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609A -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 Google Patents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609A
KR20190135609A KR1020180060830A KR20180060830A KR20190135609A KR 20190135609 A KR20190135609 A KR 20190135609A KR 1020180060830 A KR1020180060830 A KR 1020180060830A KR 20180060830 A KR20180060830 A KR 20180060830A KR 20190135609 A KR20190135609 A KR 20190135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spout
unit
notification unit
bott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완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드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드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드아이
Priority to KR102018006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5609A/ko
Publication of KR2019013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866Other details
    • B65D2501/24872Information, identification or 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는 병의 주둥이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일측이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오목부를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병의 주둥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감지부,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고, 병의 개폐 및 병의 최초 개폐된 이후에 흐른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알리도록 이루어지는 알림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병의 개폐 및 병의 최초 개폐된 이후에 흐른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알림부에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BOTTLE CAP HAVING NOTIFICATION PART}
본 발명은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의 내부에 담긴 음료 등의 신선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구성된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패트병(PET)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병마개가 처음부터 장착되어 나온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병마개를 포함하는 패트병은 병마개를 오픈하기 전에는 세균 등이 패트병 내부에 번식될 위험성이 비교적 적다.
그런데, 일회용 패트병의 병마개를 오픈한 후부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에 있는 음료 등에 세균이 번식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또한, 병마개를 자주 오픈하면 오픈할수록 공기와의 접촉되는 시간이 늘어나고, 이를 통해 병의 내부에 음료 등의 세균번식의 위험 또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다수 회 사용하는 병이거나, 패트병을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병마개가 오픈된 이후이므로, 병 내부에 언제 내용물이 담겨 있는지를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병마개가 오픈된 경우 패트병 내부에 담긴 음료 등의 신선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는 단지 패트병에 국한되는 문제는 아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4620호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병의 내부에 담긴 음료의 신선도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두운 곳에서나,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병의 내부에 담긴 음료의 신선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병이 최초 오픈 되었을 때부터의 시간과, 오픈 횟수 등에 의해 병의 내부에 담긴 음료의 신선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는 병의 주둥이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일측이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오목부를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병의 주둥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감지부,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고, 병의 개폐 및 병의 최초 개폐된 이후에 흐른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알리도록 이루어지는 알림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병의 개폐 및 병의 최초 개폐된 이후에 흐른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알림부에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상기 오목부를 향하도록 상기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병의 주둥이와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상기 바디가 회전하여 병의 주둥이를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거나, 상기 바디를 가압하여 병의 주둥이를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바디가 병의 주둥이와 결합함에 따라, 병의 주둥이에 의해 밀려들어가도록 상기 바디에서 상기 오목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접촉유닛,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접촉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촉유닛이 병의 주둥이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거나 인장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거나 인장됨에 따라 가압되는 힘을 감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유닛이 상기 바디의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어,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병의 주둥이가 닫혀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하의 경우 병의 주둥이가 열려있다고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오목부를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광발생부, 및 상기 광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광을 수신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기 광센서에서 수신되는 경우, 병의 주둥이가 열려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광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기 광센서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 병의 주둥이가 닫혀있다고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가 병의 주둥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바디가 병으로부터 기 결정된 길이 이상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홀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홀드유닛의 일단은 병의 주둥이에 끼움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드유닛의 타단은 상기 바디와 연결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를 회전할 때 상기 홀드유닛과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바디 및 상기 홀드유닛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림부는 병의 개폐 및 병의 최초 개폐로부터 흐른 시간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진동을 