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350B1 - 휴대용 약병 - Google Patents
휴대용 약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1350B1 KR101341350B1 KR1020130103408A KR20130103408A KR101341350B1 KR 101341350 B1 KR101341350 B1 KR 101341350B1 KR 1020130103408 A KR1020130103408 A KR 1020130103408A KR 20130103408 A KR20130103408 A KR 20130103408A KR 101341350 B1 KR101341350 B1 KR 101341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edicine
- alarm
- weight
- wireless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NFWSQSCIDYBUOU-UHFFFAOYSA-N CC1=CC=CC1 Chemical compound CC1=CC=CC1 NFWSQSCIDYBUO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일측이 개방되어 약을 수용하는 몸체부; 몸체부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 몸체부 또는 뚜껑부에 설치되는 알람부; 몸체부 또는 뚜껑부에 설치되며 복용자의 무선단말기와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알람부 및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복용시간이 되면 알람부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고, 알람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무선통신부를 통해 복용자의 무선단말기로 복용시간 알림 신호를 전송하여 복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약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무게측정부에서 측정한 약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 만큼 감소한 경우 복용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자 서버로 복용자 관리 신호를 전송하고, 무게측정부에서 측정한 약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알람부를 통해 리필 알림 신호를 발생시켜서 복용자가 약을 다시 채울 수 있도록 도와주고, 관리자에 의해 복용자의 사후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약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고, 복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알려주며, 복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복용하지 않을 경우 2차적으로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복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의 복용은 질병의 치료나 예방을 목적으로 의사나 약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게 된다. 이렇게 약을 복용하는 경우 약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분이나 작용에 따라 인체 내에서 분해, 흡수되는 과정과 시간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처방과정에서 복용해야 하는 시간이 정해진다. 감기 등과 같은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약의 경우에는 처방과정에서 지시하는 복용시간을 정확히 지키지 않아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결핵과 같은 만성질환의 경우에는 정해진 시간에 복용을 하여야 병세가 악화되거나 합병증이 유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나아가 병세를 호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중요한 복용자들을 돕기 위해 다양한 장치들이 발명되어 왔다.
종래의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약 복용 보조장치가 '특허문헌 1'에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약 복용 보조장치의 구성도로, 종래의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약 복용 보조장치는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 복용시간 및 주기 정보를 외부와 주고받는 입출력부(3), 약품보관용기를 손으로 잡는 행위에 의하여 접점이나 센서에 발생하는 물리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부(5), 복용시간이 되었을 때 약을 복용하라는 의미의 통지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7), 검출부에 의하여 감지된 물리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9)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약 복용 보조장치는 경보발생부에 의한 1차 경보에 그쳐 복용자와 약 복용 보조장치가 멀리 떨어져 있거나 복용자가 약 복용 보조장치를 휴대하지 않았을 경우 복용자가 경보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용자가 약을 복용할 시간이 되면 약병이나 보조장치의 1차 경보에 그치지 않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복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기로 2차 경보를 하여 약병이 멀리 떨어져 있거나 복용자가 약병을 휴대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복용자가 경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약병에 담긴 약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부를 이용하여 약이 거의 떨어졌을 경우 리필 알림 신호를 발생하여 미리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이 다 떨어진 후에 약을 새로 처방받아 구매할 경우 발생하는 약을 복용하지 못하게 되는 공백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복용자가 2차 경보에도 불구하고 약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자 서버로 신호를 송신하여 관리자가 복용자의 가족에게 알림 메시지를 보내는 등의 사후 관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은 일측이 개방되어 약을 수용하는 몸체부; 몸체부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 몸체부 또는 뚜껑부에 설치되는 알람부; 몸체부 또는 뚜껑부에 설치되며 복용자의 무선단말기와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알람부 및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몸체부 또는 뚜껑부에 설치되며 뚜껑부가 열렸는지 감지하는 센서부; 몸체부 또는 뚜껑부에 설치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복용시간이 되면 알람부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고, 알람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무선통신부를 통해 복용자의 무선단말기로 복용시간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센서부에서 뚜껑부가 열린 것이 감지되거나 버튼부의 버튼이 눌려지면 알람부를 통한 알람신호의 발생을 중단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약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무게측정부에서 측정한 약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만큼 감소한 경우 복용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게측정부에서 측정한 약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만큼 감소하지 않은 경우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는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알람부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자 서버로 복용자 관리 신호를 전송하고, 무게측정부에서 측정한 약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알람부를 