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675A -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675A
KR20230006675A KR1020210086459A KR20210086459A KR20230006675A KR 20230006675 A KR20230006675 A KR 20230006675A KR 1020210086459 A KR1020210086459 A KR 1020210086459A KR 20210086459 A KR20210086459 A KR 20210086459A KR 20230006675 A KR20230006675 A KR 20230006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tion
health
dru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한
허정현
강수연
전윤기
정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비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비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비콘
Priority to KR102021008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6675A/ko
Publication of KR2023000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관리 기기와 연동되어, 개인별 측정된 건강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건강정보를 기초로, 건강 기능 식품 또는 약품(약물)의 복용관리를 행하며,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출력하여, 복용 대상자가,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파악하게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건강 기능 식품 또는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은, 복용자로부터 맥박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건강관리기;데이터 허브 및 약물 인식장치를 구비하며, 건강관리기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데이터 허브에 저장하고, 약물 인식장치로부터 복용 약물의 복약정보를 읽어들이고, 기 설정된 복용 처방정보에 따른 약물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약물 복용 여부를 포함하는 복용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허브에 저장하는,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로부터 생체신호, 복용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로부터 생체신호의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개인단말; 사용자 개인단말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 복용 정보를 데이터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생체신호, 상기 복용 정보를 통계처리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를 사용자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Drug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osignal analysis}
본 발명은, 건강관리 기기와 연동되어, 개인별 측정된 건강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건강정보를 기초로, 건강 기능 식품 또는 약품(약물)의 복용관리를 행하며,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출력하여, 복용 대상자가,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파악하게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건강 기능 식품 또는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 대한민국 식품의약품 안전처로부터 기능성과 안정성을 인정받은 제품을 말하며, 여기서, 기능성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건강기능식품의 범위에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능성을 가진 원재료를 그대로 가공하거나, 가공한 것의 추출물, 정제물, 합성물, 복합물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건강 기능 식품 또는 약품'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약물로 대체한다.
최근 들어, 약 복용시간을 알리고, 복용여부를 확인하는 복약 알람 어플이, 많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복용 기간 내 복용 시간대에 대한 알림과 복용 여부만을 확인하는 정도이다.
약 복용시간을 알리고, 복용여부를 확인할 뿐만아니라, 본인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건강관리 기기(예를들어, 체중계, 혈압 측정장치, 심전도, 광용적맥파 측정장치, 만보계 등등)로부터 건강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약물의 부작용 등을 분석하여, 용량, 용법 등을 조정하는 정보를 출력하고, 또한, 약물의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분석하는 시스템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용 대상의 약물 복용 전 후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건강관리 기기와 연동되도록 이루어지며, 건강관리 기기로부터의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복용관리를 행하록 이루어진, 복용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용 대상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복용 관리 방법을 건강 상태에 맞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파악하여 약물 복용 정도, 약물의 종료 등을 변경하여 최적의 약물 복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868114호는 복합 기능성 혈압 관리 시스템으로, 측정된 혈압이 외부 기기와 공유되며,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측정 및 변화된 혈압 수치에 따라 원격으로 혈압 측정 시기, 혈압약 복용 시기, 복약 정도를 알람 정보로 제공하고, 상기 알람 정보에 따라 치료 및 관리 과정을 이행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868114호는 혈압 관리에만 국한된 것으로, 다른 약물, 예를들어 심혈관 질환 등의 약물에 대해서는 그 관리를 행할 수 없으며, 특히 약물의 부작용 등을 파악할 수 없다.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949102호는 복약 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용 알람을 복용자에게 제공하고, 생체신호 측정 등의 복용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복약 패턴 정보를 보호기관으로 전달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949102호에서 복용량의 조절 등의 복용관리는, 보호기관에 의해 행하여 지며, 이 시스템에서 직접 관리를 행하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은 약물의 부작용 등을 파악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약 복용시간을 알리고, 복용여부를 확인할 뿐만아니라, 건강관리 기기와 연동되어, 개인별 측정된 건강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건강정보를 기초로, 건강 기능 식품 또는 약품(약물)의 복용관리를 행하며,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출력하여, 복용 대상자가,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파악하게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건강 기능 식품 또는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은, 복용자로부터 맥박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건강관리기; 데이터 허브 및 약물 인식장치를 구비하며, 건강관리기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데이터 허브에 저장하고, 약물 인식장치로부터 복용 약물의 복약정보를 읽어들이고, 기 설정된 복용 처방정보에 따른 약물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약물 복용 여부를 포함하는 복용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허브에 저장하는,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로부터 생체신호, 복용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로부터 생체신호의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개인단말; 사용자 개인단말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 복용 정보를 데이터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생체신호, 상기 복용 정보를 통계처리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를 사용자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복약 정보는 약물의 포장 또는 통에 기재되어 있으며, 약물의 명칭,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로, 바코드, QR코드, RFI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 정보이고, 복용정보는, 복용된 약물의 복약정보, 복용시간, 설정된 약물 복용여부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복용 처방정보는, 소정 약물의 복약정보, 복용시간을 포함하는 복용 스케쥴관련 정보이다.
