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722B1 - 산소 환원 전극촉매로서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나노입자 - Google Patents

산소 환원 전극촉매로서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나노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722B1
KR101220722B1 KR1020090051022A KR20090051022A KR101220722B1 KR 101220722 B1 KR101220722 B1 KR 101220722B1 KR 1020090051022 A KR1020090051022 A KR 1020090051022A KR 20090051022 A KR20090051022 A KR 20090051022A KR 101220722 B1 KR101220722 B1 KR 10122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nickel
platinum
fuel cell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281A (ko
Inventor
박경원
송유정
한상범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72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16Oxides, hydroxides or oxygenated metallic sa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비백금계 니켈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막을 이용하는 연료전지의 산소가스 확산 전극용 전극판의 비백금계촉매를 개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을 사용하여 니켈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의 분산도를 높이고, 나노크기로 제어하며, 열처리를 통해 탄소지지체를 동시에 합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나노크기로 고분산 된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를 산소환원전극 촉매의 소재로 적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백금 소재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연료전지 전극촉매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고분자, 미생물 연료전지용 비백금 전극 촉매 소재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비백금계 니켈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니켈 전구체와 피리딘을 포함한 고분자 첨가제를 혼합하여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에 담지 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을 전기로를 이용하여 750℃까지 온도를 조절하여 상을 조절하는 단계, 메탄가스와 질소가스를 조절하여 상을 조절하는 단계, 온도와 가스의 유량을 조절한 후 약 3시간 동안 열처리 하는 단계, 상기 고체상의 촉매를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기판을 녹여내고 세척하는 단계, 에탄올 용매에 분산하여 잉크상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후 촉매의 삼극 셀 평가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비백금계 전극,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산소 환원 촉매, 고분자 연료전지, 미생물 연료전지

