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938B1 - 레인지 후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레인지 후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938B1
KR101224938B1 KR1020120078707A KR20120078707A KR101224938B1 KR 101224938 B1 KR101224938 B1 KR 101224938B1 KR 1020120078707 A KR1020120078707 A KR 1020120078707A KR 20120078707 A KR20120078707 A KR 20120078707A KR 101224938 B1 KR101224938 B1 KR 101224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range hood
temperature
burn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훈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이원희
이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희, 이충훈 filed Critical 이원희
Priority to KR102012007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938B1/ko
Priority to PCT/KR2013/005525 priority patent/WO20140142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10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인지후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레인지 후드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버너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와; 가스배관상에 배치되어 가스의 상태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부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가스 감지부 및 온도 감지센서에 연결되어 가스의 공급 및 온도에 따라 가스 배관상의 가스밸브를 개폐하거나 레인지후드의 팬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인지 후드 및 그 제어방법{RANGE HOOD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레인지후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인지 후드에 온도 및 가스 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버너에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상태에 따라 가스밸브를 개폐시키거나, 레인지 후드의 풍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레인지후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인지(Gas range)는 가스 혹은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특히, 가스 레인지는 그 종류가 다양한데, 일반적인 가정의 주방에 설치되는 가정용 가스레인지, 야외에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식당에 설치되도록 대형인 업소용 가스레인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레인지는 통상적으로 열원이 되는 다수개의 버너와; 버너로부터 발생한 연기 혹은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는 레인지 후드와;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배관과; 가스 배관과 버너 사이에서 가스공급량을 조절해주기 위한 가스밸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스레인지의 일 실시예가 특허출원 제 1997-43131호(가스누설탐지 자동배출회로)에 제안된다.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서, 가스나 냄새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부와; 이 가스 감지부에서 검출한 신호를 비교하여 증폭하는 증폭부와; 이 증폭부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팬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부와; 상기 팬 구동부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부저를 구동시키는 부저구동부; 상기 팬구동부와 부저 구동부와 회로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스 감지부가 레인지후드에 공급되는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한 후, 레인지후드의 팬을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가스를 환기시켜서 가스누설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스레인지는 가스가 가스관의 외부로 배출된 후 이를 감지하는 방식이므로, 가스 감지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스레인지는 렌지후드에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렌지의 온도를 감지하여 배기팬을 구동시키는 방식인 바, 단순히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배기팬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구조이므로 다양한 조리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레인지 후드에 센서를 장착하여 온도 및 가스를 감지함으로써, 가스의 개폐 및 레인지후드의 구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레인지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조리물의 온도 혹은 가스량을 열량값으로 환산함으로써 온도에 따라 레인지후드를 구동시키거나 가스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레인지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버너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와;
가스배관상에 배치되어 가스의 상태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부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가스 감지부 및 온도 감지센서에 연결되어 가스의 공급 및 온도에 따라 가스 배관상의 가스밸브를 개폐하거나 레인지후드의 팬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레인지후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배관에 배치된 가스 감지부가, 가스레인지의 버너 손잡이가 개방되고 가스밸브가 개방되기 전의 가스 흐름을 감지하는 제 1단계와; 그리고
제어부가 상기 가스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가스밸브를 개방시키고, 배기팬을 회전시킴으로써 환기를 실시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제 1단계에서 가스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가스흐름을 가스량으로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가스량을 열량으로 환산하는 단계와; 그리고
환산된 열량값과, 레인지후드에 장착된 온도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배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레인지후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 후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레인지 후드의 제어부에 의하여 가스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가스의 압력 혹은 유속에 따라 가스량을 열량으로 환산하고, 이 열량값을 온도 감지센서로부터 접수된 온도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배기팬을 차등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라 효율적으로 환기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레인지 후드에 스모크 센서를 추가로 설치하여 공기의 오염정도를 측정할 수 있음으로 레인지의 온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오염정도도 반영하여 배기팬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레인지 후드에 타이머를 장착하여 가스밸브에 연결함으로써, 타이머를 통하여 목표시간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시간에 자동적으로 가스밸브가 차단될 수 있음으로, 음식물을 태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 후드가 가스 레인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인지 후드의 제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스 레인지 후드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모크 센서가 추가로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레인지 후드의 제어판넬 및 타이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인지 후드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후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스레인지(1)는 열원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너(Burner;3)와; 상기 버너(3)로부터 발생된 냄새 혹은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레인지 후드(Range Hood;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가스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후드(5)는 케이스(7)와; 상기 케이스(7)에 장착되어 조리물 등의 열을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13)와; 가스배관(P)상에 배출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부(11)와; 상기 레인지 후드(5)에 구비되어 가스 감지부(11) 및 온도 감지센서(1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밸브(9)를 개폐하거나 레인지후드(5)의 배기팬(f)을 구동시키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감지부(11)는 레인지 후드(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스배관(P)의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즉, 가스배관(P)의 내부를 흐르는 가스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혹은 가스의 유속을 감지하는 유속센서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버너(3)의 손잡이(Burner Handle;4)를 돌려서 개방시키면, 가스배관(P)의 버너(3)와 가스밸브(Gas valve;9) 사이 구간에 잔류하고 있던 가스가 버너(3)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이때, 가스배관(P) 내부의 가스 압력이 변동되는 바, 압력센서는 이러한 가스압력의 변동을 감지한다.
