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848B1 -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 Google Patents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848B1
KR102333848B1 KR1020190137719A KR20190137719A KR102333848B1 KR 102333848 B1 KR102333848 B1 KR 102333848B1 KR 1020190137719 A KR1020190137719 A KR 1020190137719A KR 20190137719 A KR20190137719 A KR 20190137719A KR 102333848 B1 KR102333848 B1 KR 102333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rotating plate
container
automatic dispensing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883A (ko
Inventor
이어진
Original Assignee
이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어진 filed Critical 이어진
Priority to KR102019013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8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 B65D83/045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the whole forming a circular container with rota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4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은 상단이 개방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칸막이; 상기 용기의 하단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약을 지지하되, 상기 용기의 내주면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을 통해 약을 공급받아 보관하는 보관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DRUG BOX FOR AUTOMATIC DISCHARGE}
본 발명은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에 관한 것이다.
현대 의약기술이 발달하면서 많은 사람들은 다양한 질병을 대비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약을 복용하고 있다. 더하여, 바쁜 현대인들은 식사만으로 챙기지 못하는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해 비타민 등 건강기능식품을 꾸준히 복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많은 업무와 스트레스, 번잡한 주위환경에 의해 약을 수분전에 복용하고도 그 여부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약 복용 시기를 놓쳐 미복용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보완하고자, 약국에서는 약 조제시 날짜에 따른 구분과 복용 시간 및 횟수를 약봉지에 표시하여 제공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기억에만 의존하여 약을 복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케이스 내부에 약을 담아 보관한 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휴대용 약통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휴대용 약통은 사각형의 분할된 수납통을 구성하여 약재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휴대용 약통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의 휴대용 약통은 복용시기에 따라 약을 따로따로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복용하였는지 아닌지 쉽게 판단할 수 있고, 복용시간 역시 쉽게 알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약봉지에 복용 시기와 복용 시간을 표시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약통을 항상 주변에 두고 활동해야 하므로 복용을 잊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복용 시기와 복용 시간을 알리는 시각적 기능과 동시에 시간 알림과 같은 청각적 기능을 더 포함하는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은 상단이 개방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칸막이; 상기 용기의 하단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약을 지지하되, 상기 용기의 내주면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을 통해 약을 공급받아 보관하는 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는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내부공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는 상기 용기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되는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뻗어서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중심을 지나는 복수의 선으로 구획되어 적어도 하나의 약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은 하나의 상기 제 1 영역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약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 1 배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격벽이 이루는 이웃사이각만큼 반복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내부에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타이머를 통해 사용자가 기 입력한 시간이 되면 상기 이웃사이각만큼 한번 회전한다.
또한, 상기 보관함은 물체의 하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 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약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은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용기의 외주면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보조 회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회전판은 상기 보조 회전판의 중심을 지나는 복수의 선으로 구획되어 적어도 하나의 약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회전판은 두개의 상기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약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 2 배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감지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보관함으로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배출된 약의 토출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은 복용 시기와 복용 시간을 알리는 시각적 기능과 동시에 시간 알림과 같은 청각적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의 보관함이 열린 상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약 복용상태가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현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의 보관함이 열린 상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용기(100), 칸막이(200), 회전판(300) 및 보관함(4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토출버튼(600) 및 스피커(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0)는 상단이 개방되어 개구부가 형성되고, 높이방향이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10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투명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조제된 약(800)들이 상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수용된다.
또한, 용기(100)에는 조제된 약(800)들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량의 습기제거제가 더 수용될 수 있다.
칸막이(200)는 용기(100)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칸막이(200)는 상기 용기(100)에 삽입되되, 상기 용기(100)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또한, 칸막이(200)는 상기 용기(100)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되는 수직지지부(210)와, 상기 수직지지부(210)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뻗어서 상기 용기(100)의 내주면과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2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내부공간부는 조제된 약(800)들이 상부 개구를 통해 삽입될 때 충분한 양이 수용되도록 용기(100)의 바닥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내부공간부는 아침, 점심, 저녁으로 조제된 약(800)들을 나누거나 또는 요일별로 조제된 약(800)들을 나누어 보관하도록 상기 칸막이(200)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요일별로 조제된 약(800)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부를 나누어 8등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판(300)은 상기 용기(100)의 하단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조제된 약(800)을 지지하되, 상기 용기(100)의 내주면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300)은 상기 회전판(300)을 중심을 지나는 복수의 선으로 구획되어 적어도 하나의 약(800)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영역(3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0)은 원형의 파이를 8등분한 것과 같이 8개의 제 1 영역(31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제 1 영역(310)이 모여 하나의 회전판(300)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310)은 회전판(3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조제된 약(800)들을 요일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제 1 영역(310)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300)은 하나의 상기 제 1 영역(310)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약(800)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 1 배출구(3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 회전판(300)은 8등분된 원형의 파이 형태에서 한조각이 빠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회전판(300)을 회전시켜 제 1 배출구(320)로 조제된 약(800)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 회전판(300)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격벽(220)이 이루는 이웃사이각만큼 반복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즉, 본 발명의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의 회전판(300)은 원주방향으로 한번에 45도의 각도씩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1번부터 7번으로 구분되는 총 7개의 제 1 영역(310)은 해당 요일에 대응하는 조제된 약(800)을 지지하고 있으며,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이 7번 제 1 영역(310)의 약(800)을 배출하는 경우, 8번 제 1 배출구(320)를 7번 제 1 영역(310)의 위치로 회전시켜 조제된 약(800)을 배출할 수 있다.
