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430B1 - 엘핀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엘핀형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430B1
KR101223430B1 KR1020110120607A KR20110120607A KR101223430B1 KR 101223430 B1 KR101223430 B1 KR 101223430B1 KR 1020110120607 A KR1020110120607 A KR 1020110120607A KR 20110120607 A KR20110120607 A KR 20110120607A KR 101223430 B1 KR101223430 B1 KR 10122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heat exchanger
fastening
base frame
alignme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
Priority to KR102011012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28F1/3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the means being helically wound fins or wire spir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8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being staggered to form tortuous fluid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F28F9/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by screw-ty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타입(L-type)의 핀(pin)이 감겨지는 냉매관을 직접 고정하여 정렬하는 다수의 정렬브라켓이 구비되고, 정렬브라켓은 베이스프레임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엘핀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엘핀형 열교환기는, 내부에는 냉매가 흐르며,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112)과; 상기 냉매관(112)의 외주면에 감겨지며, 'L'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턴핀(114)과;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과 직접 접하여,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112)이 나란히 정렬되도록 고정하는 정렬브라켓(200)과; 상기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112)의 하측에 구비되어, 타 부품과의 결합을 안내하는 베이스프레임(120)과; 상기 정렬브라켓(20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볼트(3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턴핀튜브(110)의 고정이 견고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엘핀형 열교환기{Heat exchanger of L-pin type}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타입(L-type)의 핀(pin)이 감겨지는 냉매관을 직접 고정하여 정렬하는 다수의 정렬브라켓이 구비되고, 정렬브라켓은 베이스프레임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엘핀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냉장고나 냉동기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에 주로 사용되며,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열교환기에는, 효율적인 열교환을 위하여, 턴핀을 냉매관에 감아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키는데, 이와 같이 턴핀을 냉매관에 나선형으로 감은 열교환기를 '턴핀 열교환기'라고도 부른다.
'등록실용신안 20-0403755'호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턴핀 응축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응축기는, 주름진 스트립을 가지는 턴핀이 구비되고, 이러한 턴핀은 나선형으로 냉매관에 감겨진다. 그리고, 수평고정부재는 냉매관에 감겨진 턴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하의 수평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수직고정부재가 측면에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에는 주름진 스트립이 구비된 턴핀이 사용되므로, 턴핀과 냉매관의 고정이 어렵다. 즉, 턴핀이 냉매관의 외주면에 고정되지 않아 유동이 발생하며, 열교환 면적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에는 수평고정부재가 냉매관을 직접 잡는 것이 아니라, 냉매관 외부의 턴핀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게 되므로, 턴핀튜브의 고정이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에는 상하로 구비되는 수평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수직고정부재를 측면에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재료비가 늘어나고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엘핀(L-pin)타입(Type)의 턴핀이 냉매관에 감겨지고, 냉매관은 정렬브라켓에 직접 고정되는 엘핀형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관을 고정하는 정렬브라켓이 볼트에 의해 바닥의 정렬브라켓에 체결되는 엘핀형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엘핀형 열교환기는,
내부에는 냉매가 흐르며,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의 외주면에 감겨지며, 'L'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턴핀과; 상기 냉매관의 외면과 직접 접하여,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이 나란히 정렬되도록 고정하는 정렬브라켓과; 상기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의 하측에 구비되어, 타 부품과의 결합을 안내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정렬브라켓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정렬브라켓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나사 체결되는 체결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턴핀은, 상기 냉매관에 접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벤딩(bending)되는 연장 형성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밀착부와 방열부는, 2:5의 크기의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브라켓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와, 다수의 냉매관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에는, 다수의 발열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에는, 상기 냉매관의 외면을 좌우에서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단이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等) 간격으로 다수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핀형 열교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에서는, 엘핀(L-pin) 타입(Type)의 턴핀이 구비된다. 따라서, 밀착부와 방열부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턴핀의 면적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에서는, 엘핀(L-pin) 타입(Type)의 턴핀이 구비되어 밀착부가 냉매관의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턴핀의 냉매관에 부착되지 않아 제품이 흐트러지거나 진동으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정렬브라켓이 턴핀을 감싸지 않고, 냉매관을 직접 감싸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따라서, 다수회 절곡되는 냉매관이 서로 정확히 등(等)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유동이 방지되며,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에서는, 최하단의 정렬브라켓만 볼트에 의해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다. 