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396A -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396A
KR20160134396A KR1020150068391A KR20150068391A KR20160134396A KR 20160134396 A KR20160134396 A KR 20160134396A KR 1020150068391 A KR1020150068391 A KR 1020150068391A KR 20150068391 A KR20150068391 A KR 20150068391A KR 20160134396 A KR20160134396 A KR 20160134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arable
sensor
termin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652B1 (ko
Inventor
김주희
Original Assignee
김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희 filed Critical 김주희
Priority to KR102015006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65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약통(100)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신체착용을 위한 착용공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약수납부(150)가 형성되는 메인몸체(110)와, 상기 메인몸체(110)의 약수납부(15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커버(158)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착용공의 내주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센서모듈(113)과, 상기 메인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센서모듈(113)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115)과, 상기 센서모듈(113)의 정보 및 이를 가공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모듈(117)과, 상기 센서모듈(113) 및 통신모듈(11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평소에 웨어러블 약통(100)을 손목 등 신체에 착용하고 다니면서 약을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약의 복용주기를 잊거나 약을 소지하는 것을 잊을 가능성이 낮추어 주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Wearable medicine bottle station, managemet system for user health condition having this, and managemet method for user health status}
본 발명은 웨어러블 약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하는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기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나, 건강보조제를 꾸준히 챙겨 먹어야 하는 일반 사용자들은 약이나 건강보조제의 복용여부를 매번 확인하지 못하고 이를 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고령환자는 기억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해 별도의 복약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실제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데, 반드시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환자에게는 이와 같이 약의 복용을 지나치는 일이 매우 위험할 수 있다.
또한 이동이 잦은 환자는 약을 소지하는 것을 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정해진 시간에 약을 복용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소에 소지할 수 있는 휴대용 약통이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하나, 이러한 휴대용 약통은 일반적인 약통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이를 보관하기 위해서 별도의 가방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약통이 사용자의 복용시간을 알려주도록 제어하는 약통에 대한 기술도 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약통은 단순히 약의 무게를 측정하여 복용여부를 확인하거나 시간의 경과로부터 복용시각을 알리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약의 복용필요성을 알리는 새로운 개념의 약통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135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평소에 약통을 착용하고 다니면서 약을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건강상태나 신체수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로부터 약의 복용필요성을 알리고,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체착용을 위한 착용공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약수납함이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약수납함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커버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착용공의 내주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센서모듈과,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센서모듈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의 정보 및 이를 가공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모듈과, 상기 센서모듈 및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모듈은 장치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측정센서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신체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체측정센서에는 피부온도측정센서, 피부전도측정센서, 산소포화도센서 또는 심박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력모듈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상기 약수납함으로부터 약을 배출했는지 또는 배출해야 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램프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측정센서에는 3축가속도센서, 전자 나침반,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된다.
상기 커버의 개폐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전용서버 또는 제1단말기에 전달된다.
상기 약수납함은 제1수납함과 제2수납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수납함은 상기 제1수납함 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제2수납함으로의 접근이 측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웨어러블 약통과, 상기 웨어러블 약통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웨어러블 약통과 정보를 교환하는 제1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웨어러블 약통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교환하는 메인서버와, 상기 메인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웨어러블 약통의 정보를 전달받는 제2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서버에는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약의 종류, 복용정량, 복용주기, 약의 복용시각 및 복용량, 웨어러블 약통의 커버가 개폐된 시각 및 회수, 장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웨어러블 약통의 상태, 신체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저장되고,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복용정량 또는 복용주기와 상기 웨어러블 약통으로부터 전송된 복용량 또는 복용주기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 이를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메인서버에 저장된 지정병원 또는 보호자의 단말기이고, 상기 제1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웨어러블 약통에 구비된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 및 웨어러블 약통의 장치상태를 확인하는 기초확인단계와, 웨어러블 약통의 움직임이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신체상태 기준값으로부터 신체상태를 확인하는 신체상태확인단계와, 확인된 신체상태로부터 제어부에 의해 약복용이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약복용을 안내하는 내용을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와, 약복용에 대한 정보가 웨어러블 약통의 통신모듈을 통해 제1단말기에 전달되는 정보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력단계에 이어 상기 웨어러블 약통의 커버가 개폐되었는지 여부, 커버의 개폐시각 및 회수에 대한 데이터가 통신모듈을 통해 제1단말기에 전달되는 복용정보전송단계가 더 포함된다.