그리고, 압력센서에 의하여 가스압력의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 압력센서는 렌인지 후드(5)의 제어부(1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0)는 이 신호에 의하여 가스밸브(9)를 온(On) 상태로 개방함으로써 가스가 버너(3)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배기팬(f)을 구동시킴으로써 환기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가스감지부(11)가 유속센서일 수도 있으며, 버너 손잡이(4)를 돌리면 가스배관(P)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던 가스가 버너(3)방향으로 흐르기 시작하고, 유속센서가 이 가스의 흐름으로 인한 유속의 변화량을 감지한다.
그리고, 유속센서에 의하여 가스유속의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 유속센서는 레인지 후드(5)의 제어부(1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0)는 이 신호에 의하여 가스밸브(9)를 온상태로 개방하고, 동시에 배기팬(f)을 구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감지부(11)는 유속센서 혹은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가스의 압력 혹은 유속의 변동을 감지하여 제어부(10)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가스밸브(9)를 온상태로 개방하고, 배기팬(f)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레인지(1)는, 종래와 같이 가스가 버너(3)에 공급되어 발화가 시작된 후, 가스가 누출될 때 이를 감지하여 배기팬(f)을 구동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버너 손잡이(4)가 회전되고 잔류가스가 버너(3)에 공급될 때부터 가스의 유속 혹은 압력을 감지하여 배기팬(f)을 구동시키는 방식이므로 가스의 누출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온도 감지센서(13)는 레인지후드(5)에 구비되어 버너(3)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감지하여 제어부(10)에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레인지 후드(5)에 배치되며, 온도 감지센서(13)의 온도신호와, 가스 감지부(11)로부터 수신된 가스의 압력 혹은 속도신호를 수신하여 연산하고, 이 연산값을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치에 따라 배기팬(f)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0)는 가스 감지부(11) 및 온도 감지센서(13)로부터 전송된 온도신호 및 가스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부(22)와;
상기 입력부(22)에 의하여 입력된 가스의 유속 혹은 압력신호에 의하여 열량을 산출하는 열량 산출부(24)와;
상기 열량 산출부(24)의 결과치와 입력부(22)에 의하여 입력된 온도신호를 조합하여 연산된 결과값에 따라 배기팬(f)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연산부(26)와;
상기 연산부(26)에 의하여 연산된 결과에 따라 배기팬(f) 혹은 가스밸브(9)에 신호를 전달하여 온/오프 시키는 출력부(2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어부(10)에 있어서, 상기 열량 산출부(24)는 압력센서 혹은 유속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에 따라 가스의 량을 연산하고, 이 연산된 가스량을 열량으로 환산함으로써 가스레인지(1)의 온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센서 혹은 유속센서의 결과값에 의하여 단위 시간당 가스배관(P)을 통과하는 가스의 량을 연산할 수 있다. 즉, 가스의 압력값과, 가스배관(P)의 직경을 알게 되면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단위 시간당 가스배관(P)을 통과하는 가스의 량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가스의 유속을 하는 경우,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하여 단위 시간당 가스배관(P)을 통과하는 가스의 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의 량을 연산한 후, 이 값을 열량으로 환산하게 된다. 이때, 단위 량당 가스의 열량값은 열량 산출부(24)에 미리 설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열량 산출부(24)는 가스의 량을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값에 의하여 열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26)는 이러한 열량값에 의하여 현재 버너(3)의 발화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배기팬(f)을 회전시킨다.
