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928B1 -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928B1
KR101219928B1 KR1020100088959A KR20100088959A KR101219928B1 KR 101219928 B1 KR101219928 B1 KR 101219928B1 KR 1020100088959 A KR1020100088959 A KR 1020100088959A KR 20100088959 A KR20100088959 A KR 20100088959A KR 101219928 B1 KR101219928 B1 KR 101219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s
lamp
vehicle
le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819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9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조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시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제어를 받는 램프들은 모두 소등시키고 대신에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제어를 받지 않는 램프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법규의 규정을 만족시키고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운전자는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Front lighting control system of vehicle}
발명은 LED 전조등을 갖는 차량의 전조등을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나믹 벤딩 작동중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이상 발생시 LED 램프들의 빔 패턴을 재구성함으로써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법규로 규정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 주행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하면서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등화장치를 구비한다.
최근에는 운전자와 상대 운전자의 전방 인식을 개선하고자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AFLS)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자동차 전조등의 빔을 전방으로만 일정하게 투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운전조건, 도로조건, 환경조건 등에 따라 전조등 빔의 폭과 길이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즉,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차량이 회전을 하는 경우 도로 조건들 및 차량 이동 방향에 따라 빔 패턴(빔의 조사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운전자가 전방의 도로상에 있는 장애물들 또는 다른 문제들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차량 운전대의 조타각, 차량의 속도, 그외 차량의 주행 상황을 센서로 감지한 후 그 감지된 신호에 따라 모터(actuator)를 구동시켜 전조등의 조사 방향을 상하좌우로 편향 제어한다.
그런데, 이러한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이 각 동작 모드(high beam, basic beam, town beam, motor way)에서 빔의 조사 방향을 좌우로 편향시키는 다이나믹 벤딩 작동중 액추레이터에 장애가 발생하여 특정 방향으로 편향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경우 직선 도로상에서 그 빔이 맞은편 차량을 향하거나 보행자들에게 향하게 됨으로써 대향차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눈부심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페일 세이프(fail safe) 방법으로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별도의 레벨링 디바이스(leveling device)를 사용하여 전조등의 빔을 강제적으로 하향시킴으로써 대향차 또는 보행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빔의 과도한 하향 조사로 인해 법규로 정해진 야간 운전시의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없으며, 레벨링 디바이스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조차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레벨링 디바이스와 같은 별도의 장비와 부품이 필요하다. 따라서, 그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지며 가공 단계가 증가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조등 제어 시스템의 기능을 개선하여 다이나믹 벤딩 작동중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이상 발생시 LED 램프들의 빔 패턴을 재구성함으로써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법규로 규정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은 빔의 조사 방향이 고정된 제 1 램프 및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다이나믹 벤딩 기능에 따라 빔의 조사 방향이 변화되는 제 2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부, 상기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으로부터 페일 신호가 수신시 조명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조명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램프 및 상기 제 2 램프에 동작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빔 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 2 램프에는 동작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제 1 램프에만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램프는 차량의 상향등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복수개의 램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빔 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 1 램프 중 기 설정된 일부의 램프에만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 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 1 램프 중 기 설정된 일부 램프에만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상향빔 제어부 및 상기 조명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 2 램프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차단하는 하향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향빔 제어부는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동작 전원으로 변환시키며,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시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제 1 램프 중 기 설정된 일부 램프에 공급하는 제 1 컨버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동작 전원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시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제 1 램프 중 상기 일부 램프를 제외한 나머지 램프에 공급하는 제 2 컨버터 및 상기 조명제어신호를 수신시 상기 제 1 컨버터에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다이나믹 벤딩 동작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에 레벨링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전조등을 강제적으로 하향시키는 페일 세이프(fail safe)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상향빔 제어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램프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향빔 용 LED 램프들의 빔이 조사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은 ECU(Engine Control Unit)(10), 상향빔 제어부(High-LED Driver Module)(20), 하향빔 제어부(Low-LED Driver Module)(30) 및 LED 램프부(40)를 포함한다.
ECU(10)는 자동차의 엔진 구동에 관한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다이나믹 벤딩 구동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신호(AFLS-FAIL 신호)가 수신되면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이상 발생에 따른 조명 제어를 실시하라는 조명제어신호를 상향빔 제어부(20) 및 하향빔 제어부(30)에 출력한다.
상향빔 제어부(20)는 ECU(10)로부터 조명제어신호가 수신되면, LED 램프부(40)의 상향빔 용 LED 램프들(H-LED) 중에서 기 설정된 특정 램프에만 선택적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향빔 제어부(20)는 ECU(10)로부터 조명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제어를 받지 않는 상향빔 용 LED 램프들(H-LED) 중에서 법규로 규정된 영역을 조사하도록 고정 설치된 특정 램프에만 동작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향빔 용 LED램프를 이용하여 전조등이 법규의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하향빔 제어부(30)는 ECU(10)로부터 조명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제어를 받는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에 대한 동작 전원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해당 램프들(LED 2)을 소등시킨다.
