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833B1 - 고화력 버너 - Google Patents

고화력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833B1
KR101226833B1 KR1020120024873A KR20120024873A KR101226833B1 KR 101226833 B1 KR101226833 B1 KR 101226833B1 KR 1020120024873 A KR1020120024873 A KR 1020120024873A KR 20120024873 A KR20120024873 A KR 20120024873A KR 101226833 B1 KR101226833 B1 KR 101226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head
air
burner
fuel supply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배
Original Assignee
김인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배 filed Critical 김인배
Priority to KR1020120024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8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ax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0Baffles or like flow-distu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헤드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하면서 버너헤드의 외주 전체 면을 따라 화염방사노즐공을 천공하여 화염 방향이 냄비, 프라이팬 등과 같은 가열대상물의 바닥 전체 면에 골고루 방사되게 함과 아울러 버너헤드 내부 중심에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을 설치하여 버너헤드 내부로 불필요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가열대상물에 대한 열전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고화력 버너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고화력 버너{BURNER OF HIGH THERMAL POWER}
본 발명은 버너헤드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하면서 버너헤드의 외주 전체 면을 따라 화염방사노즐공을 천공하여 화염 방향이 냄비, 프라이팬 등과 같은 가열대상물의 바닥 전체 면에 골고루 방사되게 함과 아울러 버너헤드 내부 중심에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을 설치하여 버너헤드 내부로 불필요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가열대상물에 대한 열전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고화력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버너는 LNG, LPG 등의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연료의 공급과 불 조절이 매우 간편하기 때문에 조리용 버너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대량의 음식을 신속하게 조리해야 하는 음식점과 같은 업소의 주방에서는 대부분 가스버너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스버너의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82121호에는 『내측에 가스공급구와 버너헤드용 설치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가스공급케이싱과, 상기 가스공급케이싱의 설치공간에 결합 설치되고 가스를 공급 연소하기 위한 방사선회노즐부와 착화부가 마련되는 소량공급노즐부를 각각 갖추어 구성되는 버너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고화력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케이싱은 외측으로 상부플랜지와 하부설치돌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측으로 하부플랜지를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너헤드는 외측으로 상부플랜지, 중간차단돌부 및 하부플랜지를 각각 이격된 위치로 형성하고 내측에는 화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기 중간차단돌부의 사이로서 둘레에는 다수의 경사노즐공를 형성하여 방사선 회노즐부를 구성하고, 상기 중간차단돌부와 하부플랜지 사이로서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노즐공을 형성하여 소량 공급노즐부를 구성하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소량공급노즐부를 감싸는 형태로 가이더를 설치하고 착화부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의 경우 하부가 완전히 뚫린 원통형 구조로 발화시 버너헤드 내부로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화염이 공기의 영향을 받아 화염방사 방향이 수직에 가까워지고 이로 인해 화염이 냄비, 프라이팬 등과 같은 가열대상물의 바닥 전체 면에 골고루 방사되지 않고 원형 고리 형태로 가열대상물의 바닥 일정부위에만 방사됨과 아울러 찬 공기의 유입으로 버너헤드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짐에 따라 가열대상물에 대한 열전도 효율이 저하되는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버너헤드 하부로부터 대량의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발화시 큰 소음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공포감으로 조리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리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너헤드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하면서 버너헤드의 외주 전체 면을 따라 화염방사노즐공을 천공하여 화염 방향이 냄비, 프라이팬 등과 같은 가열대상물의 바닥 전체 면에 골고루 방사되게 함과 아울러 버너헤드 내부 중심에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을 설치하여 버너헤드 내부로 불필요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가열대상물에 대한 열전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고화력 버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하부 일단에 연료공급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버너헤드의 설치공간이 확보되도록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의 연료공급케이싱; 연료가 공급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료공급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료공급케이싱 내부에 부합하도록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면서 외주 전체 면에는 상광하협의 내부 경사면에 대해 화염방사 방향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화염방사노즐공이 천공되는 버너헤드; 버너헤드 내부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점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만이 버너헤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력 버너를 제공한다.
또한, 연료공급케이싱 내부 경사각 및 버너헤드 내부 경사각은 15°내지 35°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염방사노즐공의 천공각은 수평면과 15° 내지 45°를 이루도록 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은 상부는 반구형이고 아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상단부; 상단부의 하부 둘레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외부 공기가 버너헤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주 면 일단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면서 버너헤드 내부의 경사면 하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외주 일단에는 버너헤드 내부의 경사면 하부에 부합하는 경사테두리부가 형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단부는 공기유입구 반대쪽 면보다 공기유입구가 위치한 쪽의 면이 아래쪽으로 더 긴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지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화력 버너는 버너헤드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하면서 버너헤드의 외주 전체 면을 따라 화염방사노즐공을 천공하여 화염 방향이 냄비, 프라이팬 등과 같은 가열대상물의 바닥 전체 면에 골고루 방사되게 함과 아울러 버너헤드 내부 중심에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을 설치하여 버너헤드 내부로 불필요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가열대상물에 대한 열전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의 하부의 외주에 버너헤드 내부의 경사면에 부합하는 경사테두리부를 형성함으로써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을 버너헤드 내부 중심에 안정적으로 설치함은 물론 버너헤드의 청소시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을 버너헤드 내부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의 발췌도.
