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009B1 -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009B1
KR101225009B1 KR1020100067442A KR20100067442A KR101225009B1 KR 101225009 B1 KR101225009 B1 KR 101225009B1 KR 1020100067442 A KR1020100067442 A KR 1020100067442A KR 20100067442 A KR20100067442 A KR 20100067442A KR 101225009 B1 KR101225009 B1 KR 10122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ert gas
salt
uranium
eutectic
vacuum dist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788A (ko
Inventor
권상운
박기민
김정국
박성빈
김광락
백승우
이한수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0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5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gas/liquid stream
    • B01J8/006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gas/liquid stream by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3/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melts
    • C25C3/34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melt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5C3/02 - C25C3/32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42Reprocessing of irradiated fuel
    • G21C19/44Reprocessing of irradiated fuel of irradiated sol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활성기체 펄스 및 가열부를 이용하여 우라늄전착물로부터 공융염을 제거하기 위한 고-액 분리컬럼을 포함하는 제 1장치; 및 상기 공융염을 제거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 잔여 공융염을 진공증류를 통하여 제거하기 위한 증류탑을 포함하는 제 2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염을 제거하는 방법은 우라늄 전착물을 가열 및 불활성 기체의 펄스를 이용하여 공융염을 분리하는 단계 (단계 1); 분리된 공융염을 냉각시키고 제거하는 단계 (단계 2); 상기 공융염이 제거된 우라늄 전착물을 진공상태에서 증류하여 공융염을 추가로 제거하는 단계 (단계 3)를 거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은 액체상태의 염을 간단하면서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고-액 분리와 진공증류를 고-액 분리 컬럼과 진공증류탑의 별개의 장치에서 우라늄전착물의 진공증류와 염의 고-액 분리를 각각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진공증류장치의 가동 활용도를 높여준다.

Description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 {The equipment for the removal of adhered salt from uranium deposits using inert gas puls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르네상스를 맞아 각국이 원자력발전소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원자력발전소가 많아지면서 사용 후 핵연료의 증가하는 누적량으로 인하여 사용 후 핵연료의 단기 보관과 장기적 관점의 관리 문제가 큰 부담이다. 사용 후 핵연료의 여러 원소들 중에서 우라늄과 초우라늄(TRU, TRansUranium) 원소들을 포함하는 악티나이드 족 원소들처럼 반감기가 긴 장수명핵종을 회수하여 핵연료로 재순환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 후 핵연료의 장수핵종 성분들을 재순환하면 폐기물 양을 줄임으로써 고준위 폐기물 처분장의 공간을 절약하고, 관리기간을 수십 년 이상에서 수백 년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사용 후 핵연료에서 장수명핵종을 회수하는 방법은 크게 습식법과 건식법으로 크게 나누어지며, 파이로 프로세스라 불리는 건식법은 우라늄과 TRU 원소들(Np, Am, Cm)이 함께 회수되어 핵확산 저항성이 크고,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연구, 개발 중에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하고 있는 파이로 프로세스는 LiCl-KCl 공융염을 전해질로 하여 고온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악티나이드를 회수하는 공정이다. 파이로 프로세스의 주요공정들은 사용 후 핵연료를 탈피복한 후 전해환원공정에 의해 환원시킨 후 얻어진 금속 잉곳 혹은 그래뉼을 전해정련공정의 양극 바스켓에 넣고 고체음극을 이용하여 사용 후 핵연료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우라늄을 분리해낸다. 우라늄 제거 작업이 끝나면 공융염 중에 녹아 있는 원소들 중에서 잔류 우라늄과 TRU 원소들을 전해제련공정을 이용하여 액체음극에 회수한다.
전해정련공정에서는 고체음극에 수지상의 우라늄이 전착되며 이를 용융염 중에서 분리해내면 우라늄 전착물에 다량의 염이 함유되어 있다. 이 우라늄 전착물은 추후 고속로 등의 핵연료의 조성을 조정할 때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 후 핵연료와는 달리 방사능이 약하여 천층 처분할 수도 있다. 우라늄 전착물은 수지상의 작은 입자이기 때문에 잉곳상태로 만들어 보관하며, 이를 위해 함유된 염을 분리해 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진공증류에 의해 염을 분리하지만, 이를 위해 고온에서 장시간 진공증류 조업을 해야 한다.