더하여, 회전판(300)의 각각의 제 1 영역(310) 및 제 1 배출구(320)를 구분하는 선은 상기 칸막이(200)의 격벽(220)과 상기 회전판(300)이 만나 형성되는 선과 일치한다.
또한, 회전판(300)은 내부에 타이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회전판(300)은 상기 타이머를 통해 사용자가 기 입력한 시간이 되면 상기 이웃사이각만큼 한번 회전한다.
또한, 회전판(300)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부(미도시), 상기 회전판(3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 사용자가 기 입력한 시간에 도달하면 소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알림부(미도시), 상기 타이머, 통신부, 구동모터, 알림부 및 하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10)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한 신호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는 통신부, 구동모터, 알림부 및 감지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타이머 기능, 알림 기능, 통신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회전판(300)을 통해 수행할 수 있어 전반적인 구조적 단순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보관함(400)은 상기 회전판(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300)을 통해 조제된 약(800)을 공급받아 보관한다.
또한, 보관함(400)은 물체의 하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410)는 상기 제 1 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되는 약(800)을 감지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감지센서(410)를 통해 배출된 약(800)의 하중을 감지하고,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의 제어부(미도시)는 감지센서(410)가 제공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관함(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버튼(600)을 통해 용기(100)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버튼(600)은 용기(100)의 외주면 일측 단부에 체결되고, 용기(100)의 외주면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보관함(400)을 외부로 토출하거나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과 차별되는 보조 회전판(50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에 중복되는 도면부호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상기 회전판(300)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용기(100)의 외주면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보조 회전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보조 회전판(500)은 구동모터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300)에 포함된 제어부를 통해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회전판(500)은 상기 보조 회전판(500)의 중심을 지나는 복수의 선으로 구획되어 적어도 하나의 약(800)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영역(5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보조 회전판(500)은 두개의 상기 제 2 영역(510)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약(800)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 2 배출구(5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배출구(520)는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 2 영역(510)을 합친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보조 회전판(500)은 4등분된 원형이 파이에서 한 조각이 빠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보조 회전판(500)을 활용하여 도 1에 도시된 회전판(300)의 제 1 배출구(320)를 제 1 영역(310)처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제된 약(800)을 8일동안 동일한 복용시간에 복용하고자 하는 경우, 7일분의 약(800)은 상기 회전판(300)의 제 1 영역(310)에 각각 수용하고, 나머지 1일분의 약(800)은 상기 보조 회전판(500)의 제 2 영역(510)에 수용한다.
이후, 보조 회전판(500)은 고정시키고, 회전판(300)만 회전시켜 7일분의 약(800)을 복용하고, 나머지 1일분의 약은 회전판(300)은 고정시키고, 보조 회전판(500)을 회전시켜 제 2 배출구(520)와 제 1 배출구(320)의 위치를 일치시키면 보조 회전판(500)의 제 2 영역(510)에 수용된 나머지 1일분의 약(800)이 보관함(4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8개로 구분된 복용시기에 맞추어 정확한 복용시간에 약(800)을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약 복용상태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현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의 구성을 통해 약의 복용시기와 시간을 알리는 원리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에 수용된 약에 대하여 약 정보 및 복약 스케쥴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타이머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 입력된 복약 스케쥴에 맞추어 회전판(300)을 회전시킨다.
이 때,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의 알림부는 상기 회전판(300)이 회전함과 동시에 스피커(700)를 통해 소리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은 감지센서(410)를 통해 보관함(400)으로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배출된 약의 토출 여부를 감지하여 약 복용 여부를 판단한다.
감지 결과,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의 제어부가 감지센서(41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약이 배출된 것을 확인한 이후, 상기 제어부는 감지센서(41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배출된 약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실제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다고 판단한다.
또한,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의 제어부가 감지센서(41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약이 배출된 것을 확인한 이후, 제어부는 감지센서(41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배출된 약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타이머를 구동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복약 스케쥴을 확인한다.
