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655B1 - 물 증발식 냉풍기 - Google Patents

물 증발식 냉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655B1
KR101222655B1 KR1020120113156A KR20120113156A KR101222655B1 KR 101222655 B1 KR101222655 B1 KR 101222655B1 KR 1020120113156 A KR1020120113156 A KR 1020120113156A KR 20120113156 A KR20120113156 A KR 20120113156A KR 101222655 B1 KR101222655 B1 KR 10122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bet
outside ai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진
Priority to KR102012011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655B1/ko
Priority to PCT/KR2012/009962 priority patent/WO201405809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using water to enhance cooling, e.g. spraying onto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증발식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물 증발식 냉풍기는 물이 증발하는 증발필터나 습흡패드 등에 의하여 송풍 공기가 저항을 받는 기화구조이나 본 발명의 물 증발식 냉풍기는 기화기 케이스 내부에 확보된 통로를 통해 송풍 공기가 다공질 외피와 여러 개의 다공질 원판 주변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는 기화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물의 증발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기 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의 외기를 여과하도록 외기 파이프에 설치되는 외기 필터와, 상기 외기 필터를 통과한 외기를 송풍하도록 외기 파이프에 설치되는 외기 송풍팬과, 내기 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의 내기를 여과하고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내기 파이프에 설치되는 정화기와, 상기 정화기를 통과한 내기를 송풍하도록 내기 파이프에 설치되는 내기 송풍팬과, 상기 내·외기 파이프가 연결되는 케이스 내부에 다공질 원판과 다공질 외피에 흡수된 물이 외기에 의하여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내기 파이프를 이동하는 내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기화기와, 상기 냉풍기의 본체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물탱크와, 상기 기화기에 연결되는 워터 파이프를 통하여 물탱크의 물을 기화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워터 펌프와, 상기 기화기를 통과한 내기가 배출되는 내기 파이프에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응축수 회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 증발식 냉풍기{WATER EVAPORATIVE AIR COOLER}
본 발명은 물 증발식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화기 케이스 내부에 확보된 통로를 통해 송풍 공기가 다공질 외피와 여러 개의 다공질 원판 주변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는 기화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물의 증발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 증발식 냉풍기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냉방 기구로는 선풍기와 에어컨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풍기는 주변의 더운 공기를 그대로 순환시킬 뿐 시원함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에어컨은 선풍기에 비해 냉방력이 뛰어난 반면 고가이고 작동 시에 많은 전력을 소모하며 장시간 사용할 경우 냉방병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선풍기와 에어컨의 중간 역할을 할 수 있고 유지비용이 저렴한 냉풍기가 제안되었다.
냉풍기는 물과 공기의 온도차와 기화열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평상시 같은 실내온도에서도 물과 공기의 온도차이가 3℃ 내지 5 ℃ 정도 나는 것을 감안한 것으로, 먼저 물을 펌핑하여 특수 부직포인 습흡패드를 적시거나 물을 습흡패드의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한 다음 습흡패드의 수막 사이를 통과하도록 송풍공기를 송풍하면 물의 증발에 의해 냉풍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냉풍기는 물의 기화열 및 물과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일반 에어컨이 컴프레셔에 의해 작동하여 1500 와트 정도의 전류를 소모하는데 비해, 냉풍기는 팬 가동 및 물펌프 가동에 소요되는 60 와트 내지 80 와트 정도만이 소요되므로 절전 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이러한 냉풍기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한 과거의 냉풍기는 얼음이나 냉각제 또는 냉각팩을 물에 넣어 물이 차가워지면 필터가 차가운 물에 젖도록 하고, 차가운 물로 젖어 있는 필터를 공기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냉풍을 송풍하도록 하고 있지만 얼음이나 냉각제 또는 냉각팩이 냉기를 다 소모하게 되면 더 이상 시원한 바람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물 증발식 냉풍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에 젖어 있는 습흡패드를 송풍공기가 통과할 때 발생하는 물의 증발로 형성된 냉기를 송풍하도록 하고 있지만 습흡패드가 송풍 공기의 통과를 방해함에 따라 냉기의 송풍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물 증발식 냉풍기는 송풍 공기가 습흡패드의 방해를 받아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고 완만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의 증발속도 및 물의 증발량 등이 떨어져 냉풍 발생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물 증발식 냉풍기는, 상부에서 분배된 물이 망사 형태의 증발 필터를 적실 때 증발 필터의 유로를 통과하는 송풍 공기에 의하여 물이 증발하도록 한 것으로, 증발 필터에 유로를 형성하여 송풍 공기의 통로를 확보한 점은 있으나 유로가 짧아 물의 증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물 증발식 냉풍기는, 냉풍토출관을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온도와 외부 공기의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이용하여 냉풍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 후 실내에 쾌적한 공기가 송풍되도록 하고 있지만 냉풍토출관을 외부에 노출상태로 설치하고 있어 냉풍의 냉기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0440982호"기화식 냉풍기의 수질 개선용 드레인장치" (2008.07.11. 공고)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0421609호"물 증발식 냉풍기" (2006.07.13. 