도 3은 종래의 식당용 가스버너의 화염방사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화력 버너의 화염방사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과유입억제수단의 발췌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식당용 가스버너의 화염방사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화력 버너의 화염방사 예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화력 버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화력 버너는 도 1과 같이 하부 일단에 내부와 연통되는 연료공급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 버너헤드(20)의 설치공간이 확보되도록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의 연료공급케이싱(10)과, 연료공급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료가 공급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연료공급케이싱(10) 내부에 부합하면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의 버너헤드(20)와, 버너헤드(20) 내부 중심에 결합되는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연료공급케이싱(10)은 상부 쪽의 외경이 하부 쪽의 외경보다 크고 내부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연료공급케이싱(10) 내부 경사면의 경사각은 연료공급케이싱(10) 내부에 결합되는 버너헤드(20) 외부의 경사각에 부합하도록 형성한다.
버너헤드(20)는, 화염이 가열대상물(40)의 바닥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연료공급케이싱(10) 내부에 결합시 연료가 공급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연료공급케이싱(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연료공급케이싱(10) 내부에 부합하는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버너헤드(20)의 외부 전체 면에는 화염이 버너헤드(20)의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하면서 위쪽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내부와 연통되는 화염방사노즐공(22)이 경사지게 천공된다. 이때, 버너헤드(20)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버너헤드(20) 외주의 길이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버너헤드(20)의 외주에 형성되는 화염방사노즐공(22) 또한 최상단의 외주에 천공되는 화염방사노즐공(22) 수가 가장 많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천공되는 화염방사노즐공(22)의 수가 점점 줄어들어 최하단의 외주에 천공되는 화염방사노즐공(22)의 수가 가장 적게 천공된다.
물론, 상광하협의 버너헤드(20) 위쪽과 아래쪽 외주에 화염방사노즐공(22)의 수를 동일하게 천공할 수도 있으며, 화염방사노즐공(22)을 버너헤드(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되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천공될 수도 있다.
화염의 방사 방향을 살펴보면, 버너헤드(20)의 최하단 외주에 천공된 화염방사노즐공(22)에서 방사되는 화염은 가열대상물(40)의 바닥 중심을 향하여 방사되고, 버너헤드(20) 최하단 바로 위쪽 외주에 천공된 화염방사노들공(22)에서 방사되는 화염은 가열대상물(40)의 바닥 중심으로부터 조금 바깥쪽을 향하여 방사되는 등 버너헤드(20) 상부 쪽 외주에 형성된 화염방사노즐공(22)으로 갈수록 화염이 가열대상물(40)의 바닥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방사되고, 최종 버너헤드(20)의 최상단 외주에 천공되는 화염방사노즐공(22)에서 방사되는 화염은 가열대상물(40)의 바닥 가장자리 쪽을 향하여 방사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고화력 버너는 버너헤드(20) 외주 위쪽에 천공된 화염방사노즐공(22)으로 갈수록 화염이 가열대상물(40)의 바닥 중에서부터 바깥쪽으로 고르게 퍼지면서 열이 가열대상물(40) 바닥 전체 면에 고르게 전달됨에 따라 가열대상물(40)에 대한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버너헤드(20)을 절반으로 절단하였을 때 양쪽 경사면(21)이 이루는 경사각(θ1)은 화염방사노즐공(22)에서 방사되는 화염 방사각도를 고려하여 자체 내에서 실험결과 15° 내지 35°로 하였을 때 화염이 가열대상물(40)의 바닥 전체 면에 고르게 방사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평면과 화염방사노즐공(22)이 이루는 천공각(θ2)은 화염 방사각도를 고려하여 자체 내의 실험결과 15° 내지 45°로 하였을 때 화염이 가열대사상물(40)의 바닥 전체 면에 고르게 방사됨을 알 수 있었다.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은, 버너헤드(20) 내부 중심에 설치되어 점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외부 공기만이 버너헤드(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버너헤드(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한 화염방사노즐공(22)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의 꺾임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은 도 2와 같이 버너헤드(20) 내부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위쪽은 반구형이며 아래쪽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상단부(31)와, 상단부(31)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형성되는 림(rim) 형태의 하단부(32)로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의 상단부(31)는 위쪽을 반구 형태이면서 아래쪽은 원통 형태로서 버너헤드(20) 내부로 많은 량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방사되는 화염에 의해 열이 전달되어 버너헤드(20)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화염과 함께 가열대상물(40)의 열전도 효율을 배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부(31)는 속이 채워진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봉으로 제작하여 화염에 의해 가열된 열이 가열대상물(40)에 전도되게 함으로써 가열대상물(40)의 가열효과를 더욱 가속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의 하단부(32)는,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의 상단부(3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림 형태로 일단에는 점화시 필요한 최소한의 외부 공기만 버너헤드(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3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 