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565B1 -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565B1
KR101227565B1 KR1020100097400A KR20100097400A KR101227565B1 KR 101227565 B1 KR101227565 B1 KR 101227565B1 KR 1020100097400 A KR1020100097400 A KR 1020100097400A KR 20100097400 A KR20100097400 A KR 20100097400A KR 101227565 B1 KR101227565 B1 KR 101227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miculite
melamine
reinforcing
forming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708A (ko
Inventor
김원환
Original Assignee
대신메라민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메라민산업(주) filed Critical 대신메라민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97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56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석을 가열하여 부피를 팽창시킨 불연성, 단열성, 내열성 및 경량의 특성을 갖는 '질석'(vermiculite)을 선박이나 기타 철골로 건축된 구조물의 각형 기둥이나 코너를 감싸서 마감하도록 하는 질석 마감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충격에 약한 질석을 보호하기 위하여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석을 1차 가공하여 팽창시킨 질석을 분쇄한 질석 분말을 압착하여 구성한 공지의 질석보드(20)의 일면에 멜라민시트(10)를 일체로 접합하여 질석보드를 보강하는 질석보드보강공정인 제1공정과; 상기 질석보드보강공정인 제1공정에서 일면에 멜라민시트(10)를 일체로 접합한 질석보드(20)를 건축물이나 선박의 시공하고자하는 구조물(100)의 치수를 조사하여 사용에 알맞게 재단하는 재단공정인 제2공정과; 상기 재단공정인 제2공정에서 시공하고자하는 구조물(100)을 감싸기에 알맞게 재단된 질석보드(20)의 두 개 중 서로 맞대어 이어지는 어느 한 개를 멜라민시트(10)가 접합되지 않은 모서리 면을 둥글게 가공하여 둥근 모서리형성면(21)을 형성하되 모서리형성면(21)에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는 요홈(22)을 형성하는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과; 상기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에서 둥글게 가공한 모서리형성면(21)에 형성한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는 요홈(22)에 보강용멜라민시트를 일체로 접합하여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여 모서리를 보강하는 모서리보강공정인 제4공정과; 상기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에서 둥근 모서리형성면(21)을 형성하여 보강용멜라민층(30) 형성하는 요홈(22)을 형성하고 모서리보강공정인 제4공정에서 요홈(22)에 보강용멜라민시트를 일체로 접합하여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한 질석보드(20)와 모서리면이 가공되지않은 각형 질석보드(20)를 새로운 외부멜라민시트(40)에 질석보드(20) 모서리형성면의(21) 길이만큼의 간격으로 멜라민시트가 접착되지않은 면을 일체로 접합하는 외부멜라민시트접합공정인 제5공정과; 상기 멜라민시트접합공정인 제5공정에서 외부멜라민시트(40)에 접합한 적어도 2장 이상의 질석보드(20)를 ㄱ자 또는 ㄷ자 형으로 접어서 외부의 모서리면이 둥글게 모서리를 처리한 질석마감재(50)를 완성하는 마감재완성공정인 제6공정으로,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제조방법으로 완성된 외부 모서리가 둥글면서 내부에 별도의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고 그 외부에 모서리 이음새가 없이 단일 외부멜라민시트(40)를 일체로 접합하여 각으로 형성된 구조물(100)을 감싸도록 구성하여서 코너부분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Reinforced corners and vermiculite finish of the manufacturing methods and protective finishes Vermiculite}
본 발명은 원석을 가열하여 부피를 팽창시킨 불연성, 단열성, 내열성 및 경량의 특성을 갖는 '질석'(vermiculite)을 선박이나 기타 철골로 건축된 구조물의 각형 기둥이나 코너를 감싸서 마감하도록 하는 질석 마감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충격에 약한 질석을 보호하기 위하여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석을 가열하여 부피가 팽창된 질석 분말을 압축 성형하여 패널형상으로 성형한 기존의 질석 보드를 멜라민시트에 접착하고 이를 사용하고자하는 기둥이나 코너에 알맞은 폭으로 절개하고 절개한 질석의 두 개 중 서로 맞 이어지는 어느 한 개의 모서리 면을 둥글게 가공하여 둥근 모서리로 형성하되, 둥근 모서리면에 보강멜라민층을 형성하여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를 생산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질석 마감재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통상 단열재의 종류로는 재료의 종류나 형태에 또는 사용 온도에 따라 구분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재료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면 무기질재료와 유기질재료 및 복합재료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무기질 재료로는 암면이나 유리면 또는 질석과 퍼라이트 등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유기재료에는 폴리스티렌 코르크, 폴리우레탄 우레아 등이 있다.