따라서, 측면에 별도의 정렬브라켓이 더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엘핀형 열교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냉매관과 턴핀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렬브라켓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의 사용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정렬브라켓의 체결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렬브라켓에 냉매관이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핀형 열교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엘핀형 열교환기의 상부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00)는, 내부에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112)과, 상기 냉매관(112)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턴핀(114)과,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과 직접 접하여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112)이 나란히 정렬되도록 고정하는 정렬브라켓(200)과, 상기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112)의 하측에 구비되어 타 부품과의 결합을 안내하는 베이스프레임(120)과, 상기 정렬브라켓(20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체결되도록 하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볼트(300)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100)는, 턴핀튜브(110)가 다수 회 감겨진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턴핀튜브(110)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112)와, 냉매관(112)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턴핀(114)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다수 회 감겨진 턴핀튜브(110)를 정렬하기 위해 다수의 정렬브라켓(200)이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베이스프레임(120)이 구비되어 다수 회 감겨진 턴핀튜브(11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정렬브라켓(200)은, 상기 냉매관(112)을 직접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렬브라켓(200)의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냉매관(112)은, 파이프(pipe)로 이루어져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이러한 냉매관(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회 감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100)는 전제적으로는 냉매관(112)이 감겨져 다각형상으로 소정의 체적을 가지게 된다.
상기 턴핀(114)은, 상기 냉매관(112)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감겨져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러한 턴핀(114)을 통해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열된다.
상기 턴핀(114)은, 상기 냉매관(11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감겨지는데, 'L'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냉매관(112)과 턴핀(114)의 상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감겨지는 상기 냉매관(112)은, 상기 정렬브라켓(200)에 의해 고정된다. 즉,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112)이 상기 정렬브라켓(200)에 의해 나란히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렬브라켓(200)은 냉매관(112)의 외면과 직접 접하도록 설치되어 냉매관(112)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정렬브라켓(200)은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112)의 하측에는 베이스프레임(120)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100)의 바닥면에는 베이스프레임(120)이 더 구비되며,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20)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100)가 타 부품과 결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100)가 냉장고 등의 기계실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정렬브라켓(200) 중 일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고정된다. 즉, 상기 다수의 정렬브라켓(200) 중 최 하측의 정렬브라켓(200) 1~2개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고정되며, 이러한 정렬브라켓(200)의 고정을 위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볼트(300)가 사용된다.
도 2에는 상기 냉매관(112)에 턴핀(114)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턴핀(114)은, 'L'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냉매관(112)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밀착된다. 즉, 상기 턴핀(114)은, 상기 냉매관(112)에 접하는 밀착부(114a)와, 상기 밀착부(114a)로부터 벤딩(bending)되는 연장 형성되는 방열부(114b)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턴핀(114)은 상기 냉매관(112)에 밀착되는 밀착부(114a)가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과 동일한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방열부(114b)는 상기 밀착부(114a)로부터 수직으로 벤딩(bending)되어 외측(도 2에서는 상하방향)으로 돌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114a)와 방열부(114b)는, 2:5의 크기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114a)의 좌우 단면길이(X)와, 상기 방열부(114b)의 상하길이(Y)는 약 2:5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냉매관(112)의 두께가 0.4mm일 경우에 상기 밀착부(114a)의 좌우 단면길이(X)는 2mm, 상기 방열부(114b)의 상하길이(Y)는 5m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밀착부(114a) 및 방열부(114b)의 길이 비율은, 냉매관(112)과의 체결과 열교환을 고려하여 정해진 수치이다.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정렬브라켓(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에는 상기 정렬브라켓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A-A'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브라켓(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210)와, 다수의 냉매관(112)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결합판(2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베이스(210)가 정렬브라켓(200)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발열홀(21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발열홀(212)은, 상기 베이스(210)를 통해 공기의 유동과 열 발산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1와 같은 구성으로 가지는 열교환기(100)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므로, 열교환기(100) 내측과 외부와의 열교환이 쉽게 이루어져야 열교환기(100)의 효율이 증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210)에 다수의 발열홀(212)이 관통 형성되면, 이러한 발열홀(212)을 통해 열교환기(100) 내측과 외부의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되므로, 열교환 효율이 보다 증대되는 것이다.
