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469A -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 Google Patents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469A
KR20100122469A KR1020100074787A KR20100074787A KR20100122469A KR 20100122469 A KR20100122469 A KR 20100122469A KR 1020100074787 A KR1020100074787 A KR 1020100074787A KR 20100074787 A KR20100074787 A KR 20100074787A KR 20100122469 A KR20100122469 A KR 20100122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ne
salt
unit
pickl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혁
이영수
임근혁
Original Assignee
(주)김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김치라인 filed Critical (주)김치라인
Priority to KR1020100074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2469A/ko
Publication of KR20100122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염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채류 절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염수 제조 장치는 소금 이송부가 소금 저장부로부터 염수 제조부에 소금을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염수 저장부가 염도 측정 센서를 구비하여, 염도를 발광디스플레이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채류 절임 장치는 염수 제조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소채류 절임 장치는 여러 가지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수 제조에서부터 소채류를 절이는 과정까지 자동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간과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Apparatus for making salt water and pickling vegetables}
본 발명은 자동으로 염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채류 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금 투입에서부터 염수 제조 및 소채류 절임까지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염수 제조 장치 및 소채류 절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한국 특유의 채소 가공 식품으로, 한국인의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반찬이다. 김치는 무, 배추 및 오이 등을 소금에 절여서 고추, 마늘, 파, 생강, 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린 후 저온에서 발효시켜 제조한다. 최근에는 김치를 가정에서 담그기 보다는 주로 공장에서 제조하여 일반 가정에 판매한다.
김치 공장에서는 대량으로 김치를 담그기 위해서, 대량의 염수를 제조하고 대량의 채소를 염수로 절인다. 예를 들어, 배추 10t 정도를 염수로 절이기 위해서는 약 2600㎏의 소금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사람이 직접 하면, 2시간 정도의 오랜 시간이 걸리며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염수를 제조하는 경우 소금 투입에서부터 자동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제조된 염수의 염도를 작업자가 즉시 알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소채류 절임 장치의 경우 염수의 공급에서부터 절임이 끝날 때까지 작업자가 고정된 위치에서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수 제조를 위한 소금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염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조된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수 저장부에서 절임부로 염수를 공급할 때,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소채류 절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염수를 계속 순환시키면서 소채류를 절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염수 제조 장치는 염수 제조부, 혼합기, 소금 저장부, 소금 이송부, 염수 저장부, 제1 염수관, 제1 펌프, 제2 염수관을 포함한다. 염수 제조부는 소금과 물을 혼합하여 염수를 제조한다. 혼합기는 염수 제조부에 부착되며, 소금이 물에 잘 녹도록 한다. 소금 저장부는 염수 제조에 사용되는 소금을 저장한다. 소금 이송부는 소금 저장부에 저장된 수금을 염수 제조부로 이송한다. 염수 저장부는 제조된 염수를 저장한다. 제1 염수관을 통해 염수 제조부에서 제조된 염수가 염수 저장부로 공급된다. 제1 펌프는 염수 제조부에서 제조된 염수를 염수 저장부로 펌핑(pumping)한다. 제2 염수관을 통해 염수 저장부에 저장된 염수가 염수 제조부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제조 장치의 염수 저장부는 염도 측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염수 측정 센서는 염수 저장부에 저장된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제조 장치의 염수 저장부는 내부에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는 염수 저장부의 대향하는 측벽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는 염수 제조 장치, 절임부, 제3 염수관, 제2 펌프를 포함한다. 염수 제조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제조 장치가 될 수 있다. 절임부에서는 소채류를 염수로 절일 수 있다. 염수 저장부에 저장된 염수는 제3 염수관을 통해 절임부로 공급된다. 제2 펌프는 염수 저장부에 저장된 염수를 절임부로 펌핑(pumping)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는 제4 염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염수관을 통해 절임부의 염수가 염수 제조부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는 절임부의 염수를 염수 제조부와 염수 저장부로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의 제3 염수관은 밸브와 개폐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는 제3 염수관의 절임부측 일단에 위치한다. 