미국 INL 연구소에서는 전해정련과정에서 발생한 우라늄 전착물로부터 공융염을 제거하기 위해 케소드 프로세서(Cathode Processor)라 불리는 진공증류탑을 공학규모 장치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탑 상부에 우라늄 전착물을 넣고 외부에 설치된 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하며, 공랭식으로 냉각되는 하부 응축부위에 공융염 회수도가니를 두어 증발된 공융염을 응축 회수하게 된다. 이 장치는 회분식으로 운전되며, 함유된 공융염 전량을 진공증류하게 되어 많은 열량이 소모되고, 단위 시간당 처리 속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증발 단면적이 커져야 하거나 공융염의 증기압이 높은 고온에서 조업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온에서 운전하게 되어 고온에 견디는 구조재의 재질이 필요로 하여 제작비도 비싸진다. 한편 연속식 전해정련장치에서 얻어진 우라늄 전착물에는 공융염의 함유량이 높아 염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장치가 커지거나 운전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증류탑 내에서 진동식 거름망을 이용하여 미리 액체 상태로 우라늄전착물중의 공융염을 분리하고, 미분리된 공융염은 진공증류에 의해 추가로 분리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출원번호: 10-2010-0053953). 이 방법은 낮은 온도에서 고체-액체 분리에 의해 대부분의 공융염을 제거함으로써 염제거를 위한 조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진공증류 전 상당량의 염을 고-액 분리하기 때문에 진공증류공정에서 단위 시간당 염의 증발속도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다. 따라서 진공증류 공정의 조업온도를 낮출 수 있어서 초고온재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특허출원한 (출원번호: 10-2010-0053953) 공정은 진공증류탑 내에서 진동식 거름망을 이용하여 공융염을 고-액 분리하고, 우라늄전착물에 남아 있는 공융염을 진공증류에 의해 추가 제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방법 및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공융염이 함유된 우라늄 전착물을 진공증류 하기 전에 미리 고-액 분리하는 과정을 진공증류탑과 별도로 고-액 분리 컬럼을 도입하여 수행함으로써 고-액 분리와 진공증류를 고-액 분리 컬럼과 진공증류탑을 동시에 가동하여, 두 배치에서 나온 우라늄 전착물의 진공증류와 염의 고-액 분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진공증류장치의 가동 활용도를 높여주고, 진공증류탑 내부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액 분리 컬럼 및 진공증류탑으로 이루어진 우라늄 전착물로부터 염 제거를 위한 방법은 액체상태의 염이 거름망을 잘 빠져나가도록 거름망 진동장치 대신 상단부에서 불활성 기체의 펄스를 주기적으로 주는 장치와 하단에서 배출밸브에 의해 강제 배출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컬럼 내부에 기계적 장치가 들어가지 않아 내부구조가 간단하고, 별개의 고-액 분리 컬럼을 도입함으로써 진공증류 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해준다. 또한 고-액 분리와 진공증류를 고-액 분리 컬럼과 진공증류탑을 동시에 가동하여, 서로 다른 조업 배치에서 나온 우라늄 전착물의 진공증류와 염의 고-액 분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진공증류장치의 가동 활용도를 높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라늄전착물로부터 공융염을 제거하기 위한 고-액 분리 컬럼을 포함하는 제 1장치; 및 진공증류를 통하여 추가적인 분리를 하기 위한 진공증류탑을 포함하는 제 2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 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우라늄 전착물로부터 염 제거장치 및 그 운전방법은 액체상태의 염이 거름망을 잘 빠져 나가도록 충격을 주기 위한 장치로 불활성 기체를 펄스로 공급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컬럼 내부에 기계적 장치가 들어가지 않아 내부구조가 간단하고, 고-액 분리를 진공증류탑 내에서 수행하지 않고, 별개의 고-액 분리 컬럼을 도입함으로써 진공증류 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액 분리와 진공증류를 고-액 분리 컬럼과 진공증류탑을 동시에 가동하여, 서로 다른 조업 배치에서 나온 우라늄 전착물의 진공증류와 염의 고-액 분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진공증류장치의 가동 활용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공융염의 분리를 위한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융염을 제거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 잔여공융염을 제거하기 위한 진공증류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우라늄전착물로부터 공융염을 제거하기 위한 고-액 분리 컬럼을 포함하는 제 1장치; 및
진공증류를 통하여 추가적인 분리를 하기 위한 진공증류탑을 포함하는 제 2장치를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의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 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불활성 기체의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 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는 제 1장치에서 고-액 분리를 실행하고, 잔여 공융염을 제거하는 제 2장치에서 진공증류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불활성 기체의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 염 제거장치는 낮은 온도에서 고-액 분리에 의해 공융염을 제거함으로써 염제거를 위한 조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증발 속도 증대를 위하여 진공증류 온도를 높여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불활성 기체의 펄스를 및 강제배출 장치를 사용하여 액체의 배출을 돕고 있으며, 컬럼 내부에 기계적 장치가 들어있지 않아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다. 