상기 기초확인단계에서 상기 웨어러블 약통의 움직임이 설정값 이상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약통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확인단계가 더 포함된다.
신체상태확인단계에서 신체상태 기준값과 웨어러블 약통의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추론하고 그 결과값을 상기 웨어러블 약통 또는 제1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출력하는 감성추론단계가 더 포함어 구성된다.
상기 감성추론단계에서 사용자의 감성은 상기 센서모듈에 포함된 피부온도측정센서, 피부전도측정센서, 산소포화도센서 또는 심박센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의 측정값을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감성추론단계에서 출력된 결과값에 대해 사용자의 평가값이 입력되면, 상기 결과값 및 평가값은 상기 제1단말기 및 상기 제1단말기가 연결된 메인서버에 저장되는 학습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웨어러블 약통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면 초기설정의 필요여부가 판단되고 초기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센서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신체정보가 확인되는 제1측정단계와,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다시 확인하는 제2측정단계와, 상기 제1측정단계 및 제2측정단계의 측정값의 차이가 설정범위 이내라면 상기 제1측정단계 또는 제2측정단계의 측정값을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평가값과 비교하는 설정비교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평가값과 측정값이 대응되면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이를 웨어러블약통, 제1단말기 또는 메인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하는 기준값저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성추론단계에서 계산된 결과값이 기준값과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만큼 차이나거나,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약통에 저장된 이상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1단말기는 그 결과를 메인서버 또는 제2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전송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평소에 웨어러블 약통을 손목 등 신체에 착용하고 다니면서 약을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약의 복용주기를 잊거나 약을 소지하는 것을 잊을 가능성이 낮추어 주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약의 복용을 잊지 않도록 하며, 약 복용패턴을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정확한 복용습관과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약의 복용여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를 가족, 친지나 지정병원에 즉시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약의 미복용으로 인하여 건강에 위험이 닥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나 신체수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로부터 약의 복용필요성을 알리고,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초기설정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상태판단의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학습단계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판단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웨어러블 약통의 센서모듈을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수치로부터 감성을 추론하여 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약통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약통의 커버가 닫힌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약통의 일실시례의 정면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약통의 내부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약통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약통을 이용하여 사용자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약통을 이용하여 사용자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초기설정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웨어러블 약통을 이용하여 측정된 사용자상태가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현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웨어러블 약통(1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형이 예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웨어러블 약통(100)의 골격은 메인몸체(110)가 구성하고, 상기 메인몸체(110)에는 신체착용을 위한 착용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일측에는 약수납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약수납부(150)는 사용자가 복용할 약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55)과, 이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폐하는 커버(158)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15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을 통해 수납공간(155)을 차폐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손잡이부(159)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커버(158)는 미닫이형식이나 완전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수납공간(155)을 차폐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P는 수납공간(155)에 수납된 상태의 약을 나타낸다.