통해 리필 알림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복용자의 무선단말기로부터 약 복용에 관한 복용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몸체부 또는 뚜껑부에 설치되며, 복용시간을 표시하는 영상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몸체부에 설치되어 몸체부의 내부를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약을 종류별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은 복용자가 약을 복용할 시간이 되면 약병이나 보조장치의 1차 경보에 그치지 않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복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기로 2차 경보를 하여 약병이 멀리 떨어져 있거나 복용자가 약병을 휴대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복용자가 경보를 감지하여 정해진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약병에 담긴 약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부를 이용하여 약이 거의 떨어졌을 경우 리필 알림 신호를 발생하여 미리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이 다 떨어진 후에 약을 새로 처방받아 구매할 경우 발생하는 약을 복용하지 못하게 되는 공백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복용자가 2차 경보에도 불구하고 약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자 서버로 신호를 송신하여 관리자가 복용자의 가족에게 알림 메시지를 보내는 등의 사후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약 복용 보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뚜껑이 닫혔을 경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뚜껑이 열렸을 경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단면도
도 6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뚜껑이 닫혔을 경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뚜껑이 열렸을 경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단면도
도 6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실시예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뚜껑이 닫혔을 경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뚜껑이 열렸을 경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의 단면도, 도 6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100)은 일측이 개방되어 약을 수용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20), 상기 몸체부(10) 또는 상기 뚜껑부(20)에 설치되는 알람부(30), 상기 몸체부(10) 또는 상기 뚜껑부(20)에 설치되며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와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40), 상기 알람부(30) 및 상기 무선통신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0)는 복용시간이 되면 상기 알람부(30)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알람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무선통신부(40)를 통해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로 복용시간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
알람부(3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100)의 몸체부(10) 또는 뚜껑부(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50)에 연결되어 제어부(50)의 판단에 따라 알람신호 출력을 수행한다. 알람부(30)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32)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3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알람부(30)가 구성되면 음성출력부(32)에서 상기 안내음을 출력하고, 영상출력부(34)에서 안내영상을 출력하여 복용자가 청각뿐만 아니라 시각으로도 복용시간이 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복용자가 청각장애인이라면 영상출력부(34)의 안내영상은 복용자가 복용시간이 되었음을 인지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안내음은 일반적인 경보음이 될 수 있고, 복용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녹음된 음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내영상은 복용시간을 표시하는 것이 될 수 있고, 복용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문구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황에 맞게 적절한 영상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32)는 일반적인 스피커가 될 수 있고, 영상출력부(34)는 LED 또는 LCD 등이 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4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100)의 몸체부(10) 또는 뚜껑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직접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 관리자 서버(4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0)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망에는 RF통신, 블루투스(BlueTooth), Wi-Fi, Wi-Fi Direct와 이동통신사의 2G, 3G 또는 4G 등이 있다. Wi-Fi Direct란 기존의 Wi-Fi와는 다르게 인터넷망 없이 휴대기기 간 직접 연결해 통신할 수 있는 기술로서 기존 Wi-Fi에 버금가는 빠른 전송 속도가 장점이다. 하지만 그만큼 전력 소모는 심한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블루투스(BlueTooth)는 소비 전력이 낮은 장점이 있는 대신 전송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약병(100)과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블루투스 또는 Wi-Fi Direct를 이용하여 직접 통신하고, 휴대용 약병(100)과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의 거리가 먼 경우 Wi-Fi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휴대용 약병(100)과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의 거리가 가까워 직접 무선통신 하는 경우 주고 받는 정보의 양이 적은 편이므로 전력 소비가 적은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황에 적합한 무선통신을 선택하여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병(10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용자가 약을 복용할 시간이 되면 알람부(30)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알람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 되면 무선통신부(40)를 통해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로 복용시간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 즉, 제어부(50)는 알람부(30)를 통해 1차적으로 복용자에게 복용시간이 되었음을 알리고, 발생된 알람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 되면 복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2차적으로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를 통해 복용시간이 되었음을 알린다.