복용 처방정보시,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는 약물 인식장치로부터 약물의 복약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 개인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개인단말은,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로부터 수신된 복약정보와, 소정 설정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복용시간을 포함하는 복용 처방정보를 메인서버 및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로 전송한다.
건강관리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홈 헬스 케어기기를 포함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체에 부착하거나 착용하도록 이루어지며, 활동량, 맥박, 수면 패턴, 심박신호, 심전도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기기이고, 홈 헬스 케어 기기는,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 체중계, 혈압계, 혈당측정기, 체온계, 심전도계, 광용적맥파 측정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약물 인식장치는 약물의 포장 또는 통에 기재되어 있는 복약 정보를 읽어들이는 스캐너를 포함하며,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의 연산처리부는 약물 인식장치로부터 읽어들인 복약정보를 데이터 허브에 저장하고, 사용자 개인단말을 통해 메인 서버로 전송한다.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는, 약물 복용시, 복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버튼인, 복용버튼을 더 구비한다.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는 약물 수납부를 포함하고, 복용버튼은, 상기 약물 수납부에서 소정 약물을 꺼내기위해 수납부 커버를 열기위한 버튼일 수 있다.
메인서버는 통계 데이터를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고, 전문가 단말은, 전문가가 입력한 복용방법을 포함하는 복약지도 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은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약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기 설정된 복용 처방정보에 따른 복용시간이 되면,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의 스피커로 복용시간을 알리는 음향을 출력되거나, 또는 사용자 개인단말로 약물 복용시간을 알리는 음향 또는 메시지를 출력된다.
메인서버는,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약물의 복용에 따른 건강상태의 변화를 분석한다.
본 발명의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건강 기능 식품 또는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약 복용시간을 알리고, 복용여부를 확인할 뿐만아니라, 건강관리 기기와 연동되어, 개인별 측정된 건강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건강정보를 기초로, 건강 기능 식품 또는 약품(약물)의 복용관리를 행하며,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출력하여, 복용 대상자가,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파악하게 한다.
이를 통해, 복용 대상자는 체계적으로 건강관리를 행할 뿐만아니라, 본인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면서 복용을 진행하여, 복용 대상자로 하여금 보다 적극적으로 약물을 복용관리하도록 유도한다.
즉, 본 발명은, 처방을 받은 약품 또는 정기적으로 섭취해야 하는 약품, 별도의 소분 등을 통해 맞춤형으로 제공 받은 건강기능식품(영양제 포함)에 대해서,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을 통해, 원격의 관리자가 사용자의 복용 약물에 대한 정보를 통해 약물 정보를 선행적으로 파악하고, 섭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최적의 복용 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의 약물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생체상태 및 기본 정보인 성별, 연령, 키, 체중을 모두 고려하여 최적 약물 복용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 맞춤형 약물 섭취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최적 약물 섭취 정보를 제공하고 추가적으로 약물 복용 알람, 약물 복용 관리 기능을 제공하므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약물 섭취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수개의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를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복약 정보는 약물의 포장 또는 통 등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로, 약물의 명칭, 성분 등을 포함하는 정보로, 바코드, QR코드, RFI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용 처방정보는, 약물의 복용과 관련된 정보로, 기 설정된 약물의 복약정보, 복용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용 처방정보는 복용관련 스케쥴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용 정보는, 약물의 복용 여부와 관련된 정보로, 기 설정된 약물의 복약정보, 복용시간, 현재 복용 약물의 복약정보, 설정된 약물 복용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용자는 소정의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사람을 말하며, 또한, 복용자 또는 복용자의 보호자를,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라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10)은, 건강관리기(100),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 사용자 개인단말(300), 메인 서버(500)를 포함한다.