개폐 감지 센서는 밸브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개폐 감지 센서에서 밸브가 열리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소채류 절임 장치는 제2 펌프를 작동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소채류 절임 장치가 절임부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임부 수위 감지 센서는 절임부의 염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소채류 절임 장치는 절임부 수위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제2 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의 절임부는 복수개의 절임 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절임 탱크는 각각 제3 염수관과 연결된다. 복수개의 절임 탱크는 각각 제3 염수관에서 유입되는 염수를 조절하기 위한 소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절임 탱크는 각각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에는 삼투압으로 발생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는 염수 제조부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채류 절임 장치는 염수 제조부 수위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제1 펌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채류 절임 장치는, 상기 절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절임부로 공급하기 전에 상기 소채류를 염수에 절이는 염수침지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수 제조 장치는 염수 제조를 위한 소금을 자동으로 염수 제조부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간과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염수 제조 장치는 염수 저장부에 저장된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염수의 염도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으며, 절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채류 절임 장치는 절임부로 염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부터 절임이 끝날 때까지 자동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절임부의 염수는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수회 반복 순환되는 방식으로 소채류를 절이기 때문에, 삼투압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어 소채류가 깨끗하게 절여지며, 잎과 줄기부분이 균일하게 절여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제조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제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저장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임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임 탱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제조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수 제조 장치(100)는 염수 제조부(110), 혼합기(111), 소금 저장부(120), 소금 이송부(130), 염수 저장부(140), 제1 염수관(150), 제1 펌프(160), 제2 염수관(170),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염수 제조부(110)는 소금과 물을 혼합하여 염수를 제조한다. 염수 제조부(11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염수 제조부(110)에는 혼합기(111)가 부착될 수 있다. 혼합기(111)는 소금이 물에 잘 녹도록 한다. 혼합기(111)는 교반 장치, 에어 블로어(air blower)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염수 제조부(110)는 염수 제조부 수위 감지 센서(112)를 구비할 수 있다. 염수 제조부 수위 감지 센서(112)는 염수 제조부(110) 내의 염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소금 저장부(120)는 염수 제조에 사용되는 소금을 저장한다. 소금 저장부(120)에는 대량의 소금을 저장할 수 있다. 소금 이송부(130)는 소금 저장부(120)에 저장된 소금을 염수 제조부(110)로 이송한다.
염수 저장부(140)는 제조된 염수를 저장한다. 염수 저장부(140)는 염도 측정 센서(141)를 구비할 수 있다. 염도 측정 센서(141)는 염수 저장부(140)에 저장된 염수의 염도를 측정한다. 염도 측정 센서(141)는 측정된 염도를 발광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염도 측정 센서(141)는 복수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염도 측정 센서(141)는 염수 저장부(140)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염도는 상부와 하부의 염도 측정 센서(141)에서 측정된 값의 평균으로 할 수 있다.
염수 저장부(140)는 제1 염수관(150)과 제2 염수관(170)을 통해 염수 제조부(110)와 연결된다. 염수 제조부(110)에서 제조된 염수는 제1 염수관(150)을 통해 염수 저장부(140)로 공급된다. 이 때, 염수 제조부(110)에서 제조된 염수는 제1 펌프(160)에 의해 펌핑(pumping)된다. 염수 저장부(140)에 저장된 염수는 제2 염수관(170)을 통해 염수 제조부(110)로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중력에 의해 염수 저장부(140)에 저장된 염수가 염수 제조부(110)로 이송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염수 제조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어에 필요한 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제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제조부(200)는 교반조(210)와 염수조(220)를 구비할 수 있다. 교반조(210)와 염수조(220)의 경계에서는 필터(230)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230)는 이중 필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교반조(210)에는 혼합기(240)가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혼합기(240)는 에어블로어(Air Blower)이다. 염수조(220)에는 제1 염수관(250)이 결합된다.