무선통신부(40)를 통해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로 전송되는 복용시간 알림 신호란 복용자가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간, 복용해야 하는 약의 종류, 복용량을 포함하는 신호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문자 메시지인 SMS(Short Message Service)일 수 있고,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의 OS(Operating System)상에서 복용자가 시각 또는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복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고, 스마트폰은 복용시간 알림 신호를 전송받으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용자에게 복용시간이 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센서부(60)는 몸체부(10) 또는 뚜껑부(20)에 설치되어 뚜껑부(20)의 개폐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뚜껑부(20)를 여는 행위에 의하여 발생하는 물리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이러한 물리량의 변화는 제어부(50)로 전달되고, 제어부(50)는 이 물리량의 변화를 기반으로 뚜껑부(2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 물리량은 센서부(60)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전기신호 등이 될 수 있고, 센서부(60)는 이러한 압력 또는 전기신호의 변화량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된다. 제어부(50)는 센서부(60)에서 전달받은 물리량의 변화를 기반으로 뚜껑부(20)가 열린 것으로 판단하면 알람부(30)를 통한 알람신호의 발생을 중단시킨다. 이렇게 뚜껑부(20)를 여는 행위를 알람신호를 해제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버튼부(70)는 몸체부(10) 또는 뚜껑부(2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버튼부(70)의 버튼이 눌려지면 제어부(50)는 알람부(30)를 통한 알람신호의 발생을 중단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버튼을 눌러 알람신호를 해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용자가 알람부(30)를 통한 알람신호에 의해 복용시간이 되었음을 인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약을 복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뚜껑을 여는 불편함 없이 버튼을 눌러 알람신호를 해제할 수 있다. 알람부(30)를 통한 알람신호는 별도의 해제가 없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알람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 동안 만큼만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80)는 무선통신부(40)를 통하여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로부터 약 복용에 관한 복용 데이터를 전송받는데, 약 복용에 관한 복용 데이터는 복용자가 약을 복용해야 하는 복용시간, 복용주기, 1회 복용량, 약의 종류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복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무선통신부(40)를 통하여 약을 복용하여야 하는 복용시간, 복용주기, 1회 복용량, 약의 종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무게측정부(90)는 몸체부(10)의 하단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몸체부(10)에 담긴 약의 무게를 측정한다. 제어부(50)는 무게측정부(90)에서 측정한 약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만큼 감소한 경우 복용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게측정부(90)에서 측정한 약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만큼 감소하지 않은 경우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무게측정부(90)는 미세한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전자저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용자의 1회 복용량을 설정해 놓으면 무게측정부(90)에서 측정되는 무게가 1회 복용량만큼 감소한 경우 복용자가 1회 복용량만큼 복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뚜껑이 열렸을 경우 복용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보다 더욱 정확하게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뚜껑을 여는 행위에 의한 해제 또는 버튼을 누르는 행위에 의한 해제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알람부(30)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복용시간이 되어 알람부(30)에서 알람신호가 발생하여 복용자가 복용시간이 되었음을 인지하였으나 바로 복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 버튼을 눌러 알람신호를 해제시키고 그 이후 복용자가 깜빡하고 약을 복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복용자의 약 복용을 돕기 위해 무게측정부(90)를 이용하여 제어부(50)가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알람부(30)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50)는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무선통신망(300)을 통하여 관리자 서버(400)로 복용자 관리 신호를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복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약을 복용하는지 여부를 알려 줄 수 있다. 복용자 관리 신호란 복용자가 복용해야 하는 약의 종류와 양, 복용자가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간, 복용자의 복용 여부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면 관리자가 복용자의 복용 여부, 복용시간 등을 정확히 알고 관리할 수 있어 복용자의 약 복용 이후의 진단에 참고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았을 경우 약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거나 시급한 경우 복용자 또는 복용자의 가족에게 연락하여 복용자의 약 복용을 도울 수 있다.