건강관리기(100)는 집안에서 건강을 관리하는 장치로, 이들 장치들이 측정된 생체정보(생체신호)를 자동으로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생체신호는 활동량, 맥박, 수면 패턴, 체온, 혈압, 혈당 등의 생체신호이다.
건강관리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과 홈 헬스 케어기기(150)을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와 무선연동되며, 인체에 부착하거나 착용하는 장치로, 예로 스마트 워치, 만보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활동량, 맥박, 수면 패턴, 심박신호, 심전도 신호 등을 측정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측정된 생체정보(생체신호)들을 무선(예로, 불르투스)으로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로 전송한다.
홈 헬스 케어(Home Health Care) 기기(150)는,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와 무선연동되며, 집(가정)에서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 체중계, 혈압계, 혈당측정기, 체온계, 심전도계, 광용적맥파 측정기 등등일 수 있다. 홈 헬스 케어( 기기(150)는 측정된 생체정보(생체신호)들을 무선(예로, 불르투스)으로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로 전송한다. 최근에 대부분 시판되는 홈 헬스 케어 기기는 무선으로 휴대폰 또는 컴퓨터 등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는 복용관리기(210)와 데이터허브(270)가 일체로 구성된 장치로, 메인 서버(500)와 연동되어, 약물의 복용을 관리하며, 건강관리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취합하고, 임시저장하고, 이들 데이터를 메인 서버(5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로부터 메인 서버(500)로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로부터 메인 서버(500)로 무선(블루투스, WiFi 등)으로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 개인단말(300)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이들을 통칭하여, 이하에서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로부터 메인 서버(50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표현한다. 여기서, 사용자 개인단말(30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로부터 사용자 개인단말(30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 개인단말(300)이 상기 데이터를 메인 서버(500)로 전송한다.
복용관리기(210)는 소정의 약물(즉, 약품 및 건강 기능식품)을 약물 복용자가 복용해야 할 약물 정보를 읽어들여 메인 서버(500)로 전송한다. 복용관리기(210)는 약물 인식장치(220), 복용버튼(230), 연산처리부(250), 송수신부(260)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복용관리기(210)에 다수의 약물 수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인식장치(220)는 약물(즉, 약품 및 건강 기능식품)의 포장 또는 통 등에 기재되어 있는 복약 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복약정보를 연산처리부(250)는 데이터 허브(270)에 저장하고, 또한, 연산처리부(250)는 송수신부(260)를 통해 메인 서버(500)로 전송한다. 경우에 따라서, 연산처리부(250)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허브(270)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수신부(260)를 통해 메인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약물 인식장치(220)는 스캐너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복약 정보를 읽어들인다.
복용버튼(250)는, 약물 복용시 복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지는(즉, 눌러지거나 터치되는) 버튼이다. 경우에 따라서, 복용관리기(210)에 약물 수납부(미도시)를 포함하고, 복용버튼(250)은 상기 약물 수납부에서 소정 약물을 꺼내기위해(즉, 수납부 커버(미도시)를 열기위해) 눌러지는 버튼일 수 있다.
연산처리부(250)는 복용관리기(21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며,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등으로 이루어진다.
약물 인식장치(220)는, 사용자, 즉, 보호자(복용자의 보호자) 또는 복용자가 복용 약물을 설정하기 위해, 약물의 복약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해 사용되며, 읽어들인 복약정보를, 연산처리부(250)가 데이터 허브(270)에 저장하고, 또한 송수신부(260)를 통해 메인 서버(500)로 전송하여, 메인 서버(500) 내에 복용 약물로써 설정(저장)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관리기(210)의 연산처리부(250)는 어느 약물 수납부(미도시)에 어떤 약물이 수납되어 있는지를 데이터 허브(270)에 저장한다.
