 2010-08-27 2010-08-27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268A KR101228077B1 (ko) 2010-08-27 2010-08-27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817A KR20120041817A (ko) 2012-05-03
KR101228077B1 true KR101228077B1 (ko) 2013-01-31

Family

ID=4626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268A KR101228077B1 (ko) 2010-08-27 2010-08-27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0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73562A1 (en) * 2010-02-26 2017-03-16 Peterson Chemical Technology, Llc. Enhanced thermally conductive latex cushioning foams by addition of metal materials
US11597862B2 (en) 2021-03-10 2023-03-07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Thermally conductive nanomaterial coatings on flexible foam or fabrics
US11814566B2 (en) 2020-07-13 2023-11-14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Thermally conductive nanomaterials in flexible fo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9579B (zh) * 2016-08-25 2018-04-13 山东清大银光金属海绵新材料有限责任公司 海绵铜基银薄膜负载纳米颗粒杀菌电极材料的制备方法
KR102620439B1 (ko) * 2023-06-13 2024-01-03 주식회사 엔씨엘 천연라텍스 폼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460A (ko) * 2005-05-10 2006-04-10 노선우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한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5053B1 (ko) 2007-12-31 2008-08-29 노선우 도전성 라텍스 폼의 제조방법
KR100883016B1 (ko) * 2007-05-22 2009-02-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나노입자 제조방법
US20100068297A1 (en) 2006-12-06 2010-03-18 Nature Therapeutics Limited Antimicrobial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460A (ko) * 2005-05-10 2006-04-10 노선우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한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68297A1 (en) 2006-12-06 2010-03-18 Nature Therapeutics Limited Antimicrobial Composition
KR100883016B1 (ko) * 2007-05-22 2009-02-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나노입자 제조방법
KR100855053B1 (ko) 2007-12-31 2008-08-29 노선우 도전성 라텍스 폼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73562A1 (en) * 2010-02-26 2017-03-16 Peterson Chemical Technology, Llc. Enhanced thermally conductive latex cushioning foams by addition of metal materials
US10526518B2 (en) * 2010-02-26 2020-01-07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Enhanced thermally conductive latex cushioning foams by addition of metal materials
US11414583B2 (en) 2010-02-26 2022-08-16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Enhanced thermally conductive latex cushioning foams by addition of metal materials
US11814566B2 (en) 2020-07-13 2023-11-14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Thermally conductive nanomaterials in flexible foam
US11597862B2 (en) 2021-03-10 2023-03-07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Thermally conductive nanomaterial coatings on flexible foam or fabr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817A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077B1 (ko)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은 합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KR100779746B1 (ko) 항균 섬유 제품
Painuli et al. Nanomaterials from non-wood forest products and their applications
CN111202091A (zh) 一种纳米银负载介孔二氧化硅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1151967A (zh) 以贝壳粉为载体的纳米抗菌粉体及其制备方法
TW201019975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rous polymerization mother grain and fiber-containing anti-bacterial and de-odorant functions
CN106493825A (zh) 一种抗菌防霉多功能型无醛秸秆人造板及其制备方法
Kim et al.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extract-mediated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and the preparation of carrageenan-based antimicrobial packaging films
KR100883016B1 (ko) 금속 나노입자 제조방법
El-Bisi et al. Honey bee for eco-friendly green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and application to cotton textile
Krkobabić et al. Green in situ synthesis of Ag-and Cu-based nanoparticles on viscose fabric using a Punica granatum peel extract
CN113996801A (zh) 一种基于红苋菜提取液制备纳米银的方法
KR100986262B1 (ko) 나노 금속과 폴리페놀을 이용한 코팅제가 코팅된 코팅제품
KR20100138378A (ko) 항균성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CN109235036A (zh) 一种汽蒸加热原位生成-浸渍涂覆制备抑菌保鲜无纺布包装材料的方法
KR100798401B1 (ko) 항균 및 수성 소거 기능을 지닌 천연 잉크 조성물
CN109909513B (zh) 一种用毛果算盘子生物合成纳米银粒子的方法以及用途
Sun et al. Cellulose-based Antimicrobial Composites and Applications: A Brief Review
Krkobabić et al. Antimicrobial nanocomposites based on oxidized cotton fabric and in situ biosynthesized copper oxides nanostructures using bearberry leaves extract
CN114164650A (zh) 一种抗菌织物及其制备方法
Galdopórpora et al. A green synthesis method to tune the morphology of CuO and ZnO nanostructures
Lagbas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silver nano/microparticles in chitosan matrix prepared using Mangifera indica and Chrysophyllum cainito leaf extracts and its application in pineapple (Ananas comosus) polyester fabric
CN112890371A (zh) 一种抗菌防臭eva鞋垫及其制备方法
Eremenko et al. Ion release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Ag/Tryptophan and Ag/Cu/Tryptophan complexes in the structure of cotton tissue
CN111607977A (zh) 一种抗菌抗病毒皮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