더 나아가, 고-액 분리는 컬럼에서, 진공증류는 진공증류탑에서 각각 진행될 수 있어 가동활용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먼저, 상기 제 1장치는 고-액 분리컬럼 내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상부플랜지; 고-액 분리컬럼 내에 위치하고 탈착이 가능한 거름망; 상기 거름망 하부에 위치한 공융염 수집용기; 상기 상부플랜지를 덮개로 하고, 상기 거름망 및 공융염 수집용기를 내부에 포함하며, 측면부에 가열부를 포함하는 고-액 분리컬럼; 상기 컬럼 상단 측면부에 구비되는 불활성 기체 공급부; 및 상기 컬럼 하단 측면부에 구비되는 불활성기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장치를 도 1에 도시하였고,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장치는 고-액 분리를 위한 거름망(7)에 공융염(9)이 함유된 우라늄 전착물(10)을 놓고 컬럼 내부의 온도를 공융염의 녹는점 이상으로 올리면 우라늄전착물에 함유된 공융염이 녹아 액체가 된다. 이때, 액체가 된 공융염이 거름망을 잘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단부에 위치한 불활성 기체 공급밸브(3)을 통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불활성 기체를 펄스로 공급하면서, 하단부에 위치한 불활성 기체 배출밸브(4)를 통하여 불활성 기체를 배출시킨다. 한편, 불활성기체 공급밸브, 불활성기체 배출밸브 및 진공펌프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된다. 강제 배출을 위한 펌프(6)를 가동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고-액 분리를 실행할 수 있다. 펄스에 의하여 거름망에서 밀려 내려온 공융염들은 고-액 분리컬럼의 하단의 공융염 수집용기(8)에 모이게 되고, 고체의 우라늄 및 일부 제거되지 못한 공융염이 거름망에 남게 되어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장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상부플랜지; 진공증류용 도가니; 상기 상부플랜지를 덮개로 하고, 상기 도가니를 내부에 포함하며, 측면부에는 가열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응축조 및 공융염 수집용기를 포함하는 진공증류탑; 및 상기 진공증류탑 하단 측면부에 구비되는 진공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장치를 도 2에 도시하였고,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증류탑(24)의 상부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상부플랜지(22)와 진공증류 도가니(21)로 구성된다. 상부 플랜지는 기밀이 가능하여 증류탑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진공증류 도가니에 제 1장치에서 걸러지고 남은 잔여 공융염을 가진 우라늄 전착물을 넣고 증류탑에 연결된 진공장치(29)를 이용하여 진공을 걸어 가열하게 되면, 우라늄 전착물 중 공융염들은 증기상태가 된다. 한편, 증류탑 하부는 공융염들을 수집할 수 있는 공융염 회수용기(26)가 있으며, 이 공융염 회수용기를 둘러싸고 있어 증류된 공융염을 냉각할 수 있는 응축조(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장치에 있어서, 거름망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거름망이 스테인레스 스틸인 경우 부식성이 적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장치 또는 제 2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융염수집용기(8) 또는 공융염회수용기(26)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 형태인 수집용기를 사용하면 수집된 공융염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고-액 분리컬럼에서 우라늄 전착물을 가열하고 불활성기체 펄스를 가하여 공융염을 분리하는 단계(단계 1);
분리된 공융염을 냉각시키고 제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공융염이 제거된 우라늄 전착물을 진공증류탑에서 진공상태로 증류하여 공융염을 추가로 증류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 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단계 1은 우라늄 전착물을 가열 및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하여 액상의 공융염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액 분리 컬럼내의 거름망에 우라늄 전착물을 놓고 녹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액체상태의 염을 만들고, 이에 불활성 기체의 펄스를 주기적으로 가한 후 불활성기체를 강제 배출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불활성가스를 제거한다. 결국 거름망의 우라늄 전착물은 녹아 액체가 되고 불활성 기체의 펄스로 인하여 거름망을 빠져나와 공융염수집용기에 모이게 된다.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분리된 공융염을 냉각시키고 제거하는 단계이다. 고-액 분리컬럼의 가열장치를 끄고 냉각한 후 제거된 공융염이 모인 공융염 수집용기 및 우라늄 전착물이 남은 거름망을 고-액 분리 컬럼에서 분리한다.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공융염이 제거된 우라늄 전착물을 진공상태에서 가열하여 공융염을 추가로 증류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진공증류탑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단계 2에서 분리되지 않고 남은 공융염을 포함하는 우라늄 전착물을 진공도가니에 넣고, 상부플랜지로 진공증류탑을 밀폐시킨 후, 진공장치 및 히터를 가동하여, 증발을 통하여 공융염을 제거한다. 제거된 공융염은 증발되어 응축조 회수용기에 모이게 된다. 상기 증류탑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공융염이 제거된 우라늄전착물을 회수한다.
