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860B1 - Lifting device for elevator, elevator car frame, and lifting method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Lifting device for elevator, elevator car frame, and lifting method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860B1
KR101223860B1 KR1020107006435A KR20107006435A KR101223860B1 KR 101223860 B1 KR101223860 B1 KR 101223860B1 KR 1020107006435 A KR1020107006435 A KR 1020107006435A KR 20107006435 A KR20107006435 A KR 20107006435A KR 101223860 B1 KR101223860 B1 KR 10122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frame
lifting
heavy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5526A (en
Inventor
요시히코 고이즈미
다카시 나츠메
히데토시 니노미야
히데키 미야하라
가즈히로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5259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2386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5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8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5Mining-hoist operation installing or exchanging the elevator drive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양중장치(100)는 승강로(5)의 하부(81)로부터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8)과, 가이드레일(8)과 결합하는 가이드슈(9)를 구비함으로써 가이드레일(8)을 가이드로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으로서, 승강로(5)의 승강로 꼭대기부(5a)의 근방까지 양중되는 중량물(1)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과, 중량물(1)이 실려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가이드레일(8)을 가이드로서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 양중하는 양중기(3)를 구비했다. 이것에 의해, 치구 해체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100 includes a guide rail 8 installed from the lower portion 81 of the hoistway 5 to the top of the hoistway 5a, and a guide shoe 9 that engages with the guiderail 8, thereby providing a guide rail ( 8) A car frame 7 used as a platform on which an elevator frame 7 of an elevator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s a guide, on which a heavy object 1 lifted up to the vicinity of the top 5a of the hoistway 5 is loaded. And a lifter 3 that lifts the car frame 7 on which the heavy object 1 is loaded to the top 5a of the hoistway with the guide rails 8 as a guide. Thereby, the trouble of jig disassembly can be skipp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LIFTING DEVICE FOR ELEVATOR, ELEVATOR CAR FRAME, AND LIFTING METHOD FOR ELEVATOR}Lifting device of elevator and elevator frame of elevator and lifting method of elevator {LIFTING DEVICE FOR ELEVATOR, ELEVATOR CAR FRAME, AND LIFTING METHOD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서 중량물(重量物)을 양중(揚重, lifting)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an elevator for lifting a heavy object in a hoistway of an elevator, a car frame for an elevator, and a lifting method for an elevator.

엘리베이터의 기기를 설치할 때, 승강로의 크기는 단순히 설치 후의 기기를 수용하는 것만 아니라, 설치과정에서 장착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스페이스를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기기를 승강로 내에 반입하여 소정의 높이까지 양중하는 데에는 반입경로의 확보는 당연하지만, 승강로 내에서의 취급(handling) 및 양중 마진(lifting margin)을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양중 마진」이란, 양중기의 높이이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양중기의 높이를 포함한 설치 스페이스를 의미한다.When installing the equipment of the elevator, the size of the hoistway needs to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pace required for carrying out the mounting work in the installation process, as well as simply accommodating the equipment after installation. In particular, it is natural to secure a carry-in path for carrying an elevator device into a hoistway and lifting the weight to a predetermined height, bu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handling and lifting margin in the hoistway. Here, "heap-weight margin" means the height of a heavy lifter, but more accurately means an installation space including the height of a heavy lifter.

예를 들면, 체인블록을 이용하여 기기를 양중하는 경우, 500㎏ ~ 1000㎏의 기기질량을 양중하는 데에는, 수동식으로는 400 ~ 500㎜, 전동식으로는 700 ~ 800㎜의 높이의 체인블록이 1 ~ 2개 이용된다. 기기를 직접 매다는 경우에는, 양중시의 기기의 전도(轉倒)를 방지하기 위해, 서스펜션부는, 통상, 양중 대상인 기기의 중심위치보다도 위쪽에 설치된다. 또, 서스펜션부는 평면방향도 무게중심에 매우 근접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중 대상인 기기는 안정된 자세로 양중된다. 양중 대상인 기기가 제품으로서 최종적으로 장착되는 높이의 상부에는 「양중에 필요한 스페이스」(양중 마진)의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승강로의 최소의 꼭대기부 위치(필요천장높이)는 「양중에 필요한 스페이스」와, 엘리베이터칸이나 균형추의 올림(점프, jump)으로부터 정해지는 「필요 오버헤드치수」의 관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후에서는, 최상층 바닥면 ~ 승강로 꼭대기부까지의 치수를 「오버헤드치수(OH)」(간단히 'OH'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라고 부른다.For example, when lifting a device using a chain block, the weight of a device of 500 kg to 1000 kg is lifted by a chain block of 400 to 500 mm by manual operation and 700 to 800 mm by electric power. ~ 2 are used. In the case of directly hanging the device, in order to prevent the device from falling during lifting, the suspension unit is usually provided above the center position of the lifting device. The suspension portion can also be very close to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planar direction. As a result, the device to be lifted is lifted in a stable posture. At the top of the height where the device to be lifted is finally mounted as a product, it is necessary to secure "space required for lifting" (both margins). Therefore, the minimum top position (required ceiling height) of the hoistway needs to be considered in view of the "space required for lifting" and the "necessary overhead dimension" determined from the lift (jump) of the car and the balance weight. have. Hereinafter, the dimension from the top floor bottom to the top of a hoistway is called "overhead dimension (OH)" (it may be described simply as "OH").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의 산출)(Calculation of OH 1 (elevator car boost))

도 22는 엘리베이터칸을 밀어올릴 때에서의 OH의 산출을 설명하는 종래예의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칸을 밀어올릴 때에서의 오버헤드치수(OH1)를 설명한다. 도 22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승강로(5)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칸(4)이 최상층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칸(4)과 균형추(15)('추'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권상기(M)가 와이어(18)를 감아올림으로써 승강한다. 오버헤드치수(OH1)는 최상층 바닥면(20)과 승강로 꼭대기부(5a)와의 거리이다. 이 OH1은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승강로(5)의 하부에는 추 측 완충기(16)와 엘리베이터칸 측 완충기(17)가 설치되어 있다. 추 측 완충기(16)와 엘리베이터칸 측 완충기(17)는 코일스프링(16a, 17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은 일례이며, 추 측 완충기(16)와 엘리베이터칸 측 완충기(17)는 유압이나 기타의 수단에 의해서 균형추(15), 엘리베이터칸(4)을 완충시켜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일본국내에서는 엘리베이터칸(4)을 밀어올릴 때의 오버헤드치수(이하,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라고 기재함)는 다음의 (식 1a)로 산출된다. 또한, (식 1a)의 기호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It is a figure of the prior art example explaining calculation of OH at the time of pushing up a car. Referring to Figure 22, the description will be the overhead dimension (OH 1) of from when pushed to the car. The structure of FIG. 22 is demonstrated easily. 22 shows an elevator provided in the hoistway 5. The case where the car 4 is located in the uppermost floor is shown.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15 (sometimes referred to as a 'weight') are lifted by the winding machine M winding the wire 18. The overhead dimension OH 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floor bottom 20 and the hoist top 5a. This OH 1 is demonstrated in detail below. At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5, a weight estimating shock absorber 16 and a car side shock absorber 17 are provided. The estimated shock absorber 16 and the car shock absorber 17 are provided with coil springs 16a and 17a. In addition, using a coil spring is an example, The weight shock absorber 16 and the car shock absorber 17 may cushion the balance weight 15 and the car 4 by hydraulic or other means. For example, in Japan, an overhead dimen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OH 1 (elevator car pushing)) when pushing up the car 4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xpression (1a).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symbol of (Formula 1a) is as follows.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 = CH + CRB + BST + KJP + C (식 1a)OH 1 (lift elevator car) = CH + CRB + BST + KJP + C (Equation 1a)

CH : 엘리베이터칸 바닥면 ~ 엘리베이터칸 TOP까지의 치수.CH: Dimensions from bottom to top of car.

CRB : 추 측의 런바이(runby)량(엘리베이터칸 최상층 정지시의 균형추 ~ 추 측 완충기(16)의 받이면(코일스프링(16a)의 최상부)까지의 수직거리).CRB: The runby amount on the weight side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counterweight at the time of stopping the elevator car to the bottom of the weight buffer 16) (the top of the coil spring 16a).

BST : 추 측 완충기(16)의 스트로크(코일스프링(16a)의 변형량).BST: Stroke of the estimated shock absorber 16 (deformation amount of the coil spring 16a).

KJP : 엘리베이터칸(4)의 점프량(관성에 의한 오버런(overrun)량).KJP: The jump amount (overrun amount due to inertia) of the car 4.

C : 엘리베이터칸 위에서 운전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4)의 점프시에서의 엘리베이터칸(4)의 TOP(엘리베이터칸(4)의 최상부)으로부터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의 틈새.C: The gap from the TOP (top of the elevator car 4) to the top of the hoistway 5a of the car 4 at the time of jumping of the car 4, without driving on the car.

또한, 도 22의 「엘리베이터칸 오버런량(H)」은,In addition, the "elevator car overrun amount H" of FIG.

H = CRB + BST + KJPH = CRB + BST + KJP

이다.to be.

도 24는 도 22, 도 23에서의 OH1과 CH, H, C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4, H5는 후술의 설명에 사용된다.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OH 1 and CH, H, and C in FIGS. 22 and 23. H 4 and H 5 are used in the description below.

(OH1(추 밀어올림)의 산출)(Output of OH 1 (push up))

도 23은 추를 밀어올리 때에서의 OH의 산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추 밀어올림시의 오버헤드치수(OH1)(이하, OH1(추 밀어올림)라고 기재함)를 설명한다. 균형추(15)를 밀어올릴 때에서도 (식 1a)와 동일한 계산을 행한다. 균형추(15)를 밀어올릴 때의 경우, 도 23에 의하면, OH1(추 밀어올림)은 다음의 (식 1b)가 된다.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calculation of OH at the time of pushing up a weight. The overhead dimension OH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OH 1 (push up)) at the time of weight pushing up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When the counterweight 15 is pushed up, the same calculation as (Equation 1a) is performed. In the case of pushing up the counterweight 15, according to FIG. 23, OH 1 (push up) becomes the following (formula 1b).

