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852A - 냉풍기 - Google Patents

냉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852A
KR20200068852A KR1020180155694A KR20180155694A KR20200068852A KR 20200068852 A KR20200068852 A KR 20200068852A KR 1020180155694 A KR1020180155694 A KR 1020180155694A KR 20180155694 A KR20180155694 A KR 20180155694A KR 20200068852 A KR20200068852 A KR 20200068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frigerant
air
fa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관
Original Assignee
이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관 filed Critical 이제관
Priority to KR1020180155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8852A/ko
Publication of KR2020006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서 기온이 높은 여름철 사용하는 냉풍기에 관한 기술로서, 송풍팬을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냉매(얼음/냉수)에 효과적으로 접촉되어 냉각 효율을 높이고, 장소에 따라 냉풍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한편 냉매통을 본체에서 쉽게 분리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냉풍기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본체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통;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착 설치되며, 냉풍을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덕트;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냉풍기 {Cooling Fan Apparatus}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서 기온이 높은 여름철 사용하는 냉풍기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풍팬을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냉매(얼음/냉수)에 효과적으로 접촉되어 냉각 효율을 높이고, 송풍덕트를 이용하여 냉풍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한편 냉매통을 본체에서 쉽게 분리하여 내부에 냉매를 채워 넣거나 또는 냉매통을 냉각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냉풍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냉풍기는 에어컨에 비해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고, 전력 소모가 적은 이점으로 인해 근래 들어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냉풍기는 얼음팩이나 얼음 등의 냉매를 이용하여 냉풍을 만들거나, 또는 열전소자(TEM)를 이용하여 냉풍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냉풍기는 시원한 바람을 효과적으로 송풍하기 위해서 내부에 얼음이나 차가운 물이 수용되야 한다. 하지만, 더운 여름철의 경우 얼음이 급속하게 녹고, 물의 온도도 빨리 상승하기 때문에 오랜시간 작동시 처음과는 달리 냉방 효과가 많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냉각된 물을 이용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풍기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0877호(냉풍기)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송풍구가 후면 케이스 및 전면 케이스에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워터 탱크; 상기 워터 탱크에 저장된 물을 펌프 동작에 따라 공급받는 냉각 수조부; 상기 냉각 수조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기; 상기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물을 제1배수배관을 통해 워터 필터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자식 밸브; 상기 냉각 수조부로 정해진 물의 양만 공급되도록 하고, 그 냉각 수조부에 저장된 물이 냉각된 후 상기 워터 필터로 공급되도록 펌프 및 전자식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워터 탱크에 구비된 펌프가 일정시간 동안만 구동하여 물을 냉각 수조부로 공급함으로써, 냉각 수조부는 저장된 물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고, 또한 이렇게 냉각된 물은 제어부가 전자식 밸브를 제어하여 소정 시간동안 워터 필터로 공급하기 때문에 그만큼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 차가운 냉수와 얼음을 이용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풍기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040호(냉풍기)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본체의 내부는 다수 층으로 구획되고, 공기가 팬에 의해 본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다수 층을 지난 후 토출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분사되는 냉수에 의해 냉각되고, 토출되기 이전에 공기는 분사되는 얼음수에 의해 냉각되며, 상기 냉수와 얼음수는 섞이지 않는 상태로 순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흡입된 고온의 외기를 차가운 냉수로 1차 냉각하고, 1차 냉각된 공기를 얼음수로 2차 냉각하여 고온의 외기를 단계적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얼음의 소모량을 절감하여 장시간 동안 가동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팬을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와 냉매(얼음/냉수)가 효과적으로 접촉되지 못하여 냉각 효율이 저하되고, 또한 장소에 따라 냉풍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으며, 특히 내부에 냉매(얼음/냉수)를 넣거나, 또는 냉매를 냉각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팬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펌프로 냉수를 분사하여 외부공기를 냉각하는 방법으로서, 구성품의 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0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26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33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187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0877호.