교반조(210)에는 소금과 물이 공급된다. 소금은 소금 이송부에 의해 소금 저장부로부터 교반조(210)로 공급될 수 있다. 소금은 혼합기(240)에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물에 녹는다. 이에 따라 교반조(210)에서 염수가 제조된다. 교반조(210)의 염수는 필터(230)를 통과해 염수조(220)로 이동한다. 필터(230)에 의해 염수에 섞여있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따라서 염수조(220)에는 깨끗한 염수가 위치하게 된다. 염수조(220)에 있는 염수는 제1 염수관(250)을 통해 염수 저장부로 공급된다. 염수 저장부에 저장된 염수는 제2 염수관(260)을 통해 교반조(210)로 이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저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수 저장부(300)는 단면이 8각형 형태인 저장 탱크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염수 저장부(300)가 다른 형상이 될 수 있다. 염수 저장부(300)는 내부에 지지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310)는 염수 저장부(300)의 내부를 가로질러 대향하는 측벽을 연결한다. 즉, 지지부(310)는 염수 저장부(300)의 대향하는 측벽을 지지한다. 지지부(310)의 단면 모양은 한글 자모 'ㄴ' 또는 'ㄷ'일 수 있다. 지지부(310)는 염수 저장부(300)에 염수가 저장되는 경우 측벽이 받는 압력을 분산시켜준다. 따라서 염수 저장부(300)에 많은 양의 염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수 제조 장치(400)는 염수 제조부(410), 혼합기(411), 소금 저장부(420), 소금 이송부(430), 염수 저장부(440), 제1 염수관(450), 제1 펌프(460), 제2 염수관(4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염수 제조부(410)는 낮은 곳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염수 제조부(410)는 지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염수 저장부(440)는 염수 제조부(41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염수 저장부(440)는 지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을 수도 있다. 제1 염수관(450)은 염수 저장부(440)의 상부에 연결된다. 제2 염수관(470)은 염수 저장부(440)의 하부에 연결된다.
염수를 제조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염수 제조 장치(400)의 제어부에 원하는 염수의 염도와 필요한 물의 양을 입력한다. 염수의 염도는 절이고자 하는 채소의 종류와 계절, 대기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제어부는 입력된 염도에 따라 소금 이송부(430)를 제어하여, 소금 저장부(420)로부터 염수 제조부(410)로 이송되는 소금의 양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금 저장부(420)는 저장 호퍼(hopper)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금 이송부(430)는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er)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소금 저장부(420)와 소금 이송부(430)를 구비함으로써, 대용량의 소금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소금 포대를 운반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인력이 절감된다. 예를 들어, 배추 10 ton 정도를 절이기 위해서는 소금 약 2600㎏이 필요하다. 이를 30㎏ 포대로 운반하는 경우 약 87번 정도 운반해야 하나, 소금 저장부(420)를 구비한 경우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한 번에 운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된 염도와 필요한 물의 양에 따라 염수 제조부(41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한다. 염수 제조부(410)에 물과 소금이 공급되면, 혼합기(411)는 물에 소금이 잘 녹도록 혼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혼합기(411)는 에어 블로어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염수 제조부(410)에서 염수가 제조되면, 제어부는 제1 펌프(460)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제조된 염수가 제1 염수관(450)을 통해 염수 저장부(440)로 공급된다. 염수 저장부(440)에 염수가 공급되면, 염도 측정 센서는 염수의 염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염도가 입력한 염도와 다른 경우, 제어부는 제2 염수관(470)에 부착된 조절 밸브를 제어하여, 염수 저장부(440)에 저장된 염수가 제2 염수관(470)을 통해 염수 제조부(410)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 때, 염수 저장부(440)에 저장된 염수는 조절 밸브가 열리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염수 제조부(410)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된 염수는 염수 제조부(410)에서 다시 혼합되어 염도가 바뀌게 된다. 이 때, 염수 제조부(410)에 물 또는 소금을 더 공급할 수 있다. 혼합된 염수는 제1 염수관(450)을 통해 다시 염수 저장부(440)로 공급된다. 염도 측정 센서는 염수의 염도를 측정한다. 염도가 입력한 값과 다르면, 염수는 다시 염수 제조부(410)로 이송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염수의 염도를 입력한 값만으로 맞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채류 절임 장치(500)는 염수 제조부(510), 혼합기(511), 소금 저장부(520), 소금 이송부(530), 염수 저장부(540), 제1 염수관(550), 제1 펌프(560), 제2 염수관(570), 제어부(580), 절임부(610), 제3 염수관(620), 제2 펌프(630), 제4 염수관(640)을 포함한다. 염수 제조부(510), 혼합기(511), 소금 저장부(520), 소금 이송부(530), 염수 저장부(540), 제1 염수관(550), 제1 펌프(560), 제2 염수관(570), 제어부(58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절임부(610)에서는 소채류가 염수로 절여진다. 절임부(610)는 제3 염수관(620)을 통해 염수 저장부(540)와 연결된다. 염수는 염수 저장부(540)로부터 제3 염수관(620)을 통해 절임부(610)로 공급된다. 이 때, 염수 저장부(540)에 저장된 염수는 제2 펌프(630)에 의해 펌핑(pumping)된다. 제3 염수관(620)은 밸브(621)와 개폐 감지 센서(622)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621)는 제3 염수관(620)의 절임부(610) 방향의 일단에 위치한다. 개폐 감지 센서(622)는 밸브(621)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개폐 감지 센서(622)는 압력 감지 센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밸브(621)의 개폐는 제3 염수관(620)의 압력 변화로 감지할 수 있다. 절임부(610)는 절임부 수위 감지 센서(611)를 구비할 수 있다. 절임부 수위 감지 센서(611)는 절임부(610) 내부의 염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절임부(610) 내부의 염수는 제4 염수관(640)을 통해 염수 제조부(510)로 이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임부(610)에서 사용된 염수를 버릴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임부(700)는 복수개의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를 구비할 수 있다.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에는 염수로 절이기 위한 소채류를 담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가 6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는 이송 컨베이어(720)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720)는 절이기 전의 소채류를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로 이송시키고,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에서 절여진 소채류를 다음 처리를 위해 이송시킨다.