연산처리부(250)는 기 설정된 복용 처방정보(복용할 약물의 복약정보 및 복용시간 정보)에 따라서, 즉, 소정 약물의 약물 복용시간에 맞추어,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개인단말(300)로 약물 복용시간 알림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 개인단말(300)은 상기 약물 복용시간 알림신호에 따라서 소정 약물 복용 시간임을 알리는 음향 또는 문자 메시지를 출력한다.
약물의 매 복용시에, 사용자(보호자 또는 복용자)가, 약물 인식장치(220)에서 현재 복용 약물의 복약정보를 읽어들이게 하고 복용자가 약물을 복용 후에 복용버튼(230)을 누르면, 연산처리부(250)는 약물 인식장치(220)로부터 인식된 약물을 복용한것으로 판단하고 복용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허브(270) 또는 메인 서버(500)에 저장한다.
또는, 약물의 매 복용시에, 사용자(보호자 또는 복용자)가 소정 약물 수납부(미도시)에서 약물을 꺼내기 위해 복용버튼(230)을 누르고 약물을 꺼내면, 연산처리부(250)는 꺼내어진 약물(즉, 소정 약물 수납부의 약물)을 복용자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꺼내어진 약물(즉, 소정 약물 수납부의 약물)의 복약정보를, 현재 복용 약물의 복약정보로서, 데이터 허브(270)로부터 읽어들이고, 복용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허브(270) 또는 메인 서버(500)에 저장한다.
만약 설정된 약물 복용여부 판단결과, 설정된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또는 만약 설정된 시간에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연산처리부(250)는 약물이 복용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음향으로서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개인단말(300)로 전송하고 사용자 개인단말(300)은 약물이 복용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에 따른 음향 또는 문자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연산처리부(250)는 건강관리기(10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심전도 신호, 걸음횟수, 심박신호, 광용적맥파신호, 체온신호, 체중신호 등등)을 데이터 허브(270)에 저장하고, 데이터 허브(27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주기적으로 읽어들여 송수신부(260)를 통해 메인 서버(500)로 전송한다.
송수신부(260)는 연산처리부(25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즉, 생체신호, 복약정보, 복용정보 등을 사용자 개인단말(300) 또는 메인 서버(500)로 전송한다.
데이터 허브(270)는 연산처리부(2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즉, 생체신호, 복약정보, 복용정보 등을 저장한다.
사용자 개인단말(300)은,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건강 및 복용에 대한 알람 정보(예를들어, 체온 또는 심박수 등의 생체신호가 기설정된 기준범위를 초과할 경우, 또는 소정 약물을 복용하지 않았을 경우 등에 대한 알람정보), 복용처방정보를 설정하여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 및 메인서버(500)로 전송하거나,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 또는 메인 서버(500)로 부터 수신된 알람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또는 메시지로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 개인단말(300)은, 메인 서버(500)로 부터 복용에 따른 분석결과(즉, 특정 약물의 복용의 시간 경과에 따른, 생체신호의 통계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하며, 메인 서버(500)로부터 복약 관리 방법 및 복약 지도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복약 관리 방법은, 메인 서버(500)로부터 복용자의 복용 정보를 분석한 결과와, 상기 분석결과에 따른 복약 지도관련 정보를 사용자 개인단말(300)은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복약지도는, 약학 환자가 유효하고도 안전하게 약물 치료를 받도록 복약에 관한 사항을 의사, 약사가 지도하는 일로서, 의약품명, 사용 목적과 기대하는 약효, 투여 경로와 사용 방법, 약용량, 투여 시간, 투여 간격, 부작용 여부, 부작용이 있을 때의 대처 방법, 저장법, 피해야 할 약과 음식물 따위에 관한 것을 내용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개인단말(300)은,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로,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즉 연산처리부(250)로부터 송수신부(260)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메인 서버(500)로 전송한다.