하부에는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이 버너헤드(20) 내부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단부(32) 외주로부터 돌출되면서 버너헤드(20) 내부 하부의 경사면(21)에 부합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경사테두리부(3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사테두리부(322)가 버너헤드(20) 내부 하부의 경사면에 부합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을 신중하게 버너헤드(20) 중심에 결합할 필요없이 대충 버너헤드(20) 내부에 넣어도 경사테두리부(322)의 경사면이 버너헤드(20) 내부 하부의 경사면에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을 버너헤드(20) 내부 중심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는 등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결합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반대로 버너헤드(20)의 청소를 위하여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을 들어올리면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이 버너헤드(20)에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을 버너헤드(2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부(32)의 공기유입구(321) 반대쪽 면보다 공기유입구(321)가 위치한 쪽의 면을 아래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기유입구(321)가 위치한 쪽 면을 아래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할 경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가이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길게 연장된 면에 부딪히면서 길게 연장된 면을 따라 공기유입구(321)를 거쳐 버너헤드(20) 내부 하부로 손쉽게 유입될 수 있게 하는 등 버너헤드(20)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길게 연장된 면 부위에서 점화가 이루어질 때 길게 연장된 면이 공기의 흐름을 막아 안정적인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화력 버너는 버너헤드(20)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하면서 버너헤드(20)의 외주 전체 면을 따라 화염방사노즐공(22)을 천공하여 화염 방향이 냄비, 프라이팬 등과 같은 가열대상물(40)의 바닥 전체 면에 골고루 방사되게 함과 아울러 버너헤드(20) 내부 중심에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을 설치하여 버너헤드(20) 내부로 불필요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가열대상물(40)에 대한 열전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화력 버너의 화염방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2와 같이 연료공급부(11)를 통해 가스 등과 같은 연료가 공급되면 연료가 연료공급케이싱(10)과 버너헤드(2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공기유입구(321)를 통해 버너헤드(2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버너헤드(20) 내부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체로 채워지며 동시에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점화가 이루어지면 화염방사노즐공(22)으로부터 화염이 방사된다. 이 화염은 버너헤드(20) 안쪽 위쪽으로 방사되면서 냄비, 프라이팬 등과 같은 가열대상물(40) 바닥을 중심으로부터 바깥쪽까지 골고루 가열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는 도 3과 같이 버너헤드(203) 내부가 평행이고 하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버너헤드(203)의 내부 아래로부터 위쪽으로 찬 공기의 유입이 대량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찬 공기의 대량 유입으로 인해 버너헤드(203)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가열대상물(40)에 대한 열전도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경사노즐공(244)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이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버너헤드(203) 내부 하부로부터 대량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영향을 받아 가열대상물(40)의 바닥 전체 면에 고르게 방사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 고리와 같은 형태로 가열대상물(40)의 바닥 일정부위에만 방사됨에 따라 가열대상물(40)에 대한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종래의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의 버너헤드(203)에는 화염의 분사 폭을 넓이기 위해 경사노즐공(244)을 천공하였으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너헤드(203) 내부 하부로부터 대량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영향으로 화염이 원하는 방향으로 방사되지 못함에 따라 가열대상물(40)에 대한 열전달 효율을 높이는 데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화력 버너는 버너헤드(20)의 구조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으로 형성함으로써 버너헤드(20) 외주를 따라 천공된 화염방사노즐공(22) 통해 방사되는 화염방향이 도 4의 화살표와 같이 가열대상물(40)의 바닥 전체 면에 골고루 방사되게 함으로써 가열대상물(40)에 대한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버너헤드(20)의 내부 중심에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을 설치함으로써 버너헤드(2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화염방사노즐공(22)을 통해 방사되는 화염이 버너헤드(2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영향을 최대한 받지 않고 가열대상물(40) 바닥의 중심에서부터 가장자리까지 골고루 퍼지면서 전체 면에 방사되어 가열대상물(40)에 대한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버너헤드(20)의 경사면(21)에 천공되는 화염방사노즐공(22)의 천공각(θ2) 또한 수평면으로부터 15° 내지 45°의 각도로 천공함으로써 화염방상노즐공(22)을 통해 방사되는 화염이 가열대상물(40) 바닥의 중심에서부터 가장자리까지 골고루 퍼지면서 가열대상물(40) 바닥의 전체 면에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버너헤드(20) 내부 중심에 결합되는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30)은 버너헤드(20)에 고정되지 않고 하단부(32) 외주에 형성된 경사테두리부(322)에 의해 버너헤드(20)의 경사면(21)에 안정적으로 안치된 상태로 버너헤드(20)의 청소시 버너헤드(20) 내부로부터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연료공급케이싱 11:연료공급부 20:버너헤드
