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500B1 - 스폿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스폿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500B1
KR101223500B1 KR1020100105531A KR20100105531A KR101223500B1 KR 101223500 B1 KR101223500 B1 KR 101223500B1 KR 1020100105531 A KR1020100105531 A KR 1020100105531A KR 20100105531 A KR20100105531 A KR 20100105531A KR 101223500 B1 KR101223500 B1 KR 101223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guide block
base plate
mov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621A (ko
Inventor
구준모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일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지테크 filed Critical (주)일지테크
Publication of KR20110122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50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Robo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폿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용접작동을 행할 수 있는 스폿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용접건과, 베이스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블록과, 가이드블록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용접건이 설치되고 가이드블록의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블록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폿 용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폿 용접장치 {APPARATUS FOR SPOT WELDING}
본 발명은 스폿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용접작동을 행할 수 있는 스폿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폿 용접기는 금속판을 포개어 높고 위아래에 전극을 대어 전류를 통하게 하여 한 부분만을 이어 붙이는 장치로서, 주로 자동차의 차체를 용접하는데 사용된다.
자동차의 차체 제작공정은 철판이 공급되는 공정과, 철판을 절단하는 공정과, 절단된 철판에 금형작업을 행하여 자동차 용품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성형 된 제품을 치구로 고정하여 용접하여 조립하는 공정과, 용접된 제품을 검수한 후에 외부로 출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용접공정은 로봇에 설치되는 스폿 용접기에 의해 이루어지며, 로봇의 구동에 의해 스폿 용접기가 용접부위로 이동된 후에 스폿 용접기가 작동되어 용접공정을 행하게 된다.
스폿 용접기에는 국부적인 통전과 가압을 행하는 전극이 설치되고, 전극에서 발생하는 고전류와 가압력에 의해 높은 열이 발생되므로 전극의 선단에서 모재의 용융현상이 일어나 모재인 두 금속판이 접합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스폿 용접기는 로봇에 의해 용접부위로 이동된 후에 용접작동을 행하기 때문에 하나의 부품에 복수 개의 용접부위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용접작동과 이동작동이 교호로 반복되므로 용접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스폿 용접기는 용접작동과 이송작동이 장기간 반복되면 로봇의 이동작동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부품에 구비되는 용접부위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용접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용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용접작동을 행할 수 있는 스폿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용접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용접건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의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블록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접건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이동용접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용접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용접건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용접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용접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용접부와, 상기 제1용접부와 상기 제2용접부를 이동시키는 용접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용접건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고정지지대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용접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용접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스폿 용접을 행하는 제2용접부와, 상기 제1용접부와 상기 제2용접부를 이동시키는 용접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접건에는 상기 제1용접부와 상기 제2용접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싱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블록에 설치되는 제1스크루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스크루와 상기 제1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제1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스크루와, 상기 가이드블록에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스크루와 상기 제2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제2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는 복수 개의 용접건이 동시에 용접작동을 행할 수 있어 용접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는 복수 개의 용접건 사이의 거리 및 높이 차이가 조절되므로 다양한 제품에 복수 개의 용접부위를 동시에 용접할 수 있어 연속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이동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건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1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1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2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2구동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2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2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건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1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1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용접건(90, 100)과, 베이스플레이트(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블록(30)과, 가이드블록(30)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50)와, 용접건(90, 100)이 설치되고 가이드블록(30)의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블록(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70)와, 이동플레이트(70)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80)를 포함한다.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제1구동부(50)를 작동시키면 가이드블록(30)이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이동되면서 용접건(90, 100)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구동부(80)를 작동시키면 이동플레이트(70)가 이동되면서 용접건(90, 100)을 가이드블록(30)의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용접건(90, 100) 중에 이동플레이트(70)에 설치되는 용접건(90, 100)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용접건(90, 100)은 이동플레이트(70)에 설치되는 이동용접건(90)과, 베이스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고정용접건(100)을 포함한다.
이동용접건(90)을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 고정용접건(100)과 이동용접건(90) 사이의 거리 및 높이 차이가 조절된다.
이동용접건(90)과 고정용접건(100)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일정한 높이 차이를 유지하도록 용접건(90, 100)의 위치가 조절된 후에는 이송로봇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에 이동용접건(90)과 고정용접건(100)이 동시에 용접작동을 행하게 된다.
