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551B1 -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551B1
KR101219551B1 KR1020100000564A KR20100000564A KR101219551B1 KR 101219551 B1 KR101219551 B1 KR 101219551B1 KR 1020100000564 A KR1020100000564 A KR 1020100000564A KR 20100000564 A KR20100000564 A KR 20100000564A KR 101219551 B1 KR101219551 B1 KR 10121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venom
bee
weight
composition
inhib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383A (ko
Inventor
한상미
이광길
여주홍
박관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0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5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밀로이드의 축적을 억제하며, 뇌조직 내에서 세포의 기억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을 파괴하는 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cholinesterase, AchE)를 억제하는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of comprising bee-venoms for Neuroprotective properties}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산업의 발달로 암을 비롯한 난치성 질환의 치료가 가능해 지면서 인간의 수명은 증가하였으나, 그에 따른 인구의 노령화는 뇌졸중, 퇴행성신경질환 등 만성 퇴행성 뇌질환의 증가를 야기하였고, 오히려 삶의 질은 상대적 저하를 나타내고 있다. 치매로 대표되는 퇴행성 신경질환은 만성 진행성 퇴행성 뇌질환이며, 뇌졸중 또한 산업사회에서 암, 심장마비에 이어 세 번째 사망의 원인이라 하며, 예후로서 경색에 의한 허혈성과 출혈성 뇌졸중이 있으며, 이럼 퇴행성 신경질환 및 뇌졸중은 심각한 의료 및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대의학 및 생명과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뇌질환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발병율과 유병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뚜렷한 예방제 및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퇴행성 뇌질환의 발생 메카니즘은 다양하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약물 중에는 알츠하이머 퇴행성신경질환 환자 뇌조직 내에서 세포의 기억에 관여하는 신경전물질인 아세틸콜린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음이 밝혀짐으로서 이를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추성으로 작용하는 부족한 아세틸콜린의 기능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아세틸콜린 전구물질을 투여하거나 아세틸콜린의 생체 내 파괴를 줄이는 약물, 즉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효소 억제 약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 다른 원인물질인 아밀로이드 베타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 조직의 다양한 부위에서 신경섬유 농축체와 신경반이 발견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39-4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신경반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서 신경독성을 나타내는 아밀로이드 전구체의 독성 절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밀로이드 축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약물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분자생물학의 발전으로 면역-염증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들의 표피지표에 대한 동정이 가능해졌고, 면역-염증 매개물질들의 정체 및 기능이 밝혀짐에 따라 면역-염증 기전이 신경계 손상에 대한 비특이적 이차적 반응만이 아니고 신경계 퇴행성 질환의 진행 경과 중 초기부터 관여할 수도 있으며, 병리현상의 완급을 조절하고 신경세포의 생존 및 사멸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면역-염증 반응에 중심 역할을 하는 있는 미소교(microglia)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과 면역-염증 매개물질인 NO, IL-1β, IL-6 및 TNF-α 급성기반응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P 및 사이클로옥시제네이즈(cyclooxygenase) 등을 조절하는 인자들이 관여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미소교세포의 활성화를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이해하고, 활성화된 미소교세포로부터 다량 분비되는 염증매개물질을 억제시켜주는 것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한 퇴행성 뇌질환의 신경세포 손상을 막는 유효한 치료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약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약제들은 어느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장기간 투여 시 간 독성을 유발하거나 부작용 및 재발이 자주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아직까지 뚜렷한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유개념의 제품은 없는 실정이다.
국내산 꿀벌(Apis mellifera)의 봉독은 전기충격법을 이용한 봉독채집 장치를 이용하여 꿀벌의 피해 없이 순수한 봉독만을 다량으로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동결 건조하여 정제 봉독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봉독에는 다양한 성분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성분들은 항염증과 항균작용, 진통작용, 면역증강 등의 역할을 한다.
퇴행성 신경질환에 대한 봉독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봉독이 밀로이드의 축적을 억제하며, 뇌조직 내에서 세포의 기억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을 파괴하는 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cholinesterase, AchE)를 억제하여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가능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용기능성 식품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독을 함유한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의 개발로 인하여 치매, 알츠하이머, 파킨스, 뇌졸중 등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치료에 크게 기여하리라 생각되며, 국내산 봉독의 고부가 가치 용도 개발로 인한 양봉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이다.