무게측정부(90)에서 측정한 약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제어부(50)는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알람부(30)를 통해 리필 알림 신호를 발생시켜 복용자가 휴대용 약병(100)에 약을 다시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알려준다. 예를 들어 복용자가 휴대용 약병(100)에 담긴 약 이외에 약을 소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새로이 약을 처방받아 구입하여야 하는데, 복용자의 실수로 미리 약을 처방받아 구입하여 놓지 않았다면 복용자에게 약 복용의 공백기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특별한 경우 복용자에게 약 복용이 잠깐이라도 중단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알람부(30)를 통해 리필 알림 신호를 발생시켜 복용자에게 알려주어 이러한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세퍼레이터(12)는 몸체부(1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몸체부(10)의 내부를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약을 종류별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세퍼레이터(12)를 설치하여 약을 종류별로 수용하여 복용자가 약을 구분하기 쉽도록 한다.
복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0)는 대표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휴대할 수 있는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DA, 태블릿 컴퓨터 등이 있다.
무선통신망(300)은 예를 들어 이동통신사의 2G망, 3G망, 4G망 또는 Wi-Fi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10 몸체부 12 세퍼레이터
20 뚜껑부 30 알람부
32 음성출력부 34 영상출력부
40 무선통신부 50 제어부
60 센서부 70 버튼부
80 설정부 90 무게측정부
100 휴대용 약병 200 복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300 무선통신망 400 관리자 서버
20 뚜껑부 30 알람부
32 음성출력부 34 영상출력부
40 무선통신부 50 제어부
60 센서부 70 버튼부
80 설정부 90 무게측정부
100 휴대용 약병 200 복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300 무선통신망 400 관리자 서버
Claims (11)
- 일측이 개방되어 약을 수용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20);
상기 몸체부(10) 또는 상기 뚜껑부(20)에 설치되는 알람부(30);
상기 몸체부(10) 또는 상기 뚜껑부(20)에 설치되며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와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40);
상기 알람부(30) 및 상기 무선통신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는 복용시간이 되면 상기 알람부(30)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알람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무선통신부(40)를 통해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로 복용시간 알림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몸체부(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약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무게측정부(90)에서 측정한 약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만큼 감소한 경우 복용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무게측정부(90)에서 측정한 약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만큼 감소하지 않은 경우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알람부(30)를 통한 알람신호의 발생이 중단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알람부(30)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병.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 또는 상기 뚜껑부(20)에 설치되며 상기 뚜껑부(20)가 열렸는지 감지하는 센서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센서부(60)에서 상기 뚜껑부(20)가 열린 것을 감지하면 상기 알람부(30)를 통한 알람신호의 발생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병.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 또는 상기 뚜껑부(20)에 설치되는 버튼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버튼부(70)의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알람부(30)를 통한 알람신호의 발생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병.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30)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32) 및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병.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40)를 통하여 상기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로부터 약 복용에 관한 복용 데이터를 전송받는 설정부(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병.