이때, 이동용접건(90)과 고정용접건(100)은 일정한 간격 및 일정한 높이 차이를 유지하므로 연속적인 용접작동이 지속되어도 항상 일정한 위치에 복수의 용접작동을 행하게 된다.
이동용접건(90)은 이동플레이트(70)에 설치되는 본체(92)와, 본체(9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용접부(94a)와, 본체(9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용접부(94a)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용접부(94b)와, 제1용접부(94a)와 제2용접부(94b)를 이동시키는 용접구동부(96a, 96b)를 포함한다.
고정용접건(100)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고정지지대(16)에 설치되는 본체(102)와, 본체(1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용접부(104a)와, 본체(1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용접부(104a)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스폿 용접을 행하는 제2용접부(104b)와, 제1용접부(104a)와 제2용접부(104b)를 이동시키는 용접구동부(106a, 106b)를 포함한다.
본체(92, 102)는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빔 모양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본체(92, 102)의 일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1용접부(94a, 104a) 및 제2용접부(94b, 104b)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를 이루게 된다.
제1용접부(94a, 104a)는 측면 형상이 'ㅜ'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하단이 본체(92, 1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방 측 단부에 제1용접구동부(96a, 106a)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1용접구동부(96a, 106a)의 작동에 의해 제1용접부(94a, 104a)의 후방측 단부가 상승하면 전극이 설치되는 제1용접부(94a, 104a)의 전방 측 단부가 하강하게 된다.
제2용접부(94b, 104b)는 측면 형상이 'ㅗ'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상단이 본체(92, 1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방 측 단부에 제2용접구동부(96b, 106b)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2용접구동부(96b, 106b)에 의해 제2용접부(94b, 104b)의 후방 측 단부가 하강하면 전극이 설치되는 제2용접부(94b, 104b)의 전방 측 단부가 상승하면서 제1용접부(94a, 104a)의 전극과 스폿 용접작동을 행하게 된다.
용접건(90, 100)에는 제1용접부(94a, 104a)와 제2용접부(94b, 104b)가 본체(92, 102)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싱부(98, 108)가 설치된다.
연속되는 용접공정이 장기간 지속되면 부품들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거나 작동 대상물과 접촉되면서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가 본체(92, 102)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는데, 이때, 센싱부(98, 108)가 이를 감지하여 출력하게 된다.
고정용접건(100) 또는 이동용접건(90)의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가 본체(92, 102)로부터 이격되면 용접부들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므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복수의 부분에 용접작동을 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센싱부(98, 108)로부터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의 이격신호가 출력되면 연속공정을 중단하고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행하게 된다.
센싱부(98, 108)는 본체(92, 102)에 설치되고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98a)와, 고정부(98a)로부터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 측으로 분기되고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에 연결되는 연결부(98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가 본체(92, 102)로부터 연결부(98a) 방향으로 이격되면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가 연결부(98b) 및 고정부(98a)를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고정부(98a)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의 이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가 본체(92, 102)로부터 연결부(98b)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면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가 연결부(98b) 및 고정부(98a)를 당기게 되므로 고정부(98a)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의 이격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제1구동부(50)는 가이드블록(30)에 설치되는 제1스크루(52)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제1모터(58)와, 제1스크루(52)와 제1모터(58) 사이에 설치되는 제1벨트(56)를 포함한다.
가이드블록(30)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12)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랑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다.
지지대(12)의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제1레일(14)이 설치되고, 가이드블록(30)의 측면에는 제1레일(14)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편(32)이 설치된다.
가이드블록(30)의 내벽 상단 및 하단에는 한 쌍의 베어링(34)이 설치되고, 제1스크루(52)가 베어링(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블록(30) 내벽에 설치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제1모터(58)는 제1스크루(52)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종동풀리(54)와 제1벨트(56)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1모터(58)의 구동력이 제1벨트(56) 및 제1종동풀리(54)를 통해 제1스크루(52)에 전달된다.