도 1은 봉독의 아밀로이드베타 응집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봉독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형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활성화된 신경염증세포(BV-2) 대한 봉독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활성화된 신경염증세포(BV-2) 봉독 처리 후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활성화된 신경염증세포(BV-2) 봉독 처리 후 IL-1β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활성화된 신경염증세포(BV-2) 봉독 처리 후 IL-6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d는 활성화된 신경염증세포(BV-2) 봉독 처리 후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밀로이드의 축적을 억제하며, 뇌조직 내에서 세포의 기억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을 파괴하는 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cholinesterase, AchE)를 억제하는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봉독은 퇴행성 신경질환의 원인인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을 저해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파괴를 유도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형성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염증반응으로 인한 뇌신경손상을 유발하는 NO와 IL-1, IL-6, TNF-α 등의 염증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 인하여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봉독을 함유한 의약품 및 이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서 봉독의 함량은 정제 봉독 기준으로 0.0001 ~ 10 %(w/v)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1 ~ 1 %(w/v)를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만일 0.0001 %(w/v)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면 아밀로이드 축적 완화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활성 억제가 낮아 효능이 반감될 수 있고, 10 %(w/v) 초과를 사용할 경우엔 세포 독성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 퇴행성 신경질환으로는 치매, 알츠하이머, 파킨스, 뇌졸중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 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시 드레싱제, 패취제, 밴드, 연고제 등의 피부외용제 또는 주사제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젤라티 효소분해물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mg/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g/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제와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음료, 미네랄워터, 알코올음료 등의 음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봉독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위생)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식품 100 중량부당 0.01 ~ 0.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봉독의 유효성분 측정
서양종꿀벌(Apis meliffera L.)을 봉독채집 장치를 이용하여 봉독을 채집하고, 채집한 건조봉독을 증류수로 용해, 원심분리,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순수한 봉독만을 얻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AKTA explorer, Pharmacia, USA)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Sephadex TM75 및 Source 15RPC ST 컴럼을 사용하였으며, 봉독 성분 중에 멜리틴, 아파민, 포스포리파아제 A2 함량은 다음 수학식 1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봉독 중에 멜리틴, 아파민, 포스포리파아제 A2 함량이 다음 표 1과 같은 범위의 정제 봉독을 사용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0000496745-pat00001
성분 함량
아파민(apamine) 2.8a(2.0~3.2)b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12.8(10.8~14.5)
멜리틴 (melittin) 50.7(48.5~67.2)
a: 평균치
b: 최고치와 최저치의 평균 범위
실시예 2 : 아밀로이드베타 응집 저해 활성
봉독의 퇴행성 신경질환 유발원인 물질인 아밀로이드베타 응집 완화 효과를 형광분석법(ThioflavinT assay)으로 측정하였다.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Aβ1-42)는 5 uM의 농도로 사용하였으며, 사용 전 -80 ℃에 보관하였다. 봉독은 증류수에 시험농도별로 희석하였다. Aβ1-42 응집 억제 정도를 특정하기 위하여 0.01 M 인산소다 완충용액 92.5 ㎕에 봉독액 5 ㎕씩 가하고, 5 uM Aβ1-42 2.5 ㎕를 가한 뒤, 37 ℃에서 26시간 반응시킨 후, 5uM 티오플라빈T 2,000 ㎕를 가하여 형광분광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봉독이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파괴를 유도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측정은 Ellman 법을 변형하였으며,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농도는 0.03 unit로 희석하여 사용 전에는 -80 ℃에 보관하였다. 봉독은 0.1 M 소디움 포스페이트 버퍼(pH 8.0)에 녹인 1,000 uM의 아세틸콜린 아이오다이드(acetylcholine iodide)를 사용하였으며, 발색 시약은 39.6 mg의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릭산)와 15 mg의 소디움 비카르보네이트를 0.1 M의 소디움 포스페이트 버퍼(pH 7.0) 10 ml에 녹여 제조하였다. 2 ml의 소디움 포스페이트 버퍼(pH 8.0)에 200 ㎕의 DTNB 용액과 100 ㎕의 효소를 가한 뒤 37 ℃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봉독 200 ㎕를 가해 3분간 반응 시킨 후 41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 신경세포 염증 억제 효과
(1) 신경세포 세포독성 측정
신경세포인 마우스 미소교(BV-2) 세포는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고 있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을 사용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양세포가 바닥 면적의 90% 가량 차도록 자라면 계대 배양을 하고 대수 성장기의 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BV-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5×105 cell/ml로 하여 분주하여 하루 동안 배양하여 부착시키고 새로운 배지로 교환한 다음 다양한 농도의 벌독을 처리하였다. 37 ℃,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세포 생존율을 MTT(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시약으로 처리하여 ELISA 리더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봉독의 신경세포 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2) NO, IL-1β, IL-6 및 TNF-α 발현량 시험
BV-2 세포주를 24 웰 플레이트에 5×105 cell/ml로 하여 1 ml씩 분주하여 하루 동안 배양하여 부착시키고 새로운 배지로 교환한 다음, LPS(100 ng/ml)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 범위의 봉독을 처리하였다. 37 ℃, 5% CO2 배양기에서 배양 후 각 웰의 배양액으로 유리된 NO, IL-1β, IL-6 및 TNF-α를 측정하였다. IL-1β, IL-6 및 TNF-α의 생성량은 ELISA kit(Pierce Biotechnology. USA)를 이용하였다. BV-2 세포주에 LPS와 벌독을 처리하여 20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 50 ul를 취하여 일차항체와 이차항체를 순서대로 반응시키고 3,3’,5,5’-테트라메틸 벤지딘(tetramethyl benzidine)을 첨가하여 발색시킨 다음, ELISA 리더로 흡광도를 읽고 IL-1β, IL-6 및 TNF-α 표준용액을 이용한 그래프로부터 시료의 IL-1β, IL-6 및 TNF-α 농도를 환산하였다. NO 측정을 위행 BV-2 세포주에 LPS와 벌독을 처리하여 20시간 배양한 배양액 50 ul를 96 웰 플레이트에 취하고 동량의 그리스 시약을 가한 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ELISA 리더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디움 니트라이트(Sodium nitrite)를 NO2 표준품으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를 도 4a 내지 도 4d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봉독의 독성