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820B1 -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820B1
KR102538820B1 KR1020210127615A KR20210127615A KR102538820B1 KR 102538820 B1 KR102538820 B1 KR 102538820B1 KR 1020210127615 A KR1020210127615 A KR 1020210127615A KR 20210127615 A KR20210127615 A KR 20210127615A KR 102538820 B1 KR102538820 B1 KR 10253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vaporator
space
dew poi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701A (ko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주)대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기연 filed Critical (주)대성기연
Priority to KR102021012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8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와 습도를 사전설정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탱크, 증발기를 거치는 냉매사이클을 가지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로써,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공간과 하단공간으로 내부가 구획되는 대용량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공간 내에서, 상기 하단공간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에 대응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인접설치되어, 외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부; 상기 상단공간에 설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상단공간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를 향해 배출시키는 송풍부; 상기 하단공간에 물탱크가 설치고정되되, 분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 하단공간 구획위치에서 송풍부 방향을 향해 상향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 구동전 작동됨으로써 송풍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 상기 증발기의 흡입구의 반대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공간의 외측면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거치지 않고 송풍부(40)로 유입되는 추가외기를 공급하는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 상기 증발기의 냉매 증발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W)가 낙하회수되도록, 상기 증발기의 하단에 대응설치되는 응축수 드레인부;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에서 응축기까지 연결되는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의 응축수(W)가 사전설정 수위범위에 도달하면 작동되어, 공급라인을 통해 응축수(W)를 응축기에 분사시킴으로서, 과냉각도를 증가시켜 항온 항습장치의 구동에너지 절약이 가능토록 하는 펌프부; 상기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펌프부에 의해 응축수(W)가 이동시, 응축수(W)를 사전설정온도까지 냉각시키는 열전소자; 상기 하우징의 설치 공간의 노점온도를 측정하여, 노점온도 이하인 경우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를 개방시켜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 내의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가습장치가 내부에 설치되고, 대용량의 장치에서 일정위치의 토출구에서만 가습작동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설치공간의 노점온도를 항시 체크하고, 이를 통해, 설치공간 내부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자동으로 신선외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항온 항습장치의 과냉각도를 증가시켜, 성능향상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Large capacity thermo-hygrostat}
본 발명은 설치공간 내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사전설정 범위로 유지하기 유지하기 위하며, 항온항습장치 내 증발기의 냉매 증발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기에 사용하여 과냉각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에너지 절약 및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은 물론이고 각종 실험실, 보관실, 정밀제어장치들, 서버장치들, 정밀제품 생산시설 등에 대한 온도와 습도의 정밀한 제어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물질의 변화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거주공간 내의 각종 거주자, 동식물, 물품들이 영향을 받는다.
또한 온도와 함께 상대습도에 의한 영향도 크다. 즉, 실내거주자와 이곳에 보관되는 각종물품과 동식물에 대한 온도와 습도의 영향은 거주자의 생활의 쾌적성확보를 보장하는 것이며, 보관실의 경우 보관물품의 변질성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고가의 서화류, 책자, 반도체, 실험기구, 초정밀 제어장치들 등 무수히 많은 것들이 온도와 습도에 따라 어떤 것은 치명적인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관계로 본 발명자는 실내의 냉난방을 조절하는 공조시스템을 개발하여 제작 및 설치를 진행하여 오던 중, 실내의 습도가 온도와 함께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감안하여 습도조절이 가능한 냉난방 장치를 개발하였다. 특히 보관물의 변화를 막고자 습도를 제어하는 제습기능을 갖춘 냉난방장치를 개발하였다. 이중에서 제습을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콘덴서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고자, 냉매의 일부를 실내로 재순환시켜 보조 열교환기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면서 응축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실내공기의 습도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냉매의 응축열을 재사용하여 제습을 하는 것으로 막대한 에너지절감효과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습외에 초정밀한 습도와 온도제어를 위하여 가습(加濕)의 필요성도 크게 대두하였다. 항온과 항습을 위해서는 제습도 중요하지만 역으로 가습도 함께 동작하여야 목적한 항온항습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이러한 기능을 모두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27865호(2004.04.08.