통해 알려주는 진동부 및 소리를 통해 알려주는 사운드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림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개폐를 감지하여, 병의 주둥이의 개폐 횟수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림부는,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 외측으로 발광되어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서로 색이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병의 주둥이가 열린 후부터 흐른 시간 및 병의 주둥이가 개폐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외부에서 시인되는 색이 변화하도록 상기 발광소자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터치 또는 누름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에 따라, 병의 주둥이가 열린 후부터 흐른 시간, 병의 주둥이가 개폐된 횟수 및 상기 알림부에 표시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은 상기 바디에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타단은 병의 주둥이와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일단 및 타단은 서로 직경이 다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병의 내부에 담긴 음료의 신선도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나, 병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병의 내부에 담긴 음료의 신선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병이 최초로 열린 시간 및 병마개가 오픈된 횟수를 고려하여 병의 내부에 담긴 음료 등의 신선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병마개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와 병의 상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를 단면으로 자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의 감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와 병의 상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의 알림부에 나타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와 병의 상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130)를 포함하는 병마개(이하, 병마개(100))는 바디(110), 감지부(120), 알림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알림부(130)는 병(10)의 개폐여부 및 개폐로부터 흐른 시간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진동을 통해 알려주는 진동부, 소리를 포함한 청각정보를 통해 알려주는 사운드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는 병마개(100)의 내부에 진동을 일으킬 수 있는 진동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후에 자세하게 설명할 병(10)의 개폐 횟수의 증가 및 병(10)의 최초 오픈의 시간으로부터 시간이 흐름이 많을수록 진동의 횟수 및/또는 진동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병(10)의 내부에 담긴 음료 등의 신선도가 떨어졌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진동부가 진동을 일으키는 경우는 예를 들어, 병(10)이 흔들리는 등의 병(10) 자체의 진동을 발생하면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병(10)을 집어들었다고 판단하여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사운드출력부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을 포함한 다양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병마개(100)를 오픈한 직후에는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및/또는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병마개(100)의 오픈횟수 및 병마개(100)가 최초 오픈한 이후에 흐른 시간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후에 자세하게 설명할 병(10)의 개폐 횟수의 증가 및 병(10)의 최초 오픈의 시간으로부터 시간이 흐름이 많을수록, 점점 긴 시간동안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및/또는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병마개(100)의 오픈횟수 및 병마개(100)가 최초 오픈한 이후에 흐른 시간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병이 오픈된 이후에 흐른 시간 및 병의 오픈 횟수를 고려한 병의 내부에 담긴 음료의 신선도에 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알림부(130)가 시각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부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겠다.
바디(110)는 병(10)의 주둥이(11)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일측이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18)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2를 참조하면, 바디(110)의 하측으로 병의 주둥이(11)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118) 내부에 병의 주둥이(11)가 삽입되며, 병과 병마개(1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바디(110)의 오목부(118)의 내측에는 병의 주둥이(11) 부분과 바디(110)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디(110)는 오목부(118)를 향하도록 바디(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병의 주둥이(11)와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15)는 병의 주둥이(11)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맞물림되어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일 수 있다. 또한, 돌기(115)는 나사산이 아니라, 병의 주둥이(11) 부분 상측에서 외력을 가하여 닫히거나 열리게 걸림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돌기(115)일 수도 있다. 이때, 돌기(115)는 오목부(118) 내부를 따라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 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돌기(115)는 바디(110)가 회전하여 병의 주둥이(11)를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거나, 바디(110)를 가압하여 병의 주둥이(11)를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돌기(115)는 병의 주둥이(11)와 서로 결합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118)에 병의 주둥이(11) 부분이 삽입되어, 병의 주둥이(11)에 개구가 오목부(118) 내측 상단의 바디(110)에 의해 막혀 병의 주둥이(11)의 개구가 닫힌다. 즉, 병의 주둥이(11) 부분은 바디(110)의 오목부(118)로 들어가게 되며, 바디(110)에 의해 병의 주둥이(11)는 덮힌다. 이는 일반적인 병마개(100)가 병의 주둥이(11)를 덮는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디(110)는 알림부(130)가 배치되는 제1부분(112)과, 오목부(118)가 형성되는 제2부분(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제1부분(112)과 제2부분(114)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부분(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112)은 바디(110)의 상단을 이루는 외부커버와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제1부분(112)의 상단에는 알림부(1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부분의 내부에는 발광소자(132), 제어부(140) 및 배터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130)는 병의 주둥이(11)의 개폐와 관련된 정보 및 개폐된 후에 흐른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알림부(130)에는 병이 최초로 오픈되고 나서 흐른 시간에 대한 정보 및 병이 오픈된 횟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기술한다.
