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620B1 -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 Google Patents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620B1
KR101224620B1 KR1020110069628A KR20110069628A KR101224620B1 KR 101224620 B1 KR101224620 B1 KR 101224620B1 KR 1020110069628 A KR1020110069628 A KR 1020110069628A KR 20110069628 A KR20110069628 A KR 20110069628A KR 101224620 B1 KR101224620 B1 KR 101224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receiving
lid
medicin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931A (ko
Inventor
권재국
Original Assignee
대진기술정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기술정보 (주) filed Critical 대진기술정보 (주)
Priority to KR102011006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6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약지도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원격지에서도 정확하게 복약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복약상태를 복약자의 휴대단말기에 저장하여 처방자가 복약순응율을 확인하여 정확한 처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복용하고자 하는 약을 종류에 맞게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수용수단을 가지는 수용바디와, 상기 수용바디에 수용된 약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수용된 약의 복용시간을 알려는 알림수단을 구비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에 있어서;
주거지로부터 이격된 원격지로 이동시 알림수단을 가지는 뚜껑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기와, 상기 수용바디에 수용되는 수용수단의 상방에 결합 되어 수용수단에 의하여 구획된 수용영역의 상방에 위치하여 약을 인출하고자 하는 수용영역의 상부를 개방시키고 다른 수용영역의 상부는 차단하여 의도치 않은 수용영역의 약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약하고자 하는 약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수용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과, 상기 알림수단에는 약병의 뚜껑을 개방하여 복약하였는지의 여부를 복약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복약시간이 경과 하였음에도 뚜껑이 개방되지 않을 경우 이를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연락하여 복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A MEDICINE BOTTLE}
본 발명은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기적(반복적)으로 복약하여야 하는 복약자들이 정해진 시간에 복약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기능을 가지는 약병을 개선하여 출장시에도 약을 휴대하여 복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약 복용 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약병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만성질환을 가지고 주기적이면서 반복적으로 약을 복용하여야 하는 환자들이 쉽고 용이하게 정하여진 시간에 정하여진 약을 복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복약시기를 놓치는 것을 방지하여 복약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켜 질환개선에 기여하고 미 복용으로 버려지는 약이 없도록 함으로서 의료예산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복약시기를 복약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약병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본원 출원인 또한 이러한 약병을 선행하여 특허로 출원(2010-0105446 호)한 바 있으며, 이의 구성은 도 1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출원의 기술이 적용된 약병(100)은, 복용하고자 하는 약(101)을 종류에 맞게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수용수단(104)을 가지는 수용바디(102)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바디(102)에 수용된 약(101)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수용된 약의 복용시간을 알려는 알림수단(105)을 구비하는 뚜껑(103)으로 구성한다.
상기 수용수단(104)은 수용바디(102)의 축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지기둥(106)과, 상기 유지기둥(106)에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슬로트(107)와, 상기 결합슬로트(107)에 결합 되어 수용바디(102)의 내부를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복용하고자 하는 약을 종류별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08)를 포함한다.
상기 알림수단(105)은 뚜껑(103)에 형성되는 나사와 나사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외면에 나사(112)를 형성하여 결합 되는 알람시계(113)와, 상기 뚜껑(103)의 표면에 형성하여 알람 소리를 통과시키는 통공(114)과, 상기 알람시계(113)의 내부 표면에 알람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설정버턴(115)과, 알람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116)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선출원의 약병은, 직경이 개략 10 ∼ 13㎝에 이르고 높이 또한 직경과 비슷하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에 비치해 둔 상태에서 복약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나 지장이 없으나, 이를 휴대하여 다니면서 복약하기에는 부피가 너무 크기 때문에 불편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몇 일간 여행을 떠난다거나 업무상 거주지에서 원격지로 출장을 갈 경우에는 큰 약병을 여행용 가방 등에 수납하여 갈 수는 있으나 다른 물품들과 함께 수용하는 과정에서 많이 불편한 것은 물론, 여행지 또는 원격지에서 약병을 항상 노출된 상태에 두지 못하고 가방 등에 수용한 상태에서 필요 시 복약하여야 하기 때문에 복약시간에 맞게 알려주더라도 쉽게 듣지 못하여 복약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수용바디 내부에 수용되어 약을 분할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수단의 상부가 뚜껑을 개방하면 전체가 노출된 형태가 되기 때문에 어느 한 구획공간에 수용된 약을 인출하기 위하여 약병을 기울기면 구획공간에 수용된 약 전체가 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 복약을 방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약을 위하여 약병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약이 함께 쏟아지고 쏟아진 약을 다시 선별하여 수용하여야 하는 데, 노약자의 경우에는 이를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므로 차후 약을 오복용 하게 되는 또 다른 원인이 된다.