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무선통신망(300)을 통하여 관리자 서버(400)로 복용자 관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병.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무게측정부(90)에서 측정한 약의 무게가 소정의 무게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알람부(30)를 통해 리필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병.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망(300)은 RF통신, 블루투스(BlueTooth), Wi-Fi, Wi-Fi Direct, 이동통신사의 2G, 3G 또는 4G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병.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용자의 무선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병.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10)의 내부를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약을 종류별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3408A KR101341350B1 (ko) | 2013-08-29 | 2013-08-29 | 휴대용 약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3408A KR101341350B1 (ko) | 2013-08-29 | 2013-08-29 | 휴대용 약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1350B1 true KR101341350B1 (ko) | 2013-12-13 |
Family
ID=4998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3408A KR101341350B1 (ko) | 2013-08-29 | 2013-08-29 | 휴대용 약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1350B1 (ko)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6340B1 (ko) * | 2015-08-20 | 2016-03-24 | 윤진욱 | 비콘과 장애인용 도구를 활용한 주변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134396A (ko) | 2015-05-15 | 2016-11-23 | 김주희 |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 |
KR101693492B1 (ko) * | 2016-03-25 | 2017-01-09 |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 약 복용 자동 알림 장치가 내장된 약통 |
KR101707554B1 (ko) | 2015-09-08 | 2017-02-27 | 김영빈 | 표지제작장치 |
WO2017043684A1 (ko) * | 2015-09-07 | 2017-03-16 | 아이오틴 주식회사 | 알림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약통 및 세트 |
KR101735460B1 (ko) | 2015-05-15 | 2017-05-15 | 김주희 | 스마트 약통스테이션과 이를 포함하는 복용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용관리방법 |
KR101756530B1 (ko) * | 2015-08-17 | 2017-07-11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 약병 홀더 및 이의 동작 방법 |
KR101784974B1 (ko) * | 2015-09-04 | 2017-10-12 | (주)매직에코 | 스마트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복용관리 시스템 |
KR20180061623A (ko) * | 2016-11-30 | 2018-06-08 | 주식회사 디앤티 | 다용도 휴대용 물병 |
KR20180078555A (ko) * | 2016-12-30 | 2018-07-10 |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노인 케어 시스템 |
KR102053717B1 (ko) * | 2019-06-23 | 2019-12-09 | 주식회사 렛츠온 | 스마트 약통 시스템 |
KR102107004B1 (ko) * | 2019-11-25 | 2020-05-06 | (주)에어포인트 | 약병 뚜껑의 개폐를 감지하는 스마트약병 시스템 |
KR20200136106A (ko) * | 2019-05-27 | 2020-12-07 | 주식회사 제윤 | 탄창형 약 포지 토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 |
WO2023153587A1 (ko) * | 2022-02-09 | 2023-08-17 | 알고케어 주식회사 | 카트리지 모듈 관리를 위한 디스펜싱 디바이스 및 사용자 단말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6170B1 (ko) | 2006-04-05 | 2007-12-21 | 임종섭 |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
KR101224620B1 (ko) | 2011-07-13 | 2013-02-06 | 대진기술정보 (주) |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
-
2013
- 2013-08-29 KR KR1020130103408A patent/KR1013413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6170B1 (ko) | 2006-04-05 | 2007-12-21 | 임종섭 |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
KR101224620B1 (ko) | 2011-07-13 | 2013-02-06 | 대진기술정보 (주) |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4396A (ko) | 2015-05-15 | 2016-11-23 | 김주희 |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 |
KR101735460B1 (ko) | 2015-05-15 | 2017-05-15 | 김주희 | 스마트 약통스테이션과 이를 포함하는 복용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용관리방법 |
