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919B1 -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 - Google Patents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919B1
KR101220919B1 KR1020100125236A KR20100125236A KR101220919B1 KR 101220919 B1 KR101220919 B1 KR 101220919B1 KR 1020100125236 A KR1020100125236 A KR 1020100125236A KR 20100125236 A KR20100125236 A KR 20100125236A KR 101220919 B1 KR101220919 B1 KR 101220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ne
tank
salt
supply
pick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154A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주)라이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라이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12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9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수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염수의 농도를 측정하고 농도를 조절하여 염수탱크에 필요한 농도의 염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염수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염수측정기(1000)는, 염수공급부(1400)에서 공급된 염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공급된 염수가 일정한 수위를 넘게 되면 염수가 흘러넘쳐서 배출되도록 한 오버플로우부(1110)를 갖춘 염수계량탱크(1100)와, 상기 염수계량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염수와 염수계량탱크를 합한 무게를 전자적인 신호로 계량하도록 된 계량수단(1200)과, 상기 계량수단에서 염수와 염수계량탱크를 합한 무게를 계량한 값이 최대설정된 무게 보다 더 많이 측정된 경우에는 소금탱크(2003)에 신호를 보내어 소금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BRINE WATER PREPARED DEVICE AND VEGETABLES PICKL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염수의 농도를 측정하고 농도를 조절하여 염수탱크에 필요한 농도의 염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먹거리용 각종 채소중 특히, 배추는 공장을 통해 김치로 제조된 후 일반인에게 판매되는 하나의 상품으로 자리 매겨진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배추를 이용한 김치 제조는 다단계 제조 공정과 많은 작업인원도 요구되므로, 상품으로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자동화 공정이 필요하다.
특히, 배추를 절이는 공정에서는 많은 양의 염수가 요구되므로, 대형 김치 제조공장에서는 사용되는 염수를 미리 만들어 놓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염수 제조는 절여지는 배추 수량에 비례하는데 일례로, 배추 10톤을 절이려면 염수는 10톤 이상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염수 제조는 물에 소금을 녹여 만들므로 통상, 10%농도의 염수 10톤 제조시 적어도 1톤의 소금을 사용한다.
대형 김치 제조공장에서는 염수의 공급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하는 공정상 보다 많은 염수를 빠르고 지속적으로 만들어 줄 필요가 있으므로, 별도의 소금 용해조에 물과 소금을 섞은 다음 교반기로 교반 용해한 후, 이를 별도의 염수 탱크에 저장한 다음 필요시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통상, 염수를 이용해 배추를 절이므로 염수가 저장된 염수 탱크와 배추절임공정사이로는 염수 순환 라인으로 절임 자동화 공정을 형성하며, 염수는 염수 탱크와 배추절임공정사이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배추를 절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임 자동화 공정이 반복 순환되는 특성상, 한번 제조된 염수는 반복 횟수가 늘어날수록 그 농도가 낮아지는 즉, 초기 1회시 사용된 염수 농도에 비해 배추 절임이 10회 반복된 후 염수 농도가 매우 낮게 될 수밖에 없고, 이는 절임 배추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를 제공한다.
배추 절임 불량은 제조된 상품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발생하므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해 낮아진 염수 농도 문제를 해소하는데, 일례로, 낮은 농도의 염수로 절여지는 배추로 직접 소금을 뿌려주는 방식이 있지만, 이는 대량 생산시 작업의 비효율성은 물론 작업자에 의한 품질 불량을 더욱 증가시키므로 현장 적용이 불가능한 방식이다.
보다 자동화된 방식으로는 염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 방식이 있는데, 이는 센서를 이용해 절임조에 공급된 염수의 농도를 측정한 후, 낮은 농도의 염수쪽 절임조로 높은 농도의 염수를 공급해 적절한 농도를 맞추어주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센서를 이용해 염수 농도를 측정하고 필요시 높은 농도의 염수를 보충해 주는 방식은 비용을 고려할 때, 현장 적용성이 극히 낮은 문제가 있다.