즉, 연산부(26)는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된 온도와 열량 산출부(24)로부터 연산된 온도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배기팬(f)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더 높은 경우에는, 버너(3)의 발화로 인한 온도 보다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는 버너(3) 자체의 발화로 인한 것이라기 보다는 레인지 이외의 다른 장소에서 전달된 열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팬(f)을 보다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열량 산출부(24)의 온도값이 더 높은 경우에는, 버너(3)에서는 급격한 발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이 열이 레인지후드(5)에는 도달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배기팬(f)을 미리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환기를 실시하여 열을 효율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온도센서의 온도값과 열량 산출부(24)의 온도값이 유사한 경우에는, 버너(3)에서 발생된 열이 원활하게 레인지후드(5)를 통하여 배기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는 배기팬(f)을 중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현재 상태의 열 흐름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산부(26)는 온도센서 및 열량 산출부(24)의 온도값을 비교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기팬(f)을 적절한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레인지의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후드(5)에 스모크 센서(Smoke Sensor;30)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온도와, 공기의 오염 농도와, 배기팬(f)의 회전수에 따라 가스밸브(9)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레인지후드(5)에 온도 감지센서(13)와 스모크 센서(30)를 장착하고, 이들 구성요소들을 제어부(10) 및 가스밸브(9)에 연결한다.
상기 스모크 센서(30)는 레인지로부터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감광식, 광산란식, 이온화식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모크 센서(30)는 연기를 감지하고, 이를 전압값으로 표시함으로써 레인지 주위의 연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감지하게 되며, 제어부(10)에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 제어부(10)는 배기팬(f)의 회전수를 감지함으로써 현재 배기팬(f)의 구동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어부(10)는 온도 감지센서(13)에 의하여 얻어진 온도값과, 스모크 센서(30)에 의하여 얻어진 공기 오염정도와, 배기팬(f)의 회전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 결과값들을 서로 조합하고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가스밸브(9)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조리온도가 65도이고, 스모크센서의 입력 값이 3.5V이고 , 배기팬(f)이 5단인 경우에는 가스밸브(9)를 폐쇄한다.
그리고, 조리온도가 70도이고, 스모크센서의 입력 값이 3V이고, 배기팬(f)이 2단인 경우에도 가스밸브(9)를 폐쇄한다.
또한, 조리온도가 90도이고, 스모크센서의 입력 값이 1V이고, 배기팬(f)이 정지한 경우에도 가스밸브(9)를 폐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온도 감지센서(13)와, 스모크 센서(30)와, 배기팬(f)의 회전수에 따라 가스밸브(9)를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레인지 후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레인지 후드에 타이머(17)가 장착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때, 상기 타이머(17)는 증감 스위치를 통하여 목표로 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타이머(17)는 제어부(10)를 통하여 가스밸브(9)와 연결된다.
따라서, 타이머(17)를 통하여 목표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0)가 가스밸브(9)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설정시간에 따라 가스밸브(9)를 차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스밸브(9)는 타이머(17)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음식물을 태우지 않고, 또한 외출시에도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인지 후드(5)의 제어방법은 가스배관(P)에 배치된 가스 감지부(11)가 가스 흐름을 감지하는 제 1단계(S100)와; 그리고 제어부(10)가 상기 가스 감지부(1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가스밸브(9)를 개방시키고, 배기팬(f)을 회전시킴으로써 환기를 실시하는 제 2단계(S11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단계(S100)에 있어서, 가스레인지(1)를 작동시키는 경우, 먼저 사용자가 버너 손잡이(4)를 돌려서 개방시킨다. 버너 손잡이(4)가 개방되면, 가스배관(P)의 버너(5)와 가스밸브(9) 사이 구간에 잔류하고 있던 가스가 버너(3)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가스배관(P)에 장착된 압력센서 혹은 유속센서가 가스의 압력변동 혹은 유속변동을 감지하여 제어부(10)에 신호를 전송한다.