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공간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대용량의 항온항습장치로써, 가습을 위한 가습부를 내부에 설치하고, 이러한 가습작용이 항온항습장치의 모든 토출구를 통해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위치에서만 가습작용이 되도록 장치를 구성한 것이며, 설치공간 내의 노점온도를 항시 측정하여, 설치공간 내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신선외기를 외부에서 자동유입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항온 항습장치 내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냉매 증발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회수하여, 일정량의 응축수가 모이면 펌프를 동작시켜 열전소자를 거쳐 응축기에 분사하여, 과냉각도를 증가시킴으로써, P-h선도에서 고압은 낮아지고 저압은 높아져 과냉각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성능향상 및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절약형 항온 항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온도와 습도를 사전설정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탱크, 증발기를 거치는 냉매사이클을 가지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로써,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공간과 하단공간으로 내부가 구획되는 대용량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공간 내에서, 상기 하단공간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에 대응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인접설치되어, 외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부; 상기 상단공간에 설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상단공간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를 향해 배출시키는 송풍부; 상기 하단공간에 물탱크가 설치고정되되, 분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 하단공간 구획위치에서 송풍부 방향을 향해 상향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 구동전 작동됨으로써 송풍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 상기 증발기의 흡입구의 반대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공간의 외측면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거치지 않고 송풍부(40)로 유입되는 추가외기를 공급하는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 상기 증발기의 냉매 증발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W)가 낙하회수되도록, 상기 증발기의 하단에 대응설치되는 응축수 드레인부;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에서 응축기까지 연결되는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의 응축수(W)가 사전설정 수위범위에 도달하면 작동되어, 공급라인을 통해 응축수(W)를 응축기에 분사시킴으로서, 과냉각도를 증가시켜 항온 항습장치의 구동에너지 절약이 가능토록 하는 펌프부; 상기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펌프부에 의해 응축수(W)가 이동시, 응축수(W)를 사전설정온도까지 냉각시키는 열전소자; 상기 하우징의 설치 공간의 노점온도를 측정하여, 노점온도 이하인 경우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를 개방시켜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 내의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습장치가 내부에 설치되고, 대용량의 장치에서 일정위치의 토출구에서만 가습작동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설치공간의 노점온도를 항시 체크하고, 이를 통해, 설치공간 내부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자동으로 신선외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항온 항습장치의 과냉각도를 증가시켜, 성능향상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본 발명에 따른 가습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온도와 습도를 사전설정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매가 압축기(110), 응축기(120), 팽창탱크(130), 증발기(140)를 거치는 냉매사이클을 가지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100)로써,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공간(11)과 하단공간(12)으로 내부가 구획되는 대용량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하단공간(12) 내에서, 상기 하단공간(12)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4)에 대응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40);
상기 증발기(140)에 인접설치되어, 외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부(30);
상기 상단공간(11)에 설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상단공간(11)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15)를 향해 배출시키는 송풍부(40);
상기 하단공간(12)에 물탱크(51)가 설치고정되되, 상기 물탱크(51)는 증발기(140)의 후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분사부(55)는 상기 하우징(10)의 상, 하단공간(11, 12) 구획위치(13)에서 송풍부(40) 방향을 향해 상향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40) 구동전 작동됨으로써 송풍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50);
상기 증발기(140)의 흡입구(14)의 반대면에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단공간(12)의 외측면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40)를 거치지 않고 송풍부(40)로 유입되는 추가외기를 공급하는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
상기 증발기(140)의 냉매 증발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W)가 낙하회수되도록, 상기 증발기(140)의 하단에 대응설치되는 응축수 드레인부(150);
삭제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150)에서 응축기(120)까지 연결되는 공급라인(160);
상기 공급라인(160)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150)의 응축수(W)가 사전설정 수위범위에 도달하면 작동되어, 공급라인(160)을 통해 응축수(W)를 응축기(120)에 분사시킴으로서, 과냉각도를 증가시켜 항온 항습장치(100)의 구동에너지 절약이 가능토록 하는 펌프부(170);
상기 공급라인(160)에 설치되어, 펌프부(170)에 의해 응축수(W)가 이동시, 응축수(W)를 사전설정온도까지 냉각시키는 열전소자(180);
상기 하우징(10)의 설치 공간의 노점온도를 측정하여, 노점온도 이하인 경우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를 개방시켜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 내의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어부(70);
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150)는
상기 증발기(140)의 하부가 응축수(W)에 사전설정깊이 잠겨지는 형태로 설치되도록 하여, 과냉도가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150)와 펌프부(170) 사이의 공급라인(160)에 설치되어, 응축수(W)가 일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체크밸브(151);
상기 공급라인(160)에서 체크밸브(151) 후단에 설치되어, 펌프부(170)의 작동과 동반으로 ON/OFF 작동되어, 응축수(W)의 이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52);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52)와 펌프부(17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응축수(W)가 저장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탱크(153); 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180)는 응축수(W)를 5~10℃로 냉각시키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는 하우징, 증발기(140), 히팅부(30), 송풍부(40), 가습부(50),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공간(11)과 하단공간(12)으로 내부가 구획되는 대용량의 함체이다.