즉, 대량 생산시 배추를 절이는 절임조를 수십개 이용하므로 센서도 동일한 수량이 필요하고, 센서를 통해 각각 다른 값으로 측정된 염수 농도를 갖는 각 절임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통상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적용하고, 이들 사이로 각 제어 밸브를 구비한 염수 라인이 필요하므로, 효과대비 복잡성은 물론 비용 상승이 큰 단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염수의 농도를 염수를 수용한 염수계량탱크와 염수의 중량을 계량수단으로 측정하고 최대설정중량 이상이면 소금탱크에 신호를 보내 소금의 배출을 차단하고 최소설정중량 이하이면 소금탱크에 신호를 보내 소금을 배출하도록 함으로서 염수의 농도를 조절하여 염수탱크에 필요한 농도의 염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염수측정기는, 염수공급부에서 공급된 염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공급된 염수가 일정한 수위를 넘게 되면 염수가 흘러넘쳐서 배출되도록 한 오버플로우부를 갖춘 염수계량탱크와, 상기 염수계량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염수와 염수계량탱크를 합한 무게를 전자적인 신호로 계량하도록 된 계량수단과, 상기 계량수단에서 염수와 염수계량탱크를 합한 무게를 계량한 값이 최대설정된 무게 보다 더 많이 측정된 경우에는 소금탱크에 신호를 보내어 소금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염수측정기는, 상기 제어부는, 계량수단에서 염수와 염수계량탱크를 합한 무게를 계량한 값이 설정된 무게 보다 더 적게 측정된 경우에는 소금탱크에 신호를 보내어 소금을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염수측정기는, 상기 염수공급부는 염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부에서 배출된 염수를 배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염수배출부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염수측정기는, 상기 계량수단은 공장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계량수단의 하부이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오버플로우부에서 배출된 염수를 수용하도록 된 오버플로우수용탱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오버플로우수용탱크에는 상기 염수배출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염수측정기는, 상기 염수공급부의 염수공급단이 염수계량탱크의 내측 하부까지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염수측정기는, 상기 제어부는 염수탱크에서 염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에 연결된 밸브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염수측정기에 의하면, 염수의 농도가 높아 짐에 따라 염수의 중량이 높아지는 것을 이용하여 염수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정한 농도의 염수를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염수측정기에 의하면, 배추절임공정의 반복으로 낮아진 염수 농도를 신속하게 올려주므로, 염수 농도로 인한 절임 공정의 중단 현상 없이 최적의 배추 절임 상태를 유지해 품질 향상은 물론, 생산성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채소절임장치에 의하면, 염수측정기가 배추절임공정을 함께 공유하면서도 독립적으로 염수를 제조해 공급하므로,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최적화하면서도 적정 농도의 염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염수측정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염수측정기를 구비한 채소절임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염수측정기(10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염수공급부(1400)에서 공급된 염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공급된 염수가 일정한 수위를 넘게 되면 염수가 흘러넘쳐서 배출되도록 한 오버플로우부(1110)를 갖춘 염수계량탱크(1100)와, 상기 염수계량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염수와 염수계량탱크를 합한 무게를 전자적인 신호로 계량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셀과 같은 계량수단(1200)과, 상기 계량수단에서 염수와 염수계량탱크를 합한 무게를 계량한 값이 최대 설정된 무게 보다 더 많이 측정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소금탱크(2003)에 신호를 보내어 소금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염수공급부(1400)에서 공급되는 염수가 염수계량탱크(1100)로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일정한 수위를 넘게 되면 상기 오버플로우부(1110)로 염수가 흘러넘치게 되면서 상기 염수계량탱크(1100)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의 염수가 수용되게 된다. 