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695B1 -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695B1
KR101224695B1 KR1020100061796A KR20100061796A KR101224695B1 KR 101224695 B1 KR101224695 B1 KR 101224695B1 KR 1020100061796 A KR1020100061796 A KR 1020100061796A KR 20100061796 A KR20100061796 A KR 20100061796A KR 101224695 B1 KR101224695 B1 KR 101224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under
hyperlipidemia
composition
activity
flat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144A (ko
Inventor
조순영
방효민
김옥선
최용석
권준구
이승주
하왕현
최혜진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6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는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간 기능 보호효과, 혈중 과산화지질량 감소, 높은 항산화 활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조직의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 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salted flatfish or flatfish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and atherosclerotic-vascular diseases}
본 발명은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이기완 외 4, 한국인의 식생활 100년 평가(Ⅰ), 신광출판사, 1998
[문헌 2] 김은경 외 4, 생활주기영양학. 신광출판사, 2005
[문헌 3] 조성희, 지질과 동맥경화증,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1), pp.170-179, 1994
[문헌 4] 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연구소, 영양과 특수질병과의 상관관계 연구, 1988
[문헌 5] Illingworth, D. R. et al,,, Atherosclerosis, 4, p.270, 1984
[문헌 6] Eddy, N. B. et al,,, Synthetic analgesics. II. Dithienylbutenyl- and dithienylbutylamines. J Pharmacol Exp Ther. 107(3), pp.385-393, 1953
[문헌 7] D,Amour, F.E., et al,,, A method for determining loss of pain sensation. J. Pharmacol. Exp. Ther. 72, p.74, 1941
[문헌 8] Imad Damaj, M. et al,,, Tolerance to the antinoceptive effect of epibatine after acute and chronic administration in mice. Euorpian J Pharmacol. 300, pp.51-57, 1996
[문헌 9] 김송전, 김만수. ω-3지방산이 콜레스테롤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1991
[문헌 10] 백인경 외, 인슐린비의존형당뇨병 환자에서 어유 투여량이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6(6), pp.672-679, 1993
[문헌 11] Schoen FJ et al.,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 th ed ., pp.473-484, 1994
[문헌 12] 국승래 외, 가정의학회지, 18(3), pp.317-327, 1997
[문헌 13] Ham IH et al., Kor. J, Herbology, 20, pp.45-52, 2005
[문헌 14] Lee HH et al., Kor. J. Anesthesiol, 40, pp.515-521, 2001
[문헌 15] Choi JY et al., J. Kor. Pharm. Sci., 18, pp.240-241, 1988
[문헌 16] Kim KK et al., J. Kor. Pharm. Sci., 28, pp.15-23, 1998
[문헌 17] Nash VJ et al., Pharmacotherapy, 16, pp.10-15, 1996
[문헌 18] Stellato C. et al., Br. J. Anaesth., 67, pp.751-758, 1991
상기 제 3단계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춧가루, 다진 마늘, 생강즙의 상대적 배합 중량비(w/w)가 1~10 : 5~20 : 1~3, 바람직하게는 2~5 : 5~10 : 1~3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문헌 20] Rhee, S.K., et al,,, Lipid Content of Different Sec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pp.82-88, 2001
[문헌 21] 김소미 외, 누구나 알아두면 좋을 우리생선 이야기, 효일, 2002
[문헌 22] Oh, S.H., Kim, D.J, .The Change in Content of Constitutive Lipid and Fatty Acid of Pacific Saury during Natural Freezing Dry(Kwa Mae Kee), Korean J. Food & Nutrition, pp.239-252, 1995
[문헌 23] 박건영, 최홍식. 김치의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성. 김치의 과학. 한국식품과학회 심포지움. p 205-225(1994)
[문헌 24] 신동화. 천연 항균성 물질의 연구현황과 식품가공에의 이용. 식품과학과 산업 23: 68-77(1990)
[문헌 25] 오연주, 황인주, Claus Leitzmann. 김치의 영양생리학적평가. 김치의 과학. 한국식품과학회 심포지엄. p 226-245.(1994)
[문헌 26] 임무현, 강주희 외, 가자미 식해에 관한 硏究 Kor. J. Appl. Microbiol. Bioeng. Vol. 11 , No.1, 53-58(1983)
[문헌 27] Aebi, H. Catalase in Method of enzymatic analysis(H. U. vergmeter, ed.). Academic press, New York., 2, p673(1974)
[문헌 28] Berga L. and Broida D.: Sigma Technical Bulletin, 500-8-60(1960)
[문헌 29] Britton, C., Helmut, S. and Alberto, B. Hydroperoxide metablism in mammalian organ. Physiol. Rev. 59, p527-605.(1979)
Ellman, G, L. : Tissue sulfhydryl grorp. Arch. Biochem. Biophys. 82, 70-77, (1959)
[문헌 30] Habig, W. H., M. J. Pabst, and W. B. Jakoby.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first enzymatic step in mercapturic acid and formation.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49(22): 7130-7139(1974)
[문헌 31] Ishinaga M, sugiyama S, Mochizuki T. daily intake of fatty acids, sterols, and phospholipids by Japanese women and serum cholesterol. J Nutr Sci Vitaminol 40, p557-567.(1994)
속초시에서 어획한 물가자미는 머리, 내장, 꼬리를 제거한 가자미를 수세하고 재제염(강릉시 농협 하나로마트)과 해양심층수소금(수심 1032m, 워터비스)을 각각 달리 사용(같은양)하여 소금으로 염장(20%)하여 10℃에서 48시간 동안 소건하여 세척 후 물기를 제거 후 고춧가루, 다진 마늘, 생강즙을 일정비(3:7:2)로 상호 혼합, 조밥을 고들고들 식혀서 넣은 후 10℃에서 1주일간 숙성. 설탕과 소금의 비율을 1:1로 무절임(3~4시간)한 무를 넣은 후 10℃에서 1일간 숙성시켜 가자미식해를 제조하여 멸균팩에 보관후 25(±0.5)℃에서 9일간 보관하며 사용하였다.