또한 무기질 재료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암면이나 유리면은 발암물질이면서 취급 중에 비산되는 미분에 의하여 인체에 유해요소가 많다고 하여 사용을 꺼리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것들을 최근에는 환경문제로 사용을 제한시키고 있는 것이다.
반면 유기단열재는 취급이 용이한 점과 단열이 우수하다는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열에 약하고 특히 인화되면서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유기단열재에 불연이나 난연처리를 함으로서 어느 정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들이 결국 고온에서는 모두 인화되면서 유독가스를 발생시킨다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화재현장에서는 이러한 유독가스로 많은 인명 피해로 인하여 사회문제화가 되면서 사용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건축물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단열재가 불에 타지 않아 매연이나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등 환경문제를 야기시키지 않는 단열재의 개발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개발된 것이 팽창질석이고, 이러한 질석(vermiculite)은 그 성분이 SiO₂(37.3%), Al₂O₃(11%), K₂O(4.88%), Fe₂O₃(4.52%), M(27.6%), lg(10.8%), CaO(1.08%) 등으로 구성되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의 분광분포가 높아 원적외선의 방사도가 높고, 탈취성과 항균성이 우수하며 내화성이 뛰어나 건축용 자재, 전동차 및 기차의 천정, 벽체에 사용되며, 전자 제품의 방사판 후 사열방지 등으로서 사용하거나, 특히 분말은 여러 종류의 입자크기를 갈아서 석고보드와 방화용 불연성 페인트, 코팅제 및 충진제 등으로 사용된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03-0045355호(2003.07.04)는 질석 원석 또는 원석 가공물을 건축자재의 용도에 따라 소정입자로 분쇄시키는 제1단계와, 분쇄된 분말을 고로에서 200∼1000℃범위 내에서 열을 가하여 부피를 팽창시키는 제2단계와, 부피가 팽창된 원석의 재료와 접착제를 교반시켜 균일하게 혼합하는 제3단계와, 혼합된 재료를 100∼250℃를 유지하는 성형기내에서 10∼20분 동안 패널 또는 성형제품에 따라 소성가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8025호(2005.03.24)는 팽창질석을 이용한 건축용 패널을 성형하여 인체에 유해한 제품을 대체하고, 이를 통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며, 화재 발생시 화염을 차단하고, 단열성, 보온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물성을 구비하여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질석을 이용한 성형물을 제공하는 질석을 이용한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질석 원석을 채취 후 건축 및 산업용 자재의 용도에 따라 소정입자로 분쇄시키는 제1단계와, 분쇄된 분말을 환원고로에서 200∼800℃ 범위 내에서 열을 가하여 부피를 팽창시키는 제2단계와, 부피가 팽창된 원석의 재료와 접착제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제3단계와, 혼합된 재료를 100∼350℃를 유지하는 성형기내에서 3∼10분 동안 플랫(plat)형상으로 가(假)제품을 소성가공하는 제4단계와, 소성된 제품을 핫프레스(hot press)에 의한 압착 시 250∼300℃범위 내에서 급속 가열하여 소정형상으로 완제품을 성형하는 제5단계와, 성형된 완제품을 자연 상태에서 24시간∼48시간동안 자연 건조하는 제6단계로 방화문용 도어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강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도록 성형된 성형물로 이루어져 있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04-0089948호(2004.11.05)는 형태의 변형이 없도록 일정한 틀에 주입토록 한 후 상온에서 가스를 주입토록 함으로서 경화가 용이토록 하고 일정한 규격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점결재는 액상의 규산소다이고 액상의 규산소다와 일정한 입도를 갖는 팽창질석과 반죽하여 액상의 규산소다가 일정한 입도를 갖는 팽창질석에 골고루 도포 되도록 일정시간 교반을 한 후 이를 일정한 틀에 주입하여 가압하고 가압된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것이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07-0070304호(2007.07.12)는 