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150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150B1
KR101224150B1 KR1020110101926A KR20110101926A KR101224150B1 KR 101224150 B1 KR101224150 B1 KR 101224150B1 KR 1020110101926 A KR1020110101926 A KR 1020110101926A KR 20110101926 A KR20110101926 A KR 20110101926A KR 101224150 B1 KR101224150 B1 KR 101224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frame
height
fixed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영
김나미
Original Assignee
김나미
오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미, 오재영 filed Critical 김나미
Priority to KR102011010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2Bolster vaulting apparatus, e.g. horses, bucks,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쿠션부재가 내삽된 커버가 구비되는 안장부와, 저면에 고정 가능한 바퀴가 구비되는 지지부와, 안장부와 조립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X'자형 높이조절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높이조절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레버와, 안장부의 하부 모서리에서 연장되어 지지부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Height-Adjustable vaulting horse}
본 발명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뜀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상면에 쿠션부재가 내삽된 커버가 안착되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안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저면에 고정 가능한 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안장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틀; 상기 지지부 내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틀;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 사이에 하부틀로부터 이격되는 상부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고정간의 기울기를 조정하도록 일측은 상기 하부틀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간의 일측에 고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레버; 상기 안장부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지지부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적층형 뜀틀은 목재의 판체로 된 여러 단의 뜀틀 본체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으로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시에는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보관상 불편이 있었던 것이며, 어린 초등학생이나 여교사들은 평소 뜀틀을 활용한 체육시간이 되면 무거운 뜀틀을 옮겨서 설치하고 내리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높낮이의 조절시에 다수의 뜀틀 본체를 인력으로 들어올리고 내리는 등의 조립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이동, 설치 및 보관이 간편한 뜀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 학생들이 뜀틀의 측면을 충격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뜀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뜀틀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상면에 쿠션부재가 내삽된 커버가 안착되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안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저면에 고정 가능한 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안장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틀; 상기 지지부 내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틀;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 사이에 하부틀로부터 이격되는 상부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부틀의 후방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틀에 형성된 안내홈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가능한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간과, 일단은 상기 상부틀의 후방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하부틀에 형성된 안내홈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가능한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조정간이 서로 'X'자형으로 교차되며,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이 교차하는 부분이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상부틀과 하부틀의 안내홈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상부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고정간의 기울기를 조정하도록 일측은 상기 하부틀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간의 일측에 고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레버; 상기 안장부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지지부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장부의 측면에 높이표시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높이표시수단은 일측이 안장부의 저면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권취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줄자와; 안장부의 측면에 구비된 관측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줄자가 관측공이 형성된 안장부의 내측벽으로 안내되어 외부에서 관측공을 통해 줄자의 눈금을 관측함으로써 안장부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발구름판이 지지부로부터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뜀틀의 보관시에는 상기 발구름판을 지지부의 측면에 나란하게 세워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 조절이 용이한 뜀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뜀틀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바퀴를 이용하여 뜀틀의 운반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도교사의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이동에 따른 학습준비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치원생, 초등학교 저학년, 중학년, 고학년 및 중학생들의 신장에 맞게 뜀틀의 높이를 미세한 수치까지 조절하여 확인가능함으로 학습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뜀틀의 측면이 덮개로 감싸여 있어서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뜀틀의 측면에 발구름판이 추가로 구비되어 별도의 발구름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발구름판이 지지부의 측면이 힌지결합됨으로써, 뜀틀의 이동시에는 