[문헌 33] Kind, P. R. N. and King, E. J.: Estimation of plasma phosphatase by determination of hydrolyzed phenol with aminoantipyrine. J. Clin. Pathol., 7, 322-326(1954)
[문헌 34] Lee CH, Cho TS, Lim MH, Kang JW, Yang HC. Studies on the sik-hae ferment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eng15: 150-157.(1983)
[문헌 35] Lowry, O. H., N. J. Rosebrough, A. L. Farr and R. J. Rendall. :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256, p9994-9998 (1951)
[문헌 36] Mize CE, Langdon RG: Hepatic glutathione reductase I. Purification and general kinetic properties. J Biol Chem, 237, 1589-1595(1962)
[문헌 37] Ohkawa, H., Ohishi, N. and Yaki, K. : Assay for lipid peroxide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p351. (1979)
[문헌 38] Oyanagui, Y : Reevaluation of assay methods and establishment of Kit for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al. Biochem., 42, p290, (1984)
[문헌 39] Pagila, E. D. and Valentine, W. N. :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s glutathione peroxidase. J. Lab. Clin. Med., 70, p158. (1967)
[문헌 40] Reitman, S. and Frankel, S. A color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iutamic oxaloactic and gli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8: 56-63(1957)
[문헌 41] Richman PG, Meister A. Regulation of γ-glutamylcysteine synthetase by nonallosteric feedback inhibition by glutathione. J Biol Chem. 250:14221426(1975)
[문헌 42] Souane M, Kim YB, Lee CH. 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gajami sik-hae fermant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eng15: 150-157(1987)
[문헌 43] Szasz, G. : A kinetic photometric method for serum -glutamyl transpeptidase. Clin. Chem. 15, 124-135(1969)
[문헌 44] Wiesner, I. S., M. H. Rawnsley, F. P. Brook and J. R. Senior. Sorbitol dehydrogenase in the diagnosis of liver disease. Amer. J. Digest. Dis. 10(2): 147(1965)
질병은 인간생활의 한 부분으로 시대의 변천에 따라 그 양상도 변해왔다. 지난 100년간 우리 사회가 겪어온 경제적인 발전 및 고도의 산업화, 급격한 인구 증가 및 밀집화, 환경과 보건위생의 개선, 그리고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 등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도 우리 국민의 질병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우리나라 질병구조는 감염성 질환에서 성인병 시대로 이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질병 이환수준과 사망수준도 달라지고 있다(이기완 외 4, 한국인의 식생활 100년 평가(Ⅰ), 신광출판사, 1998). 한국인의 사인(死因)구조를 보면 1950년대 이전에는 결핵, 기관지염, 위장염, 등이 상위를 차지하였으나 1997년 사인 구성비를 보면 제1순위는 순환기계 질환(고혈압성질환, 뇌혈관 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동맥경화 등)으로 전체 사망의 23.4%를 차지하고 있다(김은경 외 4, 생활주기영양학. 신광출판사, 2005). 심장혈관계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장년층 조기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전 및 여러 환경 요소들에 의하여 발생되는 다요인적 질병으로 지질 영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조성희, 지질과 동맥경화증,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1), pp.170-179, 1994; 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연구소, 영양과 특수질병과의 상관관계 연구, 1988).
혈청 지질의 농도가 정상보다 많은 경우를 고지혈증이라고 말하며(Illingworth, D. R. et al,,, Atherosclerosis, 4, p.270, 1984), 이러한 증상은 소장에서의 중성지방의 합성 증가, 간에서의 중성지방의 합성 증가, HDL-cholesterol의 합성 감소, VDL-cholesterol 합성 및 분비 증가(Eddy, N. B. et al,,, Synthetic analgesics. II. Dithienylbutenyl- and dithienylbutylamines. J Pharmacol Exp Ther. 107(3), pp.385-393, 1953; D,Amour, F.E., et al,,, A method for determining loss of pain sensation. J. Pharmacol. Exp. Ther. 72, p.74, 1941; Imad Damaj, M. et al,,, Tolerance to the antinoceptive effect of epibatine after acute and chronic administration in mice. Euorpian J Pharmacol. 300, pp.51-57, 1996) 또는 지질과산화에 따른 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발병된다(김송전, 김만수. ω-3지방산이 콜레스테롤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1991; 백인경 외, 인슐린비의존형당뇨병 환자에서 어유 투여량이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6(6), pp.672-679, 1993).
고지혈증 (hyperlipidemia)에 있어 증가된 혈청 지질성분의 주요 성분은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및 유리지방산 등의 지용성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지질 물질 중 어느 것이 주로 증가하느냐에 따라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inemia), 고중성지질혈증 (hypertriglyceridemia) 등으로 불려진다. 혈청 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증가가 고지혈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취급되고 있는데, 과다한 지방질의 축적으로 혈액순환장애 및 미세순환부전을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죽상동맥경화증, 허혈성 심질환, 뇌경색, 고혈압, 비만, 당뇨병 등을 초래할 수 있다(Schoen FJ et al.,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 th ed ., pp.473-484, 1994).