발광소자(132)는 제1부분(112)의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발광소자(132)는 제1부분(112)의 외부커버 내측에 배치되며, 제어부(14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132)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할 수 있는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소자(132)는 제어부(140)의 신호에 의해 밝기가 조절될 수 있으며, 제어부(140)의 신호에 의해 특정한 색을 가진 발광소자(132)가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발광소자(132)는 병이 최초 오픈된 후에 흐른 시간 및 병이 오픈된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과 광의 세기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는 병이 열린 후에 얼마만큼의 시간이 흐른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발광소자(132)는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발광소자(132)는 도 2를 참조하면, 서로 간격을 가지고 제1부분(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부분(112)의 커버의 내측에는 발광소자(132)로부터 나온 광들이 바디(110)의 제1부분(112)의 측면으로 잘 확산될 수 있도록 반사판(13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발광소자(132)로부터 나온 광은 알림부(130)의 주변부와 제1부분(112)의 측면부분을 통해 외부로 발산된다. 또한 제1부분(112)은 발광소자(132)로부터 나온 광들이 통과되며 확산될 수 있는 두께 및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발광소자(132)로부터 나온 광이 제1부분(112)의 커버를 통과하며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부분(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후술할 감지부(120)에서 감지되는 병의 주둥이(11)의 개폐 여부 및 병이 최초로 오픈된 때부터 흐른 시간을 측정하여 알림부(130)에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설계상의 필요 등에 따라, 발광소자(132)와 제어부(140)는 바디(110)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부분(112)에는 제어부(140), 발광소자(132) 및 알림부(130) 등에 전력을 제공할 배터리(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180)는 발열 등의 이유로 다른 부품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디(110)에는 배터리(18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단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부분(114)은 하방이 개구되어 오목부(118)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118)에 병의 주둥이(11)나, 병에 최초로 결합된 병마개(10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부분에는 병의 주둥이(11) 또는 병에 최초로 결합된 병마개(100)와 결합할 수 있는 돌기(115)와, 바디(110)가 병의 주둥이(11) 또는 병에 최초로 결합된 병마개(100)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부분(116)은 홀드유닛(160)과 연결된다. 즉, 제3부분(116)은 홀드유닛(160)의 링부(162)와 바디(110)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이때, 제3부분(116)은 제1부분(112) 및/또는 제2부분(114)과 서로 독립되게 회전하도록 분리되어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한편, 병마개(100)가 홀드유닛(160)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3부분(116)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110)는 세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부분(112)은 알림부(130)가 배치되고, 제2 부분은 오목부(118)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부분은 홀드유닛(160)과 바디(11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감지부(120)는 오목부(118)를 향하도록 바디(110)에 배치되고, 병의 주둥이(11)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목부(118)를 향하도록 바디(110)에 배치되는 광발생부(120a), 및 광발생부(120a)에서 발생되는 광을 수신 가능하도록 바디(110)에 배치되는 광센서(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발생부(120a)와 광센서(120b)는 광발생부(120a)에서 발생되는 광(P)이 광센서(120b)에서 수신 가능하게 바디(11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서는 광발생부(120a)와 광센서(120b)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설계상의 필요 등의 이유로 이와 다르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광발생부(120a)에서 발생되는 광은 바디(110)의 오목부(118) 내부에 병의 주둥이(11)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광센서(120b)에 의해서 수신된다. 그리고, 바디(110)의 오목부(118) 내부에 병의 주둥이(11)가 삽입된 경우, 광발생부(120a)에서 발생되는 광은 병의 주둥이(11) 부분에 의해 막히거나, 산란되어 광센서(120b)에 충분하게 센싱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병마개(100)가 병의 주둥이(11)를 덮고 있는 동안에는 광센서(120b)가 광을 충분하게 수신받지 못하게 되고, 병마개(100)가 병의 주둥이(11)에서 분리되면 광센서(120b)가 광을 충분하게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광센서(120b)에 수신되는 광의 양에 따라 바디(110)가 병을 덮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광발생부(120a)에서 발생되는 광이 광센서(120b)에서 충분히 수신되는 경우, 병의 주둥이(11)가 열려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광발생부(120a)에서 발생되는 광이 광센서(120b)에서 충분히 수신되지 않는 경우, 병의 주둥이(11)가 닫혀 있다고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광센서(120b)에 유입되는 광량에 따라 제어부(140)는 병마개(100)가 병의 주둥이(11) 부분과 서로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알림부(130)는 바디(110)의 타측에 배치되고, 병의 주둥이(11)의 개폐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알림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되는 개폐를 감지하여, 병의 주둥이(11)의 개폐 횟수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구체적인 표시방법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한편, 병마개(100)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병마개(10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디(110)는 홀드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드유닛(160)은 바디(110)와 병의 주둥이(11)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에 바디(110)가 병으로부터 기 결정된 길이 이상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드유닛(160)의 일단은 병의 주둥이(11)에 끼움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홀드유닛(160)의 타단은 바디(110)와 연결된다. 