상기 커버(158)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커버(158)가 안착되는 상기 수납공간(155) 일측에는 상기 커버(158)의 일부를 걸어주기 위한 고정부(미도시)가 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납공간(155)은 제1수납함과 제2수납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수납함은 상기 제1수납함 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위급할 때 사용되는 약을 보다 안전한 내측에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센서를 통해 상기 제2수납함으로의 접근이 측정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110)의 일측에는 연결밴드(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밴드(1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밴드(120)의 재질 자체가 탄선변형되거나, 길이가 가변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고정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110)의 일측에는 장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30)에는 제어부(111) 및 센서모듈(113)을 포함하여 다수의 부품이 실장되는데, 상기 센서모듈(113)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착용공의 내주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모듈(113)은 장치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측정센서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신체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신체측정센서에는 피부온도측정센서, 피부전도측정센서, 산소포화도센서 또는 심박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생체정보들인 혈당(blood sugar), 심박동(heart rate, heartbeat), 심전도(EKG/ECG, ElectroCardioGram), 수화/수분(Hydration), 땀(Sweat), 혈압(blood pressure), 산소 포화도(oxygen saturation) 등의 정보가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측정센서에는 3축가속도센서, 전자 나침반,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됨으로써 웨어러블 약통(100) 자체의 상태, 예를 들어 웨어러블 약통(100)의 회전이나 이동 등과 같은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110)의 내부에는 통신모듈(115)이 구비된다. 상기 통신모듈(115)은 센서모듈(113)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나 WIFI, 3G 또는 4G와 같은 다양한 통신규격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통신모듈(115)에 구비된 블루투스는 사용자가 소지한 제1단말기(T1)와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메인몸체(110)에는 출력모듈(117)이 구비된다. 상기 출력모듈(117)은 상기 센서모듈(113)의 정보 및 이를 가공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소리, 불빛 또는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로 나타내는 것으로, LED라이트 및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부(미도시) 등이 가능하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출력모듈(117)이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상기 약수납함으로부터 약을 배출했는지 또는 배출해야 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램프(17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110)에는 상기 센서모듈(113) 및 통신모듈(11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모듈(119)이 구비되고, 상기 충전모듈(119)은 충전을 위한 단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1)에는 데이터부(117)가 연결되어 웨어러블 약통(100)의 정보나 사용자의 신체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메인서버(500)나 제1단말기(T1) 등 외부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웨어러블 약통(100)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앞서 설명한 웨어러블 약통(100)은 제1단말기(T1)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단말기(T1)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 태블릿PC, PDA 또는 PC일 수 있으며, 웨어러블 약통(100)과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단말기(T1)는 메인서버(500)와 연결되는데, 상기 메인서버(500)는 상기 제1단말기(T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웨어러블 약통(100)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서버(500)는 전용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외부의 전용서버이거나 또는 통신사서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서버(500)에는 제2단말기(T2)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단말기(T2)는 상기 웨어러블 약통(100)의 정보를 전달받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2단말기(T2)는 가족, 친지 등과 같은 보호자이거나 지정병원의 단말기로 구성되어, 웨어러블 약통(100)으로부터 전달된 신체정보다 장치정보를 보호자나 지정병원에 선택적으로 알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서버(500)에는 상기 제1단말기(T1)로부터 전송된 약의 종류, 복용정량, 복용주기, 약의 복용시각 및 복용량, 장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웨어러블 약통(100)의 상태, 신체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복용정량 또는 복용주기와 상기 웨어러블 약통(100)으로부터 전송된 복용량 또는 복용주기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 이를 상기 제1단말기(T1) 또는 제2단말기(T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은 웨어러블 약통(100)과 전용서버, 그리고 제1단말기(T1)와 제2단말기(T2)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상태 및 그에 따른 약 복용유무와 같은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사용자의 건강을 여러단계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상태관리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서 보듯이, 웨어러블 약통(100)에 구비된 센서모듈(113)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 및 웨어러블 약통(100)의 장치상태를 확인하는 기초확인단계가 선행된다.(S210,S220)
만약 이때 신체상태의 이상여부가 감지되면, 웨어러블 약통(100)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판단단계가 이루어진다.(S230) 장치의 움직임은 앞서 설명한 센서모듈(113)의 장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데, 장치움직임이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신체상태 기준값으로부터 신체상태를 확인하는 신체상태확인단계가 이어진다.(S240)
즉, 장치움직임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상태의 이상여부가 감지되면, 이는 사용자가 운동과 같은 특별한 활동 없이도 신체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신체상태를 확인하는 단계가 이어지는 것이다. 신체의 이상여부는 앞서 설명한 센서모듈(113)의 신체측정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된다.