KR101756530B1 (ko) * | 2015-08-17 | 2017-07-11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 약병 홀더 및 이의 동작 방법 |
KR101606340B1 (ko) * | 2015-08-20 | 2016-03-24 | 윤진욱 | 비콘과 장애인용 도구를 활용한 주변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KR101784974B1 (ko) * | 2015-09-04 | 2017-10-12 | (주)매직에코 | 스마트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복용관리 시스템 |
WO2017043684A1 (ko) * | 2015-09-07 | 2017-03-16 | 아이오틴 주식회사 | 알림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약통 및 세트 |
KR101707554B1 (ko) | 2015-09-08 | 2017-02-27 | 김영빈 | 표지제작장치 |
KR101693492B1 (ko) * | 2016-03-25 | 2017-01-09 |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 약 복용 자동 알림 장치가 내장된 약통 |
KR101890307B1 (ko) | 2016-11-30 | 2018-08-21 | 주식회사 디앤티 | 다용도 휴대용 물병 |
KR20180061623A (ko) * | 2016-11-30 | 2018-06-08 | 주식회사 디앤티 | 다용도 휴대용 물병 |
KR20180078555A (ko) * | 2016-12-30 | 2018-07-10 |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노인 케어 시스템 |
KR20200136106A (ko) * | 2019-05-27 | 2020-12-07 | 주식회사 제윤 | 탄창형 약 포지 토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 |
KR102278800B1 (ko) * | 2019-05-27 | 2021-07-19 | 주식회사 제윤 | 탄창형 약 포지 토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 |
KR20210090597A (ko) * | 2019-05-27 | 2021-07-20 | 주식회사 제윤 | 탄창형 약 포지 토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 |
KR102354908B1 (ko) * | 2019-05-27 | 2022-01-24 | 주식회사 제윤 | 탄창형 약 포지 토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 |
KR20220012982A (ko) * | 2019-05-27 | 2022-02-04 | 주식회사 제윤 | 탄창형 약 포지 토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 |
KR102483913B1 (ko) * | 2019-05-27 | 2023-01-04 | 주식회사 제윤 | 탄창형 약 포지 토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 |
KR102053717B1 (ko) * | 2019-06-23 | 2019-12-09 | 주식회사 렛츠온 | 스마트 약통 시스템 |
KR102107004B1 (ko) * | 2019-11-25 | 2020-05-06 | (주)에어포인트 | 약병 뚜껑의 개폐를 감지하는 스마트약병 시스템 |
WO2023153587A1 (ko) * | 2022-02-09 | 2023-08-17 | 알고케어 주식회사 | 카트리지 모듈 관리를 위한 디스펜싱 디바이스 및 사용자 단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1350B1 (ko) | 휴대용 약병 | |
US11571363B2 (en) |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and assisting in medication compliance | |
US9901515B2 (en) | Smart cap for medication container | |
CN111128361B (zh) | 用于监控消耗品分配器的使用的装置和方法 | |
US20130284636A1 (en) | Pill container with reminding function | |
US20160331643A1 (en) | Intelligent extension medicine box system | |
WO2018149391A1 (zh) | 智能药丸盒及基于其的药丸流通方法和系统 | |
US2012006577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onitoring of Daily Dispensing of Medication | |
US20100211219A1 (en) | Tablet dispenser system | |
WO2013127564A1 (en) | System for monitoring drug compliance using high resolution force sensing | |
CN103767871A (zh) | 药品容器及对应的服药提醒系统 | |
KR20180109901A (ko) | 사용자에게 약물 복용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
KR20150072111A (ko) | 복약관리 방법, 복약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복약관리 시스템 | |
KR101342956B1 (ko) | 스마트 복약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20072109A (ko) | 약복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693492B1 (ko) | 약 복용 자동 알림 장치가 내장된 약통 | |
KR20150005339A (ko) | 복약 관리 장치 | |
CN105374176B (zh) | 提示方法及装置 | |
JP2017526425A (ja) | 薬剤分配電話ケース | |
KR101773242B1 (ko) |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약 수납 장치 | |
KR20160134950A (ko) | 퍼스널 디스펜서 제어 장치 및 방법 | |
JP2014083057A (ja) | 服薬管理システム | |
US20190185237A1 (en) | Methods, system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monitor a product package | |
WO2016179537A2 (en) | Smart cap for medication container | |
KR20160063899A (ko) |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