OH1(추 밀어올림) = CH + CRB + BST + OJP + C (식 1b)OH 1 (push up) = CH + CRB + BST + OJP + C (Equation 1b)

(식 1b)에서 런바이량(CRB)과 완충기 스트로크(BST)는 엘리베이터칸 측이며, 점프량(OJP)은 추 측의 점프량을 나타낸다.In equation (1b), the run-by amount CRB and the shock absorber stroke BST are on the car side, and the jump amount OJP represents the amount of jump on the weight side.

또 CH는 최상층 바닥면(20)으로부터 균형추(15)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이다.In addition, CH is the distance from the uppermost floor surface 20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counterweight 15.

도 24는 도 22, 도 23에서의 OH1과 CH, H, C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4, H5는 후술의 설명에 사용된다.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OH 1 and CH, H, and C in FIGS. 22 and 23. H 4 and H 5 are used in the description below.

(엘리베이터칸 투영면상에 기기가 있는 경우 : 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 추 밀어올림 모두 해당)(If the machine is located on the elevator projected surface: both car push up and weight push up)

또한, 엘리베이터칸 투영면상에 기기(예를 들면 권상기)를 배치하는 경우, 상술의 양중 마진(H2)을 고려하면, 필요 오버헤드치수(OH2)는 이하의 (식 2a)가 된다. 하기의 OH2(기기 있음)는 엘리베이터칸(4)의 헤드상에 양중 마진(H2)의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의 치수이다.It is also the case wherein the device (e.g. hoisting machine) on the car projection plane, considering the lifting margin (H 2) of the above, the required overhead dimension (OH 2) the (formula 2a) below. The following OH 2 (with equipment) is a dimension when a device with a double margin (H 2 ) is present on the head of the car 4.

도 25는 이하의 (식 2a)을 도식화한 도면이다.2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ollowing (formula 2a).

엘리베이터칸을 밀어올릴 때의 경우이면,If you push the car,

OH2(기기 있음) =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시) + H1 + H2 (식 2a)OH 2 (with instrument) = OH 1 (elevator car pushed up) + H 1 + H 2 (Eq. 2a)

가 된다..

또, 추 밀어올림시의 경우이면, 다음의 (식 2b)와 같이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weight pushing, it becomes as following (formula 2b).

OH2(기기 있음/추) = OH1(추 밀어올림시) + H1 + H2 (식 2b)OH 2 (with instrument / weight) = OH 1 (push up) + H 1 + H 2 (Eq. 2b)

가 된다. 또한, 기호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In addition, the meaning of a symbol is as follows.

H1 : 기기높이.H 1 : Height of the instrument.

H2 : 양중 마진.H 2 : Positive margin.

또한, OH3는 후술의 설명에서 사용한다.In addition, OH 3 is used in the description below.

(엘리베이터칸 투영면상에 기기가 없는 경우)(When there is no device on the elevator projection surface)

도 26은 엘리베이터칸 투영면상에 기기가 없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칸 투영면상에 기기가 없는 경우, 기기의 장착높이를 H3(최상층 바닥면(20)으로부터 기기의 하면까지의 거리)로 한 경우, 하기의 산출식(식 3)의 OH0 치수가,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case where there is no apparatus on a car projection surface. When there is no device on the car projection surface, when the mounting height of the device is H 3 (distance from the top floor bottom surface 20 to the bottom of the device), the OH 0 dimension of the following calculation formula (Equation 3) is

OH0 >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시),OH 0 > OH 1 (with elevator car pushed up),

또한Also

OH0 > OH1(추 밀어올림시)OH 0 > OH 1 (push up)

가 되는 경우는, OH0가 필요 오버헤드치수가 된다.In the case of, OH 0 is the required overhead dimension.

OH0 = H3 + H1 + H2 (식 3)OH 0 = H 3 + H 1 + H 2 (Equation 3)

또한, H0는 후술의 설명에서 사용한다.Also, H 0 i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1990년 후반 이후, 일본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기계실 없는 엘레베이터(Machine-Room-Less elevator. 이후, MRL라고 한다.)가 급속히 보급되어, 승강로 내에 모든 엘리베이터 기기가 설치되는 시스템이 주류가 되고 있다. 또한 승강로 사이즈의 축소(평면치수, 오버헤드치수, 피트깊이)도 진행되어, 필요 승강로 사이즈는 기기의 수용 이외에도, 설치성을 주목하여 기기의 배치설계를 행해야 한다.Since the late 1990s, machine-room-less elevators (MRLs) have spread rapidly both in Japan and around the world, and the system in which all elevator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has become the mainstream. .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the size of the hoistway (planar dimension, overhead dimension, pit depth) also proceeds, and the required hoistway size should be designed with the arrangement of the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as well as the acceptance of the device.

오버헤드치수를 작게 하는 데에는 치구(治具)로서 전용의 양중 플랫폼(揚重架臺)을 이용하여, 권상기 등의 기기를 양중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러나, 전용의 양중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양중 플랫폼의 조립이나 양중 후의 해체가 필요하여 설치시간이 걸림과 동시에 고비용이 된다.In reducing the overhead dimens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lifting a device such as a hoist by using a dedicated lifting platform as a jig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dedicated lifting platform, assembling or disassembly of the lifting platform is required, which leads to high installation time and cost.

[특허문헌1]일본국특개2000-34072호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34072

본 발명은 권상기 등의 엘리베이터 기기를 양중하는 경우에 있어서, 승강로의 사이즈의 확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설치시간의 증대 및 고비용을 수반하지 않는 양중장치, 양중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and a lifting method that do not require an expansion of the size of the hoistway, and do not involve an increase in installation time and high cost when lifting elevator equipment such as a hoisting machine.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는,Lift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에 있어서,In the lifting device of an elevator for lifting a heavy object to the vicinity of the top of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상기 승강로의 하부로부터 상기 꼭대기부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과,A guide rail install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oistway to the upper end portion;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하는 가이드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되는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By providing a guide shoe coupled with the guide rail, an elevator car frame of the elevator capable of elevating the guide rail as a guide, and an elevator car frame used as a platform on which the heavy goods lifted to the vicinity of the top of the hoistway are loaded. ,

상기 중량물이 실려진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lifting crane which lifts the car frame on which the heavy material is loaded up to the top portion with the guide rail as a guide.

상기 가이드레일은,The guide rail,

상기 꼭대기부의 부근과 상기 하부의 부근과의 사이의 중간이 레일 브래킷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mediate part between the vicinity of the top part and the vicinity of the lower part is not fixed by the rail bracket.

상기 양중기는,The lifter is,

한쪽의 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된 선상(線狀)의 선상체와,A linear ship body whose one end is attached to the car frame;

상기 꼭대기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양중하는 본체를 구비함과 동시에,At the same time having a main body disposed on the top portion to wind up the car frame by winding the linear body,

상기 본체는,The main body includes: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한 경우에, 자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상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배치되고,When the car frame is lifted up to the top by winding the linear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 is arranged to be pushed down from above the car frame,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The car frame,

상기 선상체의 상기 한쪽의 단부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obile frame side end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one end of the linear body is mounted is provided.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The car frame,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재치(載置)부재를 상기 상부에 구비하고,A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heavy material is loaded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상기 중량물은,The weight is,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짐과 동시에,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가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된 경우에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실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loaded on the mounting member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main body of the lifter is lifted up to the vicinity of the top by winding the linear body, it is load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ain body of the lifter.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는,The car frame side end mounting portion,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지는 상기 중량물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하나의 강체(剛體)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중심(重心)의 위치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isposed at a position above the center of gravity determined in the case where the heavy object and the car frame which are mounted on the placing member are viewed as one rigid body.

상기 양중기는,The lifter is,

한쪽의 단부가 상기 꼭대기부에 고정된 고정부에 장착된 선상의 선상체와,A linear linear body attached to a fixed part of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top part,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상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본체를 구비하며,A main body mounted on the car frame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 frame is pushed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r frame, and the car frame is lifted up to the top by winding the ship body;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The car frame,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obile frame side main body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main body of the lift truck is mounted, is provided.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The car frame,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재치부재를 상기 상부에 구비하고,I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heavy material is loaded,

상기 중량물은,The weight is,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짐과 동시에, 상기 양중기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실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loaded on the mounting member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ad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ifter.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는,The car frame side body mounting portion,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진 상기 중량물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중심(重心)의 위치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at a position above the center of gravity determined in the case where the heavy object and the car frame loaded on the placing member are viewed as one rigid body.

상기 가이드슈는,The guide shoe,

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흡인(吸引)하는 자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that attracts the guide rail by magnetic force.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The car fram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할 때의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본체가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선상체의 한쪽의 단부가 양중 대상에 장착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양중 대상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의 상기 선상체의 상기 한쪽의 단부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vator car frame used as a platform for lifting heavy goods to near the top of an elevator's hoistway, wherein the main body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and one end of the ship body is mounted on the hoisting object so that the ship body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ar frame side end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one end of the linear body of the heavy lifter, which lifts the lifting object to the top end by winding up, is mounted.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The car fram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할 때의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선상체의 한쪽의 단부가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접속됨과 동시에 본체가 양중 대상에 장착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양중 대상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의 상기 본체를 장착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vator car frame used as a platform for lifting heavy goods to near the top of an elevator's hoistway, wherein one end of the ship body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hoistway, and a main body is mounted on the lifting object to form the ship body.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ar frame side body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main body of the lifting machine to lift the lifting object to the top portion by winding.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은,Lifting method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에 있어서,In the lifting method of the elevator to lift the heavy object to the vicinity of the top of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상기 승강로의 하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조합하는 가이드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되는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중량물이 실려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기에 의해 양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vator car frame of an elevator capable of lift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by providing a guide shoe that is combined with a guide rail install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to the top end, and as a platform on which the heavy goods lifted to the vicinity of the top end of the hoistway are loa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 frame used is lifted by a lifter to the top portion with the guide rail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vy material is loaded.