다층구조의 질석불연판넬에 관한 것으로, 팽창되지 않은 건조 질석 분말이 포함되어 형성된 미팽창질석층과: 미팽창질석층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불연성 접착제 재질의 1차접착층과; 1차접착층의 미팽창질석층과 접촉면의 반대 면에 형성되어 1차접착층에 의해 미팽창질석층에 접착되어 있고, 팽창된 질석 분말이 포함되어 형성된 팽창질석층과; 팽창질석층의 제1접착층과 접촉면의 반대 면에 형성되어 있고, 불연성 접착제 재질의 2차접착층과; 2차접착층의 팽창질석층과 접촉면의 반대 면에 형성되어 2차접착층에 의해 팽창질석층에 접착되어있고, 멜라민이 포함되어 형성된 멜라민차음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인의 선 발명으로 특허출원 제2010-23007호는 철재기둥을 감싸서 마감할 수 있는 질석 기둥마감재를 개발하여 외관미가 뛰어나면서도 기둥을 통하여 발생하는 열 손실을 단열하고, 화재시 기둥으로 전달되는 고열을 차단하여 기둥을 보호함과 동시에 고열에 의하여 경화된 질석이 기둥역할을 하여 선박이나 건축물이 통채로 주저앉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개발된 것이 있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03-0045355호(2003.07.04),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8025호(2005.03.24), 국내특허출원 제10-2004-0089948호(2004.11.05), 국내특허출원 제10-2007-0070304호(2007.07.12). 특허출원 제2010-23007호.
그러나 가공에 의하여 1차 팽창된 질석은 쉽게 부스러지는 단점과 응집력이 떨어지는 이유로 보드로 된 판재를 성형하여 벽면 단열재나 내화재로 사용하는데에는 문제가 없으나 기둥을 보호하거나 마감하기 위한 제품을 개발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인이 선 발명한 특허출원 제2010-23007호에서 철재기둥을 감싸서 마감할 수 있는 질석 기둥마감재를 개발하였으나 이는 원통형 기둥으로 구성하여 각형으로 구성된 기둥을 마감하거나 코너부분을 마감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었기에 각형 기둥이나 코너를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코너부분을 면취하고 그 부분을 보강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질석 마감재를 보호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개발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석을 1차 가공하여 팽창시킨 질석을 분쇄한 질석 분말을 압착하여 구성한 공지의 질석 보드의 일면에 멜라민시트를 일체로 접합하는 질석보드 보강공정인 제1공정과; 상기 질석보드 보강공정인 제1공정에서 일면에 멜라민시트를 일체로 접합한 질석 보드를 건축물이나 선박의 시공하고자하는 구조물의 치수를 조사하여 사용에 알맞게 재단하는 재단공정인 제2공정과; 상기 재단공정인 제2공정에서 시공하고자하는 구조물을 감싸기에 알맞게 재단된 질석보드의 두 개 중 서로 맞대어 이어지는 어느 한 개의 멜라민시트가 접합되지 않은 모서리 면을 둥글게 가공하여 둥근 모서리로 형성하되 둥근면에 보강용 멜라민층 형성용 홈을 형성하는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과; 상기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에서 둥글게 가공한 모서리면에 형성한 보강용 멜라민층 형성용 홈에 멜라민시트를 일체로 접합하여 보강용 멜라민층을 형성하는 모서리보강공정인 제4공정과; 상기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에서 둥근 모서리로 형성하여 보강용 멜라민층 형성용 홈을 형성하고 보강용 멜라민층 형성공정인 제4공정에서 보강용 멜라민층 형성용 홈에 멜라민시트를 일체로 접합하여 보강용 멜라민층을 형성한 질석보드와 모서리면이 가공되지않은 각형 질석보드를 새로운 멜라민시트에 질석보드 두께의 간격으로 멜라민시트가 접착되지않은 면을 일체로 접합하는 멜라민시트접합공정인 제5공정과; 상기 멜라민시트접합공정인 제5공정에서 멜라민시트에 접합한 적어도 2장 이상의 질석보드를 ㄱ자 또는 ㄷ자 형으로 접어서 외부의 각면이 둥글게 모서리를 처리한 마감재를 완성하는 마감재완성공정인 제6공정으로 충격에 약한 질석을 보호하기 위하여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를 구성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질석을 이용한 기둥보호용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은, 건축물이나 선박의 기둥에 마감재로 사용시 중량이 가볍고 단열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외벽이 멜라민 시트로 구성되며, 특히 코너부분을 원형으로 구성하고 