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099B1 - 핀붙이 키 - Google Patents

핀붙이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099B1
KR101222099B1 KR1020097011464A KR20097011464A KR101222099B1 KR 101222099 B1 KR101222099 B1 KR 101222099B1 KR 1020097011464 A KR1020097011464 A KR 1020097011464A KR 20097011464 A KR20097011464 A KR 20097011464A KR 101222099 B1 KR101222099 B1 KR 10122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upling housing
axis
spherical bea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915A (ko
Inventor
에커드 다헬웨그
Original Assignee
반 데르 벨덴 발케마이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 데르 벨덴 발케마이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반 데르 벨덴 발케마이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8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63H25/381Rudders with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Actuator (AREA)
  • Earth Drilling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atalys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aper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될 수 있는 주 키와, 주 키의 후방 에지에 결합되고 주 키에 의해 구동되는 핀을 포함하는 핀붙이 키에 관한 것으로서, 피봇팅 피스톤은 전술한 핀에 연결되고, 선체에 연결된 수직 샤프트 저널에 연결되며, 주 키의 편향에 상관없이, 선박의 세로방향 축(X-축) 및 선박의 가로방향 축(Z-축)을 중심으로 축회전될 수 있다. 피봇팅 피스톤은 수직 보어홀(82)을 포함한 커플링 하우징(8)의 수평 보어홀(81) 내에 삽입되고, 샤프트 저널을 수납한 조인트 베어링이 전술한 수직 보어홀(82) 내에 삽입되며, 이 조인트 베어링은, 샤프트 저널을 수납하기 위한 원통형 보어홀과 구결 형상의 외측 표면(spherical segment inner surface)을 구비한 내측 링(91), 및 내측 링(91)의 구결 형상의 외측 표면에 맞는 구결 형상의 내측 표면과 커플링 하우징(8)의 수직 보어홀(82)에 맞는 원통형 외측 표면을 구비한 외측 링(92)을 포함하는 구면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주 키, 핀, 커플링 하우징, 내측 링, 외측 링, 샤프트 저널

Description

핀붙이 키{FINNED RUDDE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핀붙이 키에 관한 것이다.
해양 선박용 키는 해양 선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일반적으로 선체 후미에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각 측면으로 약 60°만큼 축 회전될 수 있다. 해양 선박의 트랙션 커런트(traction current)는, 주행 방향 쪽으로 유도된 저항 성분과 해양 선박의 반작용을 일으키는 트랜셉트 방향(transept-directed)의 제어력으로 나뉘는 키 압력을 발생시킨다. 트랜셉트 방향의 제어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키 자루에 의해 축회전될 수 있고, 소위 키 트렁크(Koker)라 부르는 선체를 관통한 수밀상태의 덕트에 의해 지지되는, 주 키를 구비한 선박에 대한 고효율성 플랩 키가 EP 0 170 919 B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주행 방향과 관련하여, 주 키 깃(main rudder blade)의 후방 에지에는 조절 장치를 통해 주 키 깃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는 핀붙이 키 깃이 결합되어 있되, 조절 장치는 핀붙이 키 깃의 축에 강성 연결된 편심기와, 일 단부가 편심기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키 자루에 인접한 선체의 고정 지점에 결합되는 조절 로드(adjusting rod)를 포함한다.
따라서, 주 키 깃의 회전으로 인해, 주 키의 후방 에지에 있는 핀붙이 키 깃의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크기로 주 키의 추가 회전이 발생되기 때문에, 키에 의해 발생된 가로방향 힘이 증가됨과 동시에, 해양 선박의 조작성이 개선된다.