따라서, 홀드유닛(160)의 일단이 병의 주둥이(1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바디(110)가 병의 주둥이(11)로부터 분리되어도 병마개(100)가 병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홀드유닛(160)은 링(162)과 연결부(1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드유닛(160)의 일단은 상술한 것과 같이 바디(110)의 제3부분(116)과 연결된다. 그리고, 홀드유닛(160)의 타단은 병의 주둥이(11) 부분이 끼움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충분한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디(110) 및 홀드유닛(160)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바디(110)가 회전될 때 바디(110)와 홀드유닛(160)이 함께 회전하지 않고, 바디(110)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바디(110)의 제2부분(114)이 회전될 때, 제3부분(116) 및/또는 제1부분(112)은 회전이 되지 않도록, 제2부분(114)과 제3부분(116) 및/또는 제1부분(112)은 서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병의 주둥이(11)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바디(110)의 제2부분(114)이 회전되는 경우, 제1부분(112)의 알림부(130) 및 홀드유닛(160)이 함께 회전하여 사용자의 손에 걸리거나 알림부(130)가 회전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바디(110)는 알림부(130)에 표시되는 숫자를 리셋(Reset)시키거나, 표시되는 항목을 변경하는 등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조작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50)는 알림부(130)를 터치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도록 터치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조작부는 누름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조작방법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의 감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120)는 병마개(100)가 병의 주둥이(11)와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20)는 도 2에서 예시한 광발생부(120a) 및 광센서(120b)로 이루어진 감지부(120)가 아닌, 접촉유닛(122), 탄성체(124) 및 압력센서(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촉유닛(122)은 오목부(118)에 병의 주둥이(11)가 삽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바디(1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바디(110)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이동될 수 있다. 즉, 접촉유닛(122)은 바디(110)가 병의 주둥이(11)와 결합함에 따라, 병의 주둥이(11)에 의해 밀려들어가도록 바디(110)의 내부에서 오목부(118)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촉유닛(122)은 병의 주둥이(11)가 오목부(118)에 삽입됨에 따라 뒤로 자연스럽게 밀려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곡선형태를 이루는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탄성체(124)는 바디(110)의 내부에 접촉유닛(12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접촉유닛(122)이 병의 주둥이(11)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체(124)의 일단은 후술할 압력센서(126)에 접촉되고, 타단은 접촉유닛(122)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접촉유닛(122)이 병의 주둥이(11)에 의해 제3부분(116)의 커버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거나, 병의 주둥이(11)가 오목부(118)로부터 제거되어 접촉유닛(122)이 병의 오목부(118) 부분으로 돌출되는 경우에 탄성체(124)는 압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다. 탄성체(124)는 스프링이거나, 이와 유사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센서(126)는 탄성체(124)와 바디(110)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체(124)가 압축되거나 인장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오목부(118)의 병의 주둥이(11)가 삽입됨에 따라, 병의 주둥이(11)는 접촉유닛(122)을 가압하여 접촉유닛(122)은 제3부분(116)의 내측으로 밀려들어 간다. 병의 주둥이(11)가 밀려들어 감에 따라, 탄성체(124)가 압축되며 탄성체(124)가 압축됨에 따라 압력센서(126)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접촉유닛(122)이 바디(110)의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탄성체(124)가 압축되어, 압력센서(126)가 감지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병의 주둥이(11)가 닫혀있다고 판단하고, 압력센서(126)가 감지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하의 경우 병의 주둥이(11)가 열려있다고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촉유닛(122)이 병의 주둥이(11) 부분에 의해 제3부분(116)의 커버부분의 다른 영역으로 밀려나서 탄성체(124)가 제대로 압축되거나, 인장되지 않은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디(110)의 제3부분(116)은 감지부(120)의 상부 및 하부가 막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와 병의 상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병마개(100)는 도 1에 도시된 병마개(100)와 비교하여, 커넥터(170)를 더 포함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병마개(100)는 오목부의 직경과, 병(10')의 주둥이(11')의 직경이 서로 다른 병의 주둥이(11')에 병마개(100)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커넥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170)는 일단(171)이 병마개(100)의 바디(110)에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타단(172)은 병의 주둥이(11)와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의 주둥이(11)의 직경은 오목부(118)의 직경보다 더 넓다. 