보강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며, 질석으로부터 방사되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분광분포가 높아 인체의 생체리듬을 활성화시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건축물에서 발생 되는 환경호로몬의 독성을 중화하며, 탈취성 및 항균성이 뛰어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화재 발생시에는 연소 되지 않아 유독가스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여 피해를 최대한 줄이고, 화재를 신속하게 초기에 진압하도록 도와주는 것은 물론, 고열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여 선박이나 건축물이 통채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로 인한 인적 및 경제적인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하는데 따른 작업공정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작업상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작업공정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작업상태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로 이루어진 제품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본 발명을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제1공정: 질석보드보강공정
원석을 1차 가공하여 팽창시킨 질석을 분쇄한 질석 분말을 압착하여 구성한 공지의 질석보드(20)의 일면에 멜라민시트(10)를 일체로 접합하여 질석보드를 보강한다.
제2공정: 재단공정
상기 질석보드보강공정인 제1공정에서 일면에 멜라민시트(10)를 일체로 접합한 질석보드(20)를 건축물이나 선박의 시공하고자하는 구조물(100)의 치수를 조사하여 사용에 알맞게 재단한다.
제3공정: 모서리가공공정
상기 재단공정인 제2공정에서 시공하고자하는 구조물(100)을 감싸기에 알맞게 재단된 질석보드(20)의 두 개 중 서로 맞대어 이어지는 어느 한 개를 멜라민시트(10)가 접합되지 않은 모서리 면을 둥글게 가공하여 둥근 모서리형성면(21)을 형성하되 모서리형성면(21)에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는 요홈(22)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4공정: 모서리보강공정
상기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에서 둥글게 가공한 모서리형성면(21)에 형성한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는 요홈(22)에 보강용멜라민시트를 일체로 접합하여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여 모서리를 보강한다.
제5공정: 외부멜라민시트접합공정
상기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에서 둥근 모서리형성면(21)을 형성하여 보강용멜라민층(30) 형성하는 요홈(22)을 형성하고 모서리보강공정인 제4공정에서 요홈(22)에 보강용멜라민시트를 일체로 접합하여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한 질석보드(20)와 모서리면이 가공되지않은 각형 질석보드(20)를 새로운 외부멜라민시트(40)에 질석보드(20) 모서리형성면의(21) 길이만큼의 간격으로 멜라민시트가 접착되지않은 면을 일체로 접합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 인접한 두 장의 질석보드(20)는 서로 접었을 때 외부멜라민시트(40)가 모서리형성(21)면에 보강용멜라민시트를 일체로 접합하여 보강용멜라민층(30)의 외면을 감싸서 내측이 ㄱ자 형의 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제6공정: 마감재완성공정
상기 멜라민시트접합공정인 제5공정에서 외부멜라민시트(40)에 접합한 적어도 2장 이상의 질석보드(20)를 ㄱ자 또는 ㄷ자 형으로 접어서 외부의 모서리면이 둥글게 모서리를 처리한 질석마감재(50)를 완성한다.
상기 제1항의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제조방법으로 완성된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마감재(50)는 외부 모서리가 둥글면서 내부에 별도의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고 그 외부에 모서리 이음새가 없이 단일 외부멜라민시트(40)를 일체로 접합하여 각으로 형성된 구조물(100)을 감싸도록 구성한다.
실시예2.
제1공정; 질석보드보강공정
원석을 1차 가공하여 팽창시킨 질석을 분쇄한 질석 분말을 압착하여 구성한 공지의 질석보드(20)의 일면에 멜라민시트(10)를 일체로 접합하여 질석보드를 보강한다.
