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079B1 -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접속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접속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079B1
KR101222079B1 KR1020110047654A KR20110047654A KR101222079B1 KR 101222079 B1 KR101222079 B1 KR 101222079B1 KR 1020110047654 A KR1020110047654 A KR 1020110047654A KR 20110047654 A KR20110047654 A KR 20110047654A KR 101222079 B1 KR101222079 B1 KR 10122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floating slab
bed block
general concrete
upp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412A (ko
Inventor
장승엽
황성호
김은
양신추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47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07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05Making of concrete parts of the track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1Elastic layers other than rail-pads, e.g. sleeper-shoes, bitu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3Injecting, mixing or spraying additives into or onto ballast or under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의 플로팅 슬래브 궤도와 일반 콘크리트 궤도가 연속되도록 서로 접속함에 있어서, 일반 콘크리트 궤도 단부에 베드블럭을 설치하고, 이러한 베드블럭을 이용하여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강성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강성과 일반 콘크리트 궤도의 강성이 서로 상이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 및 그에 따른 궤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접속구조와, 이러한 접속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전방단부에는, 두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두께보다 얇은 베드블럭(21)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후방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돌출부(11)는 상기 베드블럭(21) 위에 포개져 있는 형태로 위치하되, 상기 베드블럭(21)의 상면과 베드블럭(21)의 전방면에는 탄성매트(22)가 덮여 있고, 상기 탄성매트(22)와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는 충전재가 채워져서 충전층(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접속구조가 제공되며, 아울러 이러한 접속구조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접속구조 및 그 시공방법 {Method and Structure of Connection between Normal Concrete Track and Floating Slab Track}
본 발명은 플로팅 슬래브 궤도와 일반 콘크리트 궤도가 서로 접속되는 접속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철도의 플로팅 슬래브 궤도와 일반 콘크리트 궤도가 연속되도록 서로 접속함에 있어서, 일반 콘크리트 궤도 단부에 베드블럭을 설치하고, 이러한 베드블럭을 이용하여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강성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강성과 일반 콘크리트 궤도의 강성이 서로 상이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 및 그에 따른 궤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접속구조와, 이러한 접속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철도는 운송수단으로써 중요성이 높아지며 점점 고속화하고 있다. 또한 철도 활용성 및 이용자 편의성 증대 등을 위하여 도심지 및 건물 인접구간을 통과하는 철도도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열차가 고속화되면서 기존에 비해 소음 및 진동이 증가하여 인접지역의 민원이 야기되며, 구조물의 사용성 저하, 소음진동 관련한 환경기준치의 초과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철도 및 선하역사의 소음과 진동을 감소 대책으로서 플로팅 슬래브 궤도(floating slab track)가 사용되고 있다. 플로팅 슬래브 궤도는, 열차가 지나가는 레일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슬래브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슬래브의 상면에는 레일이 배치되어 있으며, 슬래브와 지반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와 감쇠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방진장치가 배치되어 있어 슬래브가 지반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부양되어 있다. 플로팅 슬래브 궤도는 이러한 방진장치를 이용한 부양 형태의 설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철도 차량의 통과로 인하여 슬래브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플로팅 슬래브 궤도는 주로 건물 인접지역의 열차 선로 또는 선하 역사에 설치되고 있다.