발구름판이 지지부의 측면에 나란하도록 수직하여 고정되고 뜀틀의 사용시에는 지면과 안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보관과 조절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 후 뜀틀의 보관시에 뜀틀이 접철되어 높이가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체육자재가 적재되는 창고의 공간을 적게 차지함으로 보관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뜀틀의 외형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뜀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뜀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의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의 측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간과 조정간의 이동을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안장부의 상승을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뜀틀의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발구름판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발구름판의 전개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뜀틀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상면에 쿠션부재가 내삽된 커버가 안착되는 안장부(10);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안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저면에 고정 가능한 바퀴(21)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20);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안장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틀(36); 상기 지지부 내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틀(35);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 사이에 하부틀로부터 이격되는 상부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부틀의 후방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틀에 형성된 안내홈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가능한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간(31)과, 일단은 상기 상부틀의 후방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하부틀에 형성된 안내홈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가능한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조정간(32)이 서로 'X'자형으로 교차되며,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이 교차하는 부분이 고정핀(33)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에 형성된 끼움돌기(38)가 상부틀과 하부틀의 안내홈(37)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상부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0); 상기 고정간의 기울기를 조정하도록 일측은 상기 하부틀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간의 일측에 고정되는 실린더(40); 상기 실린더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레버(50); 상기 안장부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지지부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는 덮개(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장부의 측면에 높이표시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높이표시수단(70)은 일측이 안장부의 저면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권취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줄자(71)와; 안장부의 측면에 구비된 관측공(1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줄자가 관측공이 형성된 안장부의 내측벽으로 안내되어 외부에서 관측공을 통해 줄자의 눈금을 관측함으로써 안장부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발구름판이 지지부로부터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뜀틀의 보관시에는 상기 발구름판을 지지부의 측면에 나란하게 세워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1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뜀틀의 외형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뜀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뜀틀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의 정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부의 측면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간과 조정간의 이동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안장부의 상승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뜀틀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발구름판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발구름판의 전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부(10)는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상면에 쿠션부재가 내삽된 커버(11)가 안착되어 구성되며, 커버(11)의 상면에는 합성수지재로 코팅되어 마찰력을 향상시킨 미끄럼방지돌기(13)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20)는 장방형의 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안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저면에 고정 가능한 바퀴(21)가 구비되며, 상기 바퀴(21)는 방향전환이 자유롭고 회전방지구(22)가 장착되어 뜀틀의 사용시에 뜀틀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장부(10)와 지지부(20)의 외형은 종래의 목재로 형성된 적재형 뜀틀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상협하광의 구배가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지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60)는 안장부(10)의 하부 모서리에서 연장되어 지지부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며 자바라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안장부(10)의 승하강에 따라 접거나 펼쳐짐으로써 뜀틀의 측면을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 사이에 하부틀로부터 이격되는 상부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부틀의 후방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틀에 형성된 안내홈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가능한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간(31)과, 일단은 상기 상부틀의 후방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하부틀에 형성된 안내홈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가능한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조정간(32)이 서로 'X'자형으로 교차되며,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이 교차하는 부분이 