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002B1 -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002B1
KR101226002B1 KR1020110027646A KR20110027646A KR101226002B1 KR 101226002 B1 KR101226002 B1 KR 101226002B1 KR 1020110027646 A KR1020110027646 A KR 1020110027646A KR 20110027646 A KR20110027646 A KR 20110027646A KR 101226002 B1 KR101226002 B1 KR 101226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discharge structure
fluid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872A (ko
Inventor
최민석
박성국
김동률
류재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00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은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개폐 가능한 제 1 배출구조체, 제 1 배출구조체를 통하여 배출된 유체가 이동하는 부배관, 부배관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 부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부배관을 통하여 이동한 유체를 유체가 필요한 선박의 타 위치로 이동시키는 주배관 및 유체가 제 1 배출구조체를 지나 부배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주배관 또는 부배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 Discharging system for storage tank }
본 발명은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유 등을 수송하는 화물용 선박에는 항해시 선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밸러스트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원유 등이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밸러스트 탱크 내를 밸러스트수로 채우고, 원유 등을 실을 때에 밸러스트 수를 배출함으로써 선체의 부력을 조정해 선체를 안정화시키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밸러스트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에서 밸러스트수를 뽑아내기 위해서 저장탱크 내부에 위치한 흡입구에 배출구조체를 위치시켰다. 그리고 배출구조체의 일측에 배관을 연결할 때에, 배출구조체에 연결된 배관은 저장탱크의 일측을 관통하여 주배관 또는 진공펌프에 연결되었다. 이로인해, 저장탱크 내부의 구조가 복잡해져서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밸러스트수를 뽑아내기 위한 설비의 설치비가 증가되고, 설비의 설치작업이 난해하여 설치시간이 오래 걸렸다.
또한, 밸러트스수 또는 원유를 저장탱크로부터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뽑아낼 때, 밸러스트수와 원유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진흙 등이 있을 경우에, 미세한 진흙이 위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배관에 쌓이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배관의 상단부에 공기가 차게 되어 진공펌프에 의한 펌핑이 불가능하여 잔유 및 잔수가 남는다.
또한, 저장탱크의 흡입구 및 배출구조체의 앞부분에 위치한 벨마우스 등의 구조로 인해서 자재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설치비가 감소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잔유 및 잔수를 없앨 수 있는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배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개폐 가능한 제 1 배출구조체; 상기 제 1 배출구조체를 통하여 배출된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부배관; 상기 부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 상기 부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배관을 통하여 이동한 유체를 상기 유체가 필요한 선박의 타 위치로 이동시키는 주배관 및 상기 유체가 상기 제 1 배출구조체를 지나 상기 부배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주배관 또는 상기 부배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배출구조체는, 유체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흡입판 및 상기 흡입판을 지지하며 상기 저장탱크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유체가 통과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배출구조체는 상기 흡입판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불순물이 상기 제 1 배출구조체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가림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배출구조체보다 작은 용량을 갖는 제 2 배출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배출구조체는 상기 제 1 배출구조체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은 저장탱크의 외부의 접속부에 배출구조체가 연결되어,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밸러스트수 또는 원유를 뽑아내기 위한 설비의 설치비가 감소하고, 설비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은 밸러트스수 또는 원유를 저장탱크로부터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뽑아낼 때, 잔유 및 잔수 없이 펌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의 배출구조체가 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의 배출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의 배출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배출구조체 중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배출구조체의 흡입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배출구조체의 흡입판의 밑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8은 배출구조체의 가림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배출구조체의 가림판을 도 8의 B-B선을 중심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의 배출구조체가 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은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빨아들여 주배관(30)으로 배출하는 시스템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배관을 통과한 유체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저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탱크(10)의 밑면의 외부로 연결부(11)가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11)의 일측에는 배출구조체(100)가 연결될 수 있다. 저장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가 연결부(11)로 이동하고, 연결부(11)로 이동된 유체가 배출구조체(100)로 이동한다. 배출구조체(100)로 이동한 유체는 밸브(200) 및 부배관(20)을 지나 부배관(20)과 연결되어 있는 주배관(30)으로 이동한다. 이 때, 진공펌프(400)의 흡입력에 의해서 저장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가 이동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은 저장탱크(10), 배출구조체(100), 밸브(200), 부배관(20), 주배관(30) 및 진공펌프(400)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은 소용량 배출구조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10)는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저장탱크(10)의 하측에는 연결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11) 하측에는 배출구조체에 대응되는 연결부분(도면 미도시)이 돌출되어 있다. 이 연결부분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배출구조체(100)의 몸체 내주면 상부에 원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이 결합된다. 또한, 소용량 배출구조체(300)가 배출구조체(100)가 연결된 연결부(11)의 위치의 타측에 더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탱크(10)는 밸러스트수를 저정하는 밸러스트탱크 또는 원유를 저장하는 원유저장탱크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0)는 복수 개 일수 있다.