EP 0 811 552 A1로부터, 주 키와 주 키에 결합된 핀(fin)으로 구성되는 해양 선박용 키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핀은 주 키에 의해 확실히 안내되고, 피봇팅 피스톤을 위해 핀에 형성된 슬라이드 베어링으로부터 연결되는 슬라이드 피스톤을 구비하며, 이 슬라이드 피스톤은 커플링 볼트에 연결되고, 선체에 부착된 베어링 하우징을 구비한 슬라이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다. 피봇팅 피스톤과 커플링 볼트 사이의 카르단 조인트(cardan joint) 식에 따른 힌지 볼트의 배열에 의해, 피봇팅 피스톤과 커플링 피스톤 사이에 순수 슬라이드 베어링 연결에 비하여, 피봇팅 피스톤과 커플링 볼트 사이의 운동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키 및 시스템 상에 가해진 압력에 의한 벤딩 모멘트는 보상되며, 피봇팅 피스톤과 커플링 볼트는, 힌지 연결부를 풀고난 후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선체 및 핀에 부착된 하우징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피봇팅 피스톤과 커플링 볼트 사이에 힌지 조인트의 배열에 있어서, 선박의 세로방향 축(X-축) 및 선박의 가로방향 축(Z-축)을 중심으로 한 핀의 회전 및 이에 따른 피봇팅 피스톤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힘이 핀에 가해지는 경우에, 선박의 세로방향 축(X-축) 및 선박의 가로방향 축(Z-축)을 중심으로 핀 또는 피스톤의 조합된 축회전을 발생시키는 힘이 핀에 가해질 때 힌지 조인트는 기울어지므로, 힌지 조인트가 기울어질 위험성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힌지 조인트를 중심으로 한 피봇팅 피스톤의 어떠한 회전도 발생되지 않지만, 힌지 조인트의 볼트를 기울이거나 적어도 보상 운동을 방해하는, 힌지 조인트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의 성분을 포함한다. 선박의 수직 축(Y-축)에 대한 보상은 조절된 키 조작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그 보상은 불가능하다.
또한, 힌지 조인트는, 타압(rudder forces)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힌지 조인트의 대응하는 치수를 필요로 하는 힌지 볼트에 의해 결정된 작은 힌지 영역만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대응하는 대용량 구성을 필요로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강도 및 이에 따른 고가의 재료의 사용을 요할 수 있다.
또한, 선체에 부착되고, 단부가 선체에 맞닿아 닫히는 피스톤을 위해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베어링에 형성된 볼트와 같은 커플링 볼트의 구조는 복잡하고, 부수적으로, 피스톤 위의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쿠션(cushion)이 기체 또는 액체 매질로부터 수밀상태로 밀폐되지 않은 경우에, 민감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핀 커플링(fin coupling)의 제조와 조립에 관계된 수고를 덜면서, 피봇팅 피스톤(pivoting piston)의 운동성을 개선하여 피봇팅 피스톤과 샤프트 저널(shaft journal) 사이에 매우 안정된 연결을 보장하는 전술한 종류의 핀붙이 키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에 의해, 선박의 세로방향 축, 즉 X-축과 선박의 가로방향 축, 즉 Z-축의 방향으로 임의로 편향되어 피봇팅 피스톤을 가동시켜, 선박의 수직 축, 즉 Y-축을 중심으로 주 키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핀에 연결된 피봇팅 피스톤과 선체에 연결된 샤프트 저널 사이의 연결의 최적의 안정성이 보장되어, 결국 조립 뿐만 아니라 제조에 대한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봇팅 피스톤은 수직 보어홀을 포함한 커플링 하우징의 수평 보어홀(borehole) 내에 삽입되고, 샤프트 저널을 수납한 조인트 베어링(joint bearing)이 상기 수직 보어홀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X-Z 면에서의 피봇팅 피스톤의 자유로운 운동성과, 피봇팅 피스톤과 샤프트 저널 사이의 연결의 용이성과 안정성이 겸비되어, 조립의 용이성을 제외하고, 보수 및 유지를 위한 해체의 용이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의 본 실시예에서는, 피봇팅 피스톤은 플랜지와의 연결 상태에서 해체가능하며, 수평 방향으로 플랜지의 보어홀 밖으로 빼낼 수 있어서, 플랜지의 유무에 상관없이 샤프트 저널의 용이한 설치나 해체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조인트 베어링은 구면 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이 구면 베어링은, 샤프트 저널을 수납하기 위한 원통형 보어홀과 구면-층 형상의 외측 표면을 구비한 내측 링(inner ring), 및 내측 링의 외측 표면에 맞는 구면-층 형상의 내측 표면과 커플링 하우징의 수직 보어홀에 맞는 원통형 외측 표면을 구비한 외측 링(outer ring)을 포함한다.