공고) [특허문헌 3] 등록특허 제0834192호"제습 기능을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2008.05.3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물 증발식 냉풍기는 물이 증발하는 증발필터나 습흡패드 등에 의하여 송풍 공기가 저항을 받는 기화구조이나 본 발명의 물 증발식 냉풍기는 기화기 케이스 내부에 확보된 통로를 통해 송풍 공기가 다공질 외피와 여러 개의 다공질 원판 주변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는 기화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물의 증발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 증발식 냉풍기는, 물을 증발시켜 냉풍이 배출되도록 하는 물 증발식 냉풍기(2)에 있어서, 외기 파이프(P2)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의 외기를 여과하도록 외기 파이프(P2)에 설치되는 외기 필터(22)와, 상기 외기 필터(22)를 통과한 외기를 송풍하도록 외기 파이프(P2)에 설치되는 외기 송풍팬(24)과, 내기 파이프(P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의 내기를 여과하고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내기 파이프(P1)에 설치되는 정화기(12)와, 상기 정화기(12)를 통과한 내기를 송풍하도록 내기 파이프(P1)에 설치되는 내기 송풍팬(14)과,
상기 내·외기 파이프(P1)(P2)가 연결되는 케이스(41) 내부에 다공질 원판(44)과 다공질 외피(46)에 흡수된 물이 외기에 의하여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내기 파이프(P1)를 이동하는 내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기화기(40)와,
상기 냉풍기(2)의 본체(2a)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물탱크(32)와, 상기 기화기(40)에 연결되는 워터 파이프(L1)를 통하여 물탱크(32)의 물을 기화기(4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워터 펌프(34)와,
상기 기화기(40)를 통과한 내기가 배출되는 내기 파이프(P1)에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응축수 회수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기(40)는, 외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기화기 케이스(41)와, 상기 기화기 케이스(41)의 양측에 외기가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외기 파이프(P2)와, 내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기화기 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기 파이프(P1)와, 상기 기화기 케이스(41) 내부에 형성된 내기 파이프(P1)에 물의 흡수 및 증발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기화부(47)와, 상기 기화부(47)에 물을 분무할 수 있도록 분무노즐(42)이 설치되는 분무 파이프(L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기 케이스(41)에는, 외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내기 파이프(P1)의 주변에 빠른 유속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원뿔체(48)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부(47)에는, 내기 파이프(P1)의 외주면을 감아 형성되는 다공질 외피(46)와, 상기 다공질 외피(46)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다공질 원판(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 파이프(LS)는, 워터 파이프(L1)의 일단에 분기되어 형성되는 분기부(36)와, 상기 분기부(36)에서 분기된 후 다시 하나로 연결되는 분무관(38)과, 물을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관(38)에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분무노즐(4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회수기(50)는, 물탱크(32)에 회수 파이프(L2)로 연결되고 내기가 배출되는 내기 파이프(P1)에 형성되는 회수 케이스(53)와, 상기 회수 케이스(53)의 내부에 내기는 통과시키고 내기에 포함된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수망(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기 파이프에 다공질로 형성된 외피와 원판을 구비한 기화기를 설치함으로써, 기화기 케이스를 이동하는 외기에 의하여 물의 증발 속도를 향상시켜 냉풍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기 파이프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내기에 포함된 응축수를 응축수 회수기를 통해 회수함으로써 실내 습도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로 습흡패드를 설치한 물 증발식 냉풍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기술로 증발필터를 설치한 물 증발식 냉풍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기술로 습흡패드 및 냉풍토출관을 설치한 물 증발식 냉풍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 증발식 냉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물 증발식 냉풍기에 구비되는 기화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기화기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분무 파이프 및 기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응축수 회수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 증발식 냉풍기(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파이프(P2)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의 외기를 여과하도록 외기 파이프(P2)에 설치되는 외기 필터(22)와, 상기 외기 필터(22)를 통과한 외기를 송풍하도록 외기 파이프(P2)에 설치되는 외기 송풍팬(24)과, 내기 파이프(P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의 내기를 여과하고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내기 파이프(P1)에 설치되는 정화기(12)와, 상기 정화기(12)를 통과한 내기를 송풍하도록 내기 파이프(P1)에 설치되는 내기 송풍팬(14)과, 상기 내·외기 파이프(P1)(P2)가 연결되는 케이스(41) 내부에 다공질 원판(44)과 다공질 외피(46)에 흡수된 물이 외기에 의하여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내기 파이프(P1)를 이동하는 내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기화기(40)와, 상기 냉풍기(2)의 본체(2a)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물탱크(32)와, 상기 기화기(40)에 연결되는 워터 파이프(L1)를 통하여 물탱크(32)의 물을 기화기(4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워터 펌프(34)와, 상기 기화기(40)를 통과한 내기가 배출되는 내기 파이프(P1)에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응축수 회수기(50)를 포함한다.