콜레스테롤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며, 지단백(lipoprotein)이라는 작고 둥근 입자형태로 혈액 중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 지단백이 콜레스테롤을 우리 몸 곳곳으로 운반한다. 지단백에는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 및 고밀도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HDL) 두 종류가 있으며, 고밀도지단백은 다른 조직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기 때문에 고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 등에서 콜레스테롤이 제거되며, 반면 저밀도지단백은 간에서 주로 생성되어 인체의 다른 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므로 저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많이 쌓여서 동맥경화가 촉진되며, 혈중 콜레스테롤의 약 70%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으로 존재한다.
실제적으로 콜레스테롤은 인체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필수적인 구성 성분이며, 세포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영양소이고, 부신피질 호르몬, 남성 호르몬, 여성 호르몬 등 여러 가지 호르몬의 재료가 되는 성분이며, 담즙을 만드는 재료가 된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동시에 호르몬 합성의 출발물질로 쓰이는 등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과다 섭취 시 혈관 내에 축적되어 심장계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는 저콜레스테롤 식이요법 외에는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콜레스테롤 저하제 등의 약품 복용이 효과는 있으나, 콜레스테롤 합성효소의 작용억제에 따른 간 기능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인체 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는 키토산(chitosan), 피토스테롤(phytosterol), 이노시톨(inositol), 펙틴(pectin) 등이 있으나, 피토스테롤을 제외한 경우는 그 효과나 대사 기작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식물성 스테롤인 피토스테롤은 콜레스테롤과의 구조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해로운 저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과의 경쟁을 통하여 인체 내 콜레스테롤 흡수 대사를 저해하는 작용 기작이 이미 밝혀져 있고, 식품첨가물로서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이 되어 있다.
고지혈증 치료제는 지나친 혈중 지질, 특히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수치를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지질 대사에 사용되는 주요 약들은 스타틴, 담즙산 차단제, 피브르산 유도체 등이 있으며, 이 약들은 각각 다른 기전으로 작용한다. 고지혈증 치료제의 선택은 증가된 지단백의 종류에 따라서 이들 약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이들은 매일 경구로 장기간 복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약들은 콜레스테롤과 혈중 지질 농도를 효과적으로 떨어뜨리지만,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스타틴의 경우 구역, 두통, 복통과 설사나 변비가 나타날 수 있어 근육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고 담즙산 차단제는 비타민 A, D, K의 장 흡수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들 비타민 보충이 필요하다. 그리고 피브르산 유도체는 신장 질환, 간질환 또는 담낭 질환에는 부적합한 약이다. 따라서 이들 제제를 대신할 의약품 및 천연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국승래 외, 가정의학회지, 18(3), pp.317-327, 1997).
동맥경화는 뇌졸중과 관상동맥질환 같은 혈관질환의 원인이 된다. 특히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협심증 및 급성 심근경색증은 지난 20-30년 동안 급격한 사회적, 경제적 발전과 서구화된 생활방식 등으로 인해 현저히 증가하여 왔다. 동맥경화는 현재 순환기 질환 중 고혈압 다음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며 암과 함께 사망원인으로 큰 비중을 차지함으로서 국민보건 상 가장 중요한 질환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동맥경화의 병인 기전 및 치료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동맥경화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혈장 지질, 특히 혈장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중성지질의 상승이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고지혈증은 동맥경화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허혈성심질환과 뇌혈관장애 등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는 병태로서 임상상으로도 중요하다. 동맥경화 예방에는 지질 개선과 고지혈증의 개선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실험적 고지혈증의 병태 모델은 크게 외인성 모델과 내인성 모델로 나누어진다. 외인성 고지혈증 병태 모델로는 고콜레스테롤식이 부하에 의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모델, 즉 비타민D, 콜레스테롤, 올리브유, 옥수수유 등의 투여에 의한 고지혈증 모델이 있고, 내인성 고지혈증 모델로는 과당(fructose)투여 및 WR-1339(Tripton WR-1339) 투여에 의한 모델 등이 있다(Ham IH et al., Kor. J, Herbology, 20, pp.45-52, 2005). 그 중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은 마취제의 유화제(Lee HH et al., Kor. J. Anesthesiol, 40, pp.515-521, 2001), 난용성 약물 용해제(Choi JY et al., J. Kor. Pharm. Sci., 18, pp.240-241, 1988), 피부연고제(Kim KK et al., J. Kor. Pharm. Sci., 28, pp.15-23, 1998)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인체 내 투여 시 지질이 증가하며 특히 중성지질이 증가됨으로써 고지혈증을 유발한다. 폴록사머 주입 후 최소 24시간 동안 지질세포(adipocyte)에서 유리지방산이 생성되며(Nash VJ et al., Pharmacotherapy, 16, pp.10-15, 1996), 지단백 분해효소(lipoprotein lipase, LPL)의 작용을 방해하는 중성지질의 분해속도를 감소시키고(Stellato C. et al., Br. J. Anaesth., 67, pp.751-758, 1991),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이 증가되는데 이는 간에서의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보조효소 A(HMG-CoA; 3-hydroxy-3-methylglutaryl CoA)의 활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Wout G. M. et al., J. Paren. Sci. Technol., 46, pp.192-200, 1992).