구면 베어링 등의 조인트 베어링의 구조는 선체에 연결된 샤프트 저널에 대하여 피봇팅 피스톤의 최적의 운동성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가능하다면 가장 큰 면적에 걸쳐 최적의 압력 분배를 보장하기 때문에, 매우 큰 하중의 영향 하에서도, 조인트 베어링의 안정성이 상당히 보장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하중 제한이 있는 경우에, 조인트 베어링은 필요에 따라, 예컨대 힌지 베어링이나 카르단 조인트의 경우 힘 전달 영역이 작기 때문에, 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 저널 및 조인트 베어링의 내측 링은, 프레스 피트(press fit)에 의한 강제 압입(force fit) 또는 임의의 폼-피트(form-fit) 연결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단단히 연결되거나 미끄러지듯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샤프트 저널과 조인트 베어링의 내측 링 사이의 미끄러짐 연결의 경우, 추가적으로 선박의 수직 축, 즉 Y-축으로의 피봇팅 피스톤의 운동이 보장되어서, 주 키에 대한 핀의 결합의 피할 수 없는 운동 또한 Y-축 방향으로 보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링의 축방향 길이보다 구면 베어링의 내측 링의 축방향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샤프트 저널에 대하여 피봇팅 피스톤의 축회전 운동이 더 강한 경우에도, 내측 링은 외측 링에 맞닿는 것이 보장되고, 이에 따라 넓은 영역에 걸친 하중 분포가 항상 보장된다.
커플링 하우징의 수직 보어홀 내에 삽입되고, 구면 베어링으로써 형성되는 조인트 베어링의 고정을 위해, 외측 링의 정면에 맞닿고, 커플링 하우징의 수직 보어홀의 원형 그루브 내에 삽입되는 고정 링에 의해 외측 링은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고정 링은 선택적으로 멈춤 링으로써 설계된다.
해수가 스며들거나 침투하는 경우에도 구면 베어링과 함께 피봇팅 피스톤의 운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구면 베어링의 내측 링과 외측 링은, 윤활제의 공급 및 추가를 위한 채널을 통해 구면 베어링의 외측 표면에 연결되는 1개 이상의 원형 윤활제 그루브를 포함하며, 채널은 커플링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서 수밀상태로 밀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면 베어링의 축방향에 대하여 윤활제 그루브는 중심에 정렬되고, 구면 베어링의 외측 링과 내측 링에 대하여 서로가 정렬된다.
커플링 하우징에 대한 피봇팅 피스톤의 연결은 프레스 피트에 의해 강제 압입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커플링 하우징의 보어홀을 관통하여 피봇팅 피스톤의 단부 내에 나사체결되어, 커플링 하우징의 수평 보어홀 내에 삽입되거나, 피봇팅 피스톤 부분의 외측 표면에 강제 압입으로 맞닿아서, 커플링 하우징의 수평 보어홀 내에 삽입되는 잠금 나사에 의해 강제 압입 및 폼-피트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개념과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선박의 후미에 배치된 핀붙이 키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샤프트 저널을 수납하기 위한 수직 보어홀 및 피봇팅 피스톤을 수납하기 위한 수평 보어홀을 포함하는 커플링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커플링 하우징의 종단면도(longitudinal cut)이다.
도 1은 선체(1)의 일부, 프로펠러(2), 및 주 키(main rudder, 3)와 힌지형 연결부(13)를 통해 주 키(3)에 결합된 핀(fin, 4)으로 구성되는 핀붙이 키(finned rudder)를 포함한 선박의 후미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주 키(3)는 주 키(3)의 홈부 내에 삽입된 키 자루(rudder stock, 11)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키 엔진(12)에 연결되는데, 키 자루(11)는, 수밀방식으로 키 자루(11)를 통해 이르도록, 키 트렁크(10)를 지나 선체(1)까지 이르게 된다. 키 엔진(12)은, 선박의 세로방향 축, 즉 X-축과 정렬된 주 키(3)의 위치에 대해 양쪽으로 약 45°의 주 키(3)의 최대 편향을 키 자루(11)를 통해 발생시킨다.