또 일정한 수위의 염수와 염수계량탱크(1100)는 상기 계량수단(1200)에 의해 계량되어 전자적인 신호를 중량을 검출하게 되고, 이 검출된 값은 제어부(1300)로 보내지면서 중량을 검출한 값이 최대설정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제어부(1300)에서 소금탱크(2003)로부터 공급되는 소금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0)는, 상기 계량수단(1200)에서 염수와 염수계량탱크(1100)를 합한 무게를 계량한 값이 최소 설정된 무게 보다 더 적게 측정된 경우에는 소금탱크에 신호를 보내어 소금의 공급을 시작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0)는 계량수단(1200)에서 측정한 중량에 따라 소금탱크에서 소금을 공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염수공급부(1400)는 펌프(1410)가 구비되어 염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부(1110)에서 배출된 염수를 배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펌프(1510)를 포함하는 염수배출부(1500)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염수공급부(1400)와 염수배출부(1500)에 의해 염수계량탱크(1100)에 지속적으로 염수를 공급하고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계량수단(1200)은 공장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 프레임(16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계량수단의 하부이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오버플로우부(1110)에서 배출된 염수를 수용하도록 된 오버플로우수용탱크(17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오버플로우수용탱크(1700)에는 상기 염수배출부(1500)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600)에 의해 오버플로우수용탱크(1700)가 염수계량탱크(1100)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장의 넓은 면적을 사용하지 않고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염수공급부(1400)의 염수배출단은 염수계량탱크(1100)의 하부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염수공급단이 상기 염수계량탱크(1100)의 내측 하부까지 위치하도록 하여 염수가 공급될 때 염수의 출렁임을 방지하여 염수의 공급시 중량을 개량하는데 따른 오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0)는 염수탱크에서 염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에 연결된 밸브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염수의 염도를 측정한 결과 염수계량탱크(1100)의 중량이 10㎏이고, 물 2000㎖를 염수계량탱크(1100)에 넣은 경우에 계량수단(1200)에는 중량이 12㎏으로 표시되고, 물 2000㎖의 염도가 5%일 때 계량수단(1200)에는 중량이 12.085㎏으로 표시되며, 물 2000㎖의 염도가 7.5%일 때 계량수단(1200)에는 중량이 12.1275㎏으로 표시되고, 2000㎖의 염도가 10%일 때 계량수단(1200)에는 중량이 12.170㎏으로 표시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0)에서 10kg의 중량을 갖는 염수계량탱크(1100)에 순수한 물 2톤의 염수를 저장할 수 있는 경우에 2010㎏으로 표시되고, 최대염도설정값을 10%라고 했을때 계량수단(1200)에는 2170㎏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에서는 2170㎏을 최대염도설정값으로 인식하게 된다. 즉, 상기 계량수단(1200)에서 2170㎏이상이 되면 제어부(1300)에서 소금탱크의 소금배출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계량수단(1200)에서 2,135㎏이하를 표시하게 되면 최저염도설정값으로 인식하게 되고, 제어부에서 소금탱크의 소금배출을 지시하게 되어 염수의 염도를 조정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염수측정기(1000)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에 대해 도 3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염수측정기를 구비한 채소절임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소금을 자동으로 투입하여 염수를 제조해 염수탱크(2001)로 저장하는 염수제조공정을 위한 염수조절기를 구비하고, 염수탱크(2001)에 저장된 염수를 배추를 절이는 절임조(A)쪽으로 공급하고, 다시 염수탱크(2001)쪽으로 회수하는 절임 공정을 위한 절임 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염수제조공정과 배추절임공정은 각 장치들과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제어부(1300)를 이용해 완전 자동이나 반자동으로 구현하며, 이를 위한 제어 회로 구성은 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염수측정기(1000)와 채소절임장치(2000)의 제어부(1300)는 설정된 염수 농도와 염수 제조 시간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일반적으로 PLC(Programmable Ladder Logic)방식을 적용해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추절임장치도 염수 농도에 따른 절임 시간과 염수 순환 주기 및 횟수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일반적으로 PLC(Programmable Ladder Logic)방식을 적용해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염수측정기(1000)는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상기 염수측정기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라인(2005)이 위치된 염수제조통(2006)을 갖추고, 상기 염수제조통(2006)으로 이어진 소금배출관(2004)을 통해 소금을 공급하도록 소금이 저장된 소금탱크(2003)와 더불어, 상기 염수제조통(2006)에서 제조된 염수를 저장하는 염수탱크(2001)를 갖춘다.
상기와 같은 소금탱크(2003)는 소금 배출량을 조절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동력원을 갖추며, 이는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뽑아내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을 적용하거나 또는, 동일한 작용을 하는 다양한 방식을 적용해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물공급라인(2005)에는 밸브(2005a)가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2005a)는 수동 조작 방식인 콕 밸브나 또는, 제어부(1300)를 통해 온/오프(On/Off)되는 제어 밸브를 적용한다.