사용자 개인단말(300)은 제1 휴대용 개인단말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노트패드 등일 수 있다.
메인 서버(500)는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로부터 복약 정보, 복용 정보, 생체 정보(건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개인단말(300)로부터 분석요청이 있을 경우, 이들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결과를 전문가 단말(600)로 전송하고, 전문가 단말(600)에서 수신된 복약지도관련 정보를 사용자 개인단말(300)로 전송하고, 그 분석결과 및 복약지도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인 서버(500)는 분석시 복용 정보, 생체 정보가 소정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 사용자 단말 또는 보호자 단말로 이를 안내한다.
전문가 단말(600)은, 원격으로 약물(복용)을 관리하는 전문가, 즉, 별도의 권한 및 전문 자격을 갖춘 전문가의 단말로서, 메인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복용자의 복약 정보, 복용 정보, 생체 정보(건강 정보), 분석결과를 수신하고, 전문가가 이들을 검토, 분석하여 복약지도관련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복약지도관련 정보를 메인 서버(500)로 전송한다.
보호자 개인 단말(650)은, 사용자 개인 단말(300)이 아닌 별도의 보호자의 개인 단말로, 고령자, 취약층 또는 별도의 관리가 필요한 복용자를 대상으로, 보호자에게, 복약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복용자가 제대로 복용을 하고 있지 않을 경우, 메인 서버(500)로부터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알리는 음향 또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본 발명은, 처방을 받은 약품 또는 정기적으로 섭취해야 하는 약품, 별도의 소분 등을 통해 맞춤형으로 제공 받은 건강기능식품(영양제 포함)에 대해서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을 통해 원격의 관리자가 사용자의 복용 약물에 대한 정보를 통해 약물 정보를 선행적으로 파악하고, 섭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복용 정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최적의 복용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2는 다수개의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를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복수개의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 각각은 각각의 건강관리기(100)들과 연동되어 생체정보(건강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허브(270)에 저장하며, 또한, 메인 서버(500)로 전송하며, 사용자가 복용을 위하여 약물인식장치(220)를 통해 입력한 복약정보를 데이터 허브(270)에 저장하고, 메인 서버(500)로 전송한다.
사용자 개인단말(300)에서,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설정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건강 및 복용에 대한 알람 정보, 복용처방정보를 설정하면, 이는 복수개의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로 전송되어, 데이터 허브(270)에 저장되며, 또한, 이는 메인서버(500)로 전송되어 데이터 베이스(DB)(미도시)에 저장된다.
복수개의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 각각은 기설정된 복용 처방정보에 따라서 약물을 복용하도록 알람하고, 피검자의 약물복용 여부를 포함하는 복용정보를 생성하고, 복용정보 및 생체정보를 데이터 허브(270)에 저장하며, 또한, 메인 서버(500)로 전송한다.
메인 서버(500)는, 사용자 개인단말(300)에서 요청이 있을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복용정보 및 생체정보를 통계처리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개인단말(300) 및 전문가 단말(600)로 전송하고, 전문가 단말(600)로부터 수신된 복약 지도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고, 사용자 개인단말(300)로 전송한다.
메인 서버(500)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문턱치 기간이상 동안에 약물을 복용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 개인단말(300) 또는 보호자 개인단말(650)으로 이를 알리는 알림신호를 전송한다.