이에 따라, 병의 주둥이(11)에 병마개(100)를 직접 결합시킬 수 없다. 이때, 커넥터(170)를 이용하여 병의 주둥이(11)와 병마개(1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170)의 상단은 병마개(100)의 하단부분과 결합할 수 있도록 직경 및 결합수단(예를 들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170)의 하단은 병의 주둥이(11)와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직경 및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70)는 병마개(100)와 병의 주둥이(1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병의 주둥이(11')에는 커넥터(170)가 끼워지고, 커넥터(170)의 상단에는 병마개(100)가 끼워진다. 사용자는 병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서 병마개(100)만 커넥터(170)에서 분리해서 사용하면 된다. 병마개(100)가 커넥터(17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술한 감지부(120)는 병의 주둥이(11')의 오픈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림부(130)를 포함하는 병마개(100)에 의하면, 병마개(100) 바디(110)의 직경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병에도 커넥터(170)를 이용하여 병마개(100)와 병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주둥이(11)의 직경이 서로 다른 다양한 병에도 하나의 병마개(100)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130)를 포함하는 병마개(100)의 알림부(130)에 나타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도 5a는 병마개(100)를 처음 병의 주둥이(11)에 결합한 경우 병마개(100)의 상부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바디(110)의 상면에는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배치된 병마개(100)의 알림부(130)가 배치된다. 알림부(130)는 상하로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 2 이상의 영역이 나뉘어져 있을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알림부(130)는 시간을 표시하는 제1영역(131a)과, 병이 오픈 된 횟수를 표시하는 제2영역(131b)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알림부(130)는 3 이상의 영역이거나 하나의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조작부(150)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에 따라, 병의 주둥이(11)가 열린 후부터 흐른 시간, 병의 주둥이(11)가 개폐된 횟수 및 알림부(130)에 표시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술한 두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술한 조작부(150)를 조작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 시간을 표시하는 hour라고 표시된 제1영역(131a)에 표시되는 항목을, 분을 표시하는 min으로 바꾸거나, 일자를 표시하는 day로 바꿀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패트(PET)병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병마개(100)가 오픈되지 않은 채로 나오게 된다. 이때, 패트병의 병마개(100)를 제거하고, 본 발명인 알림부(130)를 포함하는 병마개(100)로 교체하여 병의 주둥이(11)에 끼울 수 있다. 이때, 알림부(130)를 포함하는 병마개(100)를 병에 장착하기 위하여 기존에 장착된 병마개(100)를 제거함으로써 최초의 오픈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병마개(100)의 알림부(130)의 open을 나타내는 영역에는 숫자 1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알림부(130)를 포함하는 병마개(100)는, 병에 최초로 결합되어 있던 병마개(100)를 제거한 후 끼우거나, 병에 최초로 결합되어 있던 병마개(100)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 병에 최초로 결합되어 있던 병마개(100)를 제거한 후 병마개(100)를 끼우는 경우 감지부(120)가 이를 감지하여 알림부(130)의 제2영역(131b)에 open에 '01'이라는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병마개(100)는 open이라는 숫자가 하나 카운팅 될 때부터 또는 조작부(150)에 의한 조작에 의해 시간이 카운팅될 수 있다. 즉, 병마개(100)를 최초로 병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사용자가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시간 측정을 시작하게 만든 때부터 제어부(140)는 시간의 흐름을 측정하여 알림부(130)를 통해 이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알림부(130)가 표시된 병마개(100)는 병에 최초로 결합되어 있던 기존의 병마개(100)를 덮는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최초로 결합되어 있는 병마개(100)보다 알림부(130)가 표시된 병마개(100)의 바디(110)가 길게 형성되어 감지부(120)가 병의 주둥이(11)의 하측 부분을 감지함으로써, 알림부(130)가 표시된 병마개(100)가 병에서 이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병마개(100)를 병과 결합한 후 최초로 오픈하거나, 조작부(150)에 의해 시간의 측정을 시작한 경우, 시간이 0 hour에서부터 1시간에 1씩 증가할 수 있다. 이때 병이 최초로 오픈되었기 때문에 병의 내부에 음료 등이 신선한 상태이므로, 상술한 발광소자(132)에서는 청량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예를 들어 청색의 발광소자(132)가 발광하여 병 내부에 있는 음료 등이 신선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청색의 발광소자(132)로부터 발광된 빛(L1)은 알림부(130)의 주변 및 바디(110)의 주변으로 나올 수 있다.