부배관(20)은 배출구조체(100) 및 밸브(200)를 지나온 유체를 주배관(30)으로 이송하기 위한 배관이다.
주배관(30)은 일측에 부배관(20)이 연결되고 타측에 진공펌프(400)가 연결되어 부배관(20)을 지나온 유체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저장소 또는 유체가 필요한 선박 내부의 타 위치로 이송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진공 펌프는 주배관에 연결되었으나, 진공 펌프는 부배관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유체가 밸러스트수일 경우 주배관은 밸러스트수를 선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진공펌프(400)는 저장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서 저장탱크(10) 내에 있는 유체가 배출구조체(100), 밸브(200) 및 부배관(20)을 지나 주배관(30)으로 이동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소용량 배출구조체(300)는 배출구조체(100)와 구조가 동일하나 배출구조체(100)보다 크기가 작다. 따라서 소용량 배출구조체(300)는 용량면에서 배출구조체(100)보다 적은 유체를 처리할 수 있다.
배출구조체에 의해서 대용량의 유체를 배출하고 소량의 유체가 저장탱크에 남았을 경우, 소용량 배출구조체(300)를 이용하여 남아 있는 소량의 유체를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의 배출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의 배출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배출구조체 중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배출구조체(100)는 저장탱크(10)의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11)에 연결되어 저장탱크(10)에 들어 있는 유체를 여과하고 부배관(20)으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배출구조체(100)의 일측은 유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탱크(10)의 연결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조체(100)의 타측은 밸브(2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출구조체(100)는 몸체(110), 흡입판(120) 및 가림판(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원통형으로서 가운데에 중공부(113)가 형성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다. 몸체(110)의 하부에는 플랜지(112)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12)에는 다른 배관이나 밸브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몸체(110)의 내측 상부면에는 지지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흡입판(120)의 상부를 지지한다. 지지부(111)는 몸체(110)의 상부의 원통형을 따라서 형성되고 가운데가 비어 있다. 비어 있는 가운데 부분을 통하여 위에서 아래로 흡입판(120)이 관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서, 몸체(110)의 지지부(111) 위에 흡입판(120) 및 가림판(130)이 적층될 수 있다. 지지부(111)와 흡입판(120)의 사이, 흡입판(120)과 가림판(130)의 사이에는 각각 고무패킹(100a)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볼트(100b)가 와셔(100d), 가림판(130), 흡입판(120) 및 지지부(111)를 관통하여 너트(100c)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배출구조체의 흡입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배출구조체의 흡입판의 밑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흡입판(120)은 가운데에 중공부(121)가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이다. 흡입판(120)의 측면을 따라서 일정한 크기의 홀(122)이 다수 개 배열되어 있다. 흡입판(120)을 지나가는 유체가 홀(122)을 통과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판(120)의 밑면에는 체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판(120)을 지나가는 유체는 체모양의 형상 곳곳에 형성되어 있는 홀(123)을 통과할 수도 있다. 흡입판(120)을 지나가는 유체가 체모양의 형상을 통과하면서, 흡입판(120)을 지나가는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들이 여과되게 된다.