LED 램프부(40)는 차량의 전방 조명을 위해 전조등에 설치된 복수개의 LED 램프들(H-LED, L-LED)을 포함하며, 상향빔 제어부(20) 및 하향빔 제어부(30)로부터 공급되는 동작 전원에 따라 온/오프되어 빔을 조사한다. 이러한 LED 램프부(40)는 빔의 조사 방향이 고정되며 상향빔 제어부(20)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는 상향빔 용 LED 램프들(H-LED) 및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빔의 조사 방향이 편향되며 하향빔 제어부(30)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는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을 포함한다. 이러한 LED 램프부(40)의 구성은 후술 될 도 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는 도 3에서 상향빔 제어부(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향빔 제어부(20)는 전원공급 제어부(22) 및 컨버터(24, 26)를 포함한다.
전원공급 제어부(22)는 ECU(10)로부터의 조명제어신호에 따라 LED 램프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명령하는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컨버터(24, 26)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즉, 전원공급 제어부(22)는 ECU(10)로부터 조명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컨버터(24)에만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상향빔 용 LED 램프들(H-LED) 중 기 설정된 특정 LED 램프(LED 1)만 온 되도록 제어한다.
컨버터(24, 26)는 전원공급 제어부(22)에서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LED 램프의 구동에 맞는 전원 레벨로 변환시켜 LED 램프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램프부(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상향빔 용 LED 램프들의 빔이 조사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조등을 구성하는 LED 램프들 중 일부 램프들(본 실시 예에서는 3개, LED 1 ~ LED 3)은 운전자가 상향등 스위치를 온 했을 때 점등되는 상향빔 용 LED 램프(H-LED)로서,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제어를 받지 않으며 빔의 조사 방향 및 조사 영역이 고정된다. 이때, 상향빔 용 LED 램프들(LED 1 ~ LED 3) 중 일부 램프(본 실시 예에서는 1개, LED 1)는 비록 상향빔 용 램프이기는 하나 법규에서 규정한 영역 즉 도 6에서와 같이 컷오프(cut off) 라인을 넘지 않으면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법규로 규정한 영역을 비추도록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나머지 상향빔 용 LED 램프들(LED2, LED3)은 도 6에서와 같이 조사된 빔의 일부가 컷오프 라인을 넘어서면서 전방의 중앙부를 비추도록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전조등을 구성하는 LED 램프들 중 일부 램프들(본 실시 예에서는 4개)(L-LED)은 운전자가 통상의 정상적인 야간 주행시 전조등 스위치를 온 했을 때 점등되는 램프들로서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빔의 조사 방향이 편향되게 제어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조등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시동을 걸면 전조등 제어 시스템이 초기화된다.
이어서 운전자가 전조등을 온 시키면 하향빔 제어부(30)가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을 온 시킨다.
그리고 차량이 출발하면,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기 설정된 로직에 따라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예컨대, 차량의 속도가 시속 30Km 에서 90 Km 사이의 속도로 주행을 하는 경우,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이 베이직 빔(basic beam)(CLASS C) 모드로 빔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차량의 속도가 시속 30Km 이하이면서 그러한 속도가 일정 시간(2초) 이상 지속되고 주변의 조도가 일정 레벨(12 Lx) 이상인 경우에는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이 타운 빔(town beam)(CLASS V)모드로 빔을 조사하도록 한다. 또한, 차량의 속도가 시속 90Km 이상이면서 그러한 속도가 일정 시간(2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이 모터웨이(Motor Way)(CLASS E)모드로 빔을 조사하도록 한다.
이처럼 전조등의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이 특정 모드로 설정되어 빔을 조사하는 도중에 차량의 주행 방향이 바뀌게 되면 예컨대 차량이 코너링을 하게 되면,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그러한 차량의 주행상황에 대한 정보(주행방향,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 등)를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하고 그에 따라 AFLS모터를 구동시켜 전조등의 빔 조사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이 진행할 방향의 도로상에 전조등이 비춰지도록 해준다. 이러한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다이나믹 벤딩 동작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들 중 어느 한 방법을 사용해도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다이나믹 벤딩 동작을 수행하던 중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의 빔 조사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AFLS모터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ECU(10)에 그러한 이상 발생을 알리는 AFLS-FAIL 신호를 출력한다.
AFLS-FAIL 신호를 수신한 ECU(10)는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이상 발생에 따른 조명 제어를 실시하라는 조명제어신호를 상향빔 제어부(20) 및 하향빔 제어부(30)에 출력한다.
조명제어신호를 수신한 하향빔 제어부(30)는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에 공급되던 동작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을 모두 소등시킨다.
이와 동시에, 조명제어신호를 수신한 상향빔 제어부(20)의 전원공급 제어부(22)는 컨버터(26)에는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컨버터(24)에만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향빔 용 LED 램프들(H-LED) 중 컷오프 라인을 넘지 않도록 설정된 LED 램프(LED 1)에만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램프(LED 1)를 온 시킨다.