만약 확인된 신체상태로부터 제어부(111)에 의해 약복용이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약복용을 안내하는 내용을 출력모듈(117)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가 이어진다.(S270) 여기서 출력이란 웨어러블 약통(100)의 램프(170)를 통한 출력, 스피커를 통한 출력 등이 가능하며, 또는 웨어러블 약통(100)과 연결된 제1단말기(T1)의 출력장치를 이용한 출력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약복용에 대한 정보가 웨어러블 약통(100)의 통신모듈(115)을 통해 제1단말기(T1)에 전달되는 정보전송단계가 이어진다.(S280) 이를 통해 약복용정보는 제1단말기(T1) 내부에 저장가능할 뿐아니라, 전용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메인서버(500)에 저장되거나 또는 제2단말기(T2)에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단말기(T2)에 전송되는 정보는 문자메시지나, 다양한 SNS 또는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초확인단계에서 상기 웨어러블 약통(100)의 움직임이 설정값 이상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 이상이 운동과 같은 사용자가 의도한 움직임에 의한 경우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약통(100)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확인단계가 이루어진다.(S250)
이 과정을 통해 웨어러블 약통(100)의 움직임이 사용자의 의도한 움직임에 의한 것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 이상 여부에 대해 경고 출력이나 정보 전송과 같은 후속 단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신체상태확인단계에서 신체상태 기준값과 웨어러블 약통(100)의 센서모듈(113)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추론하는 감성추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감성추론은 피부온도측정센서나 피부전도측정센서 등과 같은 신체측정센서의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느끼는 스트레스, 기쁨, 슬픔, 중립, 피로, 이완, 평온 등과 같은 감성을 추론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감성추론에서 사용자의 감성은 상기 센서모듈(113)에 포함된 피부온도측정센서, 피부전도측정센서, 산소포화도센서 또는 심박센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의 측정값을 조합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그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성추론에 의한 결과값은 웨어러블 약통(100) 또는 제1단말기(T1)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출력하게 된다. 도 8에는 감성추론의 결과가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현된 모습이 예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감성추론단계에서 출력된 결과값에 대해 사용자의 평가값이 입력되면, 상기 결과값 및 평가값은 상기 제1단말기(T1) 및 상기 제1단말기(T1)가 연결된 메인서버(500)에 저장되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감성추론의 결과값이 사용자가 실제 느끼는 감성과 대응되는지에 대한 평가를 사용자가 직접 판단하여 이를 평가값으로 입력하면, 그 결과가 메인서버(500)에 저장되고 비교판단을 거쳐 향후에는 오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결과값이 도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감성추론이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없기 때문에 학습을 통해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각 신체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감성추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감성추론단계에서 계산된 결과값이 기준값과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만큼 차이나거나, 상기 센서모듈(113)을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약통(100)에 저장된 이상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1단말기(T1)는 그 결과를 메인서버(500) 또는 제2단말기(T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전송하여 알리게 된다.