상기 정렬브라켓(2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볼트(300)가 나사 체결되는 체결홀(202)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210)의 중앙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체결홀(20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홀(20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탭)이 형성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볼트(300)의 나사부가 상기 체결홀(202)에 나사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결합판(230)은, 상기 베이스(210)의 전후단으로부터 수직 벤딩(bending)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판(230)에는, 상기 다수의 냉매관(112)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결합판(230)에는,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을 좌우에서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단(232)이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한 쌍의 체결단(232)은 상기 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등(等)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의 간격은,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에 상기 냉매관(112)이 삽입되어 끼워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에는, 상기 냉매관(112)이 수용되는 수용홈(234)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234)의 하면은 상기 냉매관(112)의 외관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의 간격이,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 크기보다 미세하게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매관(112)은,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것이다.
상기 수용홈(234)의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이 서로 내측으로 휘어지기 용이하도록 하는 내측홈(236)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홈(2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내측홈(236)은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에서 갈라진 틈새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이 서로 근접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외측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이 서로 내측으로 휘어지기 용이하도록 하는 외측홈(238)이 더 형성된다. 상기 외측홈(23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측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즉, '⊃','⊂'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측홈(238)은 상기 내측홈(236)과 같이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이 서로 쉽게 근접하도록 잘 휘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상면(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단(232)의 상면(240)이 경사지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의 수용홈(234)으로 상기 냉매관(112)이 삽입되는 경우에, 냉매관(112)이 상기 체결단(232) 상면(24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수용홈(234)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의 사용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100)의 하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20)과 정렬브라켓(200)의 체결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100)에는, 상기 정렬브라켓(20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볼트(30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의 하측으로부터 소정 길이를 가지는 체결볼트(300)가 체결되어, 인접한 상기 정렬브라켓(200)을 고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은, '+'자 형태의 몸체부(122)와, 상기 몸체부(122)의 네 끝단에 형성되는 끝단부(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끝단부(124)는, 상기 몸체부(122)의 네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는, 상기 체결볼트(300)가 삽입되는 삽입홀(126)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의 몸체부(122) 중앙 부분에는 2개의 삽입홀(126)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체결볼트(30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삽입홀(126)을 통과한 다음, 인접한 상기 정렬브라켓(200)의 체결홀(202)에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7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렬브라켓(200)에 냉매관(112)이 끼워져 고정되는 상태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즉, 먼저 엘핀(L-pin) 타입(Type)의 상기 턴핀(114)을 냉매관(112)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은 다음, 상기 정렬브라켓(200)을 이용하여 냉매관(112)을 정렬하게 되는데, 이러한 냉매관(112) 고정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렬브라켓(200)을 턴핀튜브(110)에 근접시키면, 상기 냉매관(112)이 상기 정렬브라켓(200)의 수용홈(234)에 삽입된다. 즉, 도 7의 (a)와 같이 상기 냉매관(112)이 상기 수용홈(234) 내측에 삽입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체결단(232)의 상면(24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냉매관(112)이 상기 수용홈(234)에 용이하게 들어가도록 안내하게 된다.