이후,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의 제어부는 확인된 복약 스케쥴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알림부가 복약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경고하는 알람이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오늘, 주간 및 한달의의 복약 현황을 한 눈에 확인하기 쉽게 보여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캘린더 메뉴를 이용하여 약을 복용한 날과 약을 복용하지 않은 날을 한 눈에 보이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캘린더 메뉴에서 하나의 날짜가 선택되면, 해당 날짜에 대응되는 복용계획과 복용횟수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2019년 9월 6일에 복용할 약의 종류와 약의 복용시기 및 복용시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약의 복용여부도 파악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타이머 메뉴를 이용하여 회전판이 회전하는 시간, 알람이 울리는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머 메뉴를 통해 복약 시작일 및 복약 종료일, 요일 설정, 알람 시간 등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2019년 9월 23일 오전 10시 06분에 약의 종류, 복용시기 및 복용시간을 기 설정한다. 이후,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10)의 제어부는 사용자가 기 입력한 시간에 타이머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구동모터를 동작시켜 회전판(300)이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그러고 나서, 제어부는 알림부를 제어하여 스피커(700)를 통해 소리로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미복용일 관리 메뉴 및 통계 메뉴를 통해 주간, 월간, 년간 등으로 복용한 이력을 표시한 그래프 화면이 안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용기
200: 칸막이
300: 회전판
400: 보관함

Claims (9)

  1.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약에 대하여 약 정보 및 복약 스케쥴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칸막이;
    상기 용기의 하단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약을 지지하되, 상기 용기의 내주면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을 통해 약을 공급받아 보관하는 보관함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중심을 지나는 복수의 선으로 구획되어 적어도 하나의 약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영역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상기 제 1 영역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약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 1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함은, 물체의 하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 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약을 감지하고,
    상기 회전판은,
    내부에 타이머;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회전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사용자가 기 입력한 시간에 도달하면 소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알림부; 상기 타이머, 통신부, 구동모터, 알림부 및 감지센서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한 신호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보관함으로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배출된 약의 토출 여부를 감지하여 약 복용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약이 배출된 것을 확인한 이후,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배출된 약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실제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약이 배출된 것을 확인한 이후,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배출된 약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복약 스케쥴을 확인하고, 확인된 복약 스케쥴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알림부가 복약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경고하는 알람을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내부공간부를 포함하는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기 용기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되는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뻗어서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격벽이 이루는 이웃사이각만큼 반복하여 회전하는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타이머를 통해 사용자가 기 입력한 시간이 되면 상기 이웃사이각만큼 한번 회전하는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은,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용기의 외주면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보조 회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회전판은,
    상기 보조 회전판의 중심을 지나는 복수의 선으로 구획되어 적어도 하나의 약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회전판은,
    두개의 상기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약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 2 배출구를 포함하는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9. 삭제
KR1020190137719A 2019-10-31 2019-10-31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KR102333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19A KR102333848B1 (ko) 2019-10-31 2019-10-31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19A KR102333848B1 (ko) 2019-10-31 2019-10-31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883A KR20210051883A (ko) 2021-05-10
KR102333848B1 true KR102333848B1 (ko) 2021-12-03

Family

ID=7591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719A KR102333848B1 (ko) 2019-10-31 2019-10-31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0089A (zh) * 2021-08-20 2021-12-17 广州铁路职业技术学院(广州铁路机械学校) 一种智能药箱及药物管理方法
CN116785169B (zh) * 2023-08-17 2023-11-21 山东艾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药品自动筛选分离装置及其实现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138B1 (ko) * 2013-06-18 2014-01-27 무라르 제이슨 자동 알약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620B1 (ko) * 2011-07-13 2013-02-06 대진기술정보 (주)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KR20180055584A (ko) * 2016-11-17 2018-05-25 민기홍 복용알람 및 알약 자동토출 약통
KR102075706B1 (ko) * 2017-11-24 2020-02-11 조재봉 요일 별 투약이 가능한 약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138B1 (ko) * 2013-06-18 2014-01-27 무라르 제이슨 자동 알약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883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918A (en) Programmable dispenser for medication
KR102333848B1 (ko) 자동 토출을 위한 약통
CN104203193B (zh) 智能盖系统
US7269476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8985388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9492355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6234343B1 (en) Automated portable medication radial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I121364B (fi) Järjestelmä pillerin tai kapselin muotoisten lääkkeiden jakelemiseksi haluttuina annoksina
US5323929A (en) Medicine dispenser
US11053065B2 (en) Tablet and capsule dispensing assembly
US20230414455A1 (en) Technologies for medicine dispensing
US20160151246A1 (en) Medicine Reminder and Dispenser Apparatus
JP2003010288A (ja) 薬剤服用管理装置
KR20190060536A (ko) 요일 별 투약이 가능한 약통
US10751258B2 (en) Pharmaceutical dosage device, pharmaceutical dispensing units and systems for pharmaceutical dosage allocation
KR20090013255U (ko) 복합용도(봉지약,알약)의 지능형 알리미 약상자
KR200440603Y1 (ko) 약 보관함
FI20021509A0 (fi) Laite pillerin tai kapselin muotoisten lääkkeiden jakelemiseksi haluttuina annoksina
US8055380B1 (en) Daily pill dispensing apparatus
JPH10502852A (ja) 医薬品投与装置
TWM510169U (zh) 具有定時提醒與自動供藥功能之智慧旋轉藥盒
KR102073099B1 (ko) 복용 시간 알람 기능을 구비한 약통
KR20220077280A (ko) 약제 자동배출장치
JP5073863B1 (ja) 錠剤供給装置
KR200457524Y1 (ko) 약복용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