상기와 같은 염수제조통(2006)은 물과 소금이 함께 투여된 상태에서 소금의 용해 속도를 높이도록 교반 수단이 설치되며, 이러한 교반 수단은 동 분야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방식을 동일하게 적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소절임장치(2000)에는 회수펌프(2008)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회수펌프(2008)는 염수제조통(2006)의 염수를 염수탱크(2001)쪽으로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회수펌프(2008)는 회수연결라인(2009a)으로 염수제조통(2006)에 이어지고, 회수라인(2009)으로 염수탱크(2001)에 이어지므로, 회수펌프(2008)가 구동되면 염수제조통(2006)쪽 염수가 회수연결라인(2009a)으로 빠져나와 회수라인(2009)을 통해 염수탱크(2001)쪽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염수제조통(2006)에는 수위를 검출해 염수 배출을 위한 회수펌프(2008)의 구동 시기 판단에 도움을 주는 수위감지기(2007)를 더 갖춘다.
상기 염수측정기(1000)는 염수탱크(2001)의 주변에 다양한 위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염수측정기(1000)와 수위감지기(2007)는 제어부(1300)과 신호 회로를 구성하므로, 제어부(1300)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측정값을 바탕으로 실시간 제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추절임장치는 염수탱크(2001)와 배추를 절이는 절임조(A)사이로 염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사용된 염수가 염수제조통(2006)으로 모여진 후 회수펌프(2008)를 통해 염수탱크(2001)에 회수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배추절임장치는 염수탱크(2001)에 이어진 공급연결라인(2011)을 통해 염수를 배출하는 공급펌프(2010)를 갖추고, 배추를 절이는 각 절임조(A)쪽으로 분기된 공급분배라인(2013a,2013b)으로 염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공급펌프(2010)에서 이어진 공급라인(2012)을 갖추며, 복귀분배라인(2020a,2020b)을 통해 각 절임조(A)에서 배출되는 염수를 염수제조통(2006)쪽으로 배출하는 복귀라인(2020)을 갖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복귀라인(2020)에는 절임조(A)에 채워진 염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2022)가 더 설치되며, 상기 수위감지기(2022)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1300)는 공급펌프(2010)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급라인(2012)과 복귀라인(2020)에는 각각 밸브(2012a,2021)가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2012a,2021)는 수동 조작 방식인 콕 밸브나 또는, 제어부(1300)를 통해 온/오프(On/Off)되는 전자제어밸브를 적용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급라인(2012)에는 염수제조통(2006)으로 분기되는 바이패스라인(2014)을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바이패스라인(2014)은 제조된 염수가 적정 농도에 미달되거나 초과 될 때, 염수탱크(2001)의 염수를 빼내어 적정 농도로 다시 제조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바이패스라인(2014)은 상기 공급라인(2012)의 밸브(2012a)의 앞쪽에서 분기되며, 별도의 밸브(2014a)를 갖추며, 상기 밸브(2014a)는 수동 조작 방식인 콕 밸브나 또는, 제어부(1300)를 통해 온/오프(On/Off)되는 전자제어밸브를 적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0)는 상술된 염수측정기와 배추절임장치를 구성하는 각 밸브(2005a,2012a,2014a,2021)와 동력원인 펌프(2008,2010)와 모터는 물론, 염수측정기(1000)와 수위감지기(2007)의 신호를 받아 처리함과 더불어, 필요한 설비들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고, 염수 농도와 순환을 위한 다양한 제어를 구현하는데, 이는 동 분야에서 적용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염수를 제조하는 소금이 저장된 소금탱크(2003)를 통해 소금을 자동 투입하면서 염수를 제조할 수 있고, 염수가 제조된 후에도 적정 농도를 맞추기 위해 바이패스라인(2014)을 부가해 피드백(Feedback)공정을 구현함은 물론, 염수탱크(2001)에 저장된 염수를 공급해 배추를 절인 후 다시 회수하면서 반복적인 사용이 이루어지더라도 항상 최적의 농도로 맞춘 염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염수측정기를 이용한 염수제조의 자동화 공정은, 일정 농도의 염수를 제조하려면 먼저, 제어부(1300)를 통해 적정 염수 농도를 위한 소금 투입량을 설정한 후, 물공급라인(2005)의 밸브(2005a)를 열어 염수제조통(2006)에 물을 채운다.