이러한 하우징(10)은 하단공간(12) 일측(설치공간을 향하는 전면) 하단에 설치공간 내 실내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구(14)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공간(11) 일측 상단에는 수평의 토출구(15)를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흡입구(14)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하우징(10) 내부에서 후술될 증발기(140) 및 히팅부(30), 가습부(50) 등을 통해, 가열 또는 냉각 또는 습도가 조절되어 토출구(15)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어진다.
상기 증발기(140)는 전술된 하우징(10)의 하단공간(12) 내에서, 상기 하단공간(12)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4)에 대응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는 증발기의 역할이며, 이러한 증발기(140)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다.
상기 히팅부(30)는 전술된 증발기(140)의 후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증발기(140)를 거친 공기를 히팅하여 가열하는 장치이다.
상기 송풍부(40)는 전술된 하우징(10)의 상단공간(11)에 설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상단공간(11)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15)를 향해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습부(50)는 하단공간(12)에 물탱크(51)가 설치고정되되, 분사부(55)는 상기 하우징(10)의 상, 하단공간(11, 12) 구획위치(13)에서 송풍부(40) 방향을 향해 상향 설치되어, 송풍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51)는 증발기(140)의 후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흡입구(14)로 부터 증발기(140)로 유입되는 공기유동방향에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물론, 상기 송풍부(40)의 작동전에 가습부(50)가 먼저 가동되어 송풍부(40)가 공기를 흡입하는 공간 내에 수증기를 분사함으로써, 송풍부(40)와 가습부(50)가 동시에 가동되어, 실내로 물기가 그대로 분사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한 가습부(50)는 가습용으로 사용될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탱크(51), 상기 물탱크(51)에 연결되어 상기 하단공간(12)에 직립설치되는 폴리 내열호스인 가습호스(52), 상기 가습호스(52)의 상단에 연결설치되며, 중단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휘어짐이 가능한 동재질의 연결관(53), 상기 연결관(53)의 단부에서 연결관(53)과 수직을 이루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형태로 상기 구획위치(13)에 수평설되어, 상단공간(11)을 향해 넓은 면적으로 수증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구(54)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동재질의 분사부(55), 상기 연결관(53) 및 분사부(55)의 외주연을 감싸며 보온역할을 하는 보온부(5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에서 전술된 가습부(50)의 구성 중, 상기 분사부(55)는 하우징(10)의 상, 하단공간(11, 12) 구획위치(13)에 설치되도록 하는데,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사부(55)는 하우징(10)의 토출구(15) 전체 공간 중, 사전설정된 위치(좌측과 우측의 2개로 구획을 나눴을 경우, 좌측에서만 가습공기가 토출될것인지, 우측에서만 가습공기가 토출될 것인지)에서만 가습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위치(13)에서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로써, 일실시예로, 도 2에서처럼 우측에서는 온습도 조절된 공기(A)만 전용으로 토출되는 곳이라면, 좌측에서는 가습공기(가습부(50)가 구동되면서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B)만 전용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온습도 조절된 공기(A)와 가습공기(B)가 상호간 영향을 받지않고 개별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는 상기 증발기(140)의 흡입구(14)의 반대면에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단공간(12)의 외측면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40)를 거치지 않고 송풍부(40)로 유입되는 추가외기를 공급하는 ON/OFF 가능한 기능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는 제어부(70)에 의해 작동되는데, 상기 제어부(70)는 하우징(10)의 설치 공간의 노점온도를 온도센서, 또는 노점온도센서 등 노점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71)를 이용해 측정하여, 노점온도 이하인 경우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를 개방시켜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 내벽 등에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70)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설치되어 측정센서(71)로부터 측정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측정센서(71)는 본 발명 대용량 항온항습장치의 외주연에 설치되거나, 또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가 설치된 설치공간 내에 설치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항온 항습장치는 온도와 습도를 사전설정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매가 압축기(110), 응축기(120), 팽창탱크(밸브)(130), 증발기(140)를 거치는 냉매사이클을 가지는 것으로서, 응축수 드레인부(150), 공급라인(160), 펌프부(70), 열전소자(180)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150)는 냉매가 유동되는 증발기(140)의 냉매 증발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W)가 낙하회수되도록, 증발기(140)의 하단에 대응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응축수 드레인부(150)에 증발기(140)의 하부가 응축수 드레인부(150) 내 응축수(W)에 잠겨지는 정도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급라인(160)은 응축수 드레인부(150)에 모아진 응축수(W)가 이동하는 라인으로써, 이러한 공급라인(160)은 응축수 드레인부(150)에서 응축기(20)까지 연결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공급라인(160)의 단부 또는 응축기(120)에는 원활한 응축수(W)의 분사를 위해, 다수의 노즐이 구비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펌프부(170)는 전술된 공급라인(160)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150)의 응축수(W)가 사전설정 수위범위에 도달하면 작동되는 것으로서, 응축수(W)를 이동시켜 상기 공급라인(60)을 통해 응축수(W)를 응축기(120)에 분사시킴으로써, 과냉각도를 증가시켜(p-h선도에서 고압은 낮아지고, 저압은 높아진다.) 