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953Y1 - 턴핀 응축기 - Google Patents

턴핀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953Y1
KR200449953Y1 KR2020100001238U KR20100001238U KR200449953Y1 KR 200449953 Y1 KR200449953 Y1 KR 200449953Y1 KR 2020100001238 U KR2020100001238 U KR 2020100001238U KR 20100001238 U KR20100001238 U KR 20100001238U KR 200449953 Y1 KR200449953 Y1 KR 200449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urn pin
bent
turn
turn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348U (ko
Inventor
이동하
윤성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번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번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번디
Priority to KR2020100001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95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3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9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고정부재 및 바닥고정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턴핀 튜브를 기계실의 바닥면에 이중으로 고정하여 상기 턴핀 튜브의 안정적으로 지지고정하면서 더욱 개선된 열효관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한 턴핀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는 내부공간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튜브의 외측에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립이 나선형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사행형상으로 1차 벤딩되고, 1차 벤딩된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각이진 코일형상으로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턴핀 튜브가 3바퀴 이상이 되도록 2차 벤딩되는 턴핀 튜브와; 상기 턴핀 튜브가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1차 벤딩 후 상기 턴핀 튜브의 축방향에 직교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고정되는 수평정렬부재와; 상기 수평정렬부재와 연결되며, 하단이 냉동사이클 기계실의 바닥면에 지지고정되는 수직고정부재와; 상기 2차 벤딩 후에 상기 턴핀 튜브의 최외곽에 결합고정된 상기 수평정렬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턴핀 튜브를 냉동사이클 장치가 설치되는 기계실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바닥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고정부재는 상기 턴핀 튜브가 냉동사이클 기계실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정렬부재와 대응되어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굴곡지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 각 단으로부터 직하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부는 상기 체결부에 대하여 평면상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엇갈려 구비된다.

Description

턴핀 응축기{Turn fin type condenser}
본 고안은 턴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기가 설치되는 한정된 설치공간에서 턴핀 튜브를 기계실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되면서 더욱 개선된 열교환 효율을 가지는 턴핀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 냉동 및 공기조화용 기기에는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가진 열에너지를 외부로 방열하기 위하여 응축기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응축기는 냉매가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방열하기 위하여 응축기와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압축기 및 응축기 등의 냉동사이클 장치는 냉장, 냉동 및 공기조화용 기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일례로 냉장고에 적용된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등의 냉동사이클 장치는 냉장고의 기계실에 설치되며, 이때 응축기는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에서 상기 압축기 및 증발기 등과 함께 배치되되, 기계실의 일측 한정된 공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응축기는 통상 내측에 냉매 등의 유체가 순환하는 튜브를 지그재그 타입 등으로 다수 번 벤딩하고, 상기 지그재그 타입으로 벤딩된 열이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의 열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때, 응축기와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벤딩처리된 튜브의 외주면에 와이어를 감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튜브가 지그재그 타입으로 벤딩되어 복열로 형성된 종래의 응축기는 벤딩된 튜브를 냉장고의 기계실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 브래킷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 브래킷은 복수 개의 열로 벤딩된 튜브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하부에 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 바닥면에 상기 벤딩된 튜브를 고정하였으며, 이때 상기 고정 브래킷은 튜브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응축기는 냉매가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방열하기 위하여 응축기와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아울러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실정이다.