즉, 이상이 발생된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제어를 받는 하향빔 용 LED 램프들(L-LED)은 모두 소등시키고,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제어를 받지 않는 상향빔 용 LED 램프들(H-LED) 중 법규로 규정된 영역을 조사하도록 설정된 LED 램프(LED 1) 만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조등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LED 램프들을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제어를 받는 램프들과 그렇지 않은 램프들로 구분한 후,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그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이상 발생으로 인해 대향차 또는 보행자의 눈부심을 야기하거나 과도한 하향 조사로 인해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LED 램프들(L-LED)은 모두 소등시키고, 대신에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제어를 받지 않는 LED 램프(LED 1)를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법규의 규정을 만족시킨다. 이로써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운전자는 전방 시야를 확보하면서 야간에 운전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향빔 제어부(20)와 하향빔 제어부(3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을 하나의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LED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각 램프들이 LED 램프가 아닌 경우에도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상향빔 용 LED 램프들 및 하향빔 용 LED 램프들의 갯수를 각각 4개 및 3개로 특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이상 발생시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LED 램프의 수도 1개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술한 ECU(10)의 기능은 ECU(Engine Control Unit)가 아닌 다른 제어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 ECU 20 : 상향빔 제어부
22 : 전원공급 제어부 24, 26 : 컨버터
30 : 하향빔 제어부 40 : LED 램프부

Claims (6)

  1. 빔의 조사 방향이 고정되는 복수개의 램프들을 구비한 제 1 램프 및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다이나믹 벤딩 기능에 따라 빔의 조사 방향이 변화되는 제 2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부;
    상기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으로부터 페일 신호가 수신시 조명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조명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램프 및 상기 제 2 램프에 동작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빔 제어부는,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동작 전원으로 변환시키며,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시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제 1 램프 중 기 설정된 일부 램프에 공급하는 제 1 컨버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동작 전원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시 상기 동작 전원을 상기 제 1 램프 중 상기 일부 램프를 제외한 나머지 램프에 공급하는 제 2 컨버터; 및
    상기 조명제어신호를 수신시 상기 제 1 컨버터에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램프는
    차량의 상향등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복수개의 램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 2 램프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차단하는 하향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6. 삭제
KR1020100088959A 2010-09-10 2010-09-10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KR101219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59A KR101219928B1 (ko) 2010-09-10 2010-09-10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59A KR101219928B1 (ko) 2010-09-10 2010-09-10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19A KR20120026819A (ko) 2012-03-20
KR101219928B1 true KR101219928B1 (ko) 2013-01-08

Family

ID=4613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959A KR101219928B1 (ko) 2010-09-10 2010-09-10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142B1 (ko) * 2010-10-19 2013-10-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초기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103A (ko) * 2000-12-01 2002-06-08 이계안 자동차용 헤드램프 자동조절장치
KR20040043552A (ko) * 2002-11-19 2004-05-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일 세이프 기능을 갖춘 차량의 전조등 장치
JP2004231179A (ja) * 2003-01-31 2004-08-19 Valeo Vision 故障したライトの補償手段を有する照明装置
KR20050024189A (ko) * 2003-09-02 2005-03-10 웬 웨이 수 자동차의 방향 지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103A (ko) * 2000-12-01 2002-06-08 이계안 자동차용 헤드램프 자동조절장치
KR20040043552A (ko) * 2002-11-19 2004-05-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일 세이프 기능을 갖춘 차량의 전조등 장치
JP2004231179A (ja) * 2003-01-31 2004-08-19 Valeo Vision 故障したライトの補償手段を有する照明装置
KR20050024189A (ko) * 2003-09-02 2005-03-10 웬 웨이 수 자동차의 방향 지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19A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867B1 (ko)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
WO2015005377A1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方法および配光制御装置
JP6274767B2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装置
US9358920B2 (en) Vehicular lighting apparatus
US9527431B2 (en) Vehicle exterior mirror with adaptively activated forward lighting unit
KR101095018B1 (ko) 안전 장치 기능을 구비한 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시스템
US875785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headlamp
KR101220039B1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JP3205778U (ja) ヘッドランプの色温度制御モジュール
KR101219928B1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KR101061215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제어장치
CN114179712B (zh) 车辆前照灯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567175B2 (ja) 車載用前照灯及び車載用前照灯システム
DE102004038425A1 (de) Fahrzeugbeleuchtungssystem und zugehöriges Verfahren zur Notbeleuchtung
JP4737075B2 (ja) 車載用前照灯の配光制御装置及び車載用前照灯
JP6078824B2 (ja) 車両用前照灯の光軸切替ユニット
KR20150106687A (ko) 차량용 램프
KR101321139B1 (ko) 자동차 측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81919A (ko) 차량용 램프
Langkabel Possibilities to introduce a high end lighting system in the non-premium market
KR200392063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하이빔 전환 장치
JP4404716B2 (ja) 可変配光型前照灯の駆動装置
KR200418318Y1 (ko) 전조등 자동 조정장치
KR200430495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제어회로
KR20130004536U (ko) 자동차 라이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