혈중 지질과산화는 세포독성을 초래하여 노화현상이나 이에 따른 각종 질환의 병리 현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독기구의 작용으로 무독화된다고 한다(Rhee, S.K., et al,,, Lipid Content of Different Sec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pp.82-88, 2001; 김소미 외, 누구나 알아두면 좋을 우리생선 이야기, 효일, 2002; Oh, S.H., Kim, D.J, .The Change in Content of Constitutive Lipid and Fatty Acid of Pacific Saury during Natural Freezing Dry(Kwa Mae Kee), Korean J. Food & Nutrition, pp.239-252, 1995).
가자미(flatfish)는 가자미목 가자미과 어류의 총칭으로 가자미목에 속하는 넙치류, 가자미류, 서대류를 모두 포함하며, 넙치, 도다리, 서대 등의 몇 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가자미로 총칭한다. 전세계적으로 망둑어류 다음으로 종이 많아 약 520여종이 달하며, 한국에서도 서대류, 넙치류를 제외하고 지금까지 약 30여종이 알려져 있고, 온대와 한 대에서 분포하며, 눈이 있는 쪽을 위로 향하고 바다 밑에서 서식하며, 눈이 있는 쪽은 주위의 색에 따라 변하여 보호색이 되는 경우 많다. 몸은 한 쪽은 거무스름하고 다른 쪽은 희며, 달걀 모양으로 매우 납작한 게 특징이다.
예로부터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일본 및 동남아 제국에서 젓갈 발효식품을 널리 이용해 왔다. 우리나라에서의 젓갈에 대한 문헌상의 기원은 신라 신문왕 3년(683년)에 왕비를 맞이할 때 폐백품에 解(젓갈 해)가 들어 있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처음이었고, 조선시대 어업의 발달과 함께 김치의 제조에 젓갈을 사용하였으며, 이후에는 어패류와 소금만으로 담근 지염해(현재의 젓갈)와 소금과 맥아 그리고 익힌 곡류를 침장원으로 한 식해류(생선식혜)로 대별되면서 그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젓갈은 어패류에 식염을 가하여 염장함으로서 부패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자가소화효소 또는 미생물의 효소작용에 의해 육질을 분해시킨 우리나라 전통의 수산 발효식품으로,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특별한 제조장치도 필요하지 않으며, 숙성 후의 제품은 독특한 감칠맛을 가지고 있어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밑반찬이나 김치의 조미 소재로 많이 보급되어왔다. 그러나 젓갈은 전통적으로 고농도의 식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식염의 주성분이 성인병을 가져오는 원인의 하나라는 사실이 밝혀진 이래로 소비자들이 기피하고 있어, 저염 젓갈의 제품과가 절실한 실정이다.
식해(食)는 옛부터 전해오는 저장성 수산발효식품으로 생선과 식염외에 곡물의 첨가로 유산발효를 일으켜 숙성기간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젓갈에 김치맛이 가미되어 독특한 맛과 풍미로 비린내 억제 효과를 갖고 있으며 젓갈보다 염도가 비교적 낮은 식품이다(임무현, 강주희 et al., 1983). 김치와 발효원리가 같고 첨가되는 부재료가 유사한 식해에서도 김치에서와 똑같은 생리기능적 특성, 고춧가루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와 유산균, 식이섬유소 및 마늘에 의한 항암효과(오연주, 황인주, Claus Leitzmann., 1994)(신동화, 1990)(박건영 et al., 1994)가 기대된다. 식해는 전통발효식품으로서 우리의 입맛에 맞을 뿐 아니라 영양학적 측면이나, 시장성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이 기대된다. 하지만 식해에 관한 연구는 최근 일반적인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Lee CH, Cho TS et al., 1983)(Souane M, Kim YB, Lee CH., 1987)(Jung HS, Lee SH, Woo KL.1992) 기능성 확인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에 의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개선 및 동맥경화성 심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가 Aminotansferase(AST, ALT), sorbitol dehydrogenase(SDH),γ-Glutamyltransferase(γ-GT), Alkaline phosphatase(ALP), Lactate dehydrogenase(LDH) 측정 실험, 간조직의 지질과산화의 양, Glutathione의 양, Glutathione S-transferase, γ-Glutamylcystein synthetase,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 측정 및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GSH Px) 활성도 측정 결과에서 동물모델에서 간 기능 보호효과, 혈중 과산화지질량 감소, 높은 항산화 활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조직의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는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제품형태 또는 이의 건조분말, 바람직하게는 건조분말 형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은 구체적으로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경색증, 협심증, 뇌졸중 또는 말초혈관질환, 바람직하게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 분말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머리, 내장, 꼬리를 제거한 가자미를 수세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가자미에 약 10 내지 30%(w/w),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25%(w/w) 소금을 첨가하여 염장한 후, 약 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의 저온 숙성실에서 1시간 내지 60시간, 바람직하게는 10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소건 후 세척시키는 제 2단계; 상기 가자미의 물기를 제거한 후 조미액을 상호 혼합한 후에 조밥을 식혀서 넣은 후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의 온도에서 1일 내지 30일, 바람직하게는 5일 내지 25일간 숙성시키는 제 3단계; 상기 숙성된 가자미에 설탕과 소금을 첨가한 후에 약 3 내지 4시간 동안 무절임한 무를 넣은 후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의 온도에서 1일 내지 3일간 숙성시키는 제 4단계; 숙성된 가자미 식혜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제 5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 