제2공정: 재단공정
상기 질석보드보강공정인 제1공정에서 일면에 멜라민시트(10)를 일체로 접합한 질석보드(20)를 건축물이나 선박의 시공하고자하는 구조물(100)의 치수를 조사하여 사용에 알맞게 재단한다.
제3공정: 모서리가공공정
상기 재단공정인 제2공정에서 시공하고자하는 구조물(100)을 감싸기에 알맞게 재단된 질석보드(20)의 두 개 중 서로 맞대어 이어지는 어느 한 개를 멜라민시트(10)가 접합되지 않은 모서리 면을 둥글게 가공하여 둥근 모서리형성면(21)을 형성한다.
제4공정: 외부멜라민시트접합공정
상기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에서 둥근 모서리형성면(21)을 형성한 질석보드(20)와 모서리면이 가공되지않은 각형 질석보드(20)를 새로운 외부멜라민시트(40)에 질석보드(20) 모서리형성면의(21) 길이만큼의 간격으로 멜라민시트가 접착되지않은 면을 일체로 접합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 인접한 두 장의 질석보드(20)는 서로 접었을 때 외부멜라민시트(40)가 모서리형성(21)면을 감싸서 내측이 ㄱ자 형의 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제5공정: 마감재완성공정
상기 멜라민시트접합공정인 제5공정에서 외부멜라민시트(40)에 접합한 적어도 2장 이상의 질석보드(20)를 ㄱ자 또는 ㄷ자 형으로 접어서 외부의 모서리면이 둥글게 모서리를 처리한 질석마감재(55)를 완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둥보호용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은 선박이나 건축물의 구조물(100)을 보호하는데 이용됨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건물 내외장재 및 차량 및 기차 등의 내외장재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둥보호용 질석 마감재는 선박이나 건축물 등의 구조물(100)을 보호하는데 이용하거나 각종 건물 내외장재 및 차량 및 기차 등의 내외장재로도 사용될 수 있다.
10: 멜라민시트 20: 질석보드 21: 모서리형성면
22: 요홈 30: 보강용멜라민층 40: 외부멜라민시트
50,55: 질석마감재 100: 구조물

Claims (3)

  1. 원석을 1차 가공하여 팽창시킨 질석을 분쇄한 질석 분말을 압착하여 구성한 공지의 질석보드(20)의 일면에 멜라민시트(10)를 일체로 접합하여 질석보드를 보강하는 질석보드보강공정인 제1공정과;
    상기 질석보드보강공정인 제1공정에서 일면에 멜라민시트(10)를 일체로 접합한 질석보드(20)를 건축물이나 선박의 시공하고자하는 구조물(100)의 치수를 조사하여 사용에 알맞게 재단하는 재단공정인 제2공정과;
    상기 재단공정인 제2공정에서 시공하고자하는 구조물(100)을 감싸기에 알맞게 재단된 질석보드(20)의 두 개 중 서로 맞대어 이어지는 어느 한 개를 멜라민시트(10)가 접합되지 않은 모서리 면을 둥글게 가공하여 둥근 모서리형성면(21)을 형성하되 모서리형성면(21)에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는 요홈(22)을 형성하는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과;
    상기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에서 둥글게 가공한 모서리형성면(21)에 형성한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는 요홈(22)에 보강용멜라민시트를 일체로 접합하여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여 모서리를 보강하는 모서리보강공정인 제4공정과;
    상기 모서리가공공정인 제3공정에서 둥근 모서리형성면(21)을 형성하여 보강용멜라민층(30) 형성하는 요홈(22)을 형성하고 모서리보강공정인 제4공정에서 요홈(22)에 보강용멜라민시트를 일체로 접합하여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한 질석보드(20)와 모서리면이 가공되지않은 각형 질석보드(20)를 새로운 외부멜라민시트(40)에 질석보드(20) 모서리형성면의(21) 길이만큼의 간격으로 멜라민시트가 접착되지않은 면을 일체로 접합하는 외부멜라민시트접합공정인 제5공정과;
    상기 멜라민시트접합공정인 제5공정에서 외부멜라민시트(40)에 접합한 적어도 2장 이상의 질석보드(20)를 ㄱ자 또는 ㄷ자 형으로 접어서 외부의 모서리면이 둥글게 모서리를 처리한 질석마감재(50)를 완성하는 마감재완성공정인 제6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제조방법.