도 8은 배출구조체의 가림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배출구조체의 가림판을 도 8의 B-B선을 중심으로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가림판(130)은 배출구조체(100)의 상부를 덮는다. 배출구조체(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가림판(130)은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배출구조체(100)를 보호할 수 있다. 가림판(130)은 저장탱크(10)로부터 유체를 뽑아낼 때 배출구조체(100)에서 제거되고, 제거된 상태에서 배출구조체(100)가 저장탱크(10)의 연결부(11)에 결합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가림판(130)은 원모양 형상의 얇은 원판이다. 가림판(130)의 윗면에는 원외곽을 따라서 다수 개의 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들 수 있는 손잡이부(132)가 가림판(130)의 중심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32)는 윗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고 가운데에 봉(132a)이 놓여 있다. 작업자가 배출구조체(100)의 상부를 가림판(130)으로 덮거나 개방할 때, 작업자가 봉(132a)을 손으로 움켜쥐면서 가림판(1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가림판(130)의 손잡이부가림막(132b)은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손잡이부(132)를 통해서 들어오는 외부의 이물질이 배출구조체(100)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가림막(132b)의 단면은 가운데가 빈 반원형의 형상이다. 도 9는 측면에서 절단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손으로 봉(132a)을 잡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저장탱크(10)의 연결부가 저장탱크의 밑면의 외부로 돌출하여, 저장탱크의 외부에서 저장탱크(10)의 연결부로 배출구조체(100)가 연결됨에 따라서, 배출구조체(100)의 일측에 연결되는 부배관(20)을, 추가적인 배관 없이, 주배관(30) 또는 진공펌프(400)에 직접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뽑아내기 위한 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10)의 연결부(11)가 저장탱크(10)의 밑면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저장탱크(10)의 외부에서 배출구조체(100)가 저장탱크에 연결되므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저장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뽑아낼 때, 잔유 및 잔수 없이 펌핑을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저장탱크 100 : 배출구조체
110 : 몸체 111 : 지지부
112 : 플랜지 120 : 흡입판
130 : 가림판 300 : 소용량 배출구조체
400 : 진공펌프 20 : 부배관
30 : 주배관

Claims (4)

  1. 선박의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배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개폐 가능한 제 1 배출구조체;
    상기 제 1 배출구조체를 통하여 배출된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부배관;
    상기 부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
    상기 부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배관을 통하여 이동한 유체를 상기 유체가 필요한 선박의 타 위치로 이동시키는 주배관 및
    상기 유체가 상기 제 1 배출구조체를 지나 상기 부배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주배관 또는 상기 부배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구조체는,
    유체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흡입판 및
    상기 흡입판을 지지하며 상기 저장탱크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유체가 통과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구조체는,
    상기 흡입판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불순물이 상기 제 1 배출구조체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가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배출구조체보다 작은 용량을 갖는 제 2 배출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배출구조체는 상기 제 1 배출구조체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KR1020110027646A 2011-03-28 2011-03-28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KR101226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46A KR101226002B1 (ko) 2011-03-28 2011-03-28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46A KR101226002B1 (ko) 2011-03-28 2011-03-28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72A KR20120109872A (ko) 2012-10-09
KR101226002B1 true KR101226002B1 (ko) 2013-01-24

Family

ID=4728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646A KR101226002B1 (ko) 2011-03-28 2011-03-28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0259A (zh) * 2021-07-27 2021-10-01 广船国际有限公司 减摇水舱系统及船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231Y2 (ja) * 1987-12-28 1994-09-07 日本鋼管株式会社 バラスト兼用ホールドのバラスト注排水口構造
JPH074290U (ja) * 1993-06-16 1995-01-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トリッピ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真空ポンプ保護装置
KR20100133051A (ko) * 2009-06-11 2010-1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 배치구조 및 상기 펌프 배치구조를 갖는 해양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231Y2 (ja) * 1987-12-28 1994-09-07 日本鋼管株式会社 バラスト兼用ホールドのバラスト注排水口構造
JPH074290U (ja) * 1993-06-16 1995-01-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トリッピ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真空ポンプ保護装置
KR20100133051A (ko) * 2009-06-11 2010-1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 배치구조 및 상기 펌프 배치구조를 갖는 해양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72A (ko)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7548B2 (en) Oil collecting apparatus
US8763855B1 (en) Mounted bladder for storage tank
KR101287139B1 (ko) 컴팩트하고 운용성을 높이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101287144B1 (ko) 배압형성을 방지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101226002B1 (ko) 저장탱크용 배출시스템
KR101335309B1 (ko) 역세척라인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JP5467552B2 (ja) 貯水タンク及びこの貯水タンクを用いた冷却水供給・汚泥水回収方法
JP5940396B2 (ja) 沈んだ船舶のタンクに収容されている汚染流体を回収するためのプラント
KR101303654B1 (ko) 배압형성을 방지하는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101167917B1 (ko) 선박의 빌지 시스템
EP3080600B1 (en) Piston and process column
KR101287116B1 (ko) 필터의 역세척 효율을 높이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101455105B1 (ko) 오일제거장치
KR101726417B1 (ko) 선박용 기름 및 슬러지 분리 배출장치
KR20080092511A (ko)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KR20130040214A (ko) 컴팩트하고 운용성을 높이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101019353B1 (ko) 드라이어 흡착재 교체 장치
KR100970200B1 (ko) 오일회수장치 및 오일회수방법
JP5586100B2 (ja) 汚液の濾過方法及びその装置
US10035716B1 (en) Immiscible liquid separator for marine vessels
KR101864741B1 (ko) 선박
EA007211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ей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йс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одной поперечной секции танков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CN221268553U (zh) 浮选药剂添加装置
KR101525211B1 (ko) 이동식 해양 오일 분리장치
KR101303655B1 (ko) 컴팩트하고 운용성을 높이는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