본 발명에 의해, 권상기 등의 엘리베이터 기기를 양중하는 경우에 있어서, 승강로의 사이즈의 확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설치시간의 증대 및 고비용을 수반하지 않는 양중장치, 양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lifting elevator equipment such as a hoist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fting device and a lifting method that do not require expansion of the size of the hoistway, and do not involve an increase in installation time and high cost. .

도 1은 실시형태 1의 양중 대상을 직접 매다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실시형태 1의 양중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형태 1의 양중 종료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개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도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종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도중의 사시도.
도 9는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종료의 사시도.
도 10은 실시형태 1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구성과 양중기(3)의 배치를 도 8에 대해서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 1의 도 10의 양중이 종료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형태 1의 체인(3a)의 장착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형태 1의 서스펜션 위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실시형태 1의 서스펜션 위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실시형태 1의 서스펜션 위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실시형태 1의 자성체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실시형태 1의 자성체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실시형태 2의 양중기 본체(30)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실시형태 2의 양중기 본체(30)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실시형태 2의 양중기 본체(30)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1은 실시형태 2의 양중기 본체(30)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2는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종래기술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종래기술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종래기술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the problem of hanging the object of the weight of Embodiment 1 directly.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f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showing double focus of Embodiment 1. FIG.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end of double loading of Embodiment 1.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tart of lifting by the lifting apparatus 100 of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middle way of lifting by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FIG. 7 is a view showing the finishing of lifting by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device 100 by the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d of lifting by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FIG. 10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car frame 7 and the arrangement of the lifters 3 of the first embodiment are changed with respect to FIG. 8. FIG.
FIG. 11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lifting weight in FIG. 10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mpleted; FIG.
12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configuration of the chain 3a of the first embodiment.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of the suspension posi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
14 illustrates a problem of a suspension posi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lem of suspens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ffect of the magnetic body of Embodiment 1. FIG.
The figure explain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gnetic body of Embodiment 1. FIG.
FIG. 18: is a figure explain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eavy-duty crane main body 30 of Embodiment 2. FIG.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heavy lifter main body 30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heavy lifter main body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heavy lifter main body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22 shows a prior art.
23 shows a prior art.
24 is a view showing a dimensional relationship of the prior art.
25 is a view showing a dimensional relationship of the prior art;
Fig. 26 is a diagram showing a dimensional relationship of the prior art;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

실시형태 1.Embodiment 1

(1. 양중장치(100)의 개요)(1.Overview of lifting device 100)

실시형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서 중량물을 양중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양중 대상의 중량물(1)을 직접 양중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양중 종료 후를 나타내고 있다.Embodiment 1 demonstrates the elevator lifting device for lifting heavy goods in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in the case of directly lifting the weight 1 of the object to be lifted. FIG. 2: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apparatus 100 of Embodiment 1. FIG. 2 shows after completion of lifting.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량물(1)(예를 들면, 권상기)을 양중하는 경우, 승강로(5)의 천장(승강로 꼭대기부(5a))에 양중기(3)(예를 들면 윈치)를 임시로 장착하고, 중량물(1)을 매달아 올리면, 양중기(3) 자신의 높이(양중 마진(H2))만큼 매달아 올릴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양중 마진(H2)만큼, 승강로의 사이즈가 길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실시형태 1은 양중 마진(H2)을 승강로의 사이즈를 결정할 때의 요인으로 하지 않는 양중장치(100)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양중 마진(H2)」은 양중기의 높이이지만 정확하게는 양중기의 높이를 포함한 설치 스페이스를 의미한다.As shown in FIG. 1, when lifting the heavy weight 1 (for example, a hoist), the heavy lifting machine 3 (for example, winch) is attached to the ceiling (highway 5a of the hoistway) of the hoistway 5. When temporarily attached and the heavy weight 1 was suspended, it was not able to hang by the height (weight margin H 2 ) of the heavy lifter 3 itself. For this reason, in some cases it is lifting margin (H 2) as long as, that of the elevator shaft size increases. Embodiment 1 describes the lifting device 100 which does not take the lifting margin H 2 as a factor in determining the size of the hoistway. As described above, "heap margin (H 2 )" means the installation space including the height of the lift, but precisely the lift.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중장치(100)는 가이드레일(8),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 양중기(3)를 구비한다. 양중기(3)는 양중기 본체(30)와 체인(3a)으로 구성된다. 양중기(3)의 예로서는, 체인블록, 윈치 등이 있다. 윈치의 경우에는 체인(3a) 대신에 와이어를 이용한다. 양중장치(100)의 특징은 주로 다음의 (1) 내지 (3)이다.As shown in FIG. 2, the lifting device 100 includes a guide rail 8, a car frame 7, and a lifting machine 3. The heavy lifter 3 is composed of a heavy lifter main body 30 and a chain 3a. Examples of the heavy lifting machine 3 include a chain block, a winch, and the like. In the case of a winch, a wire is used instead of the chain 3a.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ting device 100 are mainly the following (1) to (3).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양측에 각각 가이드레일(8)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8)은 승강로(5)의 하부(81)와 상부(83)에서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다. 하부(81)는 최하층 부근(피트)이며, 상부(83)는 최상층 부근이다. 하부(81)와 상부(83)와의 사이의 중간부(82)는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양중장치(100)를 이용하여 권상기 등의 중량물(1)을 양중하고, 양중된 권상기 등을 이용함으로써 중간부(82)를 레일 브래킷으로 고정하는 공법(발판이 없는 공법)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이 중량물(1)이 실려지는 양중 플랫폼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중량물(1)을 양중하는 경우에 전용 치구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해체의 수고가 없다.(1) As shown in FIG. 2, guide rails 8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r frame 7, respectively. The guide rail 8 is fixed to the rail bracket 12 at the lower portion 81 and the upper portion 83 of the hoistway 5. The lower part 81 is near the lowest floor (feet), and the upper part 83 is near the uppermost floor. The intermediate portion 82 between the lower portion 81 and the upper portion 83 is not fixed to the rail bracket 12. This assumes a method of lifting the heavy object 1 such as a hoist using the lifting apparatus 100 and fixing the intermediate portion 82 with the rail bracket (the method without the scaffolding) by using the lifted hoist. Because. In addition, the car frame 7 is used as a lifting platform on which the heavy material 1 is loaded. For this reason,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dedicated jig when lifting the weight 1 and there is no trouble of disassembly.

(2) 양중기 본체(30)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 양중한 경우에,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상부(71)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중 마진(H2)만큼도 중량물(1)을 매달아 올릴 수 있어 승강로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2) When the heavy lifting machine main body 30 lifts the car frame 7 to the top of the hoistway 5a,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arranged to be pushed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r frame 71.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 the weight 1 can be suspended by the amount of the margin H 2 as well, and the size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3)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매다는 서스펜션 포인트(2)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최상부보다도 아래쪽, 또한,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합체 중심(重心)의 중심위치(4b)보다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서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포인트(2)는 중심위치(4b)보다도 치수 L만큼 위에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서 서스펜션 포인트(2)의 위치는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과의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치수 L만큼 위쪽에 있으므로, 양중기 본체(30)는 안정되어 중량물(1)을 양중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포인트(2)는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3) When the suspension point 2 which hangs the car frame 7 is lower than the uppermost part of the car frame 7, and the heavy object 1 and the car frame 7 are seen as one rigid body, The paper is provided above the car frame 7 above the center position 4b of the coalescing center. As shown in FIG. 2, the suspension point 2 is above the center position 4b by the dimension L. FIG. That is, since the position of the suspension point 2 in the car frame 7 is higher than the center position 4b of the center of coalescence of the heavy object 1 and the car frame 7 by the dimension L, both the main body ( 30) is stable to lift the weight (1). As shown in FIG. 2, the suspension point 2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weight margin H 2 does not affect the weight of the weight 1 when the weight 1 is lifted to the final lifting position. .

(4) 이와 같이, 양중장치(100)는 (1) ~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중량물(1)을 싣는 양중치구로서 사용하고, 가이드레일(8)을 가이드로 하고, 그리고, 서스펜션 포인트(2)를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의 위치, 또한, 서스펜션 포인트(2)를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4) In this way, the lifting device 100 uses the car frame 7 as a lifting fixture for placing the heavy material 1 as shown in (1) to (3), and the guide rail 8 is used as a guide. And the lifting margin H 2 when the suspension point 2 is lifted above the center position 4b of the coalescing center, and the suspension point 2 is lifted to the final lifting position. It is in the point which arrange | positions in the position which does not affect the quantity of this heavy substance 1.

(2. OH와 양중기와의 관계)(2.Relationship between OH and heavy weight)

도 3, 도 4는 오버헤드치수(OH)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오버헤드치수(OH)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3, 도 4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 플랫폼에 이용하는 경우에, 양중 마진(H2)이 OH의 요인이 되어 버리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verhead dimension (OH). The overhead dimension O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3 and 4 show a case in which the lift margin H 2 becomes a factor of OH when the car frame 7 is used for the lift platform.

도 3은 양중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double focus.