21:경사면 22:화염방사노즐공 30:공기 과유입 억제수단
31:상단부 32:하단부 40:가열대상물
321:공기유입구 322:경사테두리부 θ1:경사각
θ2:천공각

Claims (5)

  1. 하부 일단에 연료공급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버너헤드의 설치공간이 확보되도록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의 연료공급케이싱; 연료가 공급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연료공급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료공급케이싱 내부에 부합하도록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면서 외주 전체 면에는 상광하협의 내부 경사면에 대해 화염방사 방향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화염방사노즐공이 천공되는 버너헤드; 버너헤드 내부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점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만이 버너헤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공기 과유입 억제수단은, 상부는 반구형이고 아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상단부; 상단부의 하부 둘레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외부 공기가 버너헤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주 면 일단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면서 버너헤드 내부의 경사면 하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외주 일단에는 버너헤드 내부의 경사면 하부에 부합하는 경사테두리부가 형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력 버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공급케이싱 내부 경사각 및 버너헤드 내부 경사각은 15°내지 35°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력 버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염방사노즐공의 천공각은 수평면과 15° 내지 45°를 이루도록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력 버너.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단부는,
    공기유입구 반대쪽 면보다 공기유입구가 위치한 쪽의 면이 아래쪽으로 더 긴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력 버너.
KR1020120024873A 2012-03-12 2012-03-12 고화력 버너 KR101226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873A KR101226833B1 (ko) 2012-03-12 2012-03-12 고화력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873A KR101226833B1 (ko) 2012-03-12 2012-03-12 고화력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833B1 true KR101226833B1 (ko) 2013-01-25

Family

ID=4784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873A KR101226833B1 (ko) 2012-03-12 2012-03-12 고화력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8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0230A (ja) * 1993-04-20 1994-10-28 Osaka Gas Co Ltd 燃焼装置
JP2001050512A (ja) 1999-08-06 2001-02-23 Paloma Ind Ltd こんろバーナ
JP2006029741A (ja) * 2004-07-21 2006-02-02 Paloma Ind Ltd ガスこんろ
JP2006336928A (ja) * 2005-06-01 2006-12-14 Maruzen Co Ltd ガスバーナ及びかま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0230A (ja) * 1993-04-20 1994-10-28 Osaka Gas Co Ltd 燃焼装置
JP2001050512A (ja) 1999-08-06 2001-02-23 Paloma Ind Ltd こんろバーナ
JP2006029741A (ja) * 2004-07-21 2006-02-02 Paloma Ind Ltd ガスこんろ
JP2006336928A (ja) * 2005-06-01 2006-12-14 Maruzen Co Ltd ガスバーナ及びかま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5563C2 (ru) Конфигурация отверстий звездообразной горелки
CN108351102A (zh) 燃气燃烧器装置以及包括其的烹饪装置
US20100104992A1 (en) Oval burner alignment method
US20120180779A1 (en) Removable Flame Heat Transfer Regulating Apparatus Including an Inner Hollow Shell and Outer Wall Incorporated with a Burner Having Improved Burner Ports for a Gas Stove
EP2390569B1 (en) A burner for professional or domestic gas cookers, particularly of the type of vertical-flame burners adapted for cooking with woks and the like
CN205807411U (zh) 一种燃烧加热器具
CN107975799A (zh) 火盖、燃烧器及燃气灶具
KR101035696B1 (ko) 고효율 가스 버너
US20060147865A1 (en) Cooking range burner head assembly
KR101425387B1 (ko) 버너장치
KR101226833B1 (ko) 고화력 버너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6069084B2 (ja) 加熱調理器
KR101423187B1 (ko) 버너의 폐열회수장치
KR101285707B1 (ko)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CN210861197U (zh) 一种具有灶用隔热罩的燃气灶
JP5384854B2 (ja) こんろバーナ
KR200419261Y1 (ko) 가스버너
EP3126737B1 (en) Pre-mixed gas burner cooled by an air-gas mixture
KR101206983B1 (ko) 주방용 가스버너
KR100759402B1 (ko) 가스버너
CN105864764A (zh) 一种燃烧加热器具
ES2906389T3 (es) Dispositivo de parrilla con suministro de aire presurizado
KR101292520B1 (ko) 조리용 솥
KR101017134B1 (ko) 오리지널 직화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