각각의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는 제3 염수관(730)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3 염수관(730)을 따라 흐르는 염수를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로 유입시킬 수 있다. 각각의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는 제3 염수관(730)에서 유입되는 염수를 조절하기 위한 소밸브(711a, 711b, 711c, 711d, 711e, 711f)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소밸브(711a, 711b, 711c, 711d, 711e, 711f)를 제어하여, 각각의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에 유입되는 염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소밸브(711a, 711b, 711c, 711d, 711e, 711f)를 제어하여, 각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에 순차적으로 염수를 공급할 수 있다.
각각의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는 제4 염수관(740)과 연결된다. 제4 염수관(740)을 통해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 내부의 염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임 탱크(710a, 710b, 710c, 710d, 710e, 710f) 내부의 염수가 제4 염수관(740)을 통해 염수 제조부로 이송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임 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임 탱크(710)는 개폐 가능한 덮개(750)를 구비한다. 덮개(750)에는 복수개의 배출구멍(751)이 형성된다. 덮개(750)는 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절임 탱크(710)에 소채류와 염수를 채우면, 덮개(750)로 절임 탱크(710)를 덮는다. 덮개(750)를 덮은 후, 잠금부로 덮개(750)를 고정한다. 소채류는 절여지는 과정에서 염수를 흡수하여 부풀게 된다. 따라서 절임 탱크(710)에서 소채류와 염수가 외부로 넘치게 된다. 덮개(750)는 소채류가 절임 탱크(710)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염수는 덮개(750)에 형성된 배출구멍(751)을 통해 외부로 흘러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800)는 염수 제조부(810), 혼합기(811), 소금 저장부(820), 소금 이송부(830), 염수 저장부(840), 제1 염수관(850), 제1 펌프(860), 제2 염수관(870), 절임부(910), 제3 염수관(920), 제2 펌프(930), 제4 염수관(940), 염수침지세척부(9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염수 저장부(840)와 절임부(910)는 상당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한다. 예를 들어, 염수 저장부(840)와 절임부(910)는 서로 다른 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채류 절임 장치(800)가 자동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염수 저장부(840)와 절임부(910) 사이를 왕복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절임부(910)는 위생을 위해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절임부(910)에 자주 드나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80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소채류를 절이는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800)를 이용해 소채류를 절이기 위해서는, 우선 염수를 제조한다. 염수 제조 과정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염수 제조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절임부(910)에 소채류를 넣는다. 이 때 절임부(910) 입구에는 염수침지세척부(960)가 위치할 수 있다(도 9의 실시예 참고). 염수침지세척부(960)는 소채류가 절임부(910)에 투입되기 이전에 먼저 동일한 염도의 염수에 한 번 침지하기 위한 것이다. 염수침지세척부(960)는, 소채류가 절임부(910)에 이르기 전에 염수에 절여지도록 하여, 채소의 파손을 막고 신선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배추 등과 같이 속이 잘 벌어지지 않는 채소의 경우 채소의 속까지 염수가 잘 절여지도록 도와준다. 