항온 항습장치(100)의 구동에너지 절약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도 2, 3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R-22 표준냉동 사이클 기준 냉동력은 2.7% 향상되고, 압축기(10) 일량은 18.2%가 줄어, 냉동능력은 향상되고 압축기(110) 인량이 줄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열전소자(180)는 전술된 공급라인(16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펌프부(170)에 의해 응축수(W)가 이동시, 이동되는 응축수(W)를 사전설정온도(5~10℃로 냉각)까지 냉각시켜 응축기(20)에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전소자(180)는 'N-P-N-P-N-P-N-P-N...' 의 형태로,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직렬 연결한 것으로, 이러한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하면 반도체 사이에서 열전효과 (Peltier effect)가 일어나, 일면은 가열, 타면은 냉각되는 원리를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냉각면을 이용하여 냉각을 하는 것이며, 이러한 열전소자(180)의 원리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다.
더불어 전술된 공급라인(160)에는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150)와 펌프부(170) 사이의 공급라인(160)에 설치되는 체크밸브(151) 및 솔레노이드 밸브(152)를 설치하여, 응축수(W)가 일방향으로만 이동(체크밸브(151))되도록 하면서. 펌프부(170)의 구동과 함께 동반으로 ON/OFF 되면서 유동되는 응축수(W)의 이동이 제어(솔레노이드 밸브(152))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52)와 펌프부(170) 사이에는 저장탱크(153)가 설치되어, 이동되는 응축수(W)가 저장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하우징 11: 상단공간
12: 하단공간 13: 구획위치
14: 흡입구 15: 토출구
30: 히팅부
40: 송풍부 50: 가습부
51: 물탱크 52: 가습호스
53: 연결관 54: 분사구
55: 분사부 56: 보온부
60: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
70: 제어부 71: 측정센서
120:응축기
140:증발기 150:응축수 드레인부
151:체크밸브 152:솔레노이드 밸브
153:저장탱크
160:공급라인 170:펌프부
180:열전소자

Claims (7)

  1. 온도와 습도를 사전설정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매가 압축기(110), 응축기(120), 팽창탱크(130), 증발기(140)를 거치는 냉매사이클을 가지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100)로써,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공간(11)과 하단공간(12)으로 내부가 구획되는 대용량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하단공간(12) 내에서, 상기 하단공간(12)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4)에 대응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40);
    상기 증발기(140)에 인접설치되어, 외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부(30);
    상기 상단공간(11)에 설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상단공간(11)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15)를 향해 배출시키는 송풍부(40);
    상기 하단공간(12)에 물탱크(51)가 설치고정되되, 상기 물탱크(51)는 증발기(140)의 후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분사부(55)는 상기 하우징(10)의 상, 하단공간(11, 12) 구획위치(13)에서 송풍부(40) 방향을 향해 상향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40) 구동전 작동됨으로써 송풍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50);
    상기 증발기(140)의 흡입구(14)의 반대면에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단공간(12)의 외측면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40)를 거치지 않고 송풍부(40)로 유입되는 추가외기를 공급하는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
    상기 증발기(140)의 냉매 증발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W)가 낙하회수되도록, 상기 증발기(140)의 하단에 대응설치되는 응축수 드레인부(150);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150)에서 응축기(120)까지 연결되는 공급라인(160);
    상기 공급라인(160)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150)의 응축수(W)가 사전설정 수위범위에 도달하면 작동되어, 공급라인(160)을 통해 응축수(W)를 응축기(120)에 분사시킴으로서, 과냉각도를 증가시켜 항온 항습장치(100)의 구동에너지 절약이 가능토록 하는 펌프부(170);
    상기 공급라인(160)에 설치되어, 펌프부(170)에 의해 응축수(W)가 이동시, 응축수(W)를 사전설정온도까지 냉각시키는 열전소자(180);
    상기 하우징(10)의 설치 공간의 노점온도를 측정하여, 노점온도 이하인 경우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를 개방시켜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 내의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어부(7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150)는