상기 외기 필터(22)는 냉풍기(2)의 본체(2a)에 연결된 외기 파이프(P2)에 설치된다. 외기 필터(22)는 외기 송풍팬(24)의 작동으로 외기 파이프(P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여과하게 된다.
상기 외기 송풍팬(24)은, 외기 필터(22)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송풍하여 기화기 케이스(41)를 통과할 수 있도록 외기 필터(22)와 기화기(40) 사이의 외기 파이프(P2)에 설치된다.
외기 송풍팬(24)은 냉풍기(2)에 설치된 전원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조작 시 작동하게 된다. 외기 송풍팬(24)은 외기 파이프(P2)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외기를 기화기 케이스(41)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기(12)는 내기를 여과하고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공지된 필터(도시하지 않음)와 UV램프(도시하지 않음)등이 구비된 것으로 내기 파이프(P1)에 설치된다. 정화기(12)는 내기 송풍팬(14)의 작동으로 내기 파이프(P1)를 통해 유입되는 내기를 필터로 여과하고 여과된 내기를 다시 UV램프가 살균함으로써 내기를 정화하게 된다.
상기 내기 송풍팬(14)은, 정화기(12)를 통과한 내기를 송풍하여 기화기 케이스(41)를 통과하도록 정화기(12)와 기화기(40) 사이의 내기 파이프(P1)에 설치된다. 내기 송풍팬(14)은 내기가 내기 파이프(P1)를 따라 유입되도록 하고 내기 파이프(P1)를 통해 실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내기 송풍팬(14)은 냉풍기에 설치된 전원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조작 시 외기 송풍팬(24)과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상기한 기화기(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확장 형성된 기화기 케이스(41)와, 상기 기화기 케이스(41)의 양측에 실외 공기가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외기 파이프(P2)와, 상기 기화기 케이스(41)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내기 파이프(P1)와, 상기 기화기 케이스(41) 내부에 형성된 내기 파이프(P1)에 물의 흡수 및 증발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기화부(47)와, 상기 내기 파이프(P1)와 나란히 설치되고 기화부(47)에 물을 분무할 수 있도록 분무노즐(42)이 설치되는 분무 파이프(LS)를 포함한다.
또한, 기화기 케이스(41)에는 외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원뿔체(48)가 설치되어 있다. 원뿔체(48)는, 외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내기 파이프(P1)의 주변에 빠른 유속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기화부(47)에는, 내기 파이프(P1)의 외주면을 감아 형성되는 다공질 외피(46)와, 상기 다공질 외피(46)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다공질 원판(44)이 형성된다.
상기 다공질 원판(44) 및 다공질 외피(46)는, 물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외기의 빠른 유속에 의하여 부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증발속도와 증발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기화기(40)는, 외기의 유속에 의한 부압이 다공질 원판(44) 및 다공질 외피(46)에 형성될 때 베르누이의 원리(Bernoulli's principle)가 작용하게 된다. 즉, 유속이 빨라지면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동압이 증가하고 동압이 증가한 만큼 정압이 낮아지는 베르누이의 원리를 기화기에 적용한 것이다.