주 키(3)와 핀(4)의 상부 에지에 배치되고, 수직 샤프트 저널(5)을 포함하는 조절 장치(7)에 의하여, 좀더 정확히 말하면, 플랜지(15), 샤프트 저널(5)에 접합 연결된 커플링 하우징(8), 이와 수평하게 정렬된 피봇팅 피스톤(6) 및 피봇팅 피스톤(6)이 안내되는, 핀(4)에 연결된 슬라이드 베어링(slide bearing, 14)에 의해, 주 키(3)의 편향으로 확실하게 안내되고 이어지도록 핀(4)의 제어가 일어난다.
한 방향 또는 기타 다른 방향을 따라 키 엔진(12)에 의해 키 자루(11)가 회전되는 경우, 주 키(3)는 그 각각의 회전 방향으로 선박의 수직 축, 즉 Y-축을 중심으로 한 대응 각도 만큼 편향된다. 주 키(3)의 후방 에지에 대한 핀(4)의 결합 및 조절 장치(7)를 통한 선체(1)에 대한 핀(4)의 연결로 인하여, 동일한 방향 및 대략 동일한 크기로의 핀(4)의 추가 회전이 주 키(3)에 대해 발생되는데, 즉 핀(4)은 주 키(3)의 편향 각도의 대략 2배 만큼 완전히 편향되고, 이에 따라 핀붙이 키에 의해 발생되는 선박의 제에 효과적인 가로방향 힘을 증가시킨다.
주 키(3) 및 핀(4)에 가해지는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힘으로 인해, 조절 장치(7)의 개별 기능 요소 사이에 대응되게 구성된 슬라이드 베어링 및 피트(fits)의 경우, 인장 및 조절 장치(7)나 그 일부의 파손 지점에 대한 초기 마멸을 야기시킬 수 있는 벤딩 모멘트(bending moments)가 조절 장치(7)에 가해진다.
조절 장치(7)의 강체 구조의 경우에 나타나는 전술한 인장 및 조절 장치(7)의 기능부의 기울어짐(cants)을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 저널(5)을 피봇팅 피스톤(6)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 볼트(hinge bolt)가 공지된 시스템 내에 사용되며, 이 힌지 볼트는 선박의 수직 축, 즉 Y-축에 대하여 ±90°의 각도 범위로 운동을 허용하지만, 선박의 가로방향 축, 즉 Z-축 방향으로 향해지거나, 선박의 세로방향 축, 즉 X-축과 선박의 가로방향 축, 즉 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가로방향 힘이 나타나는 경우에, 전술한 힌지 볼트는 또한 기울어진다.
또한, 힌지 조인트는, 타압(rudder forces)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힌지 조인트의 대응하는 치수를 필요로 하는 힌지 볼트에 의해 결정된 작은 베어링 영역만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대응하는 대용량 구성을 필요로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강도 및 이에 따른 고가의 재료의 사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샤프트 저널(5)과 수평하게 정렬된 피봇팅 피스톤(6) 사이에 힌지 조인트나 이와 유사한 조인트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주 키(3)의 편향과는 상관없이, 선박의 가로방향 축, 즉 Z-축 뿐만 아니라 선박의 세로방향 축, 즉 X-축을 중심으로 한 피봇팅 피스톤(6)의 축회전을 허용하는 조인트 베어링이 사용된다. X-축과 Z-축으로 이루어진 면에서의 피봇팅 피스톤(6)의 전술한 자유로운 운동성은, 조절 장치(7)가 핀(4)에 작용하는 X-축과 Z-축에서의 모든 힘을 보상하도록 보장하여, 조절 장치(7)에서 어떠한 기울어짐도 추가적인 인장도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종단면도로서, 수직 샤프트 저널(5)을 수평 피봇팅 피스톤(6)에 연결하기 위한,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조절 장치(7)의 커플링 하우징을 나타낸다. 커플링 하우징(8)은, 구면 베어링(9)을 수납하기 위한 수직 보어홀(82) 뿐만 아니라, 도 1에 따른 피봇팅 피스톤(6)을 수납하기 위한 수평 보어홀(81)을 포함한다. 잠금 나사(18)는 커플링 하우징(8)의 수평 보어홀(81) 내에 삽입된 피봇팅 피스톤(6)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피봇팅 피스톤(6)을 커플링 하우징(8)에 강제 압입 및/또는 폼 피트식으로 연결시킨다.