Description

산소 환원 전극촉매로서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나노입자 {Nickel hydrooxide nanoparticle as an oxygen reduction catalyst}
본 발명은, 고분자, 미생물 연료전지 등의 분야에서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는 전기화학 시스템용의 산소환원용 전극촉매, 특히, 고체 고분자 전해질 막을 이용하는 연료전지의 산소가스 확산 전극용 전극촉매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fuel cell)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인 연료전지에 있어서, 질소와 같은 기체상 연료는 애노드(anode; 음극)에 공급되고, 산소와 같은 산화제는 캐소드(cathode; 양극)에 공급된다. 애노드에서 연료가 산화하면 이 연료로부터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에 연결되는 외부의 회로에 전자가 방출되고, 캐소드에서는 상기 산화된 연료에 의해 제공된 전자를 이용하여 상기 산화제가 환원된다. 상기 전기 회로는 전극 사이의 화학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해질을 통한 이온의 흐름에 의해 완성된다. 상기 전해질은 통상 애노드 실(anode compartment)과 캐소드 실을 분리함과 동시에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프로톤 전도성 고분자막의 형태이다. 상기 프로톤 전도성 고분자막의 주지의 예는 NAFION이다.
현재 수소에너지가 본격적으로 보급화하기 위해 연료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촉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연료전지의 다른 시스템이 결정되기 때문에 촉매에 대한 선행 연구가 많이 필요하다. 특히 자동차, 모바일 기기, 가정용 등에 사용될 PEMFC 등의 저온 연료전지 촉매는 잘 알려진 사실과 같이 귀금속 촉매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비싼 가격과 매장량의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귀금속 촉매를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백금계 합금 촉매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MEA내로 금속 이온이 스며들어가는 문제점등의 안정성이 아직 확보되지 못하였다. 또한, 연료전지 자동차가 상용화되지 위해서는 현재보다 백금량이 대략 1/5이하로 절감되어야 한다.
귀금속, 특히, 백금은 넓은 전위범위에서 안정되고, 각종 반응에 대해 촉매 능이 높을 뿐 아니라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기 때문에 각종 전기화학 시스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백금 전극은 가격이 고가이고, 촉매 작용이 일어나는 표면적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어 전지 전체의 촉매 반응속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전이금속 나이트라이드는 일반적으로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고온에서 귀금속과 비슷한 촉매적 성능을 가진 물질들이 있다. 하지만 나노 사이즈로 합성이 어렵고 표면적이 큰 촉매를 만들기 어렵다. 전이금속 나이트라이드 촉매를 나노사이즈화 할 경우 연료전지 촉매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아직 작은 효율이긴 하지만 나이트라이드 촉매의 예비 실험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금속산화물 중에는 산성 전해질 중에서 넓은 전위범위에서 안정된 것이 존재한다. 그래서 백금과 공존시키는 것에 의해 백금의 촉매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니켈하이드로옥사이드의 촉매능에 대한 상세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높은 표면적을 갖는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을 사용하여 고르게 분산된 니켈하이드로옥사이드를 합성함과 동시에, 화학 기상증착 방법을 이용해 유기물로부터 탄소지지체를 형성시킴으로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막을 이용하는 연료전지의 산소가스 확산 전극용 전극판의 비백금계촉매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비백금계 니켈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니켈 전구체와 피리딘을 포함한 고분자 첨가제를 혼합하여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에 담지 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을 전기로를 이용하여 750℃까지 온도를 조절하여 상을 조절하는 단계, 메탄가스와 질소가스를 조절하여 상을 조절하는 단계, 온도와 가스의 유량을 조절한 후 약 3시간 동안 열처리 하는 단계, 상기 고체상의 촉매를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기판을 녹여내고 세척하는 단계, 에탄올 용매에 분산하여 잉크상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후 촉매의 삼극 셀 평가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을 사용하여 비백금계 니켈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 물질의 분산도를 높이고, 나노크기로 제어하며, 열처리를 통해 탄소지지체를 동시에 합성함으로서, 산소 환원 반응을 할 수 있는 니켈 하이드로옥사 이드 촉매활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상기 합성된 촉매를 산성 전해질과 완충용액에 전기화학적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종래의 백금을 대체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촉매반응은 그 반응이 표면에서만 일어나기 때문에 고분자, 미생물 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여기에 사용되는 산소환원용 전극 촉매물질의 크기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 물질을 합성하기 위해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를 사용하였다. 도 1에는 상기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사용된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는 균일한 기공크기 (200 nm)와 넓은 표면적을 가질 뿐 아니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쉽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양극산화알루미나를 사용하여 합성된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 물질의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사진이다. 고분산된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 물질의 제조방법에서는 먼저 니켈 나이트레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Nickel nitrate hexahydrate, Sigma-Aldrich) 와 PVP (Polyvinylpyrrolidone, M.W. 10,000, Sigma-Aldrich) 고분자 첨가제를 증류수에 넣고 초음파 분해기와 교반기를 이용하여 용해시킨다. 다음 상기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에 상기 용액을 넣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기공 안으로 스며들도록 충분한 시간을 방치시킨다. 다음 기공 안에 들어가지 않은 용액은 증류수로 조심스럽게 세척한 후, 50 ℃ 진공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상기 단계 후, 상기 건조된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을 전기로에 넣고 메탄 가스 분위기에서 700 ℃ 까지 천천히 승온 시킨 후 3시간 열처리 한다. 다음 질소 가스 분위기, 750 ℃에서 2시간 더 열처리 반응을 거친다.
상기단계 후,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 물질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넣어 초음파 분해기와 교반기를 이용하여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을 완전히 용해시킨다. 다음 과량의 증류수를 넣고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 및 재분산 과정을 3회 정도 반복하여 용해된 양극산화알루미나를 완전히 세척해 내고 촉매물질의 표면을 깨끗이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분자, 미생물 연료전지 양극 촉매 물질을 개발하는 것으로, 완충용에서 뿐 아니라 산성전해질에서도 종래의 고가의 백금전극과 유사한 산소환원 촉매능을 보여주어 백금 대체 물질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의 적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다음에 서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 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나노입자 촉매 합성을 위해 사용된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의 단면을 보여주는 주사 전자 현미경 (SEM)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의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사진이다. (A) 전체적인 촉매의 모습, (B) 단일 촉매의 모습, (C)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의 (100) 격자면을 보여주는 고배율 사진 (HR image), (D) (C)의 전자 회절모양 (ED pattern) 사진.
도 3은 실시예 1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 - Ni(OH)2 에 대한 산성전해질 안에서 산소환원 반응을 보여주는 전위훑기 (LSV) 곡선.
도 4은 실시예 1의 상용화 백금 촉매 - Pt/C (Johnson Matthey)에 대한 산성전해질 안에서 산소환원 반응을 보여주는 전위훑기 (LSV) 곡선.
도 5는 실시예 1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 - Ni(OH)2 에 대한 완충용액 안에서 산소환원 반응을 보여주는 전위훑기 (LSV) 곡선.
도 6는 실시예 1의 상용화 백금 촉매 - Pt/C (Johnson Matthey)에 대한 완충용액 안에서 산소환원 반응을 보여주는 전위훑기 (LSV) 곡선.