본 발명은 종래 냉풍기의 선행기술에서 외부공기의 냉각 효율이 떨어지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원통 형태로 본체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송풍팬이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해 송풍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냉매(얼음/냉수)가 수용되는 냉매통이 설치되는 한편 본체의 측면에 송풍덕트가 설치되어 냉풍을 송풍하도록 구성된 냉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공기와 냉매(얼음/냉수)가 효과적으로 접촉되어 냉각 효율을 높이고, 장소에 따라 냉풍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한편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통을 본체에서 쉽게 분리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냉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본체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통;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착 설치되며, 냉풍을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덕트;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냉매통은 본체의 하부에 납작한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 공간에 냉매가 담겨 수용되며, 한쪽 측면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배수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송풍덕트는 길이의 일부분을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풍팬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내통의 내부 공간으로 송풍되면서 냉매와 효과적으로 접촉되어 냉각 효율을 높이고, 또한 설치장소에 따라 송풍덕트를 이용하여 냉풍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풍팬을 구비한 본체와 냉매통 및 송풍덕트로 구성됨에 따라 냉풍기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통을 본체에서 쉽게 분리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 2는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냉매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팬(2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냉매(30a)가 수용되는 냉매통(30); 및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부착 설치되며, 냉풍을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덕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본체(1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하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그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가볍고 내식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본체(10)는 내부 공간에 직경이 작은 내통(11)이 배치되고, 상기 내통(11)은 상하 개방된 원통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내측면과 내통(11)의 외측면 사이에 상하로 송풍로(12)가 구성된다.
상기에서 본체(10)의 상부와 내통(11)의 상부는 상호 연결되어 밀폐되고, 또한 본체(10)의 하부와 내통(11)의 하부는 개방되며, 상기 내통(11)의 하단부는 본체(10)의 하단부 보다 높게 위치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송풍팬(20)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본체(10) 내부로 송풍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송풍팬(20)은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 둘레에 망체(21)가 형성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상기에서 송풍팬(20)은 본체(10)에서 내통(11)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전원이 인가되어 송풍팬(20)이 구동하면, 망체(21)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내통(11)의 내부 공간으로 송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냉매통(30)은 얼음이나 또는 냉수로 이루어진 냉매(30a)가 수용되는 기능으로서, 상기 냉매통(30)은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 납작한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가능한 본체(10)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냉매통(30)은 본체(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 얼음이나 또는 냉수로 이루어진 냉매(30a)가 담겨 수용되고, 한쪽 측면부에 손잡이(32)가 구비된 배수밸브(31)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배수밸브(31)는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냉매통(30)의 내부 공간에서 얼음이 녹은 물이나 또는 외부공기를 통해 데워진 물을 손잡이(32)로 개폐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냉풍기의 사용이 용이하다.
한편 냉매통(30)이 본체(10) 보다 직경이 큰 납작한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냉매(30a)가 담겨 수용됨으로써, 본체(10)가 실내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여 한쪽으로 기울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송풍덕트(40)는 본체(10) 내부에서 차가워진 냉풍을 외부로 송풍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송풍덕트(4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체(10)의 상부 외측면에 부착 설치되며, 원통이나 또는 사각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송풍덕트(40)는 냉풍기가 배치되는 장소나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길이의 일부분을 주름관(41)으로 형성하여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거나, 또는 길이의 전체를 주름관(41)으로 형성하여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본체(10)와 냉매통(30)이 분할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하부 둘레에 플랜지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냉매통(30)의 상단부(33)가 플랜지부(13)의 내측에 끼워져 조립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10)와 냉매통(30)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고, 냉매통(30)의 내부에 얼음이나 또는 냉수로 이루어진 냉매(30a)를 간편하게 넣을 수 있으며, 또한 냉매통(30)의 내부에 물을 담고, 개방된 상부에 커버(34)를 씌워 체결한 다음, 냉매통(30)을 냉동실에 넣어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냉매통(30)의 내부에 얼음이나 또는 냉수로 이루어진 냉매(30a)를 넣고, 송풍팬(20)을 작동시키면 도면에서 도 4와 같이,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내통(11)의 내부 공간으로 송풍되면서 냉매통(30) 안에 수용된 냉매(30a)와 접촉하여 냉각된다.
상기에서 냉매(30a)와 접촉하여 차가워진 냉풍은 본체(10)의 내측면과 내통(11)의 외측면 사이에 구성된 송풍로(12)를 통해 본체(1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송풍덕트(40)를 통해 외부로 송풍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풍팬을 구비한 본체와 냉매통 및 송풍덕트로 구성됨에 따라 냉풍기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통을 본체에서 쉽게 분리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풍팬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내통의 내부 공간으로 송풍되면서 냉매와 효과적으로 접촉되어 냉각 효율을 높이고, 또한 설치장소에 따라 송풍덕트를 이용하여 냉풍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본체 11: 내통
12: 송풍로 20: 송풍팬
21: 망체 30: 냉매통
30a: 냉매 31: 배수밸브
34: 커버 40: 송풍덕트
41: 주름관