구면 베어링(9)은 원통형 보어홀과 구형 외측 표면, 즉 구면-층 형상의 외측 표면을 갖는 내측 링(91), 및 내측 링(91)의 외측 표면에 맞는 구형 내측 표면, 즉 구면-층 형상의 내측 표면과 커플링 하우징(8)의 수직 보어홀(82)에 맞는 원통형 외측 표면을 갖는 외측 링(92)을 포함한다. 내측 링(91)의 원통형 보어홀은 수직으로, 예컨대 바람직하게 구면 베어링(9)의 내측 링(91)의 원통형 보어홀 내에 미끄러지듯 배열될 수 있는 도 1에 따른 Y-축으로 정렬된 샤프트 저널(5) 방향으로, 샤프트 저널(5)을 수납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면 베어링(9)을 체결 및 고정시키기 위해, 구면 베어링(9)의 외측 링(92)의 축 단부에 멈춤 링(snap rings)으로서 형성된 고정 링(16, 17)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링(92)에 비하여 내측 링(91)의 축방향 폭이 더 넓기 때문에, 샤프트 저널(5)에 대해 피봇팅 피스톤(6)의 축회전 운동이 더 강한 경우에도, 내측 링(91)은 외축 링(92)에 맞닿는 것이 보장되어, 이에 따른 넓은 영역에 걸친 하중 분포가 보장된다.
커플링 하우징(8)이 수직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링(9)의 원통형 보어홀 내에 윤활막이 형성되어, 어떠한 마찰력에 의해서도 샤프트 저널(5)에 대한 커플링 하우징(8)의 축방향 운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윤활막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원형 윤활제 그루브(circular lubricant groove)가 형성되는데, 이 원형 윤활제 그루브는 내측 링(91) 중심에 형성되며, 커플링 하우징(8)이 수평으로 정렬되는 경우에 외측 링 내의 대응하는 윤활제 그루브(94)와 정렬된다. 외측 링(92) 내의 외측 윤활제 그루브(94)는 밀봉 나사(19)에 의해 수밀상태로 밀폐될 수 있는 윤활제 채널(20)을 통하여 커플링 하우징(8)의 외측 표면에 있는 개구에 연결된다.
수평 피봇팅 피스톤(6)을 수직 샤프트 저널(5)에 연결시키는 커플링 하우징(8) 및 구면 베어링(9)의 조합에 의해, 인장과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조절 장치(7)의 운동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피봇팅 피스톤(6)을 수납하기 위한 수평 보어홀(81)과 수직 샤프트 저널(5)을 수납하기 위해 내측 링(91)의 원통형 보어홀이 수직으로 정렬된 구면 베어링(9)을 수납하기 위한 수직 보어홀(82)의 배열로 인하여, 조립과 해체가 용이성이 보장된다.