더욱이, 현세에 자원의 고갈 등으로 인한 에너지 자원의 절감을 위하여, 응축기가 설치되는 한정된 설치공간에서 더욱 개선된 열교환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응축기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실정 및 요구에 따라, 본 고안은 수직고정부재(400) 및 바닥고정부재(300)가 구비됨으로써 턴핀 튜브(100)를 기계실의 바닥면에 이중으로 고정하여 상기 턴핀 튜브(100)의 안정적인 지지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턴핀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부공간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튜브의 외측에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립이 나선형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사행형상으로 1차 벤딩되고, 1차 벤딩된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각이진 코일형상으로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턴핀 튜브가 3바퀴 이상이 되도록 2차 벤딩되는 턴핀 튜브와; 상기 턴핀 튜브가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1차 벤딩 후 상기 턴핀 튜브의 축방향에 직교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고정되는 수평정렬부재와; 상기 수평정렬부재와 연결되며, 하단이 냉동사이클 기계실의 바닥면에 지지고정되는 수직고정부재와; 상기 2차 벤딩 후에 상기 턴핀 튜브의 최외곽에 결합고정된 상기 수평정렬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턴핀 튜브를 냉동사이클 장치가 설치되는 기계실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바닥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고정부재는 상기 턴핀 튜브가 냉동사이클 기계실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정렬부재와 대응되어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굴곡지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 각 단으로부터 직하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부는 상기 체결부에 대하여 평면상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엇갈려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고정부재의 체결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X'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4방향 단부 측에 상기 체결부 각 단으로부터 직하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턴핀 튜브의 1차 벤딩은 8열 이상으로 벤딩되며, 상기 2차 벤딩은 각이진 코일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턴핀 튜브가 3바퀴 이상이 되도록 벤딩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턴핀 응축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정부가 상호 엇갈려 구비된 바닥고정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턴핀 응축기를 기계실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둘째, 수직고정부재(400) 및 바닥고정부재(300)가 구비됨으로써 턴핀 튜브(100)를 기계실의 바닥면에 이중으로 고정하여 상기 턴핀 튜브(100)의 안정적인 지지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턴핀 튜브가 정방형의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벤딩되어 구비됨으로써 응축기가 설치되는 한정된 설치공간에서 더욱 개선된 열교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넷째, 턴핀 튜브가 사각형의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3바퀴/8열 및 3바퀴/9열 등으로 벤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면서 종래의 응축기에서보다 넓은 전열면적이 구현될 수 있다.
다섯째, 종래의 응축기 보다 짧은 턴핀 튜브로도 넓은 전열면적의 구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턴핀 튜브의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바닥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수직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사각으로 벤딩 전의 턴핀 튜브에 수평정렬부재가 결합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턴핀 튜브의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바닥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턴핀 응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턴핀 튜브의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바닥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수직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사각으로 벤딩 전의 턴핀 튜브에 수평정렬부재가 결합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는 턴핀 튜브(100), 수평정렬부재(200), 바닥고정부재(300) 및 수직고정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턴핀 튜브(100)는 내부공간으로 냉매 등의 유체가 유동하는 튜브(110)와, 상기 튜브(110)를 통과하는 유체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튜브(110)의 외면에 부착되는 턴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턴핀(130)은 상기 튜브(110)와 외부공기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주름진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110)의 외면에 나선 형태로 밀착되어 감긴다.
더욱이, 상기 튜브(110)의 외면에 밀착되어 감기는 턴핀(130)은 상기 튜브(110)의 외면에 밀착되되, 브레이징(brazing) 처리 등에 의해 상기 튜브(110)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턴핀(130)이 상기 튜브(110)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상기 턴핀(130)을 통하여 상기 튜브(110)의 내부공간을 유동하는 유체에 외부공기에 의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턴핀 튜브(100)는 턴핀 튜브(10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사행형상으로 1차 벤딩되고, 이후 정방형의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2차 벤딩된다.