즉, 다공질 원판(44) 및 다공질 외피(46)는, 전열면적을 넓히는 것은 물론 베르누이 원리로 형성되는 부압의 유지와 전달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물탱크(32)에는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본체(2a)에 물 보충관(31)이 설치되고, 기화기(4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워터 파이프(L1)가 연결되어 있으며, 응축수 회수기(50)에서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회수 파이프(L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워터 펌프(34)는, 물을 기화기(4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32)에 연결된 워터 파이프(L1)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분무 파이프(LS)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 파이프(L1)의 일단에 분기되어 형성되는 분기부(36)와, 내기 파이프(P1)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분기부(36)에서 분기된 후 다시 하나로 연결되는 분무관(38)과, 물을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관(38)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여러 개의 분무노즐(42)을 포함한다.
상기 분무관(38)에는, 물이 분무되기 전까지 물의 증발에 의한 냉기의 영향을 차단하여 물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보온재(43)가 감겨져 있다. 보온재(43)는 분무관(38)을 이동하는 물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증발이 향상되도록 한다.
그리고 분무노즐(42)은, 냉기에 의하여 물의 온도가 내려가지 않도록 물을 안개 형태로 소량 분무하게 된다. 분무노즐(42)에 의한 물의 소량 분무로 물의 증발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 회수기(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기가 배출되는 내기 파이프(P1)에 확장 형성되는 회수 케이스(53)와, 상기 회수 케이스(53) 내부에 내기는 통과시키고 내기에 포함된 미립자형 응축수는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수망(52)을 포함한다. 그리고 응축수 회수기(50)는 회수 케이스(53)에 연결된 회수 파이프(L2)에 의하여 물탱크(32)와 연결된다.
상기 회수 케이스(53)는, 회수망(52)에 부딪친 응축수가 낙하할 수 있도록 내기 파이프(P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회수 케이스(53)에 모인 응축수는 회수 파이프(L2)가 연결된 배수구(54)를 통해 물탱크(32)에 저장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냉풍기(2)의 내·외기 송풍팬(14)(24), 정화기(12), 워터 펌프(34)들이 작동하도록 전원을 냉풍기(2)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냉풍기(2)의 기화기(40)에는 내·외기 송풍팬(14)(24)의 작동으로 내·외기 파이프(P1)(P2)를 통해 내·외기가 유입된다.
내·외기 파이프(P1)(P2)를 통해 유입되는 내·외기 중 내기는 내기 파이프(P1)를 따라 기화기 케이스(41) 내부를 이동한 후 실내에 배출되고, 외기는 기화기 케이스(41)에 공급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내·외기 송풍팬(14)(24)의 작동으로 내·외기 파이프(P1)(P2) 안으로 유입되는 내·외기 중 내기는 정화기(12)에서 필터에 의하여 여과되고 UV램프 등의 살균기에 의하여 살균된 후 내기 파이프(P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외기는 외기 필터(22)에 의하여 여과된 후 기화기 케이스(41)에 공급되고 원뿔체(48)에 의하여 유도됨으로써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외기는 기화기 케이스(41)와 외기 파이프(P2)를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된다.
이때, 물탱크(32)에 저장된 물은 워터 펌프(34)의 작동으로 워터 파이프(L1)를 통해 분기부(36)까지 공급된다. 물은 워터 파이프(L1)의 분기부(36)에서 양측으로 균일하게 분배된 후 기화기 케이스(41) 내부에 설치된 분무 파이프(LS)를 통해 분무된다.
분무 파이프(LS)에 설치된 여러 개의 분무노즐(42)은 물을 안개처럼 분무하게 된다. 분무되는 물은 기화기 케이스(41)를 통과하는 내기 파이프(P1)의 기화부(47)를 형성하는 다공질 원판(44)과 다공질 외피(46)에 흡수된다.
이에 따라 다공질 원판(44)과 다공질 외피(46)에 의하여 덮여 있는 내기 파이프(P1)는 항상 물에 젖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내기 파이프(P1)가 젖어 있도록 하는 다공질 원판(44)과 다공질 외피(46)는 기화기 케이스(41)를 일정한 유속으로 통과하는 외기에 의하여 부압을 받게 된다.
외기의 빠른 유속에 의하여 부압을 받은 물은 다공질 원판(44)과 다공질 외피(46)에서 증발하게 된다.
즉, 외기의 유속에 의한 부압이 다공질 원판(44) 및 다공질 외피(46)에 형성될 때 베르누이의 원리(Bernoulli's principle)가 작용하게 된다. 즉, 유속이 빨라지면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동압이 증가하고 동압이 증가한 만큼 정압이 낮아지는 베르누이의 원리를 기화기에 적용한 것이다.