상기 단계 1의 가열은 400 ~ 600 ℃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온도가 400 ℃ 미만인 경우에는 용융염이 녹지 않아 분리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6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융염의 증발손실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단계1의 불활성 기체는 아르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불활성기체 중 값이 저렴하고, 사용 후 핵연료를 취급하는 파이로프로세스의 경우 통상 아르곤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액 분리 컬럼에서 아르곤셀 내부로 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불활성 기체의 펄스는 고-액 분리 컬럼의 하단에 위치한 배출밸브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고-액 분리 컬럼의 상단에 위치한 불활성 기체의 공급부로 불활성 기체의 펄스를 가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활성 기체의 펄스가 가해지는 동안 배출부가 닫혀 있으면 불활성 기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고-액 분리가 잘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에서 고-액 분리 컬럼의 하단에 위치한 불활성기체 배출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고-액 분리 컬럼의 상단에 위치한 불활성기체 공급부로 일정량의 불활성 기체 펄스를 가한 후, 불활성 기체 배출밸브를 짧은 시간동안 열고 진공펌프를 연결하여 불활성 기체를 진공배출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불활성 기체 펄스에 가속을 부여하는 것으로, 펄스를 당겨주어 액체의 공융염이 거름망을 잘 빠져나오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 3의 가열은 700 ~ 900 ℃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온도가 700 ℃ 미만인 경우에는 증발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가 있고, 9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온도로 인하여 증류탑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도면 등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1 : 본체 2 : 히터
3 : 불활성 기체 공급밸브 4 : 불활성 기체 배출밸브
5 : 밸브 및 진공펌프 제어장치 6 : 진공펌프
7 : 거름망 8 : 공융염 수집용기
9 : 공융염 10: 우라늄 전착물
11: 상부플랜지 21: 진공도가니
22: 우라늄전착물 23: 열선
24: 증류탑 25: 응축조
26: 공융염 회수용기 28: 필터
29: 진공펌프

Claims (12)

  1. 우라늄전착물로부터 공융염을 제거하기 위한 고-액 분리 컬럼을 포함하는 제 1장치; 및
    진공증류를 통하여 추가적인 분리를 하기 위한 진공증류탑을 포함하는 제 2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 1장치는 고-액 분리컬럼 내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상부플랜지; 고-액 분리컬럼 내에 위치하고 탈착이 가능한 거름망; 상기 거름망 하부에 위치한 공융염 수집용기; 상기 상부플랜지를 덮개로 하고, 상기 거름망 및 공융염 수집용기를 내부에 포함하며, 측면부에 가열부를 포함하는 고-액 분리컬럼; 상기 컬럼 상단 측면부에 구비되는 불활성기체 공급부; 및 상기 컬럼 하단 측면부에 구비되는 불활성기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 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치는 불활성기체 배출부에 불활성기체의 강제배출을 위한 진공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 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장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상부플랜지; 진공증류용 도가니; 상기 상부플랜지를 덮개로 하고, 상기 도가니를 내부에 포함하며, 측면부에는 가열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응축조 및 공융염 수집용기를 포함하는 진공증류탑; 및 상기 진공증류탑 하단 측면부에 구비되는 진공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 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 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6.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융염수집용기 및 공융염 회수용기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 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7. 고-액 분리컬럼에서 우라늄 전착물을 가열하고, 불활성기체 배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불활성 기체 공급부로 불활성 기체 펄스를 가하는 방법으로 불활성기체 펄스를 가하여 공융염을 분리하는 단계(단계 1);
    분리된 공융염을 냉각시키고 제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공융염이 제거된 우라늄 전착물을 진공증류탑에서 진공상태로 증류하여 공융염을 추가로 증류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 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가열은 400 ~ 600 ℃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불활성기체는 아르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 염 제거방법.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불활성기체 배출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불활성기체 공급부로 불활성기체 펄스를 가한 후, 불활성 기체 배출부를 개방하여 불활성기체를 진공배출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불활성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가열은 700 ~ 1,000 ℃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방법.