이때, 상기 턴핀 튜브(100)의 길이방향을 정의하자면, 상기 턴핀 튜브(100)가 길게 연장형성된 방향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1차 벤딩은 8열 이상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벤딩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각이진 코일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턴핀 튜브(100)가 3바퀴 이상이 되도록 벤딩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턴핀 응축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의 한정된 설치공간에서 종래의 응축기에서보다 현저히 증대된 열교환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1차 벤딩은 8열 또는 9열로 벤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2차 벤딩은 3바퀴로 벤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벤딩은 8열 또는 9열로 벤딩되고, 상기 2차 벤딩은 3바퀴로 벤딩된 턴핀 응축기가 종래 응축기와 대비하여 열교환 효율이 증대됨은 아래와 같은 열교환 전열 면적의 대비를 통하여 알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응축기는 튜브의 길이가 15,000mm일 경우에 열교환을 위한 전열면적은 0.6841㎡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턴핀 응축기는 턴핀 튜브(10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사행형상으로 8열로 1차 벤딩된 후 정방형의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3바퀴 벤딩된 경우, 턴핀 튜브(100)의 길이가 10,000mm일 경우에 전열면적이 1.3655㎡이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턴핀 응축기는 턴핀 튜브(10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사행형상으로 9열로 1차 벤딩된 후 정방형의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3바퀴 벤딩된 경우, 턴핀 튜브(100)의 길이가 11,000mm일 경우에 전열면적이 1.5335㎡이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3바퀴/8열 및 3바퀴/9열로 턴핀 튜브(100)가 벤딩되어 구비될 경우, 종래의 응축기에서보다 튜브의 길이는 짧으면서도 현저히 넓은 전열면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턴핀 응축기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에서의 한정된 설치공간에서도 종래의 응축기와 달리, 전열면적을 현저히 넓힐 수 있으므로 응축기에서 열교환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턴핀 튜브(100)가 정방형의 3바퀴/8열 이상, 즉 3바퀴/8열 및 3바퀴/9열로 벤딩되어 구비됨으로써 이와 같은 턴핀 튜브(100)가 적용된 응축기는 응축기가 설치되는 한정된 설치공간에서 더욱 개선된 열교환 효율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정렬부재(200)는 상기 턴핀 튜브(100)의 외주 면과 대응되어 'U'자 형의 고정구(2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220)는 정방형의 3바퀴/8열 이상으로 벤딩된 상기 턴핀 튜브(100)에서 복수의 열에 대응되어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턴핀 튜브(100)를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평정렬부재(200)는 상기 턴핀 튜브(100)가 1차 벤딩된 후, 상기 턴핀 튜브(10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다수 개가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턴핀 튜브(100)의 길이방향을 정의하자면, 상기 턴핀 튜브(100)가 길게 연장형성된 방향을 말한다.
한편, 상기 바닥고정부재(300)는 상기 턴핀 튜브(100)가 냉동사이클 장치가 설치되는 기계실 바닥면(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턴핀 튜브(100)가 2차 벤딩 된 후 상기 턴핀 튜브(100) 최외곽에 결합고정된 상기 수평정렬부재(200)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바닥고정부재(300)는 상기 수평정렬부재(200)의 체결홀(미도시)과 대응되어 중앙에 구비된 체결부(310)에 체결홀(315)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들(315)에 결합되는 체결부재(350)에 의해 상기 턴핀 튜브(100)와 결합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고정부재(300)의 체결부(310)는 평면에서 봤을 때 굴곡지게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체결홀(3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고정부재(300)는 중앙에 구비된 상기 체결부(310)의 각 단부 측에 고정부(33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330)에는 고정공(33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체결부(310)의 각 단으로부터 직하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체결부(310)에 대하여 평면상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엇갈려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바닥고정부재(300)가 체결부(310) 및 고정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부(310)는 중앙부에 체결홀(315)이 형성되고 평면에서 봤을 때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체결부(310)의 각 단으로부터 직하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3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홀(315)과 상기 고정부(330)에 형성된 고정공(335)이 평면에서 봤을 때 상하방향으로 상호 엇갈려 구비된다. 따라서, 2차 벤딩이 완료된 상기 턴핀 튜브(100)를 기계실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고정부재(400)는 상기 2차 벤딩된 턴핀 튜브(100)의 상하방향 진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정렬부재(200)들과 결합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공(471)에 체결부재(470)가 체결되어 기계실의 바닥면에 체결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수직고정부재(400)는 상기 수평정렬부재(200)들 중 상기 바닥고정부재(300) 측에 구비된 수평정렬부재(200)들의 고정브래킷(240)에 형성된 고정공(241)들과 대응되어 통공(45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공(241) 및 통공(451)이 상호 대응되어 형성되어 소정의 체결부재(450)에 의해 체결고정되며, 이에 따라 2차 벤딩된 상기 턴핀 튜브(100)를 각이진 코일의 형상이 보이는 정면 및 배면 측에서 각각의 상기 수직고정부재(400)에 의해 기계실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고정부재(400) 및 바닥고정부재(300)가 구비됨으로써 턴핀 튜브(100)를 기계실의 바닥면에 이중으로 고정하여 상기 턴핀 튜브(100)의 안정적인 지지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의 턴핀 튜브(100) 벤딩구조 및 턴핀 응축기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턴핀 응축기의 턴핀 튜브(100) 벤딩구조는 턴핀 튜브(100)가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사행형상으로 1차 벤딩된다.
이때, 상기 1차 벤딩은 8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9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턴핀 응축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에서의 설치공간에 대응되어 복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1차 벤딩된 턴핀 튜브(100)는 제조가 완료된 턴핀 응축기의 설치시 복열로 형성된 턴핀 튜브(100)가 수평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수평정렬부재(200)가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고정된다.
이후, 1차 벤딩된 턴핀 튜브(100)는 정방형의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2차 벤딩된다.