도 5b는 병의 주둥이(11)에 병마개(100)를 장착한 후 약 32시간이 지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병마개(100)가 병으로부터 최초 오픈되었을 때부터 32시간이 지났고, 8번의 오픈되었던 것이 알림부(130)에 표시된다.
병을 오픈한지 32시간이 지났으며 그 시간 동안 총 8번의 오픈이 되었으므로, 병의 내부에 있는 음료 등의 신선도가 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신선함을 의미하는 청색 발광소자(132)로부터 발광된 빛(L2)의 세기가 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병의 주둥이(11)가 열린 후부터 흐른 시간 및 병의 주둥이(11)가 개폐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외부에서 시인되는 색이 변화하도록 발광소자(132)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빛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통해, 사용자는 신선도가 줄어들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병마개(100)가 병으로부터 오픈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같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병 내부에 있는 음료 등의 신선도를 낮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똑같은 30시간이 흐른 두 개의 병이 있었을 때, 오픈 횟수가 더 많은 병마개(100)의 경우 오픈 횟수가 더 적은 병마개(100)와 비교하였을 때 파란색상의 색상강도가 약하거나, 파란색상이 아닌 노란색상이 발광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발광소자(132)의 색상을 결정하는 인자를 단순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병마개(100)의 오픈 횟수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병의 내부의 음료의 신선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 및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알림부(130)에 표시되는 시간 및 오픈 횟수를 직접 확인 및/또는 바디(110)에서 발광되는 광의 색상과 광의 세기를 통하여 병 내부에 포함된 음료 등의 신선도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c는 병의 주둥이(11)에 병마개(100)를 장착한 후, 약 78시간이 지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병마개(100)를 병의 주둥이(11)에 장착한 후, 23번의 병마개(100)의 오픈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병의 내부에 있는 음료 등의 신선도가 오픈하기 전 보다 상당히 떨어졌으므로, 제어부(140)는 처음에 발광했던 색과 다른 색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마개(100)를 병으로부터 최초로 오픈한 경우에는 신선함을 나타내는 파란색상이 발광되었다면, 도 5c의 병마개(100)에서 발광되는 빛(L3)은 노란 색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100)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광되는 색상이나 발광정도가 달라짐으로써, 사용자는 병마개(100)에서 발광되는 색상의 변화를 통해 어두운 곳에서나 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병 내부의 음료 등의 신선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100)는 발광소자(132)를 통해 병 내부의 음료 등에 대한 신선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색상을 표시함으로써, 알림부(130)에 표시되는 구체적인 시간이나 오픈 횟수에 대한 수치를 확인하지 않아도 병 내부의 음료 등의 신선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병 : 10 주둥이 : 11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 100 바디 : 110
제1부분 : 112 제2부분 : 114
돌기 : 115 제3부분 : 116
오목부 : 118 감지부 : 120
접촉유닛 : 122 탄성체 : 124
압력 센서 : 126 광발생부 : 120a
광센서 : 120b 알림부 : 130
제1영역 : 131a 제2영역 : 131b
발광소자 : 132 반사판 : 134
커버 : 115 제어부 : 140
조작부 : 150 홀드유닛 : 160
링부 : 162 연결부 : 164
커넥터 : 170 커넥터의 상단 : 171
커넥터의 하단 : 172 배터리 : 180
광의 경로 : P 빛 : L1, L2, L3

Claims (14)

  1. 병의 주둥이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일측이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오목부를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병의 주둥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감지부;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고, 병의 개폐 및 병의 최초 개폐된 이후에 흐른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알리도록 이루어지는 알림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병의 개폐 및 병의 최초 개폐된 이후에 흐른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알림부에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오목부를 향하도록 상기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병의 주둥이와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돌기를 포함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바디가 회전하여 병의 주둥이를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거나, 상기 바디를 가압하여 병의 주둥이를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바디가 병의 주둥이와 결합함에 따라, 병의 주둥이에 의해 밀려들어가도록 상기 바디에서 상기 오목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접촉유닛;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접촉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촉유닛이 병의 주둥이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거나 인장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거나 인장됨에 따라 가압되는 힘을 감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유닛이 상기 바디의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어,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병의 주둥이가 닫혀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하의 경우 병의 주둥이가 열려있다고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오목부를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광발생부; 및