그리고 다공질 원판(44) 및 다공질 외피(46)는, 전열면적을 넓히는 것은 물론 베르누이 원리로 형성되는 부압의 유지와 전달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다공질 원판(44)과 다공질 외피(46)에 흡수되어 있던 물이 증발하면서 차가워진 내기 파이프(P1)는 내부를 이동하는 내기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에 따라 내기 파이프(P1)를 통과하면서 다공질 원판(44)과 다공질 외피(46)에 흡수되어 있던 물의 증발로 온도가 낮아진 내기는 응축수 회수기(5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내기 중에 포함된 응축수는 회수 케이스(53) 내부의 회수망(52)에 부딪쳐 물방울을 맺게 되면서 낙하한다.
회수망(52)에 맺힌 응축수가 낙하하면 응축수는 배수구(54)를 통해 배출된 후 회수 파이프(L2)에 의하여 물탱크(32)에 저장된다.
상기 응축수 회수기(50)를 통과한 내기는 습기가 제거된 상태로 실내에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 습도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2: 냉풍기 12: 정화기
14: 내기 송풍팬 22: 외기 필터
24: 외기 송풍팬 31: 물 보충관
32: 물탱크 34: 워터 펌프
36: 분기부 38: 분무관
40: 기화기 41: 기화기 케이스
42: 분무노즐 43: 보온재
44: 다공질 원판 46: 다공질 외피
47: 기화부 48: 원뿔체
50: 응축수 회수기 52: 회수망
53: 회수 케이스 54: 배수구
P1: 내기 파이프 P2: 외기 파이프
LS: 분무 파이프 L1: 워터 파이프
L2: 회수파이프

Claims (6)

  1. 물을 증발시켜 냉풍이 배출되도록 하는 물 증발식 냉풍기(2)에 있어서,
    외기 파이프(P2)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의 외기를 여과하도록 외기 파이프(P2)에 설치되는 외기 필터(22)와,
    상기 외기 필터(22)를 통과한 외기를 송풍하도록 외기 파이프(P2)에 설치되는 외기 송풍팬(24)과,
    내기 파이프(P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의 내기를 여과하고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내기 파이프(P1)에 설치되는 정화기(12)와,
    상기 정화기(12)를 통과한 내기를 송풍하도록 내기 파이프(P1)에 설치되는 내기 송풍팬(14)과,
    상기 내·외기 파이프(P1)(P2)가 연결되는 케이스(41) 내부에 다공질 원판(44)과 다공질 외피(46)에 흡수된 물이 외기에 의하여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내기 파이프(P1)를 이동하는 내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기화기(40)와,
    상기 냉풍기(2)의 본체(2a)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물탱크(32)와,
    상기 기화기(40)에 연결되는 워터 파이프(L1)를 통하여 물탱크(32)의 물을 기화기(4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워터 펌프(34)와,
    상기 기화기(40)를 통과한 내기가 배출되는 내기 파이프(P1)에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응축수 회수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증발식 냉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40)는,
    외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기화기 케이스(41)와, 상기 기화기 케이스(41)의 양측에 외기가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외기 파이프(P2)와, 내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기화기 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기 파이프(P1)와, 상기 기화기 케이스(41) 내부에 형성된 내기 파이프(P1)에 물의 흡수 및 증발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기화부(47)와, 상기 기화부(47)에 물을 분무할 수 있도록 분무노즐(42)이 설치되는 분무 파이프(L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증발식 냉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 케이스(41)에는,
    외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내기 파이프(P1)의 주변에 빠른 유속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원뿔체(48)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증발식 냉풍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부(47)에는,
    내기 파이프(P1)의 외주면을 감아 형성되는 다공질 외피(46)와, 상기 다공질 외피(46)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다공질 원판(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증발식 냉풍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파이프(LS)는,
    워터 파이프(L1)의 일단에 분기되어 형성되는 분기부(36)와, 상기 분기부(36)에서 분기된 후 다시 하나로 연결되는 분무관(38)과, 물을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관(38)에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분무노즐(4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증발식 냉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회수기(50)는,
    물탱크(32)에 회수 파이프(L2)로 연결되고 내기가 배출되는 내기 파이프(P1)에 형성되는 회수 케이스(53)와, 상기 회수 케이스(53)의 내부에 내기는 통과시키고 내기에 포함된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수망(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증발식 냉풍기.


