1단계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자미는 물가자미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단계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미액은 고춧가루, 다진 마늘, 생강즙의 상대적 배합 중량비(w/w)가 110 : 520 : 13, 바람직하게는 15: 510 : 13의 배합비로 섞은 조미액으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에서, 조미된 명란에 설탕과 소금의 상대적 배합 중량비(w/w)가 1 : 1∼5, 바람직하게는 1 : 1∼3,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로 조성된 추가성분을 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를 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는 1일 0.5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3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를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는 Aminotansferase(AST, ALT), sorbitol dehydrogenase(SDH),γ-Glutamyltransferase(γ-GT), Alkaline phosphatase(ALP), Lactate dehydrogenase(LDH) 측정 실험, 간조직의 지질과산화의 양, Glutathione의 양, Glutathione S-transferase, γ-Glutamylcystein synthetase,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 측정 및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GSH Px) 활성도 측정 결과에서 동물모델에서 간 기능 보호효과, 혈중 과산화지질량 감소, 높은 항산화 활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조직의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 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 동결건조물의 제조
속초시에서 어획한 물가자미를 사용하였으며 가자미식해는 머리, 내장, 꼬리를 제거한 가자미를 수세하고 소금(20%)으로 절여 10℃에서 48시간 동안 소건하여 세척 후 물기를 제거, 고춧가루, 다진 마늘, 생강즙을 일정비(3:7:2)로 상호 혼합, 조밥을 고들고들 식혀서 넣은 후 10℃에서 1주일간 숙성. 설탕과 소금의 비율을 1:1로 무절임(3~4시간)한 무를 넣은 후 10℃에서 1일간 숙성시켜 가자미 식해를 제조하여, 제조된 가자미식해 및 가자미를 각각 동결건조 후 분말화하여 가자미식혜 건조분말(이하 KSP"라 함) 및 가자미 건조분말(이하, KP"라 함)을 각각 준비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준비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를 진공 동결 건조한 결과 동결 전과 비교하여 동결 후 가자미(이하, “FF”라 함)의 수율은 17.5%, 가자미식해(이하, “FF-D”라 함)의 수율은 37.5% 이였다(표 1 참조).
Figure 112010041851385-pat00001
참고예 1. 실험동물 및 시료의 준비
(주)효창사이언스(대구)로부터 분양 받아 본 대학 동물사에서 일정한 조건(온도 : 20± 1oC, 습도 : 55± 3%, 명암 : 12시간 light/dark cycle)으로 1주간 적응시킨 체중 200± 10g의 Sprague-Dawley계 웅성 흰쥐를 사용하였다.
각 시료는 2% Tween 80에 현탁(100, 200 mg/kg)하여 4주간 전처리하고 투여 마지막 날 D-galactosamine 800mg/kg을 복강 내로 주사하고 24시간 후에 처치하였으며 실험동물은 처치 전 12시간동안 사료를 제거하고 물만 섭취하게 하였다.
참고예 2. 단백질 정량
단백질의 함량은 Lowry(Lowry, O. H et al., 1951) 등의 방법에 준하여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Sigma, Fr. V)을 표준품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참고예 3. 통계학적 분석
세 번의 실험결과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의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분산의 동질성을 검정하기 위해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유의차가 5% 미만 (p<0.05)일 때,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데이터의 위첨자 알파벳이 서로 다른 것끼리는 통계적 유의차가 있음을 의미함).
실험예 1. 혈청 중의 ALT , AST , SDH , γ- GT , ALP LDH 활성 측정
1-1. Aminotansferase ( AST , ALT )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Aminotansferase(AST, ALT)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Reitman, S. and Frankel, 1957).
조제된 kit(아산제약)를 사용하여 알라닌 전이효소(alanine transaminase)(100ml 당 DL-알라닌(alanine) 1,780mg 및 α-케토글루타민산(ketoglutamic acid) 29.2mg 함유), 아스파르테이트 전이효소(aspartate transaminase)(100ml 당 L-아스파트산(aspartic acid) 2,660mg 및 α-케토글루타민산(ketoglutamic acid) 29.2mg함유) 기질액 1.0ml를 37oC의 온도에서 5분간 전배양(preincubation) 시킨 후 혈청 0.2ml를 넣어 37oC의 온도에서 알라닌 트랜스아미-네이즈(alanine transami-nase)는 30분, 아스파르테이트 전이효소(aspartate transaminase)는 60분간 반응 시킨 후 정색시액(2,4-디니트로페닐하이드라진(dinitrophenylhydrazine), 19.8mg/100ml 함유)1.0ml를 첨가하고 0.4N-NaOH 용액 1.0ml를 가하여 혼합한 후 10분간 실온에서 방치하고 파장 5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활성도를 표준검량선에 준하여 혈청 L당 IU로 표시하였다.
1-2. sorbitol dehydrogenase ( SDH )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sorbitol dehydrogenase(SDH)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Wiesner; Wiesner I. S. et al., 1965).
0.2% 트리에탄올아민염산 버퍼(triethanolamineHCl buffer(pH 7.4)), 12mM NADH(in 1% NaHCO3) 및 혈청 0.25ml를 첨가하여 37oC의 온도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즉시 4M 과당(fructose)을 넣어 파장 340nm에서 흡광도를 읽고 이 반응액을 다시 37oC의 온도에서 3분간 방치 후의 흡광도 차이를 측정한 후 NADH가 3분 동안 과당(fructose)에 의해 NAD로 산화된 감소량을 L당 U로 표시하였다.