열차 주행구간 중에 이러한 플로팅 슬래브 궤도가 설치되면, 부득이 지반 위에 놓여 고정되어 있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지반으로부터 부양되어 있는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접속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일반 콘크리트 궤도는 지반 위에 고정되어 있는데 반하여 플로팅 슬래브 궤도는 방진장치를 이용하여 지반 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두 궤도 사이에는 큰 강성 차이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열차가 주행할 때,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가 서로 접속되는 위치 즉, "접속부"에서의 급격한 궤도 강성의 차이로 인하로 인하여, 오히려 열차에 큰 충격이 발생하는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고속으로 주행하는 열차의 안정성이 크게 위협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플로팅 슬래브 궤도에 설치되는 방진장치의 수량을 늘리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플로팅 슬래브 궤도에서 방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 확보에 큰 제약이 있으며, 방진장치만으로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급격한 강성 변화를 해소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가 서로 접속되는 위 "접속부"에서의 궤도 강성 차이를 완화시켜서, 열차가 접속부를 지나갈 때 열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고속으로 주행하는 열차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가 서로 접속되는 접속부에서, 추가적인 방진장치의 설치 없이도, 일반 콘크리트 궤도에서 플로팅 슬래브 궤도로 진행하면서의 강성 변화가 완만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부 형성에 따른 비용을 경감함과 동시에, 좁은 공간으로 인하여 방진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가 서로 접속되는 접속부에서 일반 콘크리트의 단부에 베드블럭(Bed Block)을 설치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접속구조로서, 상기 일반 콘크리트 궤도의 전방단부에는, 지반에 놓이는 콘크리트 슬래브 부재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의 두께보다 얇은 베드블럭이 상기 일반 콘크리트 궤도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후방단부에는, 플로팅 슬래브 궤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팅 슬래브 궤도가 방진장치에 의해 지면에서부터 띄워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돌출부는 상기 베드블럭 위에 포개져 있는 형태로 위치하되, 상기 베드블럭의 상면과 베드블럭의 전방면에는 탄성매트가 덮여 있고, 상기 탄성매트와 상부돌출부의 하면 사이에는 충전재가 채워져서 충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접속구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접속구조에서, 상기 베드블럭의 전방면은 하향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돌출부에는, 충전재의 주입을 위하여 상기 상부돌출부의 하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돌출부에는, 충전재의 주입시에 베드블럭의 상면과 상부돌출부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충전재가 채워져서 충전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배출공이 상기 상부돌출부의 하면까지 관통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접속구조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놓이는 콘크리트 슬래브 부재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의 두께보다 얇은 베드블럭이 상기 일반 콘크리트 궤도의 전방단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일반 콘크리트 궤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베드블럭의 상면과 전방면을 탄성매트로 덮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플로팅 슬래브 궤도를 제작하되, 상기 베드블럭을 덮고 있는 탄성매트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플로팅 슬래브 궤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돌출부가 상기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후방단부에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돌출부가 상기 탄성매트 위에 접하여 놓이도록 플로팅 슬래브 궤도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플로팅 슬래브 궤도를 들어 올려 플로팅 슬래브 궤도를 지반으로부터 띄우고 방진장치를 플로팅 슬래브 궤도와 지반 사이에 설치하여,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상부돌출부가 베드블럭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베드블럭의 상면과 상부돌출부의 하면 사이에는 간격이 생기도록 하는 단계; 및 베드블럭의 상면과 상부돌출부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충전재를 채워서 베드블럭의 상면과 상부돌출부의 하면 사이에 충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접속구조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접속부에서, 일반 콘크리트 궤도에 형성된 베드블럭 위에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돌출된 상부돌출부가 포개져 위치하되, 베드블럭과 상부돌출부 사이에는 탄성매트 및 충전층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일반 콘크리트 궤도로부터 플로팅 슬래브 궤도로 가면서 지지강성 변화가 완만해져서 추가적인 방진장치가 필요 없게 되며, 방진방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일부러 확보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되므로 좁은 공간으로 인하여 방진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되며, 방진장치의 불사용을 통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궤도 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구조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접속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접속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 2에 대응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구조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접속부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에서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향하여 바라보는 방향 즉, 도 1의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을 "전방"이라고 기재하며,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에서 일반 콘크리트 궤도(20)를 향하여 바라보는 방향 즉, 도 1의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을 "후방"이라고 기재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와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접속 구조에서는, 전방을 향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단부(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전방단부)에는 베드블럭(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드블럭(21) 위에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돌출된 후방단부가 놓여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로 이루어진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전방단부(플로팅 슬래브 궤도와 접속되는 방향의 단부)에는 베드블럭(21)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지반 위에 놓여 있다. 