가이드블록(30)의 내부를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승강플레이트(36)가 형성되고, 승강플레이트(36)와 제1스크루(52)는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제1모터(58)의 동력이 제1벨트(56) 및 제1종동풀리(54)에 의해 전달되어 제1스크루(52)가 회전되면 제1스크루(52)는 베어링(34)에 의해 공회전되고, 제1스크루(52)에 나사결합된 승강플레이트(36)가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가이드블록(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가이드블록(30)이 상승되면 가이드블록(30)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70) 및 이동용접건(90)이 상승 또는 하강되므로 고정용접건(100)과 이동용접건(90) 사이의 높이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용접공정이 이루어지는 작업 대상물이 평판이 아닌 곡면판 또는 절곡된 모양인 경우에도 복수 개의 용접부위에 동시에 용접작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2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2구동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2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제2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2구동부(80)는 가이드블록(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플레이트(70)와 나사결합되는 제2스크루(82)와, 가이드블록(30)에 설치되는 제2모터(88)와, 제2스크루(82)와 제2모터(88) 사이에 설치되는 제2벨트(86)를 포함한다.
이동플레이트(70)의 저면에는 제2스크루(82)가 나사결합되는 이동블록(72)이 설치되고, 가이드블록(3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레일(38)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편(74)이 설치된다.
제2스크루(82)의 외측 단부에는 제2종동풀리(84)가 설치되고, 제2종동풀리(84)와 제2모터(88) 사이에 제2벨트(86)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2모터(88)의 동력이 제2벨트(86) 및 제2종동풀리(84)를 따라 제2스크루(82)에 전달되면 제2스크루(82)는 공회전되고, 이동블록(72) 및 이동플레이트(70)가 제2레일(38)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제2구동부(80)에 의해 이동용접건(90)이 고정용접건(100)으로부터 먼 방향 또는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고정용접건(100)과 이동용접건(9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용접건(90, 102)의 본체(92, 102)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중앙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본체(92, 102)에 설치되는 제1용접부(94a, 104a) 또는 제2용접부(94b, 104b)는 전극의 설치되는 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 측 중앙부로 모아지도록 평면도 상에서 경사를 이루게 된다.
제1용접부(94a, 104a)와 제2용접부(94b, 104b)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중앙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제1용접부(94a, 104a)의 단부에 설치되는 전극과 제2용접부(94b, 104b)의 단부에 설치되는 전극은 서로 거의 인접하도록 가까운 거리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작업 대상물 중에 가까운 거리에 복수 개의 용접부위가 구비되는 경우에 이동용접건(90)을 고정용접건(100) 측으로 이동시켜 가깝게 배치되는 두 개의 용접부위를 동시에 용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접공정의 작업 대상물이 결정되면 작업 대상물에 구비되는 용접부위 사이의 거리와 높이 차이에 대응되도록 이동용접건(90)을 이동시킨다.
용접부위 사이의 높이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제1모터(58)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벨트(56) 및 제1종동풀리(54)를 통해 제1스크루(52)에 동력을 전달하고, 제1스크루(52)가 회전되면 승강플레이트(36)가 제1스크루(52)를 따라 승강되면서 가이드블록(30)이 제1레일(14)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30)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70) 및 이동용접건(9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용접부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때에는 제2모터(88)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벨트(86) 및 제2종동풀리(84)를 통해 제2스크루(82)에 동력을 전달하고, 제2스크루(82)가 회전되면 이동블록(72)이 제2스크루(82)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동플레이트(70)가 제2레일(38)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이동플레이트(70)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동용접건(90)과 고정용접건(10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용접건(100)과 이동용접건(90) 사이의 거리 및 높이 차이가 조절된 후에는 연속적인 용접공정이 개시된다.