이때, 각이진 코일 타입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턴핀 응축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에서의 설치공간에 대응되어 장방형, 즉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2차 벤딩은 3바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턴핀 응축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에서의 설치공간에 대응되어 복수의 3바퀴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벤딩이 완료된 턴핀 튜브(100)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의 바닥면에 턴핀 응축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턴핀 튜브(100)의 최외곽에 결합고정된 상기 수평정렬부재(200)와 바닥고정부재(300)가 밀착되어 턴핀 응축기를 기계실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바닥고정부재(300)의 체결부(310)에 형성된 체결홀(315)과 상기 수평정렬부재(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공(미도시)을 일치시켜 턴핀 응축기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바닥고정부재(300)의 체결부(310) 양측에 구비된 고정부(330)가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체결부(31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엇갈려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330)에 형성된 고정공(335)에 고정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턴핀 응축기가 안정적으로 기계실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바닥고정부재(300)는 체결부(310) 및 고정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부(310)는 중앙부에 체결홀(315)이 형성되고 평면에서 봤을 때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체결부(310)의 각 단으로부터 직하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3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홀(315)과 상기 고정부(330)에 형성된 고정공(335)이 평면에서 봤을 때 상하방향으로 상호 엇갈려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330)에 형성된 고정공(335)에 고정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턴핀 응축기가 안정적으로 기계실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2차 벤딩된 턴핀 튜브(100)에서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턴핀 튜브(100)의 2차 벤딩된 각 바퀴의 일측에 결합고정된 수평정렬부재(200)들과 대응되어 형성된 결합공(451)에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수직고정부재(40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직고정부재(400)는 상기 수평정렬부재(200)가 결합고정된 턴핀 튜브(100)가 기계실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고정공(47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직고정부재(400)의 고정공(471)에 고정부재(470)가 체결고정되어 상기 턴핀 튜브(100)가 기계실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직고정부재(400)와 함께 바닥고정부재(3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턴핀 튜브(100)를 기계실의 바닥면에 이중으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직고정부재(400)에 의해 상기 턴핀 튜브(100)의 전후방향을 기계실의 바닥면에 고정시키며, 상기 바닥고정부재(300)를 통하여 상기 턴핀 튜브(100)의 좌우방향을 기계실의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턴핀 튜브의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서 바닥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의 턴핀 튜브(100) 벤딩 구조 및 턴핀 응축기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는 턴핀 튜브(100)의 벤딩 구조 및 바닥고정부재(600)에 대하여 일실시예와 차이점이 있으며,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서는 대동소이하게 적용되므로 도 1 내지 7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8 및 9에서 도시되지 않은 도 1 내지 7에서의 수평정렬부재(200)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서도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형성된 턴핀 튜브(100)의 외측에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먼저, 턴핀 응축기의 턴핀 튜브(100) 벤딩구조는 턴핀 튜브(100)가 정방형의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벤딩하기 위한 다수 개의 롤링봉(500)에 의해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외측으로부터 중심방향과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3회 이상 롤링되어 3바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롤링봉(500)에 의한 롤링은 3바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턴핀 응축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에서의 설치공간에 대응되어 복수의 3바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링봉(500)에 의해 3회 이상 롤링된 3바퀴의 상기 턴핀 튜브(100)는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 외측으로부터 중심방향과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교번되어 