고정핀(33)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에 형성된 끼움돌기(38)가 상부틀과 하부틀의 안내홈(37)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상부틀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간(31)과 조정간(32)은 금속재로 구비되는 하부틀(35)과 상부틀(36)의 사이에 조립되어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구비되며, 상기 하부틀(35)은 지지부(20)의 내측에 조립설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상부틀(36)은 상기 안장부(10)의 저면에 조립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간(31)과 조정간(32)의 전방이 상기 상부틀 및 하부틀(35, 36)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틀 및 하부틀(35, 36)의 측부는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되어 안내홈(37)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간(31)과 조정간(32)의 일측 끝단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끼움돌기(38)가 상기 안내홈(37)의 측면에서 삽입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고정간(31)과 조정간(32)의 전방이 상부틀 및 하부틀(35, 36)의 내측에 구비된 안내홈(37)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간(31)과 조정간(32)의 후방은 상기 상부틀 및 하부틀(35, 36)의 각 상부와 하부로 힌지부(39)에 체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간(31)과 조정간(32)은 상기 상부틀 및 하부틀(35, 36)의 측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이때 한 쌍의 나란한 고정간(31,31')과 조정간(32,32')이 'H'자 형으로 연결간(34)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40)는 공지된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한 단동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은 상기 하부틀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고정간(31)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레버(50)는 상기 실린더(40)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40)에 압력을 공급하여 실린더를 인출시키도록 실린더의 후방에 결합되며 타측이 지지부(20)의 외부로 돌출되는 펌핑레버(51)와, 상기 실린더(40)의 압력을 차단하여 실린더를 삽입시키도록 실린더의 측면에 결합되어 타측이 지지부(20)의 외부로 돌출되는 릴리즈레버(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핑레버(51)는 실린더(40)의 후방에서 수동으로 유압펌프를 구동하여 실린더(40)에 유압을 공급하고 실린더가 인출됨으로써 고정간(31)을 회전시켜 안장부(10)가 상승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릴리즈레버(52)는 유압펌프(52) 내부에 삽입된 밸브를 개폐하여 실린더에 공급된 유압을 해제함으로써 안장부(10)와 높이조절부(30)의 자중에 의해 안장부(10)가 하강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지부(20)의 측면에 돌출된 펌핑레버(51)을 발로 압지함으로써 수동 유압펌프를 구동하면, 실린더(40)의 내부로 유압이 발생되어 실린더의 로드가 인출되고, 후방이 하부틀(35)의 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전방이 상부틀(36)의 전방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된 고정간(31)이 수직방향으로 점차 세워지게 되며, 고정핀(33)에 의해 연결되고 후방이 상부틀(36)의 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전방이 하부틀(35)의 전방에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된 조정간(32)이 대응하여 동작하게 됨으로써 상부틀(36)이 하부틀(35)과 나란하게 상부로 상승하게 되며, 상부틀(36)의 상부에 안착된 안장부(10)도 하부틀(36)의 외측에 결합된 지지부(20)와 나란하게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릴리즈레버(52)를 압지하여 유압펌프 내부에 구비된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실린더의 유압을 해제하면, 높이조절부(30)와 안장부(10)의 자중에 의해 실린더(40)의 로드가 삽입하게 되어 안장부(10)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펌핑레버(51)과 릴리즈레버(52)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뜀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펌핑레버(51)를 압지하여 수동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정도에 따라 안장부(10)의 미세조정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부(10)의 측면에 높이표시수단(70)이 구비되되, 상기 높이표시수단(70)은, 일측이 안장부(10)의 저면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권취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부(20)의 일측에 고정되는 줄자(71)와, 안장부(10)의 측면에 구비된 관측공(1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줄자(71)가 관측공(12)이 형성된 안장부의 내측벽으로 안내되어 외부에서 관측공(12)을 통해 줄자의 눈금을 관측함으로써 안장부(10)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줄자(71)는 일측에 눈금과 숫자가 표기되고 내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권취되는 통상의 공지된 줄자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관측공(12)을 통해 줄자(71)의 눈금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측공(12)에 볼록렌즈(미도시)가 끼움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광원이 뜀틀의 내부로 유입되어 줄자(71)의 일측에 구비된 눈금과 숫자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20)의 측면에 발구름판(80)이 추가로 구비되되, 발구름판(80)의 후방 상부모서리와 지지부(20)의 측면이 힌지결합되어 뜀틀의 보관시에는 발구름판(80)이 지지부(20)의 측면에 나란하도록 지면에서 수직하여 고정되고 뜀틀의 사용시에는 발구름판(80)의 저면이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린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도움닫기 시에 필요한 발구름판(80)의 위치가 차이가 발생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위하여 상기 발구름판(80)은 상부모서리가 지지부(20)의 측면에 힌지결합되는 외부발구름판(81)과 상기 외부발구름판(81)의 내측에서 인출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부발구름판(82)이 내삽되어 다단으로 구성되어, 필요시에 내부발구름판(82)이 외부발구름판(8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인출되어 발구름판(80)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부발구름판(81)과 내부발구름판(82)의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일측 모서리가 힌지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내부발구름판(82)이 일측방향으로 회두되어 전체적으로 발구름판(80)이 연장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뜀틀에 관한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100: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10: 안장부 11: 커버
12: 관측공 13: 미끄럼방지돌기
20: 지지부 21: 바퀴
22: 회전방지구 30: 높이조절부
31: 고정간 32: 조정간
33: 고정핀 34: 연결간
35: 하부틀 36: 상부틀
37: 안내홈 38: 끼움돌기
39: 힌지부 40: 실린더