도 7의 (a)와 같이 상기 수용홈(234)에 냉매관(112)이 삽입된 다음에는, 사용자 또는 압력프레스 등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상단이 서로 겹쳐지도록 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이 휘어져 서로 근접하도록 힘을 가한다. 이렇게 되면, 도 7의 (b)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상단부가 서로 겹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상단부가 서로 겹쳐지게 되면, 상기 수용홈(234)의 상단이 차폐되므로, 상기 수용홈(234)에 삽입된 냉매관(112)의 외부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관(112)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단(232)은 등(等)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냉매관(112)이 나란히 등(等) 간격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턴핀튜브(110)가 다수 회 감겨져 소정의 열교환기(100) 형태를 갖추게 되면, 상기 체결볼트(300)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이 하단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20)과 하측의 정렬브라켓(200)을 상기 체결볼트(300)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되면, 도 1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100)가 완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열교환기 110. 턴핀튜브
112. 냉매관 114. 턴핀
120. 베이스프레임 200. 정렬브라켓
300. 체결볼트

Claims (5)

  1. 내부에는 냉매가 흐르며,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112)과;
    상기 냉매관(112)의 외주면에 감겨지며, 'L'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턴핀(114)과;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과 직접 접하여,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112)이 나란히 정렬되도록 고정하는 정렬브라켓(200)과;
    상기 다수 회 감겨지는 냉매관(112)의 하측에 구비되어, 타 부품과의 결합을 안내하는 베이스프레임(120)과;
    상기 정렬브라켓(20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볼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브라켓(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210)와, 다수의 냉매관(112)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결합판(2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210)에는, 다수의 발열홀(21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230)에는,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을 좌우에서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단(232)이 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等) 간격으로 다수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핀형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는,
    상기 체결볼트(300)가 삽입되는 삽입홀(126)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정렬브라켓(200)에는,
    상기 체결볼트(300)가 나사 체결되는 체결홀(202)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핀형 열교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턴핀(114)은,
    상기 냉매관(112)에 접하는 밀착부(114a)와, 상기 밀착부(114a)로부터 벤딩(bending)되는 연장 형성되는 방열부(114b)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밀착부(114a)와 방열부(114b)는, 2:5의 크기의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핀형 열교환기.
  4. 삭제
  5. 삭제
KR1020110120607A 2011-11-18 2011-11-18 엘핀형 열교환기 KR10122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607A KR101223430B1 (ko) 2011-11-18 2011-11-18 엘핀형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607A KR101223430B1 (ko) 2011-11-18 2011-11-18 엘핀형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430B1 true KR101223430B1 (ko) 2013-02-12

Family

ID=4789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607A KR101223430B1 (ko) 2011-11-18 2011-11-18 엘핀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4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4359A (ja) * 1997-03-31 1998-10-13 Piolax Inc 棒状体の保持具
KR200403755Y1 (ko) 2005-09-05 2005-12-14 주식회사 한국번디 턴핀 응축기
KR20070014222A (ko) * 2007-01-12 2007-01-31 (주)바오텍 알루미늄 파이프로 형성된 열교환기의 지지 브래킷
KR100992698B1 (ko) * 2010-03-30 2010-11-05 주식회사 하나 턴핀 응축기용 정렬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4359A (ja) * 1997-03-31 1998-10-13 Piolax Inc 棒状体の保持具
KR200403755Y1 (ko) 2005-09-05 2005-12-14 주식회사 한국번디 턴핀 응축기
KR20070014222A (ko) * 2007-01-12 2007-01-31 (주)바오텍 알루미늄 파이프로 형성된 열교환기의 지지 브래킷
KR100992698B1 (ko) * 2010-03-30 2010-11-05 주식회사 하나 턴핀 응축기용 정렬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7505C (zh) 螺旋翅片冷凝器
WO2011135981A1 (ja) 熱交換装置
EP2378232A2 (en) Bent micro-channel heat exchanger
KR101223423B1 (ko) 턴핀 응축기의 제조방법
US20040182107A1 (en) Condenser
KR200458909Y1 (ko) 응축기용 브라켓
JP2006329464A (ja) 分離型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20150129250A (ko) 냉장고용 u자형 응축기
KR101223430B1 (ko) 엘핀형 열교환기
CN104534642A (zh) 立式空调器的换热器固定架和立式空调器
WO2016000499A1 (zh) 一种扭层式螺旋翅片冷凝器
WO2018032497A1 (zh) 螺旋翅片式冷凝器
CN104729156A (zh) 换热器组件及空调器
WO2016165629A1 (zh) 一种固定支架扣合旋翅热交换器
EP3726174A1 (en) Finless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CN204574874U (zh) 一体式平头采暖散热器
US20130133867A1 (en) Spiral fin heat exchanger with a new fixed manner
CN104990131A (zh) 便于调整进出水方向的采暖用散热器
KR101252460B1 (ko) 턴핀 응축기
CN213630653U (zh) 一种散热器的管道和翅片的连接结构
KR20120058862A (ko) 열교환기 구조
KR200449953Y1 (ko) 턴핀 응축기
JP2015212587A (ja) 蒸発器
KR102536033B1 (ko) 덕트 조립체
CN216592218U (zh) 一种空气调节设备及其换热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