상기 베드블럭(21)은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마찬가지로 지반에 직접 놓이는 콘크리트 슬래브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그 폭은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동일하지만 그 수직 높이 즉, 두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두께보다 얇다. 따라서 접속부에서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전방단부는 위와 같이 하부에서 베드블럭(21)이 플로팅 슬래브 궤도(10)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어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베드블럭(21)과 일반 콘크리트 궤도(20)가 일체를 이루고 있는데, 이와 같이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제작시에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일체를 이룬 상태로 상기 베드블럭(21)이 제작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베드블럭(21)은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 제작되어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전방단부 앞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접속부에서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후방단부(일반 콘크리트 궤도(20) 방향으로의 단부)에는 상부에 베드블럭(21) 위를 덮게 되는 상부돌출부(11)가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11)의 두께는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10)가 접속되는 접속부에서, 상기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상면과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상면이 동일 높이에 있도록 플로팅 슬래브 궤도(10)가 부양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상부돌출부(11)는 상기 베드블럭(21) 위에 포개져 있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 때, 베드블럭(21) 위에 상부돌출부(11)가 직접 닿도록 포개지는 것이 아니라,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는 탄성매트와 충전층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해서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접속구조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 2에 대응되는 측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베드블럭(21)을 형성한다. 즉, 상기 일반 콘크리트 궤도(20)를 지반 위에 설치하되,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전방단부에는, 지반에 놓이는 콘크리트 슬래브 부재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두께보다 얇은 베드블럭(21)이 위치하여, 베드블럭(21)이 상기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전방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베드블럭(21)이 형성되도록 일반 콘크리트 궤도(20)가 설치되면, 베드블럭(21)의 상면과 베드블럭(21)의 전방 외면(전방면)을 고무판이나 합성수지판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매트(22)를 덮는다. 본 발명에서 베드블럭(21) 위에 탄성매트(22)를 덮음으로써, 접속부의 강성을 일반 콘크리트 궤도(20)보다 낮추게 되는데, 탄성매트(22)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탄성이 증가하여 궤도의 강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것처럼, 궤도의 강성을 일반 콘크리트 궤도(20)로부터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로 가면서 점차로 줄어들도록 하기 위하여, 베드블럭(21) 위에 덮이는 탄성매트(22)의 면적을 일반 콘크리트 궤도(20)로부터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로 가면서 점차로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매트(22) 자체의 강성도 점차로 변화되도록 하게 되면, 후술하는 것처럼,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10) 간의 강성 차이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때, 좀더 완만한 강성 변화를 이룰 수 있게 되어, 열차 주행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물론 탄성매트(22)의 면적은 일정하게 하면서, 강성이 다른 재질로 탄성매트(22)를 제작할 수도 있다. 즉,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가까운 위치는 강성이 상대적으로 큰 재질로 만들어진 탄성매트(22)를 포설하고,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에 가까운 위치는 강성이 상대적으로 작은 재질로 만들어진 탄성매트(22)를 포설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베드블럭(21)의 전방면은 수직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전방으로 가면서 하향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것처럼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인양할 때, 베드블럭(21)의 전방면이 손상되지 않고 플로팅 슬래브 궤도(10)가 원활하게 인양될 수 있도록 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베드블럭(21)의 전방면의 경사구배(경사면을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을 그렸을 때, 수평한 부분의 변의 길이와 수직한 부분의 변의 길이 비)는 약 1:20로 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후속하여 베드블럭(21)에 탄성매트(22)를 덮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베드블럭(21)의 위쪽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제작한다. 즉, 탄성매트(22)가 덮여있는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측면이,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후방단부 하면을 형성하는 거푸집으로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플로팅 슬래브 궤도(10)가 제작되면, 크레인 장치 등을 이용하여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지반에서 소정 높이로 띄워서 지지할 수 있는 공지의 방진장치(15)를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와 지반 사이에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 방진장치의 구성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이러한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에서 방진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및 설치되는 구체적인 구성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공지의 방진장치가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와 지반 사이에 설치되면,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는 지반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띄워져 있는 상태가 되는데, 그에 따라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상부돌출부(11)도 베드블럭(21)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고,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는 간격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간격 즉,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무수축 모르타르 등과 같은 충전재를 채움으로써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 충전층(3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플로팅 슬래브 궤도(10)가 방진장치에 의해 지지되어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상부돌출부(11) 하면과 베드블럭(21)의 상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게 된 상태에서, 상부돌출부(11)의 최후방단부 아래 위치와, 베드블럭(21)의 최전방단부 상단 위치에 각각 충전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밀봉재(31)를 각각 배치한다. 