Claims (3)

  1.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팬(2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냉매(30a)가 수용되는 냉매통(30); 및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부착 설치되며, 냉풍을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덕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냉매통(30)은,
    본체(10)의 하부에 납작한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 공간에 냉매(30a)가 담겨 수용되며, 한쪽 측면부에 손잡이(32)가 구비된 배수밸브(3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송풍덕트(40)는,
    길이의 일부분을 주름관(41)으로 형성하여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KR1020180155694A 2018-12-06 2018-12-06 냉풍기 KR20200068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694A KR20200068852A (ko) 2018-12-06 2018-12-06 냉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694A KR20200068852A (ko) 2018-12-06 2018-12-06 냉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852A true KR20200068852A (ko) 2020-06-16

Family

ID=7114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694A KR20200068852A (ko) 2018-12-06 2018-12-06 냉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88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3600A (zh) * 2020-08-24 2021-10-15 金美善 提高空气冷却效率的冷风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40B1 (ko) 2008-10-20 2009-12-08 임기복 냉풍기
KR101222655B1 (ko) 2012-10-11 2013-01-16 주식회사 인진 물 증발식 냉풍기
KR101743345B1 (ko) 2014-03-26 2017-06-05 윤창식 냉풍기
KR101841873B1 (ko) 2017-02-17 2018-05-04 윤창식 냉풍기
KR20180120877A (ko) 2017-04-28 2018-11-07 (주)비케이더블유 냉풍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40B1 (ko) 2008-10-20 2009-12-08 임기복 냉풍기
KR101222655B1 (ko) 2012-10-11 2013-01-16 주식회사 인진 물 증발식 냉풍기
KR101743345B1 (ko) 2014-03-26 2017-06-05 윤창식 냉풍기
KR101841873B1 (ko) 2017-02-17 2018-05-04 윤창식 냉풍기
KR20180120877A (ko) 2017-04-28 2018-11-07 (주)비케이더블유 냉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3600A (zh) * 2020-08-24 2021-10-15 金美善 提高空气冷却效率的冷风机
CN113503600B (zh) * 2020-08-24 2022-10-11 金美善 提高空气冷却效率的冷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21803A (ja) 冷蔵庫
KR100731510B1 (ko) 축수열식 냉온풍기
KR20200068852A (ko) 냉풍기
CN203704152U (zh) 可吹出水蒸气加湿式空调
KR101634505B1 (ko) 쌀 냉장고
KR101389619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310118B1 (ko) 공기조화기
KR20110094402A (ko) 곡물 냉장고
KR20160071544A (ko)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JP2019219112A (ja) 冷蔵庫
JP2011163610A (ja) 保冷米びつ装置
JP2000186877A (ja) ワイン貯蔵庫
KR20160001253U (ko) 선풍기용 냉각장치
KR20050052739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12869422B (zh) 一种恒温恒湿酒柜的控制方法及恒温恒湿酒柜
KR200486322Y1 (ko) 선풍기를 이용한 시원한 바람 발생장치
EP1580503A1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 carbonator of a refrigerator
KR200195603Y1 (ko) 이동형 저온/냉동 창고
KR0119893Y1 (ko) 냉장고의 가습장치
KR20090099332A (ko) 액체질소를 이용한 냉각장치
KR200218556Y1 (ko) 냉동실을 이용한 냉기 발생장치
KR200218554Y1 (ko) 냉동실을 이용한 냉기 발생장치
KR200256497Y1 (ko) 김치저장고의 송풍용 모터 지지브라켓트
KR200257095Y1 (ko) 김치저장고용 김치통
KR100304856B1 (ko) 실내분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