또한, 복약자가 약병과 근접한 위치에 있지 않고 농어촌에서와 같이 높,밭이나 어장에서 일을 하기 위하여 알람 소리를 들을 수 없는 떨어진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복약시간을 알려주더라도 복약자가 이를 인식할 수 없게 되므로 복약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와 같이 복약시간에 복약하지 못하여 복약시기는 놓친 복약자가 한꺼번에 2회 분량을 복약하여 약의 남용은 물론, 빈번하게 복약시기를 놓치고 다음 회의 약만을 복용하게 되고, 이러한 복약 순응율을 복약자가 정확하게 인지하여 의사 또는 약사에게 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제대로 된 처방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복약자가 당회 분의 약을 복약하지 못할 경우 함께 거주하는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이를 복약자에게 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더욱 약의 오남용이 발생하게 되고, 정확한 복용을 하지 않음으로써 국민의 건강이 나빠지는 것은 물론, 의료와 관련비용이 과다하게 낭비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복용하고자 하는 약을 종류에 맞게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수용수단을 가지는 수용바디와, 상기 수용바디에 수용된 약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수용된 약의 복용시간을 알려는 알림수단을 구비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에 있어서;
주거지로부터 이격된 원격지로 이동시 알림수단을 가지는 뚜껑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기와, 상기 수용바디에 수용되는 수용수단의 상방에 결합 되어 수용수단에 의하여 구획된 수용영역의 상방에 위치하여 약을 인출하고자 하는 수용영역의 상부를 개방시키고 다른 수용영역의 상부는 차단하여 의도치 않은 수용영역의 약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약하고자 하는 약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수용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과, 상기 알림수단에는 약병의 뚜껑을 개방하여 복약하였는지의 여부를 복약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복약시간이 경과 하였음에도 뚜껑이 개방되지 않을 경우 이를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연락하여 복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가정에서 복약시 보호자 또는 관리자는 물론 관련 행정기관을 통하여 정상적인 복약지도를 가능하게 하면서 유사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면서, 주거지와 원격지로 이동시 편리하게 약을 지참하여 원격지에서도 정확하게 복약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복약상태를 복약자의 휴대단말기에 저장하여 처방자가 복약순응율을 확인하여 정확한 처방을 수행할 수 있는 목적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행 또는 출장시 뚜껑과 결합하여 복약시기를 알려줄 수 있도록 휴대용 수용수단을 더 구비하여 편리한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복약자가 복약시간에 복약치 않을 경우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통지하여 가급적이면 제시간에 복약할 수 있도록 하여 복약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은 물론, 복약과 관련한 응용프로그램을 가지는 복약자의 휴대단말기로 복약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복약순응율을 처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정확한 처방을 통한 복약 효율과 효능을 높여 치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을 도시한 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을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을 휴대용으로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을 이용하여 복약관리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을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을 휴대용으로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을 이용하여 복약관리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100)은, 복용하고자 하는 약(101)을 종류에 맞게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수용수단(104)을 가지는 수용바디(102)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바디(102)에 수용된 약(101)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수용된 약의 복용시간을 알려는 알림수단(105)을 구비하는 뚜껑(103)으로 구성한다.