8열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9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턴핀 응축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에서의 설치공간에 대응되어 복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롤링봉(500)에 의해 상기 턴핀 튜브(100)가 롤링되는 각이진 코일 타입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턴핀 응축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에서의 설치공간에 대응되어 장방형, 즉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복열의 각이진 코일 형상으로 벤딩된 튜브 사이의 간격(D)은 도 8에서 길게 도시되었으나, 도 2에서와 같이 짧은 간격을 가지고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턴핀 튜브(100)의 롤링은 롤링봉(500)에 의한 감는 과정과 롤링봉(500) 외의 벤딩장치(미도시)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벤딩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턴핀 튜브(100)의 벤딩구조는 롤링봉(500) 및 벤딩장치(미도시) 외의 다양한 롤링 및 벤딩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링봉(500)에 의한 롤링이 완료된 턴핀 튜브(100)는 턴핀 튜브(100)의 최외곽에 수평정렬부재(200)가 결합고정됨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여기서, 냉장고 등의 기계실의 바닥면에 턴핀 응축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턴핀 튜브(100)의 최외곽에 결합고정된 상기 수평정렬부재(200)와 바닥고정부재(600)가 밀착되어 턴핀 응축기를 기계실의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상세히, 상기 바닥고정부재(600)의 체결부(610)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홀(615)과 상기 수평정렬부재(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공(미도시)을 일치시켜 턴핀 응축기를 고정시킨다.(도 3 참조)
이때, 상기 바닥고정부재(600)의 체결부(610)는 평면에서 봤을 때, 'X'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610)의 4방향 단부 측에 각각 고정부(6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630)는 상기 체결부(610)의 각 단으로부터 직하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고정부(630)에 형성된 고정공(635)에 고정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턴핀 응축기가 냉장고 등의 기계실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체결부(610)가 'X'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4방향 단부 측에 각각 고정부(630)가 구비됨으로써 턴핀 응축기의 설치시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턴핀 응축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체결부(610)는 'X'자 형상의 4방향 단부 중 상호 대응되는 좌측 및 우측 단부의 거리에 대하여 다양하게 조절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고정부재(400) 및 바닥고정부재(600)가 구비됨으로써 턴핀 튜브(100)를 기계실의 바닥면에 이중으로 고정하여 상기 턴핀 튜브(100)의 안정적인 지지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도 3 참조)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는 롤링봉(500) 및 벤딩장치(미도시)에 의해 벤딩된 턴핀 튜브(100)에서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정렬부재(도 3의 200)와 결합되어 하단부가 기계실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고정부재(미도시)는 일측이 가장 외측의 각이진 코일 타입 바퀴, 즉 중심으로부터 3번째 바퀴 턴핀 튜브(100)에 결합고정된 상기 수평정렬부재(도 3의 200)과 결합되며, 중심으로부터 2번째 바퀴 및 첫번째 바퀴에 대하여서는 2번째 바퀴 및 첫번째 바퀴을 감싸는 별도의 브래킷(미도시)가 구비되어 턴핀 응축기의 수직방향 진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턴핀 응축기는 턴핀 튜브(100)가 정방형의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벤딩되어 구비됨으로써 응축기가 설치되는 한정된 설치공간에서 더욱 개선된 열교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630)가 상호 엇갈려 구비된 바닥고정부재(600)가 구비됨으로써 턴핀 응축기를 기계실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바닥고정부재(600)와 함께 상기 수직고정부재(400)가 구비됨으로써 턴핀 튜브(100)를 기계실의 바닥면에 이중으로 고정하여 상기 턴핀 튜브(100)의 안정적인 지지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에 대하여 설명하며,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핀 응축기와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턴핀 응축기의 턴핀 튜브(100) 벤딩구조는 턴핀 튜브(100)가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사행형상으로 1차 벤딩된다.
이때, 상기 1차 벤딩은 3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턴핀 응축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에서의 설치공간에 대응되어 3열 미만 및 3열 초과의 복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1차 벤딩된 턴핀 튜브(100)는 제조가 완료된 턴핀 응축기의 설치시 복열로 형성된 턴핀 튜브(100)가 수평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수평정렬부재(200, 200')가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고정된다.
이후, 1차 벤딩된 턴핀 튜브(100)는 장방형의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2차 벤딩된다.