한편,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웨어러블 약통(100)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면(S310), 초기설정의 필요여부가 판단된다.(S320) 만약 초기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센서모듈(113)을 통한 사용자의 신체정보가 확인되는 확인단계(330)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확인단계는 제1측정단계와(S330)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다시 확인하는 제2측정단계(S340)로 구성됨으로써 시간차를 두고 오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측정단계 및 제2측정단계의 측정값의 차이가 설정범위 이내라면 상기 제1측정단계 또는 제2측정단계의 측정값을 출력모듈(117)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평가값과 비교하는 설정비교단계가 이루어진다.(S340)
이는 사용자마다 평온한 상태(중립상태)의 신체상태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평가값과 측정값이 대응되면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이를 웨어러블 약통(100), 제1단말기(T1) 또는 메인서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하는 기준값저장단계가 이어진다.(S350)
이러한 초기설정을 통해 각 사용자마다 서로 상이한 신체상태로부터 발생되는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웨어러블 약통 110: 메인몸체
150: 약수납부 158: 커버

Claims (19)

  1. 신체착용을 위한 착용공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약수납함이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약수납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커버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착용공의 내주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센서모듈과,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센서모듈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의 정보 및 이를 가공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모듈과,
    상기 센서모듈 및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어러블 약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장치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측정센서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신체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약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측정센서에는 피부온도측정센서, 피부전도측정센서, 산소포화도센서 또는 심박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어러블 약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상기 약수납부로부터 약을 배출했는지 또는 배출해야 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약통.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정센서에는 3축가속도센서, 전자 나침반,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어러블 약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약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폐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전용서버 또는 제1단말기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약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수납부는 제1수납함과 제2수납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수납함은 상기 제1수납함 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제2수납함으로의 접근이 측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약통.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웨어러블 약통과,
    상기 웨어러블 약통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웨어러블 약통과 정보를 교환하는 제1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웨어러블 약통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교환하는 메인서버와,
    상기 메인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웨어러블 약통의 정보를 전달받는 제2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어러블 약통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에는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약의 종류, 복용정량, 복용주기, 약의 복용시각 및 복용량, 웨어러블 약통의 커버가 개폐된 시각 및 회수, 장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웨어러블 약통의 상태, 신체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저장되고,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복용정량 또는 복용주기와 상기 웨어러블 약통으로부터 전송된 복용량 또는 복용주기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 이를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약통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메인서버에 저장된 지정병원 또는 보호자의 단말기이고, 상기 제1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약통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12. 웨어러블 약통에 구비된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 및 웨어러블 약통의 장치상태를 확인하는 기초확인단계와,
    웨어러블 약통의 움직임이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신체상태 기준값으로부터 신체상태를 확인하는 신체상태확인단계와,
    확인된 신체상태로부터 제어부에 의해 약복용이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약복용을 안내하는 내용을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와,
    약복용에 대한 정보가 웨어러블 약통의 통신모듈을 통해 제1단말기에 전달되는 정보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어러블 약통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에 이어 상기 웨어러블 약통의 커버가 개폐되었는지 여부, 커버의 개폐시각 및 회수에 대한 데이터가 통신모듈을 통해 제1단말기에 전달되는 복용정보전송단계가 더 포함되는 웨어러블 약통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확인단계에서 상기 웨어러블 약통의 움직임이 설정값 이상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약통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확인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약통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신체상태확인단계에서 신체상태 기준값과 웨어러블 약통의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추론하고 그 결과값을 상기 웨어러블 약통 또는 제1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출력하는 감성추론단계가 더 포함어 구성되는 웨어러블 약통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추론단계에서 사용자의 감성은 상기 센서모듈에 포함된 피부온도측정센서, 피부전도측정센서, 산소포화도센서 또는 심박센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의 측정값을 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약통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추론단계에서 출력된 결과값에 대해 사용자의 평가값이 입력되면, 상기 결과값 및 평가값은 상기 제1단말기 및 상기 제1단말기가 연결된 메인서버에 저장되는 학습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어러블 약통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약통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면 초기설정의 필요여부가 판단되고 초기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센서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신체정보가 확인되는 제1측정단계와,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다시 확인하는 제2측정단계와,
    상기 제1측정단계 및 제2측정단계의 측정값의 차이가 설정범위 이내라면 상기 제1측정단계 또는 제2측정단계의 측정값을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평가값과 비교하는 설정비교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평가값과 측정값이 대응되면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이를 웨어러블약통, 제1단말기 또는 메인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하는 기준값저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어러블 약통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추론단계에서 계산된 결과값이 기준값과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만큼 차이나거나,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약통에 저장된 이상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1단말기는 그 결과를 메인서버 또는 제2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약통을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방법.