도 4는 양중 종료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포인트(2)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최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양중 종료시를 나타내는 도 4와 같이, 양중 마진(H2)이 OH의 요인이 되어 버린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량물(1)을 최대 양중할 수 있는 높이는 양중기 본체(30)의 양중 마진(H2)을 승강로 꼭대기부(5a)로부터 차감한 높이(H0)(상술의 문자식을 이용하면, H0 = H1 + H3)가 된다(도 26 참조).4 is a view showing the end of the lifting time. As shown in FIG. 3, the suspension point 2 is formed in the uppermost part of the car frame 7.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4 showing the end of the lifting, the lifting margin H 2 becomes a factor of OH.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weights (1) a maximum lifting can increase the amount of mid-body 30, lifting margin (H 2) of a height (H 0) (above subtracted from the hoistway top portion (5a) that can Using a literal expression, H 0 = H 1 + H 3 ) (see FIG. 26).

H1 : 기기(중량물(1)) 높이.H 1 : height of the instrument (heavy weight (1)).

H3 : 최상층 바닥면(20)으로부터 기기(중량물(1))의 하면까지의 거리.H 3 : Distance from the top floor bottom surface 2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pparatus (heavy weight 1).

따라서, 도 3의 경우, 설치의 점으로부터 필요한 최소 오버헤드치수(OH0)는,Therefore, in the case of Figure 3, the minimum overhead dimension (OH 0 ) required from the point of installation,

OH0 = H0 + H2 (식 4)OH 0 = H 0 + H 2 (Equation 4)

가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칸(4)이 가장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는 경우(추를 밀어올릴 때도 마찬가지이므로, 추 밀어올림시의 설명은 생략함), 예를 들면 균형추(15)가 추 측 완충기(16)에 충돌하여, 엘리베이터칸(4)이 점프한 경우의 최고 도달점과 최상층 바닥면(20)과의 연직방향의 거리를 H4로 한다(도 24 참조). 엘리베이터칸(4)의 투영면상에 다른 승강로 기기가 없으면, 상기 H4에 밀어올릴 때의 엘리베이터칸 최상부와 승강로 꼭대기부와의 안전거리(H5)를 가산한 치수가 엘리베이터칸(4)의 밀어올림으로 정해지는 필요한 최소 오버헤드치수(OH1)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r 4 ascends to the highest position (the same is true when the weight is pushed up, the description of the weight pushing up is omitted), for example, the counterweight 15 is attached to the weight buffer 16. When the collision occurs and the car 4 jumps,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highest arrival point and the top floor bottom surface 20 is set to H 4 (see FIG. 24). If there is no other hoistway device on the projected surface of the car 4, the dimension obtained by adding the safety distance H 5 between the top of the car and the top of the hoistway when pushing up the H 4 is the push of the car 4. This is the minimum overhead dimension (OH 1 ) required to be rounded up.

즉,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That is, as shown in FIG.

OH1 = H4 + H5 (식 5)OH 1 = H 4 + H 5 (Equation 5)

여기서 H4는,Where H 4 is

H4 = CH + CRB + BST + KJP (식 6)H 4 = CH + CRB + BST + KJP (Equation 6)

CH … 엘리베이터칸 전체높이CH… Height of car

CRB … 추 런바이량CRB… Additional run-by volume

BST … 추 완충기 스트로크BST… Weight buffer stroke

KJP … 엘리베이터칸 점프량KJP… Car jump

오버헤드치수가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혹은 OH1(추 밀어올림))으로 정해지면, 필요 오버헤드치수가 가장 작아진다. 본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서는, 서스펜션 포인트(2)는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양중 마진(H2)이 오버헤드치수를 산출하기 위한 요소가 되지 않는다.If the overhead dimension is set to OH 1 (elevator car push up) (or OH 1 (weight push up)), the required overhead dimension is the smallest. In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uspension point 2 is such that when the weight 1 is lifted to the final lifting position, the lifting margin H 2 does not affect the lifting of the weight 1. Since it is formed at the position, the double- sided margin H 2 does not become an element for calculating the overhead dimension.

즉, 양중장치(100)에서는,That is, in the lifting device 100,

OH1 ≥ OH0 (식 7)OH 1 ≥ OH 0 (Equation 7)

가 된다. 혹은, 엘리베이터칸(4)의 투영면상에 기기를 배치해야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라고 해도 그 경우의 필요 오버헤드치수(OH3)가. Alternatively, even in an elevator system in which the device must be placed on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car 4, the required overhead dimension OH 3 in that case is

OH3 = OH1 + H1 (식 8)OH 3 = OH 1 + H 1 (Equation 8)

이 된다. 이와 같이, 양중 마진(H2)이 오버헤드치수를 산출하기 위한 요소가 되지 않는다.. As such, the double margin H 2 is not a factor for calculating the overhead dimension.

(3. 양중장치의 구성과 동작)(3.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lifting device)

도 5 ~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5-12, the structure and operation | movement of the lifting apparatus 100 of Embodiment 1 are demonstrated concretely.

도 5는 양중장치(100)에 의한 중량물(1)의 양중 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start of the lifting of the weight 1 by the lifting device 100.

도 6은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도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middle of the lifting by the lifting device 100.

도 7은 양중장치(100)에 의한 중량물(1)의 양중 종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the lifting of the heavy material 1 by the lifting device 100.

도 8은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도중을 사시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에 대응한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iddle of the lifting by the lifting apparatus 100 as a perspective view, and corresponds to FIG. 6.

도 9는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종료를 사시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에 대응한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d of lifting by the lifting apparatus 100 as a perspective view, and corresponds to FIG.

도 10은 도 8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구성과 양중기(3)의 배치를 도 8에 대해서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car frame 7 and the arrangement of the lift trucks 3 are changed with respect to FIG. 8, corresponding to FIG. 8.

도 11은 도 10의 양중이 종료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lifting of FIG. 10 ends.

도 12는 체인(3a)의 장착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configuration of the chain 3a.

도 5 혹은 도 8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같다.As shown to FIG. 5 or FIG. 8 etc., it is as follows.

(1) 중량물 위치 :(1) heavy position:

양중 대상인 중량물(1)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의 재치부재(72)에 실려진다.The heavy object 1 which is a heavy object is loaded on the mounting member 72 of the upper part of the car frame 7.

(2) 양중기의 위치 :(2) Location of lifter:

양중기 본체(30)는 승강로 꼭대기부(5a)에 장착된다. 양중기 본체(30)는 승강로 꼭대기부(5a)의 건축 측에 직접적으로 장착되거나, 혹은 설치된 양중빔(6)을 통하여 현가된다. 도 5는 양중빔(6)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The heavy duty main body 30 is mounted on the hoistway top 5a. The heavy duty main body 30 is directly mounted on the building side of the hoistway top 5a, or suspended through the installed double beam 6. 5 shows a case where the double beam 6 is used.

(3) 서스펜션 위치 :(3) Suspension Location: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에 후크(33)를 가지는 체인(3a)을 양중기 본체(30)로부터 내리고, 후크(33)로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매달아 올린다. 양중기 본체(30)는 체인(3a)을 감아올림으로써,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한다.As shown to Fig.12 (a), the chain 3a which has the hook 33 in the front end is lowered from the heavy lifter main body 30, and the car frame 7 is suspended by the hook 33. As shown to FIG. The heavy lifting body 30 lifts the car frame 7 by winding the chain 3a.

(4) 양중기(3)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위치관계 :(4)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lifter (3) and car frame (7):

이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인(3a)으로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매달아 올리는 개소(서스펜션 포인트(2))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이고, 또한, 중량물(1)을 최종적으로 목적하는 높이까지 양중한 경우에, 양중기(3)의 양중 마진(H2)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이다. 즉, 서스펜션 포인트(2)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 또한,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 양중기(3)의 양중기 본체(30)는 체인(3a)을 감아냄으로써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 양중한 경우에,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과 간섭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1) ~ (4)에 대해서는, 더욱 자세하게 후술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location (suspension point 2) which hangs the car frame 7 with the chain 3a is higher than the center position 4b of the coalescence center, and the heavy weight 1 ) Is finally the position where the lifting margin H 2 of the lifting machine 3 can be secured. That is, the suspension point 2 is above the center position 4b of the coalescing center, and when the weight 1 is lifted to the final lifting position, the weight margin H 2 affects the weight of the weight 1. It is formed at a position not given. In addition, when the heavy lifting body 30 of the heavy lifting machine 3 lifts the car frame 7 to the top of the hoistway 5a by winding the chain 3a,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ar frame 7. Instead,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 frame 7 is arranged to be push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ar frame 7. These (1)-(4) are mentioned later in more detail.

(양중 개시시)(At the start of lifting)

도 5, 도 8을 참조하여 양중 개시시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 5, FIG. 8, the starting time of both is demonstrated.

<레일><Rail>

가이드레일(8)은 승강로(5)의 하부(81)로부터 상부(83)를 향하여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좌우에 2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8)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부(82)는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Two guide rails 8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 frame 7 from the lower portion 81 of the hoistway 5 toward the upper portion 83.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guide rail 8 is not fix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82 by the rail bracket 12.

<엘리베이터칸 프레임><Elevator car frame>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 바닥(7a), 2개의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 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으로 구성된다.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의 상부와 하부에 각 1개의 가이드슈(9)를 가진다.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과 결합함으로써, 승강로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은 2개의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은 중량물(1)을 싣는 재치부재(7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재치부재(72)가 없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에 재치부재(72)를 장착해도 상관없다. 중량물(1)은 후술하는 도 9,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상부까지 매달아 올려진 경우에, 양중기 본체(30)와 간섭하지 않도록 재치부재(72)에 실려진다.As shown in FIG. 8, the cage | basket | car frame 7 is comprised from the cage | basket | car bottom 7a, the two cage | pillar vertical column 7b, and the cage | basket | car upper frame 7c. The car frame 7 has one guide shoe 9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r vertical column 7b. The car frame 7 elevates the hoistway by engaging the guide shoe 9 with the guide rail 8. The car top frame 7c is mounted on the top of two car columns 7b. The car upper frame 7c has the mounting member 72 which mounts the heavy material 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when the mounting member 72 is not provided in the car frame 7, the mounting member 72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r frame 7. As shown in FIGS. 9 and 11 to be described later, the heavy object 1 is loaded on the mounting member 72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heavy lifter main body 30 when suspended to the top.