이때, 상기 물공급라인(2005)의 밸브(2005a)만 열리고, 다른 밸브(2012a,2014a,2021)들은 모두 잠긴 상태로서, 이는 밸브의 종류에 따라 제어부(1300)를 이용하거나 수동으로 조작한다.
또한, 펌프(2008,2010)도 구동하지 않는다.
이어, 상기 제어부(1300)가 염수제조통(2006)에 설치된 수위감지기(2007)를 통해 염수제조통(2006)에 채워진 물의 적절함을 인식하면, 밸브(2005a)를 잠그고 소금탱크(2003)쪽 동력원을 가동해 소금배출관(2004)을 통해 설정된 소금량을 염수제조통(2006)으로 투입시킨다.
상기 염수제조통(2006)으로 물과 함께 소금이 투입된 후 교반기를 가동해 소금과 물의 용해를 촉진한 다음,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회수펌프(2008)를 가동한다.
상기와 같이 회수펌프(2008)가 가동되면, 염수제조통(2006)의 염수가 회수연결라인(2009a)과 회수라인(2009)을 통해 염수탱크(2001)쪽으로 채워지며, 이와 같은 염수 제조는 염수탱크(2001)가 채워질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상기 염수탱크(2001)에 채워진 염수는 염수탱크(2001)에 연결설치된 염수측정기(1000)로 공급과 회수를 반복하게 되면서 염수 농도를 측정한 후, 만약 염수 농도가 저하되거나 제조시 설정값에 미달된 경우 피드백 공정을 가동한다.
즉, 상기 바이패스라인(2014)의 밸브(2014a)를 열고 공급펌프(2010)를 가동하면, 염수탱크(2001)에 저장된 염수가 공급연결라인(2011)과 공급라인(2012)을 거쳐 바이패스라인(2014)을 통해 염수제조통(2006)으로 배출된다.
이때, 밸브(2005a,2012a,2021)는 닫힌 상태이며, 회수펌프(2008)도 가동하지 않는다.
수위감지기(2007)를 통해 염수제조통(2006)에 채워진 물의 적절함을 인식하면, 공급펌프(2010)의 구동을 중지하고 바이패스라인(2014)의 밸브(2014a)를 닫은 후, 소금탱크(2003)쪽 동력원을 가동해 소금배출관(2004)을 통해 설정된 소금량을 염수제조통(2006)으로 투입시킨다.
이어, 상기 염수제조통(2006)내 설치된 교반기를 가동해 염수를 만든 후, 회수펌프(2008)를 가동해 염수제조통(2006)의 염수를 염수탱크(2001)쪽으로 채우고, 이와 같은 과정은 염수측정기(1000)에서 측정된 염수 농도가 설정값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염수가 염수탱크(2001)에 채워진 후 배추절임공정을 시작하게 되는 바, 배추절임공정이 이루어지면, 회수펌프(2008)의 구동은 멈추고 공급펌프(2010)를 구동하며, 밸브(2005a,2014a,2021)를 닫고 공급라인(2012)의 밸브(2012a)만을 열어준다.
상기 공급펌프(2010)의 구동으로 염수탱크(2001)에서 배출되는 염수는 공급연결라인(2011)과 공급라인(2012)을 거친 후, 상기 공급라인(2012)에서 분기된 공급분배라인(2013a,2013b)을 통해 배추를 절이는 각 절임조(A)를 채우게 된다.
상기 절임조(A)에 채워진 염수는 염수를 배출하는 복귀라인(2020)에 구비된 수위감지기(2022)를 통해 측정되고, 상기 수위감지기(2022)의 감지 신호를 받은 제어부(1300)는 공급펌프(2010)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이어, 염수가 채워진 절임조(A)를 이용해 배추가 충분히 절여지고 나면, 복귀라인(2020)에 구비된 밸브(2021)를 열어 절임조(A)의 염수를 배출시킨다.