이송로봇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제1용접부(94a, 104a)와 제2용접부(94b, 104b) 사이로 공급되면 제1용접구동부(96a, 106a)가 제1용접부(94a, 104a)의 후방 측 단부를 상승시키고, 제2용접구동부(96b)가 제2용접부(94b, 104b)의 후방 측 단부를 하강시켜 제1용접부(94a, 104a)의 전극과 제2용접부(94b, 104b)의 전극이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전극에 전류가 통전되므로 작업 대상물에 아크열이 발생되어 스폿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용접작동이 고정용접건(100)과 이동용접건(90)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작업 대상물에 복수의 용접작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한 쌍의 용접건(90, 100)이 설치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용접건(90, 10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용접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1구동부(50) 및 제2구동부(80)가 작동되어 이동용접부(90)가 이동되면서 연속적인 용접공정을 행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써, 용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용접작동을 행할 수 있는 스폿 용접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체 용품을 용접하는 스폿 용접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체 용품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스폿 용접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플레이트 12 : 지지대
14 : 제1레일 16 : 고정지지대
30 : 가이드블록 32 : 이동편
34 : 베어링 36 : 승강플레이트
38 : 제2레일 50 : 제1구동부
52 : 제1스크루 54 : 제1종동풀리
56 : 제1벨트 58 : 제1모터
70 : 이동플레이트 72 : 이동블록
74 : 가이드편 80 : 제2구동부
82 : 제2스크루 84 : 제2종동풀리
86 : 제2벨트 88 : 제2모터
90 : 이동용접건 92, 102 : 본체
94a, 104a : 제1용접부 94b, 104b : 제2용접부
96a, 106a : 제1용접구동부 96b, 106b : 제2용접구동부
98, 108 : 센싱부 98a : 고정부
98b : 연결부 100 : 고정용접건

Claims (8)

  1.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용접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가이드블록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용접건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의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블록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건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이동용접건;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용접건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용접건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용접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용접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용접부; 및
    상기 제1용접부와 상기 제2용접부를 이동시키는 용접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접건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고정지지대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용접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용접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스폿 용접을 행하는 제2용접부; 및
    상기 제1용접부와 상기 제2용접부를 이동시키는 용접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용접건과 상기 고정용접건에는 상기 제1용접부와 상기 제2용접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싱부가 설치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용접부 또는 상기 제2용접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1용접부 또는 상기 제2용접부 측으로 분기되고 상기 제1용접부 또는 상기 제2용접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블록에 설치되는 제1스크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모터; 및
    상기 제1스크루와 상기 제1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제1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스크루;
    상기 가이드블록에 설치되는 제2모터; 및
    상기 제2스크루와 상기 제2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제2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장치.
KR1020100105531A 2010-05-04 2010-10-27 스폿 용접장치 KR101223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1704 2010-05-04
KR1020100041704 2010-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621A KR20110122621A (ko) 2011-11-10
KR101223500B1 true KR101223500B1 (ko) 2013-01-17

Family

ID=4539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531A KR101223500B1 (ko) 2010-05-04 2010-10-27 스폿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5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470B1 (ko) * 2006-03-21 2007-02-22 (주)일지테크 너트용 스폿용접장치
KR100687026B1 (ko) * 2006-11-03 2007-02-27 대우공업 (주) 듀얼스폿용접로봇, 듀얼스폿용접로봇을 이용한듀얼스폿용접로봇 시스템 및 듀얼스폿용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470B1 (ko) * 2006-03-21 2007-02-22 (주)일지테크 너트용 스폿용접장치
KR100687026B1 (ko) * 2006-11-03 2007-02-27 대우공업 (주) 듀얼스폿용접로봇, 듀얼스폿용접로봇을 이용한듀얼스폿용접로봇 시스템 및 듀얼스폿용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621A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1507A1 (en) Roof laser brazing system
CN108544161A (zh) 汽车门环定位工装及门环大总成成形工艺
CN105773045A (zh) 一种用于电气箱的焊接工装
KR101230991B1 (ko) 피치 가변형 트윈 스폿 용접장치
KR101331423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CN201960256U (zh) 金属薄板对接自动焊接设备
CN109940326B (zh) 一种激光焊接夹具和激光焊接工作站
CN109702313B (zh) 双凸轮伺服焊接接线器
KR101382867B1 (ko) 용접다이
JP6676648B2 (ja) 保持装置、加工装置及び方法
CN107344278B (zh) 后处理工具
CN108406114B (zh) 一种圆弧t型角接双面焊接方法
KR101331424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KR20140026662A (ko) 용접장치 및 방법
KR101448771B1 (ko) 편 방향 스폿 용접장치
CN109604768B (zh) 铁路车辆车门修复工艺方法
KR101454649B1 (ko) 레이저 용접용 클램핑 장치
KR101223500B1 (ko) 스폿 용접장치
CN210231882U (zh) 一种九折型材机柜柔性焊接系统
JP3661923B2 (ja) マッシュ・シーム溶接装置
KR100838261B1 (ko) 차량의 컨버터의 심용접용 포지셔너
CN105773029A (zh) 一种不锈钢j型材钢铝复合导电轨的自动化焊接工艺
KR101768175B1 (ko) 스폿 용접 장치
CN111975176A (zh) 焊接装置
CN215787656U (zh) 一种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