    상기 증발기(140)의 하부가 응축수(W)에 사전설정깊이 잠겨지는 형태로 설치되도록 하여, 과냉도가 증가되도록 하며;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150)와 펌프부(170) 사이의 공급라인(160)에 설치되어, 응축수(W)가 일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체크밸브(151);
    상기 공급라인(160)에서 체크밸브(151) 후단에 설치되어, 펌프부(170)의 작동과 동반으로 ON/OFF 작동되어, 응축수(W)의 이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52);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52)와 펌프부(17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응축수(W)가 저장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탱크(153);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열전소자(180)는 응축수(W)를 5~10℃로 냉각시키도록 하며;
    상기 가습부(50)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탱크(51);
    상기 물탱크(51)에 연결되어 상기 하단공간(12)에 직립설치되는 가습호스(52);
    상기 가습호스(52)의 상단에 연결설치되며, 중단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휘어짐이 가능한 연결관(53);
    상기 연결관(53)의 단부에서 연결관(53)과 수직을 이루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형태로 상기 구획위치(13)에 수평설되어, 상단공간(11)을 향해 넓은 면적으로 수증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구(54)가 형성되어 있는 분사부(55);
    상기 연결관(53) 및 분사부(55)의 외주연을 감싸며 보온역할을 하는 보온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부(55)는
    상기 하우징(10)의 토출구(15) 전체 공간 중,
    사전설정된 위치에서만 가습공기(B)가 전용으로 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위치(13)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된 노점온도 측정센서(71)에서 측정신호를 전달받아,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27615A 2021-09-28 2021-09-28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KR10253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15A KR102538820B1 (ko) 2021-09-28 2021-09-28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15A KR102538820B1 (ko) 2021-09-28 2021-09-28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701A KR20230045701A (ko) 2023-04-05
KR102538820B1 true KR102538820B1 (ko) 2023-06-02

Family

ID=8588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615A KR102538820B1 (ko) 2021-09-28 2021-09-28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8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739B1 (ko) * 2007-08-31 2008-01-02 주식회사 에이알 항온항습기의 비산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5347A (ja) * 1992-10-02 1994-04-26 Nippondenso Co Ltd 空気調和装置
KR100427865B1 (ko) 2001-08-10 2004-04-27 주식회사 에이알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항온항습장치 및 방법
KR20210000160A (ko) * 2019-06-24 2021-01-04 (주)대성기연 에너지 절약형 항온 항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739B1 (ko) * 2007-08-31 2008-01-02 주식회사 에이알 항온항습기의 비산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701A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4960B (zh) 分体式水冷空调扇装置及其制冷方法
KR101770258B1 (ko) 항온항습 공조시스템
JP7285410B2 (ja)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CN104613574B (zh) 基于能量梯级利用的温湿度独立控制空调系统
CN109539440A (zh) 新风再热型热泵热回收空调机组
WO2007091813A1 (en) Air-conditioner using heat of condensation
CN105020807B (zh) 过冷型热泵式溶液调湿与蒸发冷却复合的空调系统
CN102444949A (zh) 冷却水干式空调箱、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913720B1 (ko)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JPH11311438A (ja) 空気調和装置
KR102538820B1 (ko)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US11971189B2 (en) Air conditioner
JP2008232485A (ja) 換気空調装置
KR200294756Y1 (ko) 일체형 기화식 냉풍기
CN209541073U (zh) 基于卧管橄榄管型直接加间接蒸发冷却的冷水机组
CN203628894U (zh) 远程送风露点间接-机械制冷一体化空调机
KR102054306B1 (ko)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CN109855213B (zh) 一种基于冷源焓值的自然冷源节能系统及节能方法
KR102535605B1 (ko) 2개의 외기전동댐퍼에 의하여 노점온도를 제어하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CN107917482B (zh) 一种平面辐射空调系统
CN221076640U (zh) 一种空调室外机
CN104374028A (zh) 蒸发冷一体机双系统机组
KR102637242B1 (ko) 멤브레인 가습모듈 공기조화기 및 그 멤브레인 가습모듈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방법
KR100821738B1 (ko) 공기조화기
KR102538819B1 (ko) 공기정화 및 노점온도조절기능을 갖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