1-3. γ- Glutamyltransferase (γ- GT )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γ-Glutamyltransferase(γ-GT)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Szasz; Szasz, G., 1969).
40mmol 글라이실-글라이신(glycyl-glycine)을 함유하는 Tris 완충액(pH8.2)의 반응액에 효소원으로 L-γ-글루타밀(glutamyl)-3-카르복시(carboxy)-4-니트로아닐라이드(nitroanilide)를 가하여 생성되는 5-아미노(amino)-2-니트로벤조에이트(nitrobenzoate)를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4. Alkaline phosphatase ( ALP )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Alkaline phosphatase(ALP)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Kind, P. R. N. and King, 1954).
기질인 페닐 포스페이트(phenyl phosphate)가 함유된 0.05M 카보네이트 버퍼(carbonate buffer(pH 10.0)) 2.0ml를 37oC에서 3분간 전배양(preincubation)한 후 혈청 0.05ml를 가한 후 37oC의 온도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발색 및 반응 종료의 목적으로 발색시약을 첨가하고서 500nm에서 흡광도를 읽고 표준검량선에 준하여 효소의 활성도를 산정하였다.
1-5. Lactate dehydrogenase ( LDH )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Lactate dehydrogenase(LDH)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Berga L. and Broida, 1960).
조제된 kit를 사용하였다. 즉 기질액(100ml당 리티움 락테이트(lithium lactate) 2.31g 및 tris(하이드로옥시메틸(hydroxymethyl)) 아미노메탄(aminomethane) 2.42g 함유)과 정색시액(100ml당 NAD 574mg 및 1-메틸페나시움 메타설페이트(methylphenassium metalsulfate) 3.4ml 함유)을 1:1로 혼합하여 37oC의 온도에서 5분간 전배양(preincubation)후에 시료를 가하여 잘 혼합하고 37oC의 온도에서 10분간 방치하여 염산으로 반응을 종료시켜 파장 570nm에서 흡광도를 읽고 표준곡선에 준해 그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D-galactosamine으로 간 손상을 유발시킨 흰쥐에게 실험 식이를 4주간 급여한 후 혈청 중의 alaline aminotansferase(ALT), aspartate aminotansferase(AST), Sorbitol dehydrogenase(SDH), γ-Glutamyltransferase(γ-GT), Alkaline phosphatase(ALP), Lactate dehydrogenase(LDH)의 효소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혈청 중 ALT, AST, SDH, γ-GT, ALP 및 LDH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가 감소하였으며 가자미(FF)분말은 감소량이 적은 반면에 가자미식해(FF-D) 분말은 유의적으로 낮은 활성치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고지혈증 유발군인 대조군에서 모든 효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는 것은 간세포가 손상된 것을 의미하는데, 가자미식해(FF-D) 성분을 급여함으로써 모든 효소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은, 가자미식해(FF-D) 성분이 간 기능보호에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표 2 참조).
Figure 112010041851385-pat00002
실험예 2. 혈중 과산화지질의 생성에 미치는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혈중 과산화지질의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Ohkawa, H et al., 1979).
간, 신장, 폐 조직 1g당 4배량의 0.1M 인산칼륨 버퍼(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4))를 가해 마쇄하고, 이 마쇄액에 동일한 완충액을 동량 가하여 3시간 전배양(preincubation)시킨 후 8.1% 도데실 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와 20% 아세테이트 버퍼(acetate buffer(pH 3.5)) 및 발색의 목적으로 0.8% 티오바르비탈산(thiobarbituric acid)를 가한 후 95oC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를 실온에서 냉각 후에 n-BuOH : 피리딘(Pyridine) (15:1)을 첨가하여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생성된 홍색의 n-BuOH : 피리딘(pyridine) 층을 취하여 파장 532㎚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tetramethoxypropane(TMP))를 사용하였으며, 측정한 값은 표준곡선에 대입시켜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 양으로 환산하였다.
D-갈락토사민(galactosamine)으로 간 손상을 유발시킨 흰쥐에게 실험 식이를 4주간 급여한 후 혈청 중의 혈중 과산화지질량을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MDA))량으로 정량한 결과, D-갈락토사민(galactosamine) 처치 대조군의 MDA 함량은 65.9 ± 2.19μg/mg으로 정상군 23.2 ± 0.85μg/mg에 비해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모든 시료가 대조군에 비해 MDA함량이 낮았으며 특히 가자미식해(FF-D)분말 200mg/kg 투여군이 50.7 ± 0.66μg/mg로 현저히 낮았다(표 3 참조).
Figure 112010041851385-pat00003
실험예 3. Gluthathione 의 정량 및 Glutathione S- transferase ( GST ), Glutathione(GSH) 양, γ- Glutamylcysteine synthetase ( GCS ), Glutathione reductase ( GR ) 활성 효과
3-1. Glutathione ( GSH ) 양의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Glutathione(GSH) 활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Ellman, G, L. 1984).
간조직 균질화물(homogenate) 0.5㎖에 4% 설포살리실산(sulfosalicylic acid) 0.5㎖를 가하고 25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징액 0.3㎖를 취하여 디설파이드 시약(disulfide reagent) 2.7㎖를 넣고 20분간 방치 후 41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검량선에 준하여 산정하였다.