<서스펜션 위치><Suspension position>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2에 나타내는 체인(3a)의 후크(33)를 거는 서스펜션 툴(2a)(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의 일례)을 각각의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에 가진다. 서스펜션 툴(2a)은 볼트 등의 유지구(2b)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에 고정된다. 혹은, 서스펜션 툴(2a) 대신에,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 볼트(eye bolt)(21)를 너트(22)로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에 고정함으로써 체인(3a)의 후크(33)의 장착부(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의 일례)로 해도 된다. 혹은,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자형의 판에 구멍을 뚫은 브래킷(23)을 장착부(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의 일례)로 해도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서의 체인(3a)의 후크(33)의 장착부(서스펜션 포인트(2))는 재치부재(72)에 실려진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서스펜션 포인트(2)는 상기의 중심위치(4b)보다도 치수 L만큼 위쪽에 있다. 이것에 의해 양중기 본체(30)는 중량물(1)을 안정되게 매달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 단독의 중심위치(4a)를 나타내고 있다. 또 서스펜션 포인트(2)는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최상부로부터 치수 M만큼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8, the car frame 7 carries a suspension tool 2a (an example of elevator frame side end mounting portions) which hangs the hook 33 of the chain 3a shown in FIG. It has a vertical column 7b. The suspension tool 2a is fixed to the car vertical column 7b by a holding tool 2b such as a bolt. Or instead of the suspension tool 2a, as shown to Fig.12 (a), the eye bolt 21 is fixed to the car vertical column 7b with the nut 22, and the chain 3a is carried out. It is good also as a mounting part (an example of elevator frame side edge part mounting part) of the hook 33 of this.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2B, the bracket 23 having a hole formed in the L-shaped plate may be a mounting portion (an example of an elevator car side end mounting portion). As shown in FIG. 5, the mounting portion (suspension point 2) of the hook 33 of the chain 3a in the car frame 7 includes the heavy object 1 and the car frame loaded on the mounting member 72.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center position 4b of the coalescing center determined when seeing (7) as one rigid body. In other words, the suspension point 2 of the car frame 7 is above the center position 4b by the dimension L. As a result, the heavy lifting body 30 can suspend the heavy object 1 stably. 5 shows the center position 4a of the car frame 7 alone. The suspension point 2 is also measured from the top of the elevator frame 7 where the weight margin H 2 does not affect the weight of the weight 1 when the weight 1 is lifted to the final lifting position. In the lower position by M).

<양중기><Double heavy duty>

실시형태 1은 양중기(3)를 2대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예시이다. 양중기(3)의 대수는 한정되지 않는다.In Embodiment 1, two heavy lifters 3 are used, but this is an example. The number of lifters 3 is not limited.

(양중 도중)(During bilateral)

다음으로, 도 6, 도 8을 참조하여, 양중기 본체(30)가 중량물(1)이 실려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매달아 올리고 있는 도중을 설명한다. 도 6은 가이드레일(8)의 중간부(82)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8)은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중량물(1)이 실려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서스펜션 포인트(2)를 힘의 작용점으로 하여 매달아 올려진다. 서스펜션 포인트(2)는 상기와 같이, 중심위치(4b)보다도 치수 L만큼 위쪽에 있으므로, 중량물(1)은 안정되게 매달아 올려진다. 양중 중에서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과 결합하면서, 가이드레일(8)을 가이드로서 양중된다. 또한, 양중의 과정에서는 서스펜션 포인트(2)와 중심과의 위치관계로부터 서스펜션 포인트(2)의 주위에 모멘트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도 6의 F1은 발생한 모멘트에 근거하는 수평방향의 가압력(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을 누르는 힘)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가압력(F1)에 대해서는 도 14의 설명에서 후술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8,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way in which the heavy lifter body 30 hangs the car frame 7 on which the heavy object 1 is loaded. 6 shows an intermediate portion 82 of the guide rail 8. Thus, the guide rail 8 is not fixed to the rail bracket 12. The car frame 7 on which the heavy object 1 is loaded is suspended by using the suspension point 2 as an action point of force. As the suspension point 2 is above the center position 4b by the dimension L as mentioned above, the heavy object 1 is stably hung up. In both cases, the car frame 7 doubles the guide rail 8 as a guide while the guide shoe 9 engages with the guide rail 8. Moreover, in both processes, a moment arises around the suspension point 2 from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spension point 2 and the center. F 1 in Fig. 6 show the pressing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generated moment (guide shoe (9) a force pressing the guide rail 8). This pressing force F1 is mentioned later in description of FIG.

(양중 종료시)(When finished)

다음으로, 도 7, 도 9를 참조하여, 양중 종료시를 설명한다. 서스펜션 포인트(2)는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 양중기 본체(30)는 체인(3a)을 감아냄으로써,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 매달아 올린 경우에,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71)(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중기 본체(30)는 최상부까지 양중된 상태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들에 의해, 양중기 본체(30)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이 최상부까지 양중될 때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부(71)(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양중 마진(H2)이 오버헤드치수(OH)의 산출에 관계하지 않게 된다. 도 11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구성과 양중기(3)의 배치를 도 8에 대해서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지만, 도 11의 경우도 양중기 본체(30)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71)(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간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7, FIG. 9, the completion time of both ends is demonstrated. The suspension point 2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weight margin H 2 does not affect the weight of the weight 1 when the weight 1 is lifted to the final lifting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heavy-duty crane main body 30 winds up the chain 3a and hangs the car frame 7 to the top part 5a of the hoistway, at least one part of the upper part 71 of the car frame 7 is carried out.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pushed in from down rather than the elevator car upper frame 7c.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heavy-duty crane main body 3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ar frame 7 of the state lifted to the uppermost. As a result, when the car frame 7 is lifted up to the top, at least a part of the lift truck main body 30 is plung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71 (elevator car upper frame 7c). As a result, the double margin H 2 is irrelevant to the calculation of the overhead dimension OH. 11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car frame 7 and the arrangement of the lifters 3 are changed with respect to FIG. 8, but in the case of FIG. 11, at least a part of the lifter main body 30 is the upper portion 71. ), It is pushed downward from (elevator car upper frame 7c).

(4. 서스펜션 위치)(4.suspension position)

양중장치(100)는 본 설치품인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 플랫폼으로서 사용하고, 중량물(1)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의 재치부재(72)에 싣고 있다. 이 경우에, 서스펜션 포인트(2)는 재치부재(72)에 실려진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과의 합체시의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서스펜션 포인트(2)가 재치부재에 실려진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중량물(1)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것에 의해 양중시에서의 서스펜션 포인트(2) 주위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레일(8)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중간부(82)에서 상술의 모멘트에 의해 가이드레일(8)에 걸리는 수평방향의 가압력(F1)을 후술(도 14)하는 가압력(F2)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F1 < F2). 이 때문에,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로부터의 탈(脫)레일을 방지할 수 있다.The lifting apparatus 100 uses the car frame 7 which is this installation as a lifting platform, and loads the heavy goods 1 in the mounting member 72 of the upper part of the car frame 7.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suspension point 2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center position 4b of the center of coalescence at the time of coalescence of the heavy object 1 carried by the mounting member 72, and the car frame 7. As shown in FIG. Thus, the suspension point 2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center position 4b of the coalescing center determined when the heavy object 1 and the car frame 7 which were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were regarded as one rigid body. For this reason, the fall of the weight 1 can be prevented. Moreover, since the moment which arises around the suspension point 2 at the time of double weight can be made small by this, in the intermediate part 82 in which the guide rail 8 is not fixed, by the above-mentioned moment, the guide rail 8 is carried out. ), the pressing force (F 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pplied to smaller than the pressing force (F 2) to be described later (FIG. 14) (F 1 <F 2 ). For this reason, the guide shoe 9 can prevent the derailing from the guide rail 8.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 플랫폼으로서 유용(流用)하지 않는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양중장치(100)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 플랫폼으로서 유용하지만,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유용하지 않고 중량물(1)을 매달아 올리기 위해서는,Next, the problem when the car frame 7 is not useful as a lifting platform is demonstrated. The lifting device 100 is useful for the car frame 7 as a lifting platform, but to lift the heavy object 1 without the car frame 7 being useful,

(1) 상술의 효과(양중 마진(H2)을 오버헤드치수의 요소로 하지 않음)가 동일하게 얻어지는 전용의 플랫폼을 이용한다.(1) A dedicated platform is obtained in which the above-described effects (without margin H 2 as an element of the overhead dimension) can b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혹은or

(2) 중량물(1)에 양중 마진(H2) 이상의 높이가 있고, 중량물(1)의 하부를 매달아 올린다(플랫폼을 사용하지 않고, 중량물(1)을 직접 매달아 올린다).(2) The weight 1 has a h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rgin of weight H 2 , and the lower part of the weight 1 is suspended (without using a platform, the weight 1 is directly suspended).

의 2가지밖에 없다.There are only two of them.

우선, 도 13 ~ 도 15를 이용하여 전자 「(1) 전용 플랫폼」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한다.First, the problem with the former "(1) dedicated platform" is demonstrated using FIGS. 13-15.

도 13은 전용 플랫폼을 이용한 경우의 양중 개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rt of the double delivery when the dedicated platform is used.

도 14는 전용 플랫폼을 이용한 경우의 양중 도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iddle way in the case of using a dedicated platform.