이때, 각이진 코일 타입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턴핀 응축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에서의 설치공간에 대응되어 정방형, 즉 정사각형 등의 다양한 각이진 코일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2차 벤딩은 3.5바퀴 또는 4바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턴핀 응축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에서의 설치공간에 대응되어 다양하게 복수의 바퀴 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벤딩이 완료된 턴핀 튜브(100)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의 바닥면에 턴핀 응축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턴핀 튜브(100)의 최외곽에 수평정렬부재(200')가 결합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수평정렬부재(200')는 기계실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고정플레이트(25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정렬부재(200')는 상기 턴핀 튜브(100)의 내측 바퀴 부분에 결합고정되는 수평정렬부재(200)와 마찬가지로 2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바닥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닥고정부재(미도시)는 도 5 및 9를 참조하여 설명한 턴핀 응축기에서와 같은 바닥고정부재(300, 600)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벤딩된 턴핀 튜브(100)에서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턴핀 튜브(100)의 2차 벤딩된 각 바퀴의 일측에 결합고정된 수평정렬부재(200, 200')들에 결합되는 수직고정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직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턴핀 튜브(100)가 기계실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턴핀 튜브 110: 튜브
130: 턴핀 200, 200': 수평정렬부재
300, 600: 바닥고정부재 310, 610: 체결부
315, 615: 체결홀 330, 630: 고정부
335, 635: 고정공 400: 수직고정부재

Claims (3)

  1. 내부공간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튜브의 외측에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립이 나선형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사행형상으로 1차 벤딩되고, 1차 벤딩된 후에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각이진 코일형상으로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3바퀴 이상이 되도록 2차 벤딩되는 턴핀 튜브와; 1차 벤딩된 상기 턴핀 튜브가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턴핀 튜브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고정되는 수평정렬부재와; 상기 수평정렬부재와 연결되며, 하단이 냉동사이클 장치가 설치되는 기계실 바닥면에 지지고정되는 수직고정부재와; 상기 턴핀튜브가 2차 벤딩된 후에 상기 턴핀 튜브의 최외곽에 결합고정된 상기 수평정렬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턴핀 튜브를 상기 기계실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바닥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고정부재에는 상기 턴핀 튜브가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정렬부재와 대응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각 단으로부터 직하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굴곡지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부는 상기 체결부에 대하여 평면상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엇갈려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부재의 체결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X'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4방향 단부 측에 상기 체결부 각 단으로부터 직하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핀 튜브의 1차 벤딩은 8열 이상으로 벤딩되며, 상기 2차 벤딩은 각이진 코일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턴핀 튜브가 3바퀴 이상이 되도록 벤딩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KR2020100001238U 2010-02-03 2010-02-03 턴핀 응축기 KR200449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238U KR200449953Y1 (ko) 2010-02-03 2010-02-03 턴핀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238U KR200449953Y1 (ko) 2010-02-03 2010-02-03 턴핀 응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864A Division KR20100006651A (ko) 2008-07-10 2008-07-10 턴핀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48U KR20100004348U (ko) 2010-04-28
KR200449953Y1 true KR200449953Y1 (ko) 2010-08-25

Family

ID=4419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238U KR200449953Y1 (ko) 2010-02-03 2010-02-03 턴핀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95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755Y1 (ko) 2005-09-05 2005-12-14 주식회사 한국번디 턴핀 응축기
KR20070014222A (ko) * 2007-01-12 2007-01-31 (주)바오텍 알루미늄 파이프로 형성된 열교환기의 지지 브래킷
KR100771453B1 (ko) 2006-08-17 2007-10-30 주식회사 한국번디 턴핀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755Y1 (ko) 2005-09-05 2005-12-14 주식회사 한국번디 턴핀 응축기
KR100771453B1 (ko) 2006-08-17 2007-10-30 주식회사 한국번디 턴핀 열교환기
KR20070014222A (ko) * 2007-01-12 2007-01-31 (주)바오텍 알루미늄 파이프로 형성된 열교환기의 지지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48U (ko)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755Y1 (ko) 턴핀 응축기
JP6017047B2 (ja) 熱交換器、空調機、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EP2392886B1 (en) Orientation insensitive refrigerant distributor tube
EP2594886B1 (en) Heat exchanger
US9657996B2 (en) Flat tube heat exchanger and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the heat exchanger
US9581397B2 (en) Heat exchanger assembly having a distributor tube retainer tab
US20150122470A1 (en) Heat pump heat exchanger having a low pressure drop distribution tube
US20130000347A1 (en) Hybrid heat exchanger
JP2010078287A (ja) 空気調和機
KR101053172B1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WO2018131309A1 (ja) 空気調和機
KR101402674B1 (ko) 냉난방장치의 나선형 응축기
KR200449953Y1 (ko) 턴핀 응축기
US20140151008A1 (en) Heat Exchangers
KR101210570B1 (ko) 열교환기
KR101016696B1 (ko) 턴핀형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51450A (ko)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6651A (ko) 턴핀 응축기
CN108007018B (zh) 蛇形管微通道换热器
JP7145650B2 (ja) 熱交換器
KR20130090108A (ko) 핀형 열교환기와 이것의 제조 방법
CN213901571U (zh) 箱状的管式冷凝器及冰箱
US11346587B2 (en) Refrigeration heat exchangers with embedded fins
JP2003014389A (ja) 熱交換器
KR200309873Y1 (ko) 다중 코일형 턴-핀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