이후 염수의 회수시에는 복귀라인(2020)에 구비된 밸브(2021)만 열리고 나머지 밸브(2005a,2012,2014a)들은 닫힌 상태이며, 회수펌프(2008)와 공급펌프(2010)도 아직 가동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절임조(A)의 염수가 복귀분배라인(2020a,2020b)으로 모아져 복귀라인(2020)을 거친 후 염수제조통(2006)쪽으로 배출되면, 수위감지기(2007)를 통해 염수제조통(2006)의 수위를 측정한 제어부(1300)는 충분한 수위일 때 회수펌프(2008)를 가동한다,
상기 회수펌프(2008)가 가동되면, 염수제조통(2006)의 염수가 염수탱크(2001)쪽으로 다시 회수되며, 이와 같은 과정은 절임조(A)의 염수가 모두 회수될 때 까지 반복 수행한다.
한편, 배추절임공정을 거쳐 염수탱크(2001)쪽으로 다시 회수된 염수는 염수측정기(1000)를 통해 농도가 측정되고, 반복된 사용으로 인해 염수 농도가 낮아진 상태가 되면 제어부(1300)는 다시 염수 농도를 적절하게 맞추는 공정을 시행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은 피드백 공정과 동일한데 즉, 바이패스라인(2014)의 밸브(2014a)를 열고 공급펌프(2010)를 가동해 농도가 저하된 염수를 염수탱크(2001)에서 빼내 염수제조통(2006)으로 배출한다.
상기 수위감지기(2007)를 통해 염수제조통(2006)에 적정량이 채워지면, 공급펌프(2010)를 멈추고 바이패스라인(2014)의 밸브(2014a)를 닫은 후, 소금탱크(2003)쪽 동력원을 가동해 소금배출관(2004)을 통해 설정된 소금량을 염수제조통(2006)으로 투입한 다음, 염수제조통(2006)내 설치된 교반기를 가동해 설정된 농도에 맞는 염수를 다시 만들어 준다.
이어, 염수 제조가 완료되면 회수펌프(2008)를 가동해 염수제조통(2006)의 염수를 염수탱크(2001)쪽으로 다시 채우고, 이와 같은 과정을 염수측정기(1000)에서 측정된 염수 농도가 설정값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해 수행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 염수측정기 1100 : 염수계량탱크
1110 : 오버플로우부 1200 : 계량수단
1300 : 제어부 1400 : 염수공급부
1500 : 염수배출부 1600 : 프레임
1700 : 오버플로우수용탱크 A : 절임조
2000 : 채소절임장치 2001 : 염수 탱크
2003 : 소금탱크 2004 : 소금 배출관
2005 : 물공급라인 2005a,2012a,2014a,2021 : 밸브
2006 : 염수제조통 2007,2022 : 수위 감지기
2008 : 회수 펌프 2009a : 회수연결라인
2009 : 회수라인 2010 : 공급 펌프
2011 : 공급연결라인 2012 : 공급라인
2013a,2013b : 공급분배라인 2014 : 바이패스 라인
2020 : 복귀라인 2020a,2020b : 복귀분배라인

Claims (7)

  1. 염수공급부(1400)에서 공급된 염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공급된 염수가 일정한 수위를 넘게 되면 염수가 흘러넘쳐서 배출되도록 한 오버플로우부(1110)를 갖춘 염수계량탱크(1100)와,
    상기 염수계량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염수와 염수계량탱크를 합한 무게를 전자적인 신호로 계량하도록 된 계량수단(1200)과,
    상기 계량수단에서 염수와 염수계량탱크를 합한 무게를 계량한 값이 최대설정된 무게 보다 더 많이 측정된 경우에는 소금탱크(2003)에 신호를 보내어 소금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측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0)는, 상기 계량수단(1200)에서 염수와 염수계량탱크를 합한 무게를 계량한 값이 최소설정된 무게 보다 더 적게 측정된 경우에는 소금탱크에 신호를 보내어 소금의 공급을 시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측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공급부(1400)는 염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부(1110)에서 배출된 염수를 배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염수배출부(150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측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1200)은 공장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 프레임(16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계량수단(1200)의 하부이면서 상기 프레임(1600)의 상부에는 상기 오버플로우부(1110)에서 배출된 염수를 수용하도록 된 오버플로우수용탱크(17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오버플로우수용탱크(1700)에는 상기 염수배출부(150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측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공급부(1400)의 염수공급단이 염수계량탱크(1100)의 내측 하부까지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측정기.