상기 수용수단(104)은 수용바디(102)의 축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지기둥(106)과, 상기 유지기둥(106)에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슬로트(107)와, 상기 결합슬로트(107)에 결합 되어 수용바디(102)의 내부를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복용하고자 하는 약을 종류별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08)를 포함한다.
상기 알림수단(105)은 뚜껑(103)에 형성되는 나사와 나사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외면에 나사(112)를 형성하여 결합 되는 알람시계(113)와, 상기 뚜껑(103)의 표면에 형성하여 알람 소리를 통과시키는 통공(114)과, 상기 알람시계(113)의 내부 표면에 알람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설정버턴(115)과, 알람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공(114)의 중앙 위치에는 알림수단(105)의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전원교체 또는 충전시기를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엘이디(LED)를 더 구비하여, 알림 상태에서는 붉은색으로 점멸되도록 하고 배터리 교환 또는 충전시에는 푸른색(녹색)으로 점멸되도록 구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평소에는 수용바디(102)의 하방에 결합시키고 여행 또는 출장시와 같이 주거지로부터 원격지로 이동시 수용바디(102)와 분리한 후 알림수단(105)을 가지는 뚜껑(103)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기(150)와, 상기 수용바디(102)에 수용되는 수용수단(104)의 상방에 결합 되어 수용수단(104)에 의하여 구획된 수용영역(109)의 상방에 위치하여 약(101)을 인출하고자 하는 수용영역(109)의 상부를 개방시키고 다른 수용영역(109)의 상부는 차단하여 의도치 않은 수용영역(109)의 약(101)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약하고자 하는 약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수용영역(109)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151)을 더 구비한다.
상기 알림수단(105)에는 약병(100)의 뚜껑(103)을 개방하여 복약하였는지의 여부를 복약자의 휴대단말기(152)로 전송하여 휴대단말기(152)에 복약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 복약시간이 경과 하였음에도 뚜껑(103)이 개방되지 않을 경우 휴대단말기(152)를 통하여 보호자 또는 관리자(153)에게 연락하여 복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수단(154)을 더 설치한다.
상기 휴대용기(150)는, 수용바디(10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림(155)의 내경에 형성되는 암나사(156)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단부 외경에 수나사(157)를 형성한 휴대용기바디(158)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용기바디(158)의 직경은 수용바디(10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수나사(157)는 수용바디(102)는 물론 뚜껑(103)에 형성되는 나사(112)와도 결합될 수 있도록 호환성 있게 형성하며, 휴대용기바디(158)의 높이(H)는 몇일 복용할 약(101)만 수용하면 되기 때문에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하여 슬림한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휴대용기바디(158)의 내부에는 유지기둥(159)에 다수개의 세퍼레이터(160)를 방사상으로 일체로 형성한 분리구(161)를 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선택수단(151)은, 수용수단(104)을 구성하는 유지기둥(106)의 상면에 세퍼레이터(108)에 의하여 구획된 하나의 수용영역(109)과 같은 크기의 인출홀(165)을 형성한 원판형상의 선택판(166)을 위치시킨다.