사용자 개인단말(300)은 메인 서버(500) 또는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200)로부터 수신된 알람신호,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신호 또는 메시지 신호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복용 관리 시스템 100 : 건강관리기
110 : 웨어러블 디바이스 150 : 홈 헬스 케어기기
200 :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 210 : 복용관리기
220 : 약물 인식장치 230 : 복용버튼
250 : 연산처리부 260 : 송수신부
270 : 데이터허브 300 : 사용자 개인단말
500 : 메인서버 600 : 전문가 단말
650 : 보호자 개인단말

Claims (10)

  1. 복용자로부터 맥박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건강관리기;
    데이터 허브 및 약물 인식장치를 구비하며, 건강관리기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데이터 허브에 저장하고, 약물 인식장치로부터 복용 약물의 복약정보를 읽어들이고, 기 설정된 복용 처방정보에 따른 약물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약물 복용 여부를 포함하는 복용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허브에 저장하는,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로부터 생체신호, 복용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로부터 생체신호의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개인단말;
    사용자 개인단말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 복용 정보를 데이터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생체신호, 상기 복용 정보를 통계처리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를 사용자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메인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복약 정보는 약물의 포장 또는 통에 기재되어 있으며, 약물의 명칭, 성분을 포함하는 정보로, 바코드, QR코드, RFI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 정보이고,
    복용정보는, 복용된 약물의 복약정보, 복용시간, 설정된 약물 복용여부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복용 처방정보는, 소정 약물의 복약정보, 복용시간을 포함하는 복용 스케쥴관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복용 처방정보시,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는 약물 인식장치로부터 약물의 복약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 개인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개인단말은,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로부터 수신된 복약정보와, 소정 설정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복용시간을 포함하는 복용 처방정보를 메인서버 및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건강관리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홈 헬스 케어기기를 포함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체에 부착하거나 착용하도록 이루어지며, 활동량, 맥박, 수면 패턴, 심박신호, 심전도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기기이고,
    홈 헬스 케어 기기는,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 체중계, 혈압계, 혈당측정기, 체온계, 심전도계, 광용적맥파 측정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약물 인식장치는 약물의 포장 또는 통에 기재되어 있는 복약 정보를 읽어들이는 스캐너를 포함하며,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의 연산처리부는 약물 인식장치로부터 읽어들인 복약정보를 데이터 허브에 저장하고, 사용자 개인단말을 통해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는, 약물 복용시, 복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버튼인, 복용버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는 약물 수납부를 포함하고,
    복용버튼은, 상기 약물 수납부에서 소정 약물을 꺼내기위해 수납부 커버를 열기위한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메인서버는 통계 데이터를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고,
    전문가 단말은, 전문가가 입력한 복용방법을 포함하는 복약지도 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은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약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복용 처방정보에 따른 복용시간이 되면, 복용 및 데이터 관리기의 스피커로 복용시간을 알리는 음향을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개인단말로 약물 복용시간을 알리는 음향 또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메인서버는,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약물의 복용에 따른 건강상태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KR1020210086459A 2021-07-01 2021-07-01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06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459A KR20230006675A (ko) 2021-07-01 2021-07-01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459A KR20230006675A (ko) 2021-07-01 2021-07-01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675A true KR20230006675A (ko) 2023-01-11

Family

ID=8489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459A KR20230006675A (ko) 2021-07-01 2021-07-01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66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299B1 (ko) * 2023-07-14 2024-02-26 임기채 복약 및 건강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299B1 (ko) * 2023-07-14 2024-02-26 임기채 복약 및 건강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9942B1 (en) Intravenous medication harm index system
US10535248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argeted interactive health status notification and confirmation
US80205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medical treatment data
US20150012290A1 (en) Electronic health journal
US20050171815A1 (en) Centralize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1901059B2 (en) System and device for remote monitoring
Schwartz et al. The promise and perils of wearable physiological sensors for diabetes management
CN107924708A (zh) 用于改善医疗效果的游戏化系统和方法
WO202107047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Felizardo et al. E-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trends
KR20230006675A (ko) 건강 정보 분석 기반의 약물의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322450B2 (ja) 服薬支援情報提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38489A (ja) 処方情報管理装置、処方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処方情報管理装置の制御方法
Bhargava et al. Mobile health technologies
Russo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and people in health care
Chandramohan et al. Automated Medicine Dispenser with Personal Healthcare Monitoring Using IoT
Bez et al. Wearable devices and medical monitoring robot software to reduce costs and increase quality of care
EP4312228A1 (en) System for supporting a patient's health control and operating method of such system
Amit et al. Review on IoT Based Real-Tim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Ull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IoT Deployment in India’s Healthcare Sector
Gaspar et al. A Review of Monitoring and Assisted Therapeutic Technology for AAL Applications
JP6117497B2 (ja)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管理方法
Navaneethakumar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IoT Deployment in India’s Healthcare Sector
TR201604967A2 (tr) Akilli i̇laç kutu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