3-2. Glutathione S- transferase ( GST )의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Glutathione S-transferase(GST) 활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Habig et al., 1974).
반응액 3.5 ml에 0.1M 인산 칼륨(potassiume phosphate buffer(pH 6.5))에 1mM 글루타티온(glutathione), 1mM 1-클로로(chloro) 2,4-디니트로벤젠(dinitrobenzene) 및 0.1 ml 효소액을 가하여 25℃의 온도에서 2분간 반응 시킨 후 이때 생성되는 티오에테르(thioether)를 340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읽고 흡광계수 9.6 mM-1cm-1을 이용하여 효소의 활성도를 산정하였다.
3-3. γ- Glutamylcystein synthetase ( GCS )의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γ-Glutamylcysteine synthetase(GCS) 활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Richman PG and Meister A, 1975).
반응액 3.5 ml 중 0.1M tris-HCl buffer(pH 8.0), 8.9 mM L-글루탐산(glutamic acid), 0.94 mM EDTA, 3.2 mM MgCl2, 1.35 mM ATP 와 효소액(100-300 μg 단백질)을 가하여 37oC의 온도에서 10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흡광도 600nm에서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효소의 활성도는 1 mg의 단백질이 1분간에 생성하는 Pi의 양으로 표시하였다.
3-4. Glutathione reductase ( GR )의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Glutathione reductase(GR) 활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Mize CE and Langdon RG, 1964).
반응액 3.0 ml중 0.1 M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5)), 0.94 mM EDTA, 4.6 mM 산화글루타티온(oxidized glutathione), 0.16 mM NADPH 및 효소액(400-600 μg 단백질)을 가하여 37oC의 온도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NADPH의 감소되는 양을 측정하였다. 효소의 활성도는 1 mg의 단백질이 1분간에 생성하는 산화형 NADPH의 양으로 표시 하였다.
D-galactosamine으로 간 손상을 유발시킨 흰쥐에게 실험 식이를 4주간 급여한 후 항산화 효소인 GST, GSH, GCS, GR의 활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농도의 증가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자미식해(FF-D) 분말 투여군이 각각 대조구보다 45%, 24%, 22%, 12%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가자미식해(FF-D) 성분이 높은 간기능 개선 및 이로부터 나타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산화제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표 4; 표 5; 표 6; 표 7 참조).
Figure 112010041851385-pat00004
Figure 112010041851385-pat00005
Figure 112010041851385-pat00006
Figure 112010041851385-pat00007
실험예 4. 간 조직 내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4-1. Superoxide dismutase ( SOD ) 활성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Oyanagui, Y, 1984).
사이토크롬 c(Cytochrome c), 2μM 잔틴 나트륨(xanthine sodium), 50mM 인산 나트륨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의 기질액에 효소액을 넣고 안정화 시킨 후 잔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 50μl를 넣고 흡광도를 사용하여 550nm에서 2분간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잔틴/잔틴산화효소(Xanthine/xanthine oxidase) 반응으로 생성된 수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에 의해 사이토크롬 c(cytochrome c)가 환원되는 것을 측정하는데, SOD에 의해 수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의 양이 감소하여 사이토크롬 c(cytochrome c)의 변화 속도를 현상을 이용하여 SOD 활성을 측정하였다. 사이토크롬 c(Cytochrome c)의 환원을 50% 억제하는 양을 SOD의 1 unit로 정의 하였다.
4-2. Catalase 활성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Catalase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Aebi, H, 1974).
50mM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0))중에 기질인 10mM H2O2의 환원되는 정도를 파장 240㎚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읽고 분자흡광계수 0.041 mM-1cm-1을 이용하여 활성도를 산정하였다. 효소 활성의 단위는 1분당 1㎎ protein이 분해하는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의 양을 μmole로 표시하였다.
4-3. Glutathione peroxidase ( GSH Px ) 활성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Glutathione peroxidase(GSH Px)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Pagila, E. D. and Valentine, 1967).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글루타티온(glutathione) 및 NADPH가 함유된 0.1mM Tris buffer(pH 7.2) 중에 효소액을 가하여 파장 3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 검량선에 준하여 활성도를 산정하였다. 효소 활성의 단위는 1분간 1 μM NADPH를 산화시키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효소활성의 단위는 1분당 1㎎ protein이 생성하는 NADPH의 양을 nmole로 표시하였다.
간 손상을 유도한 뒤 가자미분말과 가자미식해(FF-D)분말을 투여하였을 때 간조직의 SOD, GSH-Px, Cata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생체막이나 지질단백질로서 존재하는 지질은 체내에서 발생하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의 공격을 받아 여러 종류의 과산화물을 형성하는데, 과산화물들과 분해산물 등은 반응성이 높아 주변의 생체분자들의 구조와 기능을 변환시켜 여러 가지 만성질환을 초래한다. 생체내에는 이러한 자유 라디칼을 중화시키고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여러 항산화 방어기구가 있다. 이중 간과 적혈구에 있는 항산화 효소인 SOD는 superoxide radical을 환원시켜 H2O2로 전환시키며 이때 생성된 H2O2 등은 GSH-Px와 Catalase 등의 작용에 의해 H2O로 전환되어 무독화 됨으로써 산소독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한다(Britton, C et al., 1979, Ishinaga M et al., 1960).