상기 선택판(166)의 중앙에는 유지기둥(106)의 상면에 형성되는 나사홀(167)과 결합 되는 단속나사(168)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170)을 형성하여 제 위치를 유지하면서 복약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판(166)을 회전시켜 수용영역(109)과 인출홀(165)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선택판(166)은 가급적이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약의 오복용을 방지할 수 있는 데 일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통신수단(154)은,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RF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약병(100)의 뚜껑(103)을 개방정보는 알림수단(105)을 통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상기 통신수단(154)을 통하여 정보를 인가받는 복약자의 휴대단말기(152)에는 뚜껑(103)의 개방이 복약시간이 도래한 시점에 개방된 것인지 복약시간이 도래하지 않은 시점에 개방된 것인지 또는 1일 복약횟수 중 몇 번째의 개방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170)와, 상기 판단부(170)의 판단정보를 토대로 복약시기가 도래하였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하였음에도 복약을 위하여 뚜껑(103)이 개방되지 않을 경우 미복약으로 간주하여 보호자 또는 관리자(153)에게 단문자를 송부하기 위한 SMS통신자(171)와, 2일 또는 3일과 같이 장기간 동안 전혀 복약하지 않을 경우를 감지하여 관련 행정기관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연락자(172)와, 복약상태 및 미복약상태와 같은 복약정보를 복약자의 휴대단말기(152)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송신자(173)로 하여금 연락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작동부(175)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본 발명에서는 복약자의 휴대단말기(152)에 구비하고 약병(100)에는 뚜껑(103)의 개방상태를 감지하여 통신만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약병(100) 자체에 통신수단(154)과 함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10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약하고자 하는 약을 수용바디(102) 내부에 삽입된 수용수단(104)에 의하여 구획되는 수용영역(109)에 복용하고자 하는 약(101)을 수용시킨 후, 뚜껑(103)을 닫은 후 복용시기가 도래하면 뚜껑(103)에 구비되는 알림수단(105)에 의하여 멘트 또는 알람을 통하여 복약자에게 알려주게 되므로 복약자는 이를 인식하여 약병(100)의 뚜껑(103)을 개방하여 수용영역(109)에 수용된 약(101)을 인출하여 복약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내용은 본원이 선행하여 출원한 특허(2010-0105446 호)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새로이 추가된 기술내용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복약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용바디(102)에 약을 수용시켜 복약하고, 주 거주지를 벗어나 원격지로 여행 또는 출장시에는 휴대용기(150)에 뚜껑(103)을 결합하고, 휴대용기(150)의 내부에 분리구(161)를 내장하여 가정에서 복약하는 약과 동일한 약을 수용시켜 휴대하면 된다.
그러면, 뚜껑(103)에 구비되는 알림수단(105)은 그대로 있기 때문에 설정된 시간에 복약시기임을 알려주게 되므로 복약자는 뚜껑(103)을 개방하여 약(101)을 인출하여 복약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휴대용기(150)를 이용할 경우에는 직경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약병(100)의 직경과 동일하나 높이(H)가 낮게 형성되어 슬림하기 때문에 쉽게 가방이나 핸드백 또는 주머니에 쉽게 휴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정에서 약(101)을 복약할 때에는 수용수단(104)의 상면에 더 구비되는 선택수단(151)에 의하여 약병(100)을 기울이더라도 선택된 수용영역(109) 이외의 수용영역(109)에 수용된 약(101)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선택된 수용영역(109)의 약(101)만 인출할 수 있게 되므로 복약을 위하여 약(101)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약이 한꺼번에 쏟아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편리한 복약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수용수단(104)을 구성하는 유지기둥(106)의 상면에 하나의 수용영역(109)과 일치하는 크기의 인출홀(165)을 형성한 선택판(166)을 위치시키고, 상기 선택판(166)은 유지기둥(106)과 나사결합되는 단속나사(168)에 의하여 단속되어 있으므로, 복약자가 선택판(166)을 회동시켜 인출하고자 하는 수용영역(109)과 인출홀(165)을 일치시켜고 다른 수용영역(109)은 차단되도록 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약병(100)에 수용된 약(101)을 복약자가 복약하는 과정에서의 정보는 통신수단(154)을 통하여 복약자의 휴대단말기(152)로 뚜껑(103)의 개방여부를 전송하게 된다.