잠금 나사(18)를 해체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베어링(slide bearing, 14)을 통해 안내된 수평 피봇팅 피스톤(6)이 커플링 하우징(8)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예컨대, 보수 및 유지를 위해, 핀(4)은 주 키(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조절 장치(7)의 교환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 수리를 위해, 선체(1)에 대한 샤프트 저널(5)의 연결상태로부터 샤프트 저널(5)이 해체될 수 있으므로, 구면 베어링(9)은 커플링 하우징(8)과 함께 수직 샤프트 저널(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조절 장치(7)의 용이한 조립이 보장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선체 2 프로펠러
3 주 키 4 핀
5 샤프트 저널 6 피봇팅 피스톤
7 조절 장치 8 커플링 하우징
9 구면 베어링 10 키 트렁크(rudder trunk)
11 키 자루 12 키 엔진
13 힌지형 연결부 14 슬라이드 베어링
15 플랜지 16, 17 고정 링
18 잠금 나사 19 밀봉 나사
20 윤활제 채널 81 수평 보어홀
82 수직 보어홀 91 내측 링
92 외측 링

Claims (26)

  1. 선박의 수직 축 또는 직각 축(Y-축)을 중심으로 축회전될 수 있는 주 키(3), 및 상기 주 키(3)의 후방 에지에 결합되고, 상기 주 키(3)에 의해 확실히 안내되며, 피봇팅 피스톤(pivoting piston, 6)에 연결되는 핀(fin, 4)을 포함하는 핀붙이 키(finned rudder)에 있어서,
    상기 피봇팅 피스톤(6)은 선체(1)에 연결된 수직 샤프트 저널(vertical shaft journal, 5)에 조인트 베어링(joint bearing, 9)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주 키(3)의 편향과 무관하게, 수평 축(X-축), 상기 수평 축(X-축)에 수직방향인 축(Z-축) 및 상기 선박의 수직 축(Y-축)을 중심으로 축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피봇팅 피스톤(6)은, 상기 샤프트 저널(5)을 수납하는 상기 조인트 베어링(9)이 삽입되는 수직 보어홀(vertical borehole, 82)을 포함하는 커플링 하우징(coupling housing, 8)의 수평 보어홀(horizontal borehole, 81) 내에 삽입되며,
    상기 조인트 베어링은 구면 베어링(9)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면 베어링(9)은, 상기 샤프트 저널(5)을 수납하기 위한 원통형 보어홀과 구면-층 형상의 외측 표면을 구비한 내측 링(91), 및 상기 내측 링(91)의 상기 외측 표면에 맞는 구면-층 형상의 내측 표면과 상기 커플링 하우징(8)의 상기 수직 보어홀(82)에 맞는 원통형 외측 표면을 구비한 외측 링(92)을 포함하는,
    핀붙이 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상기 내측 링(91)은 상기 외측 링(92)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축방향 길이를 포함하는, 핀붙이 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저널(5) 및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상기 내측 링(91)은 수직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연결되는, 핀붙이 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저널(5) 및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상기 내측 링(91)은 수직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연결되는, 핀붙이 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상기 외측 링(92)은, 상기 외측 링(92)의 정면에 돌출하여, 상기 커플링 하우징(8)의 상기 수직 보어홀(82)의 원형 그루브(circular grooves) 내로 삽입되는 고정 링(16, 17)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핀붙이 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상기 외측 링(92)은, 상기 외측 링(92)의 정면에 돌출하여, 상기 커플링 하우징(8)의 상기 수직 보어홀(82)의 원형 그루브(circular grooves) 내로 삽입되는 고정 링(16, 17)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핀붙이 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상기 외측 링(92)은, 상기 외측 링(92)의 정면에 돌출하여, 상기 커플링 하우징(8)의 상기 수직 보어홀(82)의 원형 그루브(circular grooves) 내로 삽입되는 고정 링(16, 17)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핀붙이 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상기 외측 링(92)은, 상기 외측 링(92)의 정면에 돌출하여, 상기 커플링 하우징(8)의 상기 수직 보어홀(82)의 원형 그루브(circular grooves) 내로 삽입되는 고정 링(16, 17)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핀붙이 키.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은 멈춤 링(snap rings, 16, 17)으로 구성되는, 핀붙이 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은 멈춤 링(snap rings, 16, 17)으로 구성되는, 핀붙이 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은 멈춤 링(snap rings, 16, 17)으로 구성되는, 핀붙이 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은 멈춤 링(snap rings, 16, 17)으로 구성되는, 핀붙이 키.