도 15는 전용 플랫폼을 이용한 경우의 양중 종료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 「(1) 전용 플랫폼」은, 예를 들면 도 13 ~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시에 전용의 치구로서 양중 플랫폼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양중 플랫폼의 조립 및 양중 후의 해체 행위가 필요하게 되어, 설치시간이 증대하는 요인이 된다. 통상, 전용 플랫폼은 그만큼 크지 않다(무겁지 않음). 또,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플랫폼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양중 종료시(도 15)에 양중기(3)가 전용 플랫폼(11)의 내부에 잠입하도록 하는 데에는, 서스펜션 포인트(2)의 위치를 전용 플랫폼(11)의 최상부로부터 양중 마진(H2) 정도 아래쪽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중량물(1)이 실려진 전용 플랫폼(11)을 양중기(3)에서 2점 매다는 경우, 서스펜션 포인트(2)보다도 중량물(1)과 전용 플랫폼(11)과의 합체 중심위치(11a)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도 13은 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전용 플랫폼(11)은, 도 13 상태로부터 양중되면, 서스펜션 포인트(2) 주위에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서 가이드레일(8)을 누르는 가압력(F2)이 발생한다(도 14). 합체 중심위치(11a)보다도 아래의 위치를 서스펜션 포인트로 하는 경우는 양중이 불안정하게 되어, 발생하는 가압력(F2)은, 도 6에 나타낸 가압력(F1)에 비해 커진다(F1 < F2). 이 때문에, 가이드레일(8)은 중간부(82)가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압력(F2)에 의해서 중량물(1)이 전도할 위험이 증대한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mpletion | finish of double loading when the dedicated platform is u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3 to 15, the former "(1) dedicated platform" requires a lifting platform as an exclusive jig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also requires the assembling and disassembly of the lifting platform after lifting. This increases the installation time. Typically, a dedicated platform is not that big (not heavy).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suspension point 2 is used to allow the heavy lifter 3 to sneak into the interior of the dedicated platform 11 at the end of lifting (FIG. 15), such as when the car frame 7 is used as the platform. It is necessary to form below the margin (H 2 ) from the uppermost part of the dedicated platform 11. For this reason, in the case where the dedicated platform 11 on which the heavy object 1 is loaded is suspended by two points in the heavy lifting machine 3, the central position of the coalescence of the heavy object 1 and the dedicated platform 11 rather than the suspension point 2 ( 11a) may increase. 13 shows the case. When the dedicated platform 11 is lifted from the state of FIG. 13, the pressing force F 2 for pressing the guide rail 8 is generated by the moment generated around the suspension point 2 (FIG. 14). When the position below the coalescing center position 11a is used as the suspension point, the weight becomes unstable, and the generated pressing force F 2 becomes larger than the pressing force F 1 shown in FIG. 6 (F 1 <F 2). ). For this reason, the guide rail 8 is because there is no intermediate section 82 is fixed to a rail bracket 12, the risk of this falling heavy object (1) by the pressing force (F 2) is increased.

한편, 후자 「(2) 직접 매다는 것」은 중량물(1)의 높이에 제약 조건(중량물(1)이 양중기(3)의 양중 마진(H2) 이상의 높이)이 부과된다. 또, 중량물(1)의 중심위치(1a)의 아래쪽에 서스펜션 포인트를 형성하여 양중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2점 서스펜션으로 양중하는 경우, 기기 배치의 제약 등에 의해, 2점 서스펜션의 2개의 서스펜션 포인트를 잇는 직선상에 중량물(1)의 중심위치(1a)가 없는 경우에, 중량물(1)이 전도(회전)할 가능성이 있다. 또, 그 경우의 대처로서, 가이드 수단을 이용하여 중량물(1)의 전도를 방지해도 되지만, 양중전용의 가이드 수단을 이용하면, 양중을 위한 조립, 해체 작업이 발생하기 때문에, 설치시간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가이드 수단」이란, 예를 들면, 중량물(1)의 폭이 2개의 가이드레일(8)의 간격 정도인 경우에는, 중량물(1)에 가이드슈를 장착하는 수단이 고려된다. 또, 중량물(1)의 폭이 2개의 가이드레일(8)의 간격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소정의 어태치먼트를 통하여 가이드슈를 장착하는 수단도 고려된다. 이와 같이, 본 설치품인 가이드레일(8)을 유용하는 경우, 설치 공법에 따라서는 대응의 가부가 나뉜다.On the other hand, the latter "(2) direct hanging" imposes a constraint condition (height of the weight 1 above the weight margin H 2 of the heavy lifting machine 3) to the height of the weight 1. In addition, a suspension point is formed below the center position 1a of the heavy material 1 to lift the weight. For this reas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heavy lifting with a two-point suspension, when there is no central position 1a of the heavy material 1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suspension points of the two-point suspens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device arrangement or the lik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eavy object 1 is turned (rotated). In addition, as a countermeasure in this case, although the fall of the heavy material 1 may be prevented using a guide means, when using the guide means exclusively for lifting, assembling and disassembly work for lifting occurs, installation time is required. do. Here, the "guide means" means, for example, the means for attaching the guide shoe to the heavy object 1 when the width of the heavy object 1 is about the interval between two guide rails 8. Moreover, when the width | variety of the weight object 1 does not satisfy | fill the space | interval of two guide rails 8, the means which mounts a guide shoe through a predetermined attachment is also considered. Thus, when the guide rail 8 which is this installation product is useful, correspondence is divid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발판 공법(scaffolding)의 경우)(For scaffolding)

예를 들면, 발판 공법과 같이, 가이드레일(8)이 먼저 세워지고, 가이드레일(8)이 각각 소정 위치에서 레일 브래킷(12)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이면, 중량물(1)의 중심위치(1a)의 아래쪽에서 매달아 올린 경우에, 중량물(1)이 전도(회전)하려고 하는 모멘트가 발생해도, 상기의 가이드슈를 통하여 가이드레일(8)에 걸리는 수평방향 하중은 레일 브래킷(12)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문에 중량물(1)의 전도는 발생하지 않는다.For example, if the guide rails 8 are erected first and the guide rails 8 are respectively fixed by the rail brackets 12 at predetermined positions, as in the scaffolding method, the center position 1a of the heavy object 1 In the case of hanging from below,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guide rail 8 through the guide shoe is supported by the rail bracket 12 even if the moment that the heavy material 1 tries to fall (rotate) occurs. do. For this reason, conduction of the weight object 1 does not occur.

(발판 없는 공법(no-scaffolding)의 경우)(For no-scaffolding)

그러나, 「발판 없는 공법」과 같이, 가이드레일(8)은 서있지만, 가이드레일(8)의 중간부는 레일 브래킷(12)를 장착하기 전이고, 수평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면, 가이드레일(8)이 어느 정도는 변위하는 상황에서는 상기의 가이드슈를 통하여 수평방향 하중이 가이드레일(8)에 가해지면 가이드레일(8)이 변위함으로써 직접 매달려 있는 중량물(1)이 전도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전용 플랫폼(11)을 이용한 경우 및 직접 매다는 경우는 중심위치의 아래를 매달기 때문에, 중량물(1)의 전도의 위험성이 크다. 이 점, 본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서는, 상기와 같이, 서스펜션 포인트(2)가 재치부재에 실려진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중간부(82)는 레일 브래킷(12)이 장착되기 전이라도, 중량물(1)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However, as in the "footless construction method", the guide rail 8 stands, but the middle of the guide rail 8 is before the rail bracket 12 is mounted, and when the load is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guide rail 8 is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splaced to some extent, if the horizontal load is applied to the guide rail 8 through the guide shoe, the guide object 8 may be displaced, causing the heavy object 1 to be suspended directly to fall. In this way, the case where the dedicated platform 11 is used and the case where the hanging is suspended are suspended below the center position, so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the falling of the weight 1. In this respect, in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uspension point 2 is determined when the heavy object 1 and the car frame 7 loaded on the mounting member are viewed as one rigid body. The paper is disposed above the center position 4b of the coalescence center. For this reason, the intermediate | middle part 82 can prevent the fall of the weight object 1, even before the rail bracket 12 is attached.

(5. 가이드슈가 자성체를 구비하는 경우)(5.When guide shoe is equipped with magnetic material)

도 16, 도 17은 가이드슈(9)가 자성체(10)를 구비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중량물(1)을 실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모멘트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F1은 모멘트의 발생에 의해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을 누르는 가압력을 나타내고 있다. F3은 가이드슈(9) 혹은 가이드슈(9)의 근방에 장착된 자성체(10)가 가이드레일(8)을 끌어당기는 힘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자성체(10)를 구비한 가이드슈(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과 접촉하는 면에 대해서 안쪽의 면에 자성체(10)를 장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16 and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ase where the guide shoe 9 includes the magnetic body 10. FIG. 16: shows the case where the moment generate | occur | produced in the car frame 7 which loaded the heavy material 1. As shown in FIG. F 1 in Fig. 16 shows the pressing force pressing the guide shoe (9), the guide rail 8 by the generation of moments. F 3 represents a force for pulling the guide rail 8 by the magnetic body 10 mounted near the guide shoe 9 or the guide shoe 9. FIG. 17: is a figure which shows the guide shoe 9 provided with the magnetic body 10. As shown in FIG. FIG. 17 shows a case where the magnetic body 1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where the guide shoe 9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8.