밀봉재(31)를 배치할 때에는, 밀봉재(31)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크레인 등을 이용하거나 또는 방진장치 자체의 승하강 기능을 이용하여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밀봉재(31) 설치 간격 이상으로 더 들어 올린 상태에서 밀봉재(31)를 설치하고, 밀봉재(31)가 설치된 후, 다시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원래의 부양된 위치로 내리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11)에는, 상부돌출부(11)의 하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주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밀봉재(31)의 배치 후에는 상부돌출부(11)의 상기 주입구(110)를 통해서 무수축 모르타르 등과 같은 충전재를 주입하게 되고, 주입된 충전재가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채워져서 충전층(30)을 이루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조가 완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부(11)에 주입구(110)와 별도로 상부돌출부(11)의 하면까지 관통되는 공기배출공(111)을 추가로 형성하게 되면, 충전재가 주입될 때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재가 충실하게 채워져서 상기 공기배출공(111)을 통해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여 충전층(30)의 충실한 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접속구조에서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에 형성된 베드블럭(21) 위에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돌출된 상부돌출부(11)가 포개져 위치하되, 베드블럭(21)과 상부돌출부(11) 사이에는 탄성매트(22) 및 충전층(30)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베드블럭(21) 위에 탄성매트(22)가 설치되고 그 위쪽으로 충전층(30)이 형성된 상태에서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상부돌출부(11)가 놓인 접속부는, 그 강성계수가 일반 콘크리트 궤도(20)보다는 작지만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보다는 큰 값을 갖는다.
일반 콘크리트 궤도(20)는 지반 위에 놓여 있는데 반하여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는 방진장치에 의해 지지되어 지반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부양되어 있으므로,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강성계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20)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즉,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는 그 강성계수가 큰 차이를 가지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접속부 즉, 강성계수가 일반 콘크리트 궤도(20)보다는 작지만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보다는 큰 값을 갖는 접속부가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10) 사이에 존재하게 되므로, 일반 콘크리트 궤도(20)로부터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향하여 가면서 강성의 변화가 완만해지고, 따라서 열차가 접속부를 지나갈 때 궤도 강성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열차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되며, 주행하는 열차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접속부에 방진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탄성을 가지는 탄성매트(22)와 충전층(30)을 이용하고,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일부분과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일부분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방진방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일부러 확보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되므로 좁은 공간으로 인하여 방진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되며, 방진장치의 불사용을 통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궤도 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도면에서는 편의상 레일 및 침목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지반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부양한 상태로 지지하는 방식은 위에서 예시한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10: 플로팅 슬래브 궤도
20: 일반 콘크리트 궤도
21: 베드블럭
22: 탄성매트
30: 충전층

Claims (3)

  1.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접속구조로서,
    상기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전방단부에는, 지반에 놓이는 콘크리트 슬래브 부재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두께보다 얇은 베드블럭(21)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후방단부에는,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팅 슬래브 궤도(10)가 방진장치에 의해 지면에서부터 띄워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돌출부(11)는 상기 베드블럭(21) 위에 포개져 있는 형태로 위치하되, 상기 베드블럭(21)의 상면과 베드블럭(21)의 전방면에는 탄성매트(22)가 덮여 있고, 상기 탄성매트(22)와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는 충전재가 채워져서 충전층(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블럭(21)의 전방면은 하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돌출부(11)에는, 충전재의 주입을 위하여 상기 상부돌출부(11)의 하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주입구(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돌출부(11)에는, 충전재의 주입시에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충전재가 채워져서 충전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공(111)이 상기 상부돌출부(11)의 하면까지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접속구조.
  3.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접속구조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놓이는 콘크리트 슬래브 부재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두께보다 얇은 베드블럭(21)이 상기 일반 콘크리트 궤도(20)의 전방단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일반 콘크리트 궤도(2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전방면을 탄성매트(22)로 덮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제작하되, 상기 베드블럭(21)을 덮고 있는 탄성매트(22)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돌출부(11)가 상기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후방단부에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돌출부(11)가 상기 탄성매트(22) 위에 접하여 놓이도록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들어 올려 플로팅 슬래브 궤도(10)를 지반으로부터 띄우고 방진장치(15)를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와 지반 사이에 설치하여, 플로팅 슬래브 궤도(10)의 상부돌출부(11)가 베드블럭(21)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는 간격이 생기도록 하는 단계; 및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충전재를 채워서 베드블럭(21)의 상면과 상부돌출부(11)의 하면 사이에 충전층(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접속구조 시공방법.