  14.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상기 내측 링(91)과 상기 외측 링(92)은 1개 이상의 원형 윤활제 그루브(circular lubricant groove, 93, 94)를 포함하는, 핀붙이 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윤활제 그루브(93, 94)는 채널(20)을 통해 상기 커플링 하우징(8)의 상기 외측 표면에 연결되는, 핀붙이 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20)은 상기 커플링 하우징(8)의 상기 외측 표면에서 수밀상태로 밀폐될 수 있는, 핀붙이 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상기 내측 링(91)과 상기 외측 링(92)에서의 상기 윤활제 그루브(93, 94)는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축방향에 대하여 중심에 위치되고, 서로 정렬되는, 핀붙이 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상기 내측 링(91)과 상기 외측 링(92)에서의 상기 윤활제 그루브(93, 94)는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축방향에 대하여 중심에 위치되고, 서로 정렬되는, 핀붙이 키.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상기 내측 링(91)과 상기 외측 링(92)에서의 상기 윤활제 그루브(93, 94)는 상기 구면 베어링(9)의 축방향에 대하여 중심에 위치되고, 서로 정렬되는, 핀붙이 키.
  20.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팅 피스톤(6)은 잠금 나사(18)에 의해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수평 보어홀(81)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핀붙이 키.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팅 피스톤(6)은 잠금 나사(18)에 의해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수평 보어홀(81)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핀붙이 키.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팅 피스톤(6)은 잠금 나사(18)에 의해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수평 보어홀(81)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핀붙이 키.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팅 피스톤(6)은 잠금 나사(18)에 의해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수평 보어홀(81)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핀붙이 키.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팅 피스톤(6)은 잠금 나사(18)에 의해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수평 보어홀(81)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핀붙이 키.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팅 피스톤(6)은 잠금 나사(18)에 의해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수평 보어홀(81)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핀붙이 키.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팅 피스톤(6)은 잠금 나사(18)에 의해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수평 보어홀(81)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핀붙이 키.
KR1020097011464A 2006-11-30 2007-11-23 핀붙이 키 KR101222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57122.3 2006-11-30
DE102006057122A DE102006057122A1 (de) 2006-11-30 2006-11-30 Flossenruder
PCT/EP2007/062769 WO2008065056A2 (de) 2006-11-30 2007-11-23 Flossenru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915A KR20090083915A (ko) 2009-08-04
KR101222099B1 true KR101222099B1 (ko) 2013-01-15

Family

ID=3933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464A KR101222099B1 (ko) 2006-11-30 2007-11-23 핀붙이 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2102059B1 (ko)
JP (1) JP4733212B2 (ko)
KR (1) KR101222099B1 (ko)
CN (1) CN101541633B (ko)
AT (1) ATE479598T1 (ko)
DE (2) DE102006057122A1 (ko)
DK (1) DK2102059T3 (ko)
ES (1) ES2351592T3 (ko)
HR (1) HRP20100597T1 (ko)
NO (1) NO338474B1 (ko)
WO (1) WO20080650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0029B1 (en) * 2010-10-18 2014-11-26 Á Bakkanum SP/F Rudder for a vessel
DE102017112143A1 (de) 2017-06-01 2018-12-06 LOEWE MARINE GmbH & Co. KG Flossenruder
KR102563291B1 (ko) * 2021-11-11 2023-08-02 이은수 선회력이 향상된 선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1822A1 (de) * 1980-10-30 1982-05-19 Willi Becker Ingenieurbüro GmbH Ruder für Seeschiffe