염수침지세척부(960)에는 염수 저장부(840)와 연결되는 제5 염수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염수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염수침지세척부(960)에는 염수 저장부(840)가 아닌 별도의 저장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염수가 공급될 수도 있다. 제5 염수관(도시하지 않음)은 염수침지세척부(960)에 공급되는 염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소채류는 염수침지세척부(960)를 통과하여 이송 컨베이어(950)를 이용해 절임부(910)에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임부(810)에 소채류를 넣는 과정을 염수 제조 전에 할 수도 있고, 염수 제조와 동시에 할 수도 있다. 이 후 작업자는 제3 염수관(920)의 절임부(910) 방향의 일단에 위치한 밸브(921)를 연다. 밸브(921)가 열리면, 개폐 감지 센서가 이를 감지한다. 개폐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2 펌프(930)를 작동시킨다. 제2 펌프(930)의 작동에 의해, 염수 저장부(840)에 저장된 염수가 자동으로 절임부(910)로 공급된다. 따라서 절임부(910)에 위치한 소채류가 염수로 절여진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밸브(921)를 열면 자동으로 절임부(910)에 염수가 공급되므로, 작업자가 염수 저장부(840)와 절임부(910) 사이를 왕복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가 절임부(910)의 각 절임 탱크(910a, 910b, 910c, 910d, 910e, 910f)의 소밸브를 제어해 각각의 절임 탱크(910a, 910b, 910c, 910d, 910e, 910f)마다 염수의 양을 달리 할 수 있다. 또는 소밸브를 제어해 각 절임 탱크(910a, 910b, 910c, 910d, 910e, 910f)에 순차적으로 염수를 공급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절임부(910) 전체에 소채류를 모두 채우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길어(약 4시간), 특히 하절기 때는 절임부(910)에 제일 먼저 채워놓은 소채류가 부패하거나 짓무름 현상이 나타나 신선도가 급격히 하락하게 된다. 그러나 소밸브를 제어해 소채류가 다 채워진 절임부의 절임 탱크부터 순차적으로 소금물을 공급할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절임부(910) 내의 염수의 양은 수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절임부(910) 내에 적정량의 염수가 채워지면, 수위 감지 센서는 이를 감지한다.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고, 제어부는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2 펌프(930)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절임부(910)에서 소채류를 절이는 시간은 장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어, 배추를 절이는 경우 보통 14~18시간 정도가 걸린다. 절이는 시간 동안 절임부(910) 내부에 공급된 염수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보다 소채류를 보다 균일하게 절이기 위해서는 절임부(910) 내부의 염수를 순환시키면서 절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절임부(910) 내부의 염수는 제4 염수관(940)을 통해 염수 제조부(810)로 이송될 수 있다. 염수 제조부(810)로 이송된 염수는 필터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후 염수는 제1 펌프(860)에 의해 염수 저장부(840)로 공급될 수 있다. 염수 저장부(840)의 염도 측정 센서(841)는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염도가 아닌 경우 제2 염수관(870)을 통해 다시 염수 제조부(810)로 염수를 이송한다. 염수 제조부(810)는 물 또는 소금을 공급하여 염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염수는 다시 염수 저장부(840)로 공급되고, 설정된 염도로 판단되면, 염수는 제2 펌프(930)를 통해 절임부(910)로 공급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절임부(910) 내부의 염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염수는 여름에는 약 3-4 순환시키고, 겨울에는 약 10순환시킨다.