제 2단계(S110)에서는 레인지 후드(5)의 제어부(10)가 이 신호에 의하여 가스밸브(9)를 온(On) 상태로 개방함으로써 가스가 버너(3)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배기팬(f)을 구동시킴으로써 환기를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레인지(1)는, 종래와 같이 가스가 버너(3)에 공급되어 발화가 시작된 후, 가스가 누출될 때 이를 감지하여 배기팬(f)을 구동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가스레인지(1)의 버너 손잡이(4)가 회전되어 가스가 공급될 때부터 가스의 유속 혹은 압력을 감지하여 배기팬(f)을 구동시키는 방식이므로 가스의 누출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 2단계(S110)에서는 제어부(10)가 레인지후드(5)의 온도 감지센서(13)로 부터 수신된 온도신호와, 가스 감지부(11)로부터 수신된 압력 혹은 속도신호를 조합하고, 이에 따라 배기팬(f)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2단계(S110)는 상기 제 1단계(S100)에서 가스 감지부(11)에 의하여 감지된 가스흐름을 가스량으로 연산하는 단계(S120)와; 연산된 가스량을 열량으로 환산하는 단계(S130)와; 그리고 환산된 열량값과, 레인지후드(5)에 장착된 온도 감지센서(13)로부터 수신된 온도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배기팬(f)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단계(S14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가스량을 연산하는 단계(S120)에서는, 제어부(10)의 열량 산출부(24)가 압력센서 혹은 유속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에 따라 가스의 량을 연산한다.
그리고, 열량으로 환산하는 단계(S130)에서는, 이 연산된 가스량을 열량으로 환산함으로써 레인지의 온도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량값으로 환산한 후, 연산부(26)는 열량값과 온도 감지센서(13)의 온도값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현재 버너(3)의 발화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배기팬(f)을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더 높은 경우에는, 버너(3)의 발화로 인한 것이라기 보다는 레인지 이외의 다른 장소에서 전달된 열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으로, 배기팬(f)을 보다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열량 산출부(24)의 온도값이 더 높은 경우에는, 버너(3)에서는 급격한 발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이 열이 레인지후드(5)에는 도달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배기팬(f)을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온도 감지센서(13)의 온도값과 열량 산출부(24)의 온도값이 유사한 경우에는, 버너(3)에서 발생된 열이 원활하게 레인지후드(5)를 통하여 배기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는 배기팬(f)을 중속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레인지후드(5)에 스모크 센서(30)를 장착한 경우에는 레인지후드(5) 주위에 잔류하는 연기를 감지하여 배기팬(f)의 회전수를 조절하게 된다.
즉, 제어부(10)는 온도 감지센서(13)에 의하여 얻어진 온도값과, 스모크 센서(30)에 의하여 얻어진 공기 오염정도와, 배기팬(f)의 회전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 결과값들을 서로 조합함으로써 가스밸브(9)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조리온도가 65도이고, 스모크센서의 입력 값이 3.5V이고 , 배기팬(f)이 5단인 경우, 혹은 조리온도가 70도이고, 스모크센서의 입력 값이 3V이고, 배기팬(f)이 2단인 경우, 혹은 조리온도가 90도이고, 스모크센서의 입력 값이 1V이고, 배기팬(f)이 정지한 경우 가스밸브(9)를 폐쇄한다.
결과적으로, 제어부(10)는 가스레인지(1)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에도 열기 혹은 연기가 잔류하는 경우에는 온도 감지센서(13)와 스모크 센서(30)에 의하여 이를 감지함으로써 가스밸브(9)를 폐쇄하고 배기팬(f)을 구동시킴으로써 추가적인 환기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레인지 후드에 타이머(17)가 장착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증감 스위치를 통하여 목표로 하는 시간을 설정한다. 설정된 시간은 제어부에 저장되며, 제어부(10)는 가스밸브(9)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밸브(9)는 이 신호에 의하여 가스배관(P)을 개폐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스밸브(9)는 타이머(17)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음식물을 태우지 않고, 또한 외출시에도 편리하다.