DE8613505U1 (de) * 1986-05-17 1986-07-10 Johannsen, Karl, Dipl.-Ing., 2000 Hamburg Ruder für Schiffe, insbesondere für schwerfällige, schwer manövrierfähige Yachten mit fischkutterähnlichen Schiffskörpern, Motorsegler und Motorboote
DE29609745U1 (de) * 1996-06-04 1996-08-29 Becker Ingbuero W Ruder für Seeschiff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198A (ja) * 1983-08-16 1985-03-06 Keisebun:Kk
DE3573415D1 (en) 1984-07-14 1989-11-09 Barkemeyer Schiffstechnik Gmbh High-efficiency flap rudder
US4756795A (en) * 1986-10-31 1988-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w card fabrication process with nickel overplate
JPH0340195A (ja) * 1989-07-07 1991-02-20 Kubota Corp 自動販売機のモータ制御装置
JPH07223590A (ja) * 1994-02-10 1995-08-22 Taiyo Giken Kk 船舶のフラップ舵のフラップ
DE20118779U1 (de) * 2001-11-20 2002-02-14 Becker Ingbuero W Ruder mit Gleitschwenkkolbenanlenkung
CN2607252Y (zh) * 2003-01-27 2004-03-24 黄火盛 具有自动调心定位装置的网版印刷机
CN1480655A (zh) * 2003-06-24 2004-03-10 吴德炳 三件套球面轴承
JP4529776B2 (ja) * 2005-04-18 2010-08-25 株式会社明電舎 軸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1822A1 (de) * 1980-10-30 1982-05-19 Willi Becker Ingenieurbüro GmbH Ruder für Seeschiffe
DE8613505U1 (de) * 1986-05-17 1986-07-10 Johannsen, Karl, Dipl.-Ing., 2000 Hamburg Ruder für Schiffe, insbesondere für schwerfällige, schwer manövrierfähige Yachten mit fischkutterähnlichen Schiffskörpern, Motorsegler und Motorboote
DE29609745U1 (de) * 1996-06-04 1996-08-29 Becker Ingbuero W Ruder für Seeschiffe
JPH1053196A (ja) * 1996-06-04 1998-02-24 Willi Becker Ing Gmbh 航洋船用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51592T3 (es) 2011-02-08
JP2010510929A (ja) 2010-04-08
WO2008065056A2 (de) 2008-06-05
HRP20100597T1 (hr) 2010-12-31
DK2102059T3 (da) 2010-12-20
JP4733212B2 (ja) 2011-07-27
NO20092456L (no) 2009-06-29
NO338474B1 (no) 2016-08-22
DE502007004965D1 (de) 2010-10-14
WO2008065056A3 (de) 2008-07-24
KR20090083915A (ko) 2009-08-04
ATE479598T1 (de) 2010-09-15
CN101541633A (zh) 2009-09-23
EP2102059B1 (de) 2010-09-01
DE102006057122A1 (de) 2008-06-05
EP2102059A2 (de) 2009-09-23
CN101541633B (zh)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754B1 (ko) 포드 드라이브
KR101222099B1 (ko) 핀붙이 키
US8104709B2 (en) Lateral force joint
EP2985442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433418B1 (ko) 수상수송수단의 플랩 러더용 연동장치
EP1208039B1 (en) Stern tube
US8573848B2 (en) Ball slide bearing and connecting device associated with a mast for hooking a gas turbine engine under an aircraft wing comprising such a bearing
KR100574379B1 (ko) 활주 선회식 피스톤 관절부를 가진 러더
EP1334025B1 (en) Stern unit for marine craft
KR20080061126A (ko) 선박용 러더
US9481440B2 (en) Watercraft propeller propulsion system having a hydraulic thrust bearing assembly
US5467728A (en) Retractable bow diving plane for a submarine
KR101335188B1 (ko) 유압공급 로터리유닛의 축정렬장치
US20050016433A1 (en)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a barge and an equipment for connecting a pusher to a barge
CN110871879B (zh) 舵板及船舶
US7147524B2 (en) Pivoting arrangement for controlling outboard drive of propulsion unit
Wind Principles of mechanisms used in controllable pitch propellers
US864875A (en) Reversible propeller for ships and boats.
CN117231640A (zh) 一种舷外可拆的密封传动装置
SU309870A1 (ru) Судовой опорный подшипник гребного вала
US20140251197A1 (en) Spring-loaded geared flap structure
JPS62268799A (ja)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用軸受潤滑装置
KR20110024548A (ko) 선박용 러더
JPH02158496A (ja) 舵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