KR1020110047654A 2011-05-20 2011-05-20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접속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22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54A KR101222079B1 (ko) 2011-05-20 2011-05-20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접속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54A KR101222079B1 (ko) 2011-05-20 2011-05-20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접속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412A KR20120129412A (ko) 2012-11-28
KR101222079B1 true KR101222079B1 (ko) 2013-01-15

Family

ID=4751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654A KR101222079B1 (ko) 2011-05-20 2011-05-20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접속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5243B (zh) * 2013-10-11 2016-01-06 隔而固(青岛)振动控制有限公司 浮置板道床中预制式浮置板的安装顶升调平方法
CN103485242B (zh) * 2013-10-11 2016-01-20 隔而固(青岛)振动控制有限公司 浮置道床中预制式短浮置板的安装调平方法
CN104328717B (zh) * 2014-09-30 2016-02-10 廊坊合力天一机械设备有限公司 Crtsⅲ型板式无砟轨道自密实混凝土浇筑工装及方法
CN106522034B (zh) * 2016-12-30 2018-03-30 隔而固(青岛)振动控制有限公司 轨道浮置道床
CN110700025B (zh) * 2019-09-19 2021-03-19 广州比美强机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基于电磁悬浮滑梭的节点网压的浮置板轨道隔振系统
CN111155361B (zh) * 2020-01-08 2021-03-26 中国电建集团铁路建设有限公司 地铁可更换框架式减振浮置板道床施工方法
CN111155362B (zh) * 2020-01-20 2024-04-12 中南大学 浮置板轨道单元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510A (ko) * 2008-08-29 2010-03-10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c 보 연결 부재, 상기 pc 보 연결 부재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 상기 콘크리트 구조 형성에 사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의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510A (ko) * 2008-08-29 2010-03-10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c 보 연결 부재, 상기 pc 보 연결 부재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 상기 콘크리트 구조 형성에 사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의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412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079B1 (ko) 일반 콘크리트 궤도와 플로팅 슬래브 궤도 간의 접속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11811B1 (ko) 슬래브 트랙웨이 제조 방법
MX2007009521A (es) Traviesa de ferrocarril.
CN107724188A (zh) 一种预制式浮置板道床隔振系统
KR102135562B1 (ko) 매립형 철도궤도의 설치구조 및 이를 위한 고정블럭
KR101688427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 부유철도궤도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CN101775761A (zh) 减振道垫及采用该减振道垫的整体道床轨道铺设方法
KR20120039429A (ko) 철도궤도용 프리캐스트 레일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CN207062650U (zh) 一种适用于盾构侵限地段的减振浮置板道床结构
KR100948279B1 (ko)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JP4816503B2 (ja) 埋設レール装置
CN203546537U (zh) 一种放置于梯形轨枕道床上的降噪装置
KR20130035150A (ko) 매립식 레일 구조
KR101674513B1 (ko) 현장경화 탄성재를 이용한 이중방진매립궤도
KR20140023724A (ko) 복합적 방진구조를 갖는 철도궤도
CN103255686B (zh) 一种无砟轨道防脱空弹性减振垫层
US8752773B2 (en) Grade crossing interface pad
CN102605684B (zh) 低高度装配式弹性短枕式整体道床及其施工方法
CN210288098U (zh) 桥梁伸缩缝防尘装置及其防尘减震装置
CN209194247U (zh) 一种预制式浮置板道床隔振系统
CN211646031U (zh) 一种适用于新型桥台刚构桥的减震结构
US8662407B2 (en) Railroad grade cross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KR200467321Y1 (ko) 철로용 근접 방음벽
KR100296771B1 (ko) 진동방지를위한부유궤도구조및그시공방법
KR20180003135U (ko) 콘크리트 침목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