이를 전송받은 휴대단말기(152)에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송신자(173)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게 되므로 차후 처방전을 받기 위하여 병원이나 약국 등을 방문하였을 때 처방자가 이를 확인하여 복약순응률에 맞게 재처방하게 되므로 약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치료 및 예방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154)으로부터 정보를 인가받은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복약시점에 미복약시 보호자(153)에게 알려 보호자(153)가 복약자로 하여금 제시기에 복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장기간 미복약시 행정기관(185)으로 통지하여 사고유무의 확인을 수행하도록 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신수단(154)을 통하여 인가되는 정보를 토대로 판단부(170)가 복약시기임에도 복약자가 뚜껑(103)을 개방하지 않을 경우 또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하였음에도 다시 뚜껑(103)의 개방 상태의 정보를 통신수단(154)으로부터 인가받지 못할 경우에는 작동부(175)는 SMS통신자(171)로 하여금 보호자 또는 관리자(153)에게 "000님이 복약하지 않으니 확인바람니다"와 같은 문자를 전송하여 조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몇 일간 복약시기에 뚜껑(103)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노령의 복약자가 앓고 있거나 고독사 등과 같은 사고의 원인으로 판단하여 행정연락자(172)로 하여금 관련 행정기관에 통지하여 확인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정에서 복약시 보호자 또는 관리자는 물론 관련 행정기관을 통하여 정상적인 복약지도를 가능하게 하면서 유사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면서, 주거지와 원격지로 이동시 편리하게 약을 지참하여 원격지에서도 정확하게 복약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복약상태를 복약자의 휴대단말기에 저장하여 처방자가 복약순응율을 확인하여 정확한 처방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약병 102; 수용바디
104; 수용수단 105; 알림수단
150; 휴대용기 151; 선택수단
154; 통신수단 161; 분리구
165; 인출홀 166; 선택판

Claims (4)

  1. 복용하고자 하는 약을 종류에 맞게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수용수단을 가지는 수용바디와;
    상기 수용바디에 수용된 약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수용된 약의 복용시간을 알려는 알림수단을 구비하는 뚜껑과;
    상기 수용수단은 수용바디의 축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지기둥과;
    상기 유지기둥에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슬로트와;
    상기 결합슬로트에 결합 되어 수용바디의 내부를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복용하고자 하는 약을 종류별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수단은 뚜껑에 형성되는 나사와 나사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외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결합 되는 알람시계와;
    상기 뚜껑의 표면에 형성하여 알람 소리를 통과시키는 통공과;
    상기 알람시계의 내부 표면에 알람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설정버턴과;
    알람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에 있어서;
    주거지로부터 이격된 원격지로 이동시 알림수단을 가지는 뚜껑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기와;
    상기 수용바디에 수용되는 수용수단의 상방에 결합 되어 수용수단에 의하여 구획된 수용영역의 상방에 위치하여 약을 인출하고자 하는 수용영역의 상부를 개방시키고 다른 수용영역의 상부는 차단하여 의도치 않은 수용영역의 약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약하고자 하는 약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수용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과;
    상기 알림수단에는 약병의 뚜껑을 개방하여 복약하였는지의 여부를 복약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복약시간이 경과 하였음에도 뚜껑이 개방되지 않을 경우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연락하여 복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기는, 수용바디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림의 내경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단부 외경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휴대용기바디와;
    상기 휴대용기바디의 내부에는 유지기둥에 다수개의 세퍼레이터를 방사상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결합되는 분리구로 구성하고;
    상기 휴대용기바디의 직경은 수용바디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는 수용바디와 뚜껑에 형성되는 나사와 결합 될 수 있도록 호환성 있게 형성하고;
    상기 휴대용기바디의 높이는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하여 슬림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수용수단을 구성하는 유지기둥의 상면에 세퍼레이터에 의하여 구획된 하나의 수용영역과 같은 크기의 인출홀을 형성하여 구비하는 원판형상의 선택판과;
    상기 선택판의 중앙에 형성하는 통공과;
    상기 통공에는 유지기둥의 상면에 형성되는 나사홀과 결합 되는 단속나사를 통과시켜 선택판을 제 위치에 유지하면서 복약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판을 회전시켜 수용영역과 인출홀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또는 휴대단말기에는, 뚜껑의 개방이 복약시간이 도래한 시점에 개방된 것인지 복약시간이 도래하지 않은 시점에 개방된 것인지 또는 1일 복약횟수 중 몇 번째의 개방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정보를 토대로 복약시기가 도래하였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하였음에도 복약을 위하여 뚜껑이 개방되지 않을 경우 미복약으로 간주하여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단문자를 송부하기 위한 SMS통신자와;