1: 가스 레인지 3: 버너
5: 레인지 후드 9: 가스밸브
10: 제어부 11: 가스 감지부

Claims (9)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버너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와;
    가스밸브와 버너 사이의 가스배관상에 배치되며, 버너 손잡이가 개방되어 발화되기 전, 가스밸브와 버너사이 구간에 잔류하는 가스가 버너로 흐르는 것을 감지하는 가스 감지부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 감지부 및 온도 감지센서에 연결되어 발화 후에는 가스의 공급 및 온도에 따라 가스 배관상의 가스밸브를 개폐하거나 레인지후드의 팬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버너 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잔류가스가 상기 버너로 흐를 때 상기 가스 감지부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레인지 후드의 팬을 미리 구동시킴으로써 환기를 실시하고,
    발화 후에는 상기 온도 감지센서의 온도신호와 가스 감지부의 신호에 의하여 레인지후드의 팬을 구동시키는 레인지 후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발화 후에는 가스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가스량을 연산하고, 상기 가스량을 열량으로 환산함으로써 이 열량값을 상기 온도 감지센서의 온도신호와 비교 판단하여 발화로 인한 온도인지 혹은 주위의 열로 인한 온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레인지 후드의 팬을 차등적으로 구동시키는 레인지후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감지부는 가스의 유속을 감지하는 유속센서, 혹은 가스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레인지후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스 감지부 및 온도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온도신호 및 가스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가스의 유속 혹은 압력신호에 의하여 열량을 산출하는 열량 산출부와; 상기 열량 산출부의 결과치와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온도신호를 조합하여 연산된 결과값에 따라 배기팬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 의하여 연산된 결과에 따라 배기팬 혹은 가스밸브에 신호를 전달하여 온/오프 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레인지후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후드에 스모크 센서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레인지후드 주위의 연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신호와 스모크 센서의 신호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레인지 후드의 팬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제어부는 상기 가스밸브에 연결되는 타이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목표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가스밸브가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는 레인지 후드.
  7. 가스배관에 배치된 가스 감지부가, 가스레인지의 버너 손잡이가 개방되어 발화되기 전, 가스밸브와 버너사이에 잔류하는 가스의 흐름을 감지하는 제 1단계와; 그리고
    제어부가 상기 가스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가스밸브를 개방시키고, 배기팬을 회전시킴으로써 환기를 실시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제 1단계에서 가스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가스흐름을 가스량으로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가스량을 열량으로 환산하는 단계와; 그리고
    환산된 열량값과, 레인지후드에 장착된 온도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발화 후에는 발화로 인한 온도인지 혹은 주위의 열로 인한 온도인지를 판단하여 레인지후드의 배기팬을 차등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레인지후드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제 1단계에서 가스 감지부는 가스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가스의 압력 혹은 유속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의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레인지후드에 스모크 센서를 더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신호와, 스모크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온도, 공기오염정도에 따라 상기 배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레인지후드의 제어방법.