KR1020150068391A 2015-05-15 2015-05-15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 KR10168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91A KR101684652B1 (ko) 2015-05-15 2015-05-15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91A KR101684652B1 (ko) 2015-05-15 2015-05-15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396A true KR20160134396A (ko) 2016-11-23
KR101684652B1 KR101684652B1 (ko) 2016-12-20

Family

ID=5754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391A KR101684652B1 (ko) 2015-05-15 2015-05-15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6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7227A (zh) * 2017-06-09 2017-09-08 上海市控江中学 一种智能手环及其控制方法
KR101879634B1 (ko) * 2018-01-24 2018-07-18 (주)엘에스시스텍 심폐혈관 모니터링 시스템
CN116115200A (zh) * 2022-11-17 2023-05-16 杭州师范大学 一种用于健康检测的可穿戴设备及其工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005B1 (ko) 2018-05-14 2019-08-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약통이 결합된 스마트 장치
KR102160269B1 (ko) * 2019-04-24 2020-09-25 김선수 휴대용 응급약 보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9614A (en) * 1958-05-05 1961-11-21 Ferdinand W Humphner Wristband pill carrying device
KR200177769Y1 (ko) * 1999-10-28 2000-04-15 황인철 휴대용 알약 케이스
KR101034886B1 (ko) * 2009-12-30 2011-05-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짧은 심장박동 주기의 변화를 이용한 졸음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164013B1 (ko) * 2010-07-14 201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품 보관함
KR101341350B1 (ko) 2013-08-29 2013-12-13 이선구 휴대용 약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9614A (en) * 1958-05-05 1961-11-21 Ferdinand W Humphner Wristband pill carrying device
KR200177769Y1 (ko) * 1999-10-28 2000-04-15 황인철 휴대용 알약 케이스
KR101034886B1 (ko) * 2009-12-30 2011-05-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짧은 심장박동 주기의 변화를 이용한 졸음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164013B1 (ko) * 2010-07-14 201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품 보관함
KR101341350B1 (ko) 2013-08-29 2013-12-13 이선구 휴대용 약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7227A (zh) * 2017-06-09 2017-09-08 上海市控江中学 一种智能手环及其控制方法
CN107137227B (zh) * 2017-06-09 2023-09-01 上海市控江中学 一种智能手环及其控制方法
KR101879634B1 (ko) * 2018-01-24 2018-07-18 (주)엘에스시스텍 심폐혈관 모니터링 시스템
CN116115200A (zh) * 2022-11-17 2023-05-16 杭州师范大学 一种用于健康检测的可穿戴设备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652B1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6165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health monitoring using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a body portion
US9786148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using circumferential changes of a body portion
KR101647455B1 (ko)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장치
US10722145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using circumferential changes of a body portion
CN112512406A (zh) 阿片类药物过量监测
US201700204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disease
US115592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harmacological therapeutics including a health monitoring device
US20100161003A1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KR101684652B1 (ko) 웨어러블 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상태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상태관리방법
WO20100223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ronic disease control
KR20130051922A (ko) 심리장애(psychological disorders)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10145338A1 (en) Iot based wear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meditation and mindfulness
WO202107047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0534125A (ja) ウェアラブル装置を利用した甲状腺機能亢進症の予測システム及び予測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ale et al. IOT based wearable biomedical monitoring system
Felizardo et al. E-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trends
US20160250470A1 (en) Rehabilitation Monitor And Pain Treatment Assembly
KR2017006042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임산부 건강상태 관리 시스템
JP2014038489A (ja) 処方情報管理装置、処方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処方情報管理装置の制御方法
US20220386899A1 (en) Wearable device to identify medical emergencies and notify
KR20150124721A (ko) 유아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US114127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ist circumference measurement and feedback for optimal placement of a smart belt
KR20230006675A (ko)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rora et al. IOT based portable medical kit
CN108289644A (zh) 用于脉搏血氧计测量的便携式设备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