  6. 삭제
  7. 제조된 염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필요하면 배출하도록 한 염수탱크와;
    상기 염수탱크에서 염수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음은 물론 염수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도록 한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염수측정기(1000)와,
    상기 염수탱크에 저장된 염수를 배출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통해 작동되는 공급펌프와;
    밸브를 갖추고, 상기 염수탱크에서 배추를 절이는 절임조쪽으로 이어져 저장된 염수를 상기 절임조에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밸브를 갖추고, 상기 절임조 쪽에서 염수를 배출하는 복귀라인과;
    상기 복귀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염수를 일시 저장하고,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작동되어 물을 휘저을 수 있는 교반기를 갖춘 염수제조통과;
    밸브를 갖추고, 상기 염수제조통 쪽으로 이어진 물공급라인과;
    밸브를 갖추고, 상기 공급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염수제조통쪽으로 이어진 바이패스라인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저장된 소금 배출관으로 보내 상기 염수제조통쪽으로 투입하는 소금탱크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작동되어, 상기 염수제조통에 채워진 염수를 상기 염수 탱크로 보내는 회수펌프;
    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절임장치.
KR1020100125236A 2010-12-09 2010-12-09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 KR101220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236A KR101220919B1 (ko) 2010-12-09 2010-12-09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236A KR101220919B1 (ko) 2010-12-09 2010-12-09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154A KR20120064154A (ko) 2012-06-19
KR101220919B1 true KR101220919B1 (ko) 2013-01-21

Family

ID=4668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236A KR101220919B1 (ko) 2010-12-09 2010-12-09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085B1 (ko) * 2013-02-18 2013-11-13 김종만 농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4126372A1 (ko) * 2013-02-18 2014-08-21 Kim Jong Man 농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25428B1 (ko) * 2014-03-20 2015-06-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밀 정량 공급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밀 정량 공급장치
KR101982340B1 (ko) * 2017-11-24 2019-05-24 장크리스티나 자동 배추 절임기
KR102185356B1 (ko) * 2018-11-21 2020-12-01 김정학 채소절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280B1 (ko) 2006-05-30 2007-07-09 (주)라이스코리아 김치 제조용 염수 자동제조기능을 겸비한 절임 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절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280B1 (ko) 2006-05-30 2007-07-09 (주)라이스코리아 김치 제조용 염수 자동제조기능을 겸비한 절임 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절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154A (ko)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919B1 (ko)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
KR101133286B1 (ko) 염수제조기를 구비한 채소절임장치
KR100737280B1 (ko) 김치 제조용 염수 자동제조기능을 겸비한 절임 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절임방법
KR101446963B1 (ko) 산성 용액에서의 농산물 살균 방법 및 시스템
US88137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solving a solid concentrate
CA25631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mpering of product units in a tank, and application thereof
CN201506748U (zh) 用于污水处理的自动加药装置
US20210371301A1 (en) Antimicrobial capture system with carbon container
RU150525U1 (ru) Лабора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процессов жидкостной экстракции и смесительно-отстойный экстрактор,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й
US645740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ruit in multiple layers
US52939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beverage components
JP2009542254A (ja) 液体を食品に注入するための装置
KR101320626B1 (ko) 채소류 절임장치
CN204619770U (zh) 一种食盐连续溶解设备
KR200429792Y1 (ko) 김치제조용 염수 자동제조기능을 겸비한 절임 장치
US20130294978A1 (en) Chemical dissolving dispenser
US5332589A (en) Tomato calcification process
CN204563990U (zh) 一种液态灌装机供料装置
KR101982340B1 (ko) 자동 배추 절임기
CN107058927B (zh) 一种带自动循环功能的热镀锌水洗池
CN207745807U (zh) 一种高效自动灌装机
CN111235325A (zh) 糖厂煮糖自动控制系统及方法
KR20100122469A (ko)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KR20100122414A (ko)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CN211246215U (zh) 一种固液自动混合配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