  2. 삭제
  3. 상기 제1항의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제조방법으로 완성된 외부 모서리가 둥글면서 내부에 별도의 보강용멜라민층(30)을 형성하고 그 외부에 모서리 이음새가 없이 단일 외부멜라민시트(40)를 일체로 접합하여 각으로 형성된 구조물(100)을 감싸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KR1020100097400A 2010-10-06 2010-10-06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27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400A KR101227565B1 (ko) 2010-10-06 2010-10-06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400A KR101227565B1 (ko) 2010-10-06 2010-10-06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708A KR20120035708A (ko) 2012-04-16
KR101227565B1 true KR101227565B1 (ko) 2013-01-29

Family

ID=4613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400A KR101227565B1 (ko) 2010-10-06 2010-10-06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06B1 (ko) * 2020-09-17 2021-06-08 주식회사 티앤비우드 나무무늬 재현성이 향상된 합성수지판의 제조시스템
KR102236665B1 (ko) * 2020-09-17 2021-04-07 주식회사 티앤비우드 나무무늬 재현성이 향상된 합성수지판의 제조방법
KR102329331B1 (ko) * 2021-05-31 2021-11-18 김평곤 질석보드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459Y1 (ko) 1999-07-21 2000-02-15 임병준 건축용 타일의 테두리 측면 구조
KR100835132B1 (ko) * 2008-01-04 2008-06-04 주식회사 케이피 경화성 수지의 발열을 이용한 일체형 코너를 갖는 마감재의제조방법.
KR100988513B1 (ko) 2010-03-15 2010-10-18 대신메라민산업(주) 기둥보호용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459Y1 (ko) 1999-07-21 2000-02-15 임병준 건축용 타일의 테두리 측면 구조
KR100835132B1 (ko) * 2008-01-04 2008-06-04 주식회사 케이피 경화성 수지의 발열을 이용한 일체형 코너를 갖는 마감재의제조방법.
KR100988513B1 (ko) 2010-03-15 2010-10-18 대신메라민산업(주) 기둥보호용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708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63425B (zh) 一种装饰、防火、保温一体化板
KR101468780B1 (ko)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MXPA04007759A (es) Azulejo de vidrio alveolar de alta densidad, grande.
KR101227565B1 (ko) 모서리가 보강된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30090A (ko) 친환경 건축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271175Y1 (ko) 발포된 진주암과 질석을 이용한 불연 내, 외장제 패널
KR101988975B1 (ko) 건축용 심재 및 그 제조방법
TWI262976B (en) Method for producing mineralized plant-fiber panel andmineralized plant-fiber panel
KR101970507B1 (ko) 건축용 기능성 경량판재와 그 제조방법
KR100988513B1 (ko) 기둥보호용 질석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07582B1 (ko) 난연성 및 소화성이 우수한 스치로폴 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92782A (ko) 세라믹발포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9244B1 (ko) 불연성 패널 제조 방법
KR101370579B1 (ko) 내화구조용 초경량방화방음탈취패널
KR20060043360A (ko) 불완전겔화규산소다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제조한 세라믹발포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54694B1 (ko) 불연 패널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2601A (ko) 고주파 및 적외선으로 가열, 경화시켜 불연 내, 외장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KR20060053658A (ko) 불연성 방화 구조체
KR101229107B1 (ko) 팽창성 광물과 중성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KR100554718B1 (ko) 점토류 광물을 이용한 불연성 내열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326283Y1 (ko) 질석을 이용한 건축 내장재 구조
KR100791111B1 (ko) 기능성 및 난연성 무기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난연성 판재의제조방법
KR20030025443A (ko) 질석을 이용한 불연 내, 외장제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KR200282038Y1 (ko) 세라믹을 이용한 불연 내, 외장제 패널
KR20120007438U (ko) 방화 방음 판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