KR1020100067442A 2010-07-13 2010-07-13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 KR101225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42A KR101225009B1 (ko) 2010-07-13 2010-07-13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42A KR101225009B1 (ko) 2010-07-13 2010-07-13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88A KR20120006788A (ko) 2012-01-19
KR101225009B1 true KR101225009B1 (ko) 2013-01-22

Family

ID=4561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442A KR101225009B1 (ko) 2010-07-13 2010-07-13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06B1 (ko) * 2012-09-20 2013-09-23 한국원자력연구원 강제 냉각 기능이 구비된 우라늄전착물 염 제거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9383A (ja) * 2002-08-02 2004-03-04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核燃料サイクル施設からの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61262B1 (ko) * 2007-06-29 2008-10-01 한국원자력연구원 희토류 및 tru 핵종을 포함하는 공융염폐기물의 재생장치 및 방법
KR20100034366A (ko) * 2008-09-24 2010-04-01 한국원자력연구원 경막결정화법을 이용한 LiCl염폐기물의 재활용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9383A (ja) * 2002-08-02 2004-03-04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核燃料サイクル施設からの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61262B1 (ko) * 2007-06-29 2008-10-01 한국원자력연구원 희토류 및 tru 핵종을 포함하는 공융염폐기물의 재생장치 및 방법
KR20100034366A (ko) * 2008-09-24 2010-04-01 한국원자력연구원 경막결정화법을 이용한 LiCl염폐기물의 재활용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88A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106B1 (ko) 강제 냉각 기능이 구비된 우라늄전착물 염 제거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Lee et al. Current status of pyroprocessing development at KAERI
Lee et al. Pyroprocessing technology development at KAERI
KR100767053B1 (ko) 금속우라늄의 생산방법 및 동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Lee et al. Korean pyrochemical process R&D activities
Westphal et al. On the development of a distillation process for the electrometallurgical treatment of irradiated spent nuclear fuel
KR101152302B1 (ko)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
KR101089257B1 (ko) 회수염의 재순환이 용이한 우라늄 전착물의 염 제거장치 및 염 제거방법
US6689260B1 (en) Nuclear fuel electrorefiner
KR100880421B1 (ko) 고체-액체 통합형 음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티나이드계원소 회수 방법
JP3940632B2 (ja) ジルコニウム廃棄物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
KR101278213B1 (ko) 다단 다공성 도가니 어셈블리가 장착된 우라늄전착물 염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 방법
KR101178155B1 (ko) 용융염과 카드뮴으로부터의 악티늄족 금속 분리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 회수 방법
KR101225009B1 (ko) 불활성 기체 펄스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
KR101511633B1 (ko) 회전 팔 도가니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우라늄 전착물의 염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 방법
JP5787785B2 (ja) 溶融塩電解装置および溶融塩電解方法
KR101238831B1 (ko) 고액분리컬럼-진공증류탑 일체형 우라늄전착물 염 제거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CN105514400B (zh) 利用废旧镍氢电池制备用于电池负极活性材料储氢合金的方法
CN210495400U (zh) 一种铅液除杂装置
KR101233769B1 (ko)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한 우라늄전착물로부터의 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 제거방법
CN204656254U (zh) 一种铝灰分离机
KR101721530B1 (ko) 사용후 핵연료 처리를 위한 전해회수 일관공정 장치 및 방법
KR101739810B1 (ko) 일체형 전해정련 및 염증류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im et al. High-throughput electrorefining system with graphite cathodes and a bucket-type deposit retriever
CN109022769B (zh) 钨钴合金废料中钨和钴的回收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