    상기 광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광을 수신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기 광센서에서 수신되는 경우, 병의 주둥이가 열려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광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기 광센서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 병의 주둥이가 닫혀있다고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가 병의 주둥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바디가 병으로부터 기 결정된 길이 이상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홀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홀드유닛의 일단은 병의 주둥이에 끼움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드유닛의 타단은 상기 바디와 연결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를 회전할 때 상기 홀드유닛과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바디 및 상기 홀드유닛이 서로 연결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병의 개폐 및 병의 최초 개폐로부터 흐른 시간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진동을 통해 알려주는 진동부 및 소리를 통해 알려주는 사운드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개폐를 감지하여, 병의 주둥이의 개폐 횟수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인,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 외측으로 발광되어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서로 색이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병의 주둥이가 열린 후부터 흐른 시간 및 병의 주둥이가 개폐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외부에서 시인되는 색이 변화하도록 상기 발광소자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터치 또는 누름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에 따라,
    병의 주둥이가 열린 후부터 흐른 시간, 병의 주둥이가 개폐된 횟수 및 상기 알림부에 표시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14.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바디에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타단은 병의 주둥이와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일단 및 타단은 서로 직경이 다른 커넥터를 포함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KR1020180060830A 2018-05-29 2018-05-29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KR20190135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30A KR20190135609A (ko) 2018-05-29 2018-05-29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30A KR20190135609A (ko) 2018-05-29 2018-05-29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09A true KR20190135609A (ko) 2019-12-09

Family

ID=6883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830A KR20190135609A (ko) 2018-05-29 2018-05-29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56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315Y1 (ko) * 2020-04-09 2021-09-10 이혜연 페트병을 재활용하는 diy스탠드
KR102641782B1 (ko) * 2023-09-27 2024-02-27 정희재 반려동물용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620B1 (ko) 2011-07-13 2013-02-06 대진기술정보 (주)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620B1 (ko) 2011-07-13 2013-02-06 대진기술정보 (주)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315Y1 (ko) * 2020-04-09 2021-09-10 이혜연 페트병을 재활용하는 diy스탠드
KR102641782B1 (ko) * 2023-09-27 2024-02-27 정희재 반려동물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90963A1 (en) Fluid end of life sensors
CN217118247U (zh) 具有交互式彩色灯的瓶组件
EP3554418B1 (en) Brushing device with illumination features
KR20190135609A (ko) 알림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TWI731257B (zh) 電子秤及其控制方法
JP5234496B2 (ja) 水栓装置
CA3034330A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liquid intake of a us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US20200019126A1 (en) Timer
US20170152997A1 (en) Lantern
US20130105434A1 (en) Novelty bottle cap
CN111513525A (zh) 一种智能测量杯子
US11185179B2 (en) Liquid consumption monitoring device
WO2014210112A2 (en) Device for prevention of beverage tampering
CA3085030A1 (en) Illuminating container
KR20180060014A (ko) 목질환 경고기능이 구비된 안경장착형 웨어러블 장치
US20220167129A1 (en) Electronically enabled drinking receptacles
JP3190539U (ja) スイッチ構造
CN108852006A (zh) 具有装配检测功能的冲奶机
KR101713431B1 (ko) 블루투스 스피커와 led조명이 구비된 보틀용 캡
DK2331421T3 (en) Device showing at least one information showing the expiry date of a liquid food product contained in a container
KR101240680B1 (ko) 컵을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KR20070064187A (ko) 개방감지기능을 구비한 병마개
WO2017197916A1 (zh) 吸管杯组件和杯子
KR200485329Y1 (ko) 기능성 젓가락
KR102355033B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