KR1020120113156A 2012-10-11 2012-10-11 물 증발식 냉풍기 KR101222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156A KR101222655B1 (ko) 2012-10-11 2012-10-11 물 증발식 냉풍기
PCT/KR2012/009962 WO2014058099A1 (ko) 2012-10-11 2012-11-23 물 증발식 냉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156A KR101222655B1 (ko) 2012-10-11 2012-10-11 물 증발식 냉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655B1 true KR101222655B1 (ko) 2013-01-16

Family

ID=4784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156A KR101222655B1 (ko) 2012-10-11 2012-10-11 물 증발식 냉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2655B1 (ko)
WO (1) WO201405809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625B1 (ko) * 2013-05-02 2013-09-25 송준경 물 증발식 냉방장치
CN104848514A (zh) * 2015-04-10 2015-08-19 涂前文 高效可调式集水器
KR101649329B1 (ko) 2016-06-23 2016-08-18 대양기전 주식회사 제빙기를 이용한 냉풍기
CN111237859A (zh) * 2020-01-16 2020-06-05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KR20200068852A (ko) 2018-12-06 2020-06-16 이제관 냉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6750B (zh) * 2022-03-22 2023-02-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塔式冷风扇的控制方法、装置和塔式冷风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735A (ko) * 2001-01-17 2002-07-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생형 증발식 냉방기
KR20070051440A (ko) * 2005-11-15 2007-05-18 박영우 냉풍기
KR20080000025U (ko) * 2007-10-19 2008-01-07 김동식 냉풍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916B1 (ko) * 2003-03-18 2005-07-18 주식회사 오성사 냉풍기
KR200426889Y1 (ko) * 2006-04-19 2006-09-20 주식회사 맑은전자 냉풍기
KR200440982Y1 (ko) * 2007-04-26 2008-07-11 이성수 기화식 냉풍기의 수질개선용 드레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735A (ko) * 2001-01-17 2002-07-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생형 증발식 냉방기
KR20070051440A (ko) * 2005-11-15 2007-05-18 박영우 냉풍기
KR20080000025U (ko) * 2007-10-19 2008-01-07 김동식 냉풍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625B1 (ko) * 2013-05-02 2013-09-25 송준경 물 증발식 냉방장치
CN104848514A (zh) * 2015-04-10 2015-08-19 涂前文 高效可调式集水器
KR101649329B1 (ko) 2016-06-23 2016-08-18 대양기전 주식회사 제빙기를 이용한 냉풍기
KR20200068852A (ko) 2018-12-06 2020-06-16 이제관 냉풍기
CN111237859A (zh) * 2020-01-16 2020-06-05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8099A1 (ko)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655B1 (ko) 물 증발식 냉풍기
CN103344013B (zh) 移动空调系统
CN102650503B (zh) 蒸发式冷凝及冷却装置
US20200263884A1 (en) Air purifier based on principle of vapor condensation and adsorption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same
WO2015158186A1 (zh) 一种复合结构湿膜表冷器
JP2009529124A (ja) 温室空気の除湿用装置と方法及び温度
CN201740319U (zh) 一种蒸发式冷凝器
JP2011075140A (ja) ドレン水排出抑制機能を備えた空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JP2010255992A (ja) 熱交換器および加湿器
CN203148265U (zh) 蒸发式冷凝及冷却装置
KR101840588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KR20150069873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KR100874886B1 (ko) 크린룸내 직접분무식 기화가습장치 및 습도제어방법
US8517355B2 (en) Evaporative cooling tower and method
JP5829847B2 (ja) 室外機冷却装置
CN109798624A (zh) 间接蒸发内冷型热泵式溶液新风除湿装置
CN112393331B (zh) 一种窗式空调
JP2006118797A (ja) 空調システム
JP3976125B2 (ja) 冷却塔における蒸発水回収装置とこの回収装置を備える冷却塔
JP6197008B2 (ja) 空気調和機の換気予冷装置
KR20150121829A (ko) 백연 발생 방지 냉각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백연 발생 방지 방법
KR101309625B1 (ko) 물 증발식 냉방장치
CN203615563U (zh) 全新风一体化空调冷凝水潜热回收系统
CN206531209U (zh) 回流式蒸发冷却冷水机组
JP2008256255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