상기 실험 결과, SOD, GSH-Px, Catalase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구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가자미식해(FF-D) 분말이 각각 33%, 36%, 29%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가자미식해(FF-D) 분말을 투여함으로서 간의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혈장과 간조직의 지질대사를 개선하고 지질과산화물 축적을 감소시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조직의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표 8 참조).
Figure 112010041851385-pat00008
하기에 본 발명의 가자미식해(KS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KSP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KSP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KSP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KSP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KP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KSP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KP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6)

  1. 머리, 내장, 꼬리를 제거한 가자미를 수세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가자미에 10 내지 30%(w/w) 소금을 첨가하여 염장한 후, 0 내지 20℃의 저온 숙성실에서 1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소건 후 세척시키는 제 2단계; 상기 가자미의 물기를 제거한 후 조미액을 상호 혼합한 후에 조밥을 식혀서 넣은 후 1℃ 내지 50℃의 온도에서 1일 내지 30일간 숙성시키는 제 3단계; 상기 숙성된 가자미에 설탕과 소금을 첨가한 후에 3 내지 4시간 동안 무절임한 무를 넣은 후 1℃ 내지 50℃의 온도에서 1일 내지 3일간 숙성시키는 제 4단계; 숙성된 가자미 식해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제 5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수득되는 가자미식해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머리, 내장, 꼬리를 제거한 가자미를 수세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가자미에 10 내지 30%(w/w) 소금을 첨가하여 염장한 후, 0 내지 20℃의 저온 숙성실에서 1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소건 후 세척시키는 제 2단계; 상기 가자미의 물기를 제거한 후 조미액을 상호 혼합한 후에 조밥을 식혀서 넣은 후 1℃ 내지 50℃의 온도에서 1일 내지 30일간 숙성시키는 제 3단계; 상기 숙성된 가자미에 설탕과 소금을 첨가한 후에 3 내지 4시간 동안 무절임한 무를 넣은 후 1℃ 내지 50℃의 온도에서 1일 내지 3일간 숙성시키는 제 4단계; 숙성된 가자미 식해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제 5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수득되는 가자미식해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삭제
KR1020100061796A 2010-06-29 2010-06-29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796A KR101224695B1 (ko) 2010-06-29 2010-06-29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796A KR101224695B1 (ko) 2010-06-29 2010-06-29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44A KR20120001144A (ko) 2012-01-04
KR101224695B1 true KR101224695B1 (ko) 2013-01-22

Family

ID=4560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796A KR101224695B1 (ko) 2010-06-29 2010-06-29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393B1 (ko) * 2020-05-18 2022-05-02 심순천 횟대기 식해의 제조방법
KR102570638B1 (ko) * 2021-03-15 2023-08-25 박금옥 가자미 장아찌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674A (ja) * 2004-09-28 2006-04-13 Shizuoka Prefecture 抗ストレス剤
KR20080101293A (ko) * 2007-05-17 2008-11-21 김규종 해양 심층수 함유 식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674A (ja) * 2004-09-28 2006-04-13 Shizuoka Prefecture 抗ストレス剤
KR20080101293A (ko) * 2007-05-17 2008-11-21 김규종 해양 심층수 함유 식해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종부 외 13인., (주)엔유씨전자., '뇌기능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유산균 스타터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2008. 6. 27.) *
김종부 외 13인., (주)엔유씨전자., '뇌기능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유산균 스타터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2008. 6. 27.)*
정해숙 외 2인., 한국식품과학회지., Vol. 24, No. 1, pp. 59~64(1992. 2.)에 게재된 '함경도 지방의 전통가자미식해의 소금 첨가수준에 따른 숙성중 맛 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정해숙 외 2인., 한국식품과학회지., Vol. 24, No. 1, pp. 59~64(1992. 2.)에 게재된 '함경도 지방의 전통가자미식해의 소금 첨가수준에 따른 숙성중 맛 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44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4894B2 (ja) 肝機能の改善、血中アルコールの減少及び抗酸化に有効な組成物
US7897182B2 (en) Composition comprising bamboo extract and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showing treating and preventing activity for inflammatory and blood circulation disease
CA2480987C (en) Natural products and derivatives thereof for protection against neurodegenerative diseases
KR101273163B1 (ko) 오징어젓 분말, 오징어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8722614B2 (en) Adiponectin production enhancer
KR101301971B1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KR101672274B1 (ko) 자화지정 추출물 또는 자화지정, 도인, 계지, 및 감초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24695B1 (ko) 가자미식해 또는 가자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384309B1 (ko) 기능성 녹차첨가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24685B1 (ko)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9865B1 (ko) 명란젓 또는 명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74301B1 (ko) 유황을 섭취한 파리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ispuro-Hernández et al. Cactaceae plants as sources of active bioavailable phytochemicals
KR101793537B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누에를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2046B1 (ko)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1433500A2 (en) Blood fluidity-improving health foods
KR101027609B1 (ko) 가자미식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2599A (ko) 알코올성 간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상황버섯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101027586B1 (ko) 명란젓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4730B1 (ko) 창란젓 분말, 창란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60008570A (ko) 콜레스테롤 저하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녹차씨유를포함하는 조성물
KR20230091222A (ko)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간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20080279968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ducing lipolysis and increasing the metabolism of free fatty acids
KR20240099515A (ko) 수수 추출물 및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20230144935A (ko) 치커리 추출물, 늙은 호박 발효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