절임이 끝나면, 소채류는 다음 작업을 위해 이송 컨베이어(950) 등을 이용해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채류 절임 장치는 염수의 제조에서부터 절임이 끝날 때까지의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절임부의 염수를 계속 순환시키면서 소채류를 절이기 때문에, 소채류 전체가 깨끗하고 일정한 염도로 신선하게 절여진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염수 제조 장치 500: 소채류 절임 장치
110, 510 : 염수 제조부 120, 520 : 소금 저장부
130, 530 : 소금 이송부 140, 540 : 염수 저장부
150, 550 : 제1 염수관 160, 560 : 제1 펌프
170, 570 : 제 2 염수관 180, 580 : 제어부
610 : 절임부 620 : 제3 염수관
630 : 제2 펌프 640 : 제4 염수관

Claims (12)

  1. 소금과 물을 혼합하여 염수를 제조하는 염수 제조부;
    상기 염수 제조부에 부착되며, 상기 소금이 상기 물에 녹도록 하기 위한 혼합기;
    소금을 저장하는 소금 저장부;
    상기 소금 저장부에 저장된 소금을 상기 염수 제조부로 이송하는 소금 이송부;
    제조된 염수를 저장하는 염수 저장부;
    상기 염수 제조부에서 제조된 염수를 상기 염수 저장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염수관;
    상기 염수 제조부에서 제조된 염수를 상기 염수 저장부로 펌핑(pumping)하기 위한 제1 펌프; 및
    상기 염수 저장부에 저장된 염수를 상기 염수 제조부로 이송하기 위한 제2 염수관;를 포함하는 염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 저장부는 저장된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염도 측정 센서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염수 제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 저장부는 내부에 대향하여 측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는 염수 제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염수 제조 장치;
    소채류를 염수로 절이기 위한 절임부;
    상기 염수 저장부에 저장된 염수를 상기 절임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3 염수관; 및
    상기 염수 저장부에 저장된 염수를 상기 절임부로 펌핑(pumping)하기 위한 제2 펌프;를 포함하는 소채류 절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임부의 염수를 상기 염수 제조부로 이송하기 위한 제4 염수관을 더 포함하는 소채류 절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임부의 염수를 상기 염수 제조부와 상기 염수 저장부로 순환시키는 소채류 절임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염수관은 절임부측 일단에 위치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 감지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 감지 센서에서 상기 밸브가 열리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펌프를 작동시키는 소채류 절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임부의 염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절임부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임부 수위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채류 절임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임부는 복수개의 절임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절임 탱크는 각각 상기 제3 염수관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염수관에서 유입되는 염수를 조절하기 위한 소밸브를 구비하는 소채류 절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절임 탱크 각각은 배출구멍이 형성된 덮개를 구비하는 소채류 절임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 제조부의 염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염수 제조부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염수 제조부 수위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채류 절임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절임부로 공급하기 전에 상기 소채류를 염수에 절이는 염수침지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소채류 절임 장치.
KR1020100074787A 2010-08-02 2010-08-02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KR20100122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787A KR20100122469A (ko) 2010-08-02 2010-08-02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787A KR20100122469A (ko) 2010-08-02 2010-08-02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441A Division KR20100122414A (ko) 2009-05-12 2009-05-12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469A true KR20100122469A (ko) 2010-11-22

Family

ID=4340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787A KR20100122469A (ko) 2010-08-02 2010-08-02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24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2597A (zh) * 2018-12-25 2019-03-12 重庆市万盛经开区茂竹生态果蔬种植园 一种大白菜自动腌制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2597A (zh) * 2018-12-25 2019-03-12 重庆市万盛经开区茂竹生态果蔬种植园 一种大白菜自动腌制机
CN109452597B (zh) * 2018-12-25 2024-03-15 湖南陶蔬恋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大白菜自动腌制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280B1 (ko) 김치 제조용 염수 자동제조기능을 겸비한 절임 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절임방법
KR101235875B1 (ko) 배추김치 양념 속 넣기 기계장치
US11643341B2 (en) Antimicrobial capture system with carbon container
KR101133286B1 (ko) 염수제조기를 구비한 채소절임장치
KR101220919B1 (ko) 염수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채소절임장치
KR20100122469A (ko)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KR20100122414A (ko) 염수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채류 절임 장치
CN217242537U (zh) 一种米饭生产线系统
CN208585733U (zh) 自动布料机
CN208211365U (zh) 一种安康鱼片的保鲜装置
KR101982340B1 (ko) 자동 배추 절임기
CN107136210A (zh) 一种马铃薯的储存方法
CN108497408A (zh) 全自动高效节能腌制系统
CN206187691U (zh) 真空存储设备
KR102613386B1 (ko) 고형물을 포함한 양념 자동 공급 시스템
CN220012647U (zh) 一种泡菜水自动补料机构
CN109644920A (zh) 一种可以自动喂食的水产展示柜
CN215724400U (zh) 一种生鲜配送用新型智能柜
CN210981835U (zh) 一种食品检测用取样器
CN212291215U (zh) 多功能水果分级浸泡保鲜箱
CN112841061A (zh) 一种乳化猪饲料喂饲系统及喂饲方法
CN112056384A (zh) 一种基于haccp的白花菜进行速冻方法及其漂烫冷水机
CN110236141A (zh) 一种罗非鱼鱼片加工的生产线
JPH0355658Y2 (ko)
KR101725954B1 (ko) 박피 마늘의 선도유지 및 갈변억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