KR1020120078707A 2012-07-19 2012-07-19 레인지 후드 및 그 제어방법 KR101224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707A KR101224938B1 (ko) 2012-07-19 2012-07-19 레인지 후드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3/005525 WO2014014210A1 (ko) 2012-07-19 2013-06-24 레인지 후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707A KR101224938B1 (ko) 2012-07-19 2012-07-19 레인지 후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938B1 true KR101224938B1 (ko) 2013-01-22

Family

ID=4784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707A KR101224938B1 (ko) 2012-07-19 2012-07-19 레인지 후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93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252B1 (ko) * 2013-05-06 2014-09-11 이충훈 레인지 후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07576B1 (ko) * 2014-07-23 2016-03-30 주식회사 가나테크 스마트 렌지후드 시스템
WO2016099123A1 (ko) * 2014-12-15 2016-06-23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환기 팬 및 가스 차단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81314Y1 (ko) * 2015-09-25 2016-09-09 옥근호 건축물 외부 결합용 위생 및 편의성 확보장치
KR101840139B1 (ko) 2016-12-23 2018-03-1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주방용 배기 시스템
KR101930642B1 (ko) 2017-08-25 2018-12-18 주식회사 엔텍 후드 풍량 조절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076242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엔텍 하이브리드 레인지후드
KR102151614B1 (ko) * 2019-07-19 2020-09-03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가스레인지 또는 전기레인지용 후드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자동소화장치 연동시스템
KR20210008651A (ko) * 2019-07-15 2021-01-25 주식회사 가나테크 하이브리드 렌지후드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099A (ko) * 1995-11-21 1997-06-24 이영서 가스레인지의 레인지후드 가스차단장치 및 제어 방법
KR19990027493A (ko) * 1997-09-30 1999-04-15 전주범 가스보일러의 난방제어방법
KR20100093920A (ko) * 2009-02-17 2010-08-26 (주)서브제로코리아 레인지 후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2409A (ko) *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지앤매직 중간 가스 밸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099A (ko) * 1995-11-21 1997-06-24 이영서 가스레인지의 레인지후드 가스차단장치 및 제어 방법
KR19990027493A (ko) * 1997-09-30 1999-04-15 전주범 가스보일러의 난방제어방법
KR20100093920A (ko) * 2009-02-17 2010-08-26 (주)서브제로코리아 레인지 후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2409A (ko) *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지앤매직 중간 가스 밸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252B1 (ko) * 2013-05-06 2014-09-11 이충훈 레인지 후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07576B1 (ko) * 2014-07-23 2016-03-30 주식회사 가나테크 스마트 렌지후드 시스템
WO2016099123A1 (ko) * 2014-12-15 2016-06-23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환기 팬 및 가스 차단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2934A (ko) * 2014-12-15 2016-06-24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환기 팬 및 가스 차단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41347B1 (ko) * 2014-12-15 2016-07-21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환기 팬 및 가스 차단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81314Y1 (ko) * 2015-09-25 2016-09-09 옥근호 건축물 외부 결합용 위생 및 편의성 확보장치
KR101840139B1 (ko) 2016-12-23 2018-03-1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주방용 배기 시스템
KR101930642B1 (ko) 2017-08-25 2018-12-18 주식회사 엔텍 후드 풍량 조절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076242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엔텍 하이브리드 레인지후드
KR101998489B1 (ko) * 2017-12-22 2019-07-10 주식회사 엔텍 하이브리드 레인지후드
KR20210008651A (ko) * 2019-07-15 2021-01-25 주식회사 가나테크 하이브리드 렌지후드 제어 시스템
KR102248633B1 (ko) * 2019-07-15 2021-05-06 주식회사 가나테크 하이브리드 렌지후드 제어 시스템
KR102151614B1 (ko) * 2019-07-19 2020-09-03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가스레인지 또는 전기레인지용 후드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자동소화장치 연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938B1 (ko) 레인지 후드 및 그 제어방법
CN109028593B (zh) 燃气采暖热水炉空燃比控制方法、装置及燃气采暖热水炉
KR101911820B1 (ko)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 및 제어방법
WO2019145854A1 (en) System for optimizing the combustion process of a stove/boiler, particularly a pellet-fired one
WO2014014210A1 (ko) 레인지 후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29896B1 (ko) 보일러의 연소불량 감시방법
KR101439252B1 (ko) 레인지 후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07576B1 (ko) 스마트 렌지후드 시스템
KR20050118068A (ko) 가스누출 방지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가스누출 방지 방법
JP5925224B2 (ja) 給湯システム
KR20170108776A (ko) 센서가 부착된 가스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JP3736929B2 (ja) 燃焼装置
JP2006284095A (ja) 排気フードシステム
TWI540289B (zh)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gas appliance
KR102248633B1 (ko) 하이브리드 렌지후드 제어 시스템
KR20120078960A (ko)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591914B2 (ja) 換気制御システム
JP2006010093A (ja) 燃焼装置
KR100234054B1 (ko) 난방기의 송풍팬 제어방법
JP2010270948A (ja) ガス燃焼装置
JP6964543B2 (ja) 燃焼装置
JP4529199B2 (ja) ガス遮断制御装置
GB2611322A (en) Ventilation demand control
JP2023009946A (ja) 燃焼装置
CN206020357U (zh) 一种通风管道耐火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