Claims (5)

  1. (a) 니켈 전구체와 피리딘을 포함하는 고분자 첨가제를 혼합하여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에 담지 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을 메탄가스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열처리한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을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열처리한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 기판을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용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단계 (d)에서 용해된 다공성 양극산화알루미나를 세척하는 단계(단계 (e))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촉매 물질은 나노 크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90051022A 2009-06-09 2009-06-09 산소 환원 전극촉매로서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나노입자 KR10122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022A KR101220722B1 (ko) 2009-06-09 2009-06-09 산소 환원 전극촉매로서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나노입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022A KR101220722B1 (ko) 2009-06-09 2009-06-09 산소 환원 전극촉매로서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나노입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281A KR20100132281A (ko) 2010-12-17
KR101220722B1 true KR101220722B1 (ko) 2013-01-09

Family

ID=4350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022A KR101220722B1 (ko) 2009-06-09 2009-06-09 산소 환원 전극촉매로서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나노입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5453A1 (en) * 2011-11-03 2013-05-09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Hybrid nanostructure, a method for forming the hybrid nanostructure, and an electrode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hybrid nanostructures
KR101977786B1 (ko) 2017-09-14 2019-08-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 전극촉매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620A (ja) * 1995-12-15 1997-06-24 Toshiba Corp 燃料電池用電極触媒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触媒を用いた電極と燃料電池
US7238446B2 (en) * 2002-12-24 2007-07-03 Ovonic Battery Company, Inc. Active electrode composition with conductive polymeric binder
JP2008251413A (ja) 2007-03-30 2008-10-16 Gunma Univ 金属酸化物担持カーボンの製造方法
US20090099009A1 (en) 2006-03-31 2009-04-16 Hiroaki Takahashi Production process of electrode catalyst for fuel ce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620A (ja) * 1995-12-15 1997-06-24 Toshiba Corp 燃料電池用電極触媒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触媒を用いた電極と燃料電池
US7238446B2 (en) * 2002-12-24 2007-07-03 Ovonic Battery Company, Inc. Active electrode composition with conductive polymeric binder
US20090099009A1 (en) 2006-03-31 2009-04-16 Hiroaki Takahashi Production process of electrode catalyst for fuel cell
JP2008251413A (ja) 2007-03-30 2008-10-16 Gunma Univ 金属酸化物担持カーボ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281A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122B1 (ko) 연료 전지용 전극촉매로서의 백금 및 백금계 합금 나노튜브
KR100728611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촉매 및 그의 제조 방법
JP5322110B2 (ja) 燃料電池用カソード電極材料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用カソード電極材料並びに該カソード電極材料を用いた燃料電池
KR100670267B1 (ko) 연료전지용 백금/루테늄 합금촉매
KR101797782B1 (ko) 연료 전지를 위한 금속 산화물 도핑을 갖는 촉매
US9331341B2 (en) Durable platinum/multi-walled carbon nanotube catalysts
JP5456797B2 (ja) 燃料電池用電極触媒
US20070161501A1 (en) Method for making carbon nanotube-supported platinum alloy electrocatalysts
KR100774746B1 (ko) 복합 환원제를 이용한 고분산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
KR20080067554A (ko) 백금/루테늄 합금 담지 촉매,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전지
CN110741497B (zh) 燃料电池用催化剂的制备方法和由此制备的燃料电池用催化剂
EP3041965B1 (en) A modified bimetallic nanoparticle and a process to prepare the same
JP2007172887A (ja) 燃料電池用担持触媒、燃料電池用反応層、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用担持触媒の製造方法。
KR20110083940A (ko) 연료전지용 전극 촉매, 그 제조방법, 및 이 전극 촉매를 이용한 막 전극 접합체와 연료전지
JP4759507B2 (ja) 燃料電池用電極触媒,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4797166B2 (ja) 貴金属系触媒担持導電性高分子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20722B1 (ko) 산소 환원 전극촉매로서의 니켈 하이드로옥사이드 나노입자
CN112275307B (zh) 一种NC-Pt/CB4复合催化剂及其制备方法
Ramli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otential of Pt-Ru supported carbon nanocage (CNC) electrocatalyst for future DMFC
CN110718695B (zh) 一种用于甲酸燃料电池铂基催化体系及其制备方法
Ettingshausen et al. Alternative support materials for fuel cell catalysts
KR20100005507A (ko) 전극촉매,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1310B1 (ko)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용 카본 담지촉매 및 그 제조방법
CN115966719B (zh) 一种阳极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质子交换膜燃料电池
KR102640787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연료전지용 카본계 촉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