승강 행정이 높아져, 가이드레일(8)이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중간부(82)의 길이가 한층 길어지면, 상술의 모멘트를 작게 해도 탈레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탈레일을 방지하는 데에는 가이드레일(8)을 기계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 된다. 그러나, 가이드레일(8)은 어느 소정의 길이의 길이가 긴 물체(가이드레일(8)을 구성하는 구성품으로서의 레일)가 쌓아 올려져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하의 가이드레일(8)의 연결부가 미시적으로는 마디라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레일(8)에 수평력이 작용하면, 하중을 받은 개소를 배(중앙)로 하여, 가이드레일(8) 전체가 변위한다. 승강 행정이 길어지면, 작용하는 수평력의 크기가 같아도 승강 행정이 짧은 경우와 비교하여 가이드레일(8) 전체를 상하로 지지하고 있는 2점간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수평력이 작용하는 배 부분(중앙 부분)의 변위량은 커진다. 이 변위량이 가이드슈(9)와 가이드레일(8)과의 관계 마진보다 커지면,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로부터 떨어져 결과적으로 탈레일에 이른다.When the lifting stroke is increased and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82 where the guide rail 8 is not fixed by the rail bracket 12 becomes longer, the possibility of causing the rail is increased even if the above-mentioned moment is reduc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able to hold | maintain the guide rail 8 mechanically in order to prevent a trailing | railing. However, the guide rail 8 is constructed by stacking a long object (rail a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guide rail 8)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 this reason,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ng part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8 is a node microscopically. For this reason, when a horizontal force acts on the guide rail 8, the guide rail 8 whole will be displaced by making into a ship (center) the place which received the load. When the lifting stroke is lengthened,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supporting the entire guide rail 8 up and down becomes longer than the case where the lifting stroke is short even if the magnitude of the horizontal force acting is the same. For this reason,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belly part (center part) to which a horizontal force acts becomes large. When this displacement amount becomes larger than the relation margin between the guide shoe 9 and the guide rail 8, the guide shoe 9 is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8 and consequently leads to a tarail.

그래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슈(9) 혹은 가이드슈(9)의 근방에 자성체(10)를 배치한다. 이것으로부터, 가이드레일(8)이 자성체(10)에 F3로 흡인되기 때문에, 가이드슈(9)는 가이드레일(8)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항상 가이드레일(8)에 따라서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7, the magnetic body 1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guide shoe 9 or the guide shoe 9. As shown in FIG. From this, since the guide rail 8 is attracted to the magnetic body 10 by F 3 , the guide shoe 9 does not fall from the guide rail 8,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guide shoe 9 is always possible along the guide rail 8.

실시형태 2.Embodiment 2 Fig.

실시형태 1에서는, 양중기 본체(30)는 승강로 꼭대기부(5a)에 설치되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형태 2는 양중기 본체(30)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In Embodiment 1, the heavy-duty crane main body 30 was provided in the hoistway top part 5a. On the other hand, Embodiment 2 demonstrates the case where the heavy-duty crane main body 30 is provided in the car frame 7.

도 18은 양중기 본체(30)가 승강로 꼭대기부(5a)에 설치된 경우(실시형태 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것에 대해서 도 19는 양중기 본체(30)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장착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20, 도 21은 양중기 본체(30)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장착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9에 대응하고, 도 21은 도 11에 대응한다. 도 20 혹은 도 21과 같이, 양중기 본체(30)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에 장착된다. 즉, 도 20 혹은 도 21에서는, 양중기 본체(30)는 단부가 후크(도시하고 있지 않음)인 체인(35a)을 구비한다. 이 후크가 서스펜션 툴(2a)(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의 일례)에 걸린다. 한편, 양중기 본체(30)의 상부(꼭대기부 측)에서는 체인(3a)(선상체의 일례)이 꼭대기부를 향해서 연장하고 있고, 체인(3a)은, 도 19와 같이 꼭대기부에 장착되어 있다. 양중기 본체(30)는 체인(3a)을 감아냄으로써,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한다. 또한, 도 19와 같이, 체인(35a)을 통하지 않고, 양중기 본체(30)에 설치되어 있는 후크(24)를 서스펜션 툴(2a)에 걸어도 상관없다. 혹은, 양중기 본체(30)를 직접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에 장착하여도 상관없다.FIG. 18: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ase where the heavy-duty crane main body 30 is provided in the hoistway top part 5a (Embodiment 1). On the other hand, FIG. 19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ase where the heavy-duty crane main body 30 is attached to the car frame 7. As shown in FIG. 20 and 21 are perspective views when the heavy lifter body 30 is attached to the car frame 7. FIG. 20 corresponds to FIG. 9 and FIG. 21 corresponds to FIG. As shown in FIG. 20 or FIG. 21, the heavy-duty crane main body 30 is attached to the car vertical column 7b of the car frame 7. That is, in FIG. 20 or FIG. 21, the heavy lifting body 30 is provided with the chain 35a whose end is a hook (not shown). This hook is caught by the suspension tool 2a (an example of the elevator frame side main body attaching portion). On the other hand, the chain 3a (an example of a ship body) extends toward the top part at the upper part (top part side) of both heavy-body main bodies 30, and the chain 3a is attached to the top part as shown in FIG. . The heavy truck main body 30 lifts the car frame 7 by winding the chain 3a. Moreover, as shown in FIG. 19, you may hang the hook 24 provided in the heavy-duty crane main body 30 to the suspension tool 2a,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hain 35a. Or you may mount the heavy-duty crane main body 30 directly to the car vertical column 7b.

양중기 본체(30)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장착되는 경우,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의 양중 종료시 상태로 장착된다. 즉, 양중기 본체(30)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 또한,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장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중기 본체(30)는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71)(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양중기 본체(30)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 측에 장착하는 경우도 양중 마진(H2)이 오버헤드치수(OH)의 요소가 되지 않는다.When the heavy-duty crane main body 30 is attached to the car frame 7, it is attached, for example in the state at the end of the heavy lifting of Embodiment 1. As shown in FIG. That is, the heavy lifting body 30 is above the center position 4b of the coalescing center, and when the heavy weight 1 is lifted to the final lifting position, the weight margin H 2 affects the weight of the heavy weight 1. It is mount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give. More specifically, the heavy duty main body 30 is attached to the car frame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push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71 (the elevator car frame 7c) of the car frame 7. As a result, even when the heavy lifter main body 30 is mounted on the car frame 7 side, the lift margin H 2 does not become an element of the overhead dimension OH.

이상의 실시형태의 양중장치(100)는 중량물(1)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의 재치부재에 실어 양중했지만, 중량물(1)을 엘리베이터칸 바닥(7a)에 실어 양중하여도 상관없다.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above embodiment lifted the heavy material 1 to the mounting member of the upper part of the car frame 7, but may lift the heavy material 1 to the car bottom 7a.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양중장치(100)를 설명했지만, 양중장치(100)를 양중방법으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양중장치(100)를 승강로의 하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조합하는 가이드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에 따라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되는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중량물이 실려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기에 의해 양중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lifting apparatus 100 was demonstrated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grasp the lifting apparatus 100 as a lifting method. That is, by providing a guide shoe that combines the lifting device 100 with the guide rail install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to the top part, the car frame of the elevator can be lifted along the guide rail, which is lifted up to the vicinity of the top part of the hoistway. The car frame used as a platform on which the heavy material is loaded may be regarded as a lifting method of an elevator that lifts by a heavy lifting machine to the top portion with the guide rail as a guide while the heavy material is loaded.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에 기기를 배치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엘리베이터칸 바닥을 양중시의 플랫폼으로서 설치를 행하는 양중장치를 설명했다.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elevator which arrange | positions an apparatus near the top part of a hoistway, the lifting device which installs the car frame of an elevator and the floor of a car as a platform at the time of lifting was demonstrated.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슈에 자성체를 가지고, 양중시에 자성체가 가이드레일을 흡인하는 양중장치를 설명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lifting device which has a magnetic body in the guide shoe and a magnetic body sucks a guide rail at the time of carrying out was demonstrated.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엘리베이터칸 바닥을 양중 플랫폼으로 하는 경우에, 상기 플랫폼의 최상부보다 아래쪽, 또한 중량물과 중량물을 실은 플랫폼 전체의 중심위치보다도 위쪽에 서스펜션부를 구비하고, 승강로의 최상부까지 플랫폼을 양중한 경우에 양중기가 플랫폼 중에 위치하는 양중장치를 설명했다.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car frame and the car floor are the lifting platforms, the suspension unit is provided below the top of the platform and above the center position of the entire platform on which the heavy and heavy objects are loaded, and the platform to the top of the hoistway. In this case, we have described a lifting device in which the lifting device is located on the platform.

1 중량물, 1a 중량물(1)의 중심위치, 2a 서스펜션 툴, 2 서스펜션 포인트, 2b 유지도구, 3 양중기, 3a 체인, 4 엘리베이터칸, 4a 엘리베이터칸 프레임(4) 단독의 중심위치, 4b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 중량물)의 중심위치, 5 승강로, 5a 승강로 꼭대기부, 6 양중빔, 7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7a 엘리베이터칸 바닥, 7b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 7c 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 8 가이드레일, 9 가이드슈, 10 자성체, 11 전용 플랫폼, 11a 전용 플랫폼(11) + 중량물(1)의 중심위치, 12 레일 브래킷, 13 비상멈춤 15 균형추, 16a, 17a 코일스프링, 18 와이어, 20 최상층 바닥면, 21 아이 볼트, 22 너트, 23 브래킷, 24 후크, 30 양중기 본체, 33 후크, 35a 체인, 31 한쪽의 단부, 51 꼭대기부 근방, 71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상부, 72 재치부재, 81 하부, 82 중간부, 83 상부, 100 양중장치.1 weight, 1a center of gravity (1), 2a suspension tool, 2 suspension points, 2b retainer, 3 lifters, 3a chain, 4 car, 4a car frame (4) center of gravity alone, 4b (elevator Center frame, 5 lifts, 5a lift top, 6 double beams, 7 car frames, 7a car bottom, 7b car vertical column, 7c car upper frame, 8 guide rails, 9 guide shoes , 10 magnetic material, 11 dedicated platform, 11a dedicated platform (11) + center of mass (1), 12 rail bracket, 13 emergency stop 15 counterweight, 16a, 17a coil spring, 18 wire, 20 top floor, 21 eye bolts , 22 nuts, 23 brackets, 24 hooks, 30 lift body, 33 hooks, 35a chain, 31 one end, near 51 top, 71 car frame upper, 72 mounting member, 81 lower, 82 middle, 83 upper , 100 lifters.