    2일 또는 3일과 같이 장기간 동안 전혀 복약하지 않을 경우를 감지하여 관련 행정기관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연락자와;
    복약상태 및 미복약상태와 같은 복약정보를 복약자의 휴대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송신자와;
    상기 SMS통신자와 행정연락자 및 정보송신자를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KR1020110069628A 2011-07-13 2011-07-13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KR101224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28A KR101224620B1 (ko) 2011-07-13 2011-07-13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28A KR101224620B1 (ko) 2011-07-13 2011-07-13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931A KR20130008931A (ko) 2013-01-23
KR101224620B1 true KR101224620B1 (ko) 2013-02-06

Family

ID=4783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628A KR101224620B1 (ko) 2011-07-13 2011-07-13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350B1 (ko) 2013-08-29 2013-12-13 이선구 휴대용 약병
KR20190135609A (ko)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오드아이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599B1 (ko) * 2014-11-27 2016-08-25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KR101715062B1 (ko) * 2016-02-19 2017-03-10 주식회사 헬스올 전자 복약장치
CN108670825B (zh) * 2018-05-29 2024-04-16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服药保健机
KR102333848B1 (ko) * 2019-10-31 2021-12-03 이어진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294A (ja) * 2001-05-31 2002-12-10 Yoshino Kogyosho Co Ltd 薬容器
JP2007026254A (ja) * 2005-07-20 2007-02-01 Seiko Epson Corp 端末装置、移動通信端末、服薬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の服薬管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721679B1 (ko) * 2006-04-18 2007-05-25 한성민 약물 복용 안내 장치
KR20110014742A (ko) * 2009-08-06 2011-02-14 조길형 메시지 송신에 의해 환자의 약복용 주기를 관리할 수 있는 약품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294A (ja) * 2001-05-31 2002-12-10 Yoshino Kogyosho Co Ltd 薬容器
JP2007026254A (ja) * 2005-07-20 2007-02-01 Seiko Epson Corp 端末装置、移動通信端末、服薬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の服薬管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721679B1 (ko) * 2006-04-18 2007-05-25 한성민 약물 복용 안내 장치
KR20110014742A (ko) * 2009-08-06 2011-02-14 조길형 메시지 송신에 의해 환자의 약복용 주기를 관리할 수 있는 약품보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350B1 (ko) 2013-08-29 2013-12-13 이선구 휴대용 약병
KR20190135609A (ko)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오드아이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931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620B1 (ko)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ES2912887T3 (es) Inhalador adaptado para leer información almacenada en un medio de almacenamiento de datos de un recipiente
EP2142161B1 (en) Tablet dispenser system
ES2563981T3 (es) Sistema y aparato de suministro de dosis
KR101214938B1 (ko) 약봉지 자동 배출 장치
JP5102260B2 (ja) 医療用ディスペンサ、ディスペンサで使用されるブリスタカードおよび服用量の医薬の分与方法
KR101584541B1 (ko) 알림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약통 및 세트
US20100100237A1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11605451B2 (en) Medicament dispenser
US20140114471A1 (en) Medicine-taking management apparatus
KR101368644B1 (ko) 약제 배출장치
KR101938150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US20160151246A1 (en) Medicine Reminder and Dispenser Apparatus
TWM528748U (zh) 智慧型個人藥盒管理系統
KR101732631B1 (ko) 모바일 기기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KR101171860B1 (ko) 약제 배출장치
KR100786170B1 (ko)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JP2017503250A (ja) 摂取プランに従ったユーザによる製品の摂取のモニタリングを可能にするためのロギングシステム及びデータ登録の方法
KR20140049709A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1216186B1 (ko)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CN210384418U (zh) 一种多重用药药物管理盒
KR200426335Y1 (ko) 디지털투약용 카렌더
TWM508322U (zh) 家庭式給藥裝置
CN213608335U (zh) 一种口服化疗药居家口服提醒盒
CN205198492U (zh) 提高患者口服药看服到口率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