50: 레버 51: 펌핑레버
52: 릴리즈레버 60: 덮개
70: 높이표시수단 71: 줄자
80: 발구름판 81: 외부발구름판
82: 내부발구름판

Claims (3)

  1. 뜀틀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상면에 쿠션부재가 내삽된 커버가 안착되는 안장부(10);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안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저면에 고정 가능한 바퀴(21)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20);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안장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틀(36);
    상기 지지부 내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틀(35);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 사이에 하부틀로부터 이격되는 상부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부틀의 후방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틀에 형성된 안내홈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가능한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간(31)과, 일단은 상기 상부틀의 후방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하부틀에 형성된 안내홈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가능한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조정간(32)이 서로 'X'자형으로 교차되며,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이 교차하는 부분이 고정핀(33)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에 형성된 끼움돌기(38)가 상부틀과 하부틀의 안내홈(37)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간과 조정간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상부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0);
    상기 고정간의 기울기를 조정하도록 일측은 상기 하부틀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간의 일측에 고정되는 실린더(40);
    상기 실린더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레버(50);
    상기 안장부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지지부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는 덮개(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의 측면에 높이표시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높이표시수단(70)은,
    일측이 안장부의 저면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권취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줄자(71)와; 안장부의 측면에 구비된 관측공(1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줄자가 관측공이 형성된 안장부의 내측벽으로 안내되어 외부에서 관측공을 통해 줄자의 눈금을 관측함으로써 안장부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발구름판이 지지부로부터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뜀틀의 보관시에는 상기 발구름판을 지지부의 측면에 나란하게 세워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KR1020110101926A 2011-10-06 2011-10-06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KR101224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26A KR101224150B1 (ko) 2011-10-06 2011-10-06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26A KR101224150B1 (ko) 2011-10-06 2011-10-06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150B1 true KR101224150B1 (ko) 2013-01-21

Family

ID=4784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926A KR101224150B1 (ko) 2011-10-06 2011-10-06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1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0360A (zh) * 2016-11-25 2017-02-15 盐城工学院 一种高度可调式安全跳马器械
EP3960598A4 (en) * 2019-04-22 2022-09-07 TS Tech Co., Ltd. VEHICLE SEAT DEVICE
WO2023038390A1 (ko) * 2021-09-10 2023-03-16 오주환 공압을 이용하는 뜀뛰기 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0689A (ja) 1999-04-22 2000-10-31 Masusetto Kk 跳び箱
KR100322388B1 (ko) 1999-08-03 2002-03-18 신애련 절첩식 뜀틀
KR100358416B1 (ko) 2000-03-24 2002-10-25 정홍구 골프스윙 연습매트의 경사조절장치
KR200393352Y1 (ko) 2005-06-04 2005-08-18 심상옥 허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0689A (ja) 1999-04-22 2000-10-31 Masusetto Kk 跳び箱
KR100322388B1 (ko) 1999-08-03 2002-03-18 신애련 절첩식 뜀틀
KR100358416B1 (ko) 2000-03-24 2002-10-25 정홍구 골프스윙 연습매트의 경사조절장치
KR200393352Y1 (ko) 2005-06-04 2005-08-18 심상옥 허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0360A (zh) * 2016-11-25 2017-02-15 盐城工学院 一种高度可调式安全跳马器械
EP3960598A4 (en) * 2019-04-22 2022-09-07 TS Tech Co., Ltd. VEHICLE SEAT DEVICE
WO2023038390A1 (ko) * 2021-09-10 2023-03-16 오주환 공압을 이용하는 뜀뛰기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604B2 (en) Telescopic and foldable table
KR10122415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뜀틀
US9249610B2 (en) Device for at least partially closing off a cavity that is open at the top
EP2807070A2 (en) Apparatus for storing a plurality of objects such as trays
US20140117197A1 (en) Variable level platform adjustment mechanism
CN211845580U (zh) 一种升降式鞋盒
JP5405973B2 (ja) 移動式黒板装置
KR200490601Y1 (ko) 교육용 장비 보조 공구대
CA2220212C (en) System for raising weights when activated by a user in response to a dangerous situation
JP5268089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KR101581881B1 (ko)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JP2016125194A (ja) 仮設囲い
KR102161855B1 (ko) 천장부착식농구대
JP4634531B1 (ja) 二段式駐輪装置
KR102112360B1 (ko) 천장부착식농구대
CN209018167U (zh) 一种储物式扶梯学生公寓床
CN203339118U (zh) 半导体元件排列治具
KR20110087665A (ko) 접이식 자전거용 힌지장치
KR20150003420U (ko) 높낮이 조절 테이블
JP5130089B2 (ja) 連動昇降式平行棒
CN203525192U (zh) 体育教学用跳高装置
KR102461207B1 (ko) 유리판 설치형 칠판
JP6585881B2 (ja) 観覧席
IT201600103991A1 (it) Struttura di letto con rete apribile.
KR100736330B1 (ko) 세발형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