Claims (12)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揚重)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하부로부터 상기 꼭대기부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하는 가이드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되는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
상기 중량물이 실려진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In the lifting device of an elevator for lifting a heavy object to the vicinity of the top of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A guide rail install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oistway to the upper end portion;
An elevator car frame of an elevator capable of elevating the guide rail as a guide by providing a guide shoe coupled with the guide rail, the car frame being used as a platform on which the heavy material lifted to the vicinity of the top of the hoistway is loaded;
And a lifter for lifting the car frame on which the heavy material is loaded to the top portion with the guide rail as a gu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꼭대기부의 부근과 상기 하부의 부근과의 사이의 중간이 레일 브래킷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rails
The lifting device of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dle between the vicinity of the top portion and the vicinity of the lower portion is not fixed by a rail bracke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중기는,
한쪽의 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된 선상(線狀)의 선상체와,
상기 꼭대기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양중하는 본체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는,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한 경우에, 자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상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선상체의 상기 한쪽의 단부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ifter is,
A linear ship body whose one end is attached to the car frame;
At the same time having a main body disposed on the top portion to wind up the car frame by winding the linear body,
The main body includes:
When the car frame is lifted up to the top by winding the linear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 is arranged to be pushed down from above the car frame,
The car frame,
An elevator lift apparatus comprising an end portion mounting portion of a car frame on which one end of the linear body is mount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재치(載置)부재를 상기 상부에 구비하고,
상기 중량물은,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짐과 동시에,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가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된 경우에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실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ar frame,
A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heavy material is loaded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The weight is,
And an elevator which is loaded on the mounting member and is loaded at a position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ain body of the heavy lifter when the main body of the heavy lifter is lifted up to the vicinity of the top portion by winding the linear body. Lifting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는,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지는 상기 중량물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중심(重心)의 위치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ar frame side end mounting portion,
An elevator lif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t a position above the center of gravity determined when the heavy object and the car frame that are placed on the placing member are viewed as one rigid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중기는,
한쪽의 단부가 상기 꼭대기부에 고정된 고정부에 장착된 선상의 선상체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상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ifter is,
A linear linear body attached to a fixed part of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top part,
A main body mounted on the car frame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 frame is pushed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r frame, and the car frame is lifted up to the top by winding the ship body;
The car frame,
An elevator lifting apparatus having a car frame side body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main body of the lifting crane is mount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재치부재를 상기 상부에 구비하고,
상기 중량물은,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짐과 동시에, 상기 양중기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실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ar frame,
I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heavy material is loaded,
The weight is,
Lifting device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loaded on the mounting member, at the same time do not interfere with the lift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는,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진 상기 중량물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중심의 위치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ar frame side body mounting portion,
An elevator lif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t a position above the center position determined when the heavy object loaded on the placing member and the car frame are regarded as one rigid body.
청구항 2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슈는,
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흡인(吸引)하는 자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8,
The guide shoe,
A lifting device for an elevator, comprising: a magnetic material that attracts the guide rail by magnetic force.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할 때의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본체가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선상체의 한쪽의 단부가 양중 대상에 장착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양중 대상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의 상기 선상체의 상기 한쪽의 단부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An elevator car frame used as a platform for lifting heavy goods to near the top of an elevator's hoistway, wherein the main body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and one end of the ship body is mounted on the hoisting object so that the ship body An elevator car frame side end mounting portion, on which one end of the linear body of a lifting crane that lifts the lifting object to the top end by winding up the vehicle, is provided.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할 때의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선상체의 한쪽의 단부가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접속됨과 동시에 본체가 양중 대상에 장착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양중 대상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의 상기 본체를 장착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An elevator car frame used as a platform for lifting heavy goods to near the top of an elevator's hoistway, wherein one end of the ship body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hoistway, and a main body is mounted on the lifting object to form the ship body. An elevator car frame side body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main body of a heavy lifter that lifts the lifting target to the top end by winding up a vehicle.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하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조합하는 가이드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에 따라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되는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중량물이 실려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기에 의해 양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
In the lifting method of the elevator to lift the heavy object to the vicinity of the top of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An elevator car frame of an elevator capable of elevating according to the guide rail by providing a guide shoe which is combined with a guide rail install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to the top end, and as a platform on which the heavy goods lifted up to the vicinity of the top end of the hoistway are loaded. The lifting method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 is used to lift the guide rail to the top portion with the guide rail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vy material is loaded.
KR1020107006435A 2007-10-05 2007-10-05 Lifting device for elevator, elevator car frame, and lifting method for elevator KR1012238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9577 WO2009044481A1 (en) 2007-10-05 2007-10-05 Lifting device for elevator, elevator car frame, and lifting method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526A KR20100045526A (en) 2010-05-03
KR101223860B1 true KR101223860B1 (en) 2013-01-17

Family

ID=4052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435A KR101223860B1 (en) 2007-10-05 2007-10-05 Lifting device for elevator, elevator car frame, and lifting method for elevat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06673B2 (en)
JP (1) JP5264751B2 (en)
KR (1) KR101223860B1 (en)
CN (1) CN101821189B (en)
WO (1) WO200904448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2881A (en) * 2011-10-25 2013-05-01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Mounting method of freight lift car frame
JP5955280B2 (en) * 2013-07-09 2016-07-2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Lifting method for heavy elevators
JP2016074534A (en) * 2014-10-08 2016-05-1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Hoist lifting method
JP6351548B2 (en) * 2015-06-23 2018-07-0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 repair method
JP6605411B2 (en) * 2016-07-20 2019-11-1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Lifting bracket and hoist
WO2018207263A1 (en) * 2017-05-09 2018-11-1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use elongated article transportation tool, method for dismantling elevator guide rail, and method for installing elevator guide rail
WO2019073585A1 (en) * 2017-10-12 2019-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Lifting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CN107747414A (en) * 2017-12-04 2018-03-02 昆明昆船物流信息产业有限公司 A kind of lifting car of parking systems vehicle vertical elevator
KR102083484B1 (en) * 2018-09-20 2020-03-0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Rail lifting device of jump elevator
US11059701B2 (en) 2018-12-06 2021-07-13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ifting elevator cars during installation
CN113620147B (en) * 2020-05-09 2024-07-30 奥的斯电梯公司 Jump elevator system and jump method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566A (en) * 1993-02-10 1994-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Rope tension balancing device for elevator
JP2002332175A (en) * 2001-05-10 2002-11-22 Fujitec Co Ltd Elevator device
JP2006182461A (en) * 2004-12-24 2006-07-13 Toshiba Elevator Co Ltd Temporary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9753B2 (en) 1975-04-04 1983-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ar guide device
US5564529A (en) 1994-11-29 1996-10-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frame and platform assembly
JPH10109862A (en) 1996-10-02 1998-04-28 Sooken:Kk Chair inclined type ascent and descent device
CN1102908C (en) 1997-03-07 2003-03-12 通力股份公司 Procedure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elevator
FI107250B (en) 1997-12-23 2001-06-29 Kone Corp The elevator car
JP2000034072A (en) * 1998-07-17 2000-02-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Mounting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JP4097848B2 (en) 1999-07-06 2008-06-1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guide device
CN1187253C (en) * 2000-09-20 2005-02-02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arrangement
DE60132925T2 (en) * 2001-03-29 2009-03-05 Mitsubishi Denki K.K. METHOD FOR INSTALLING A CONVEYING DEVICE
EP1593641B1 (en) 2004-05-07 2014-12-10 Inventio AG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JP4986400B2 (en) * 2005-01-05 2012-07-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US20090097952A1 (en) 2005-08-30 2009-04-16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an elevator car drive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566A (en) * 1993-02-10 1994-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Rope tension balancing device for elevator
JP2002332175A (en) * 2001-05-10 2002-11-22 Fujitec Co Ltd Elevator device
JP2006182461A (en) * 2004-12-24 2006-07-13 Toshiba Elevator Co Ltd Temporary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44481A1 (en) 2009-04-09
EP2206673B2 (en) 2018-02-07
EP2206673B1 (en) 2014-12-17
KR20100045526A (en) 2010-05-03
CN101821189A (en) 2010-09-01
EP2206673A1 (en) 2010-07-14
JP5264751B2 (en) 2013-08-14
CN101821189B (en) 2014-01-29
JPWO2009044481A1 (en) 2011-02-03
EP2206673A4 (en) 201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860B1 (en) Lifting device for elevator, elevator car frame, and lifting method for elevator
JP6813123B2 (en) How to apply elevator lift extension technology
JP2018070362A (e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JP4774429B2 (en) Elevator equipment
JP6112954B2 (en) Renewal of hydraulic elevator to rope type elevator
JP5329031B2 (en) Elevator equipment
CN110498321B (en) Compensation wire harness storage device, skip floor elevator and using method of skip floor elevator
JP5278364B2 (en) Renewal method of hydraulic elevator and rope type elevator renewed by the method
JP2007210703A (en)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hoist machine in machine-room-less elevator
CN108698792B (en) Elevator device
JP5278359B2 (en) Renewal method of hydraulic elevator and rope type elevator renewed by the method
JP5278360B2 (en) Renewal method of hydraulic elevator and rope type elevator renewed by the method
JP4270018B2 (en) Elevator equipment
JP5898057B2 (en) Elevator load bearing beam holding device
JP2000086113A (en) Elev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6692461B2 (en) Elevator equipment
JP4056475B2 (en) Elevator equipment
JP4946034B2 (en) Compensation chain guide device for elevator
JP2001335255A (en) Elevator install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elevator installation unit
KR100446047B1 (en) a solid parking facility
JP2015157676A (en) Elevator device
JP2005187119A (en) Lower part assembly method for elevator upper equipment
JP6727544B2 (en) Fixing structure of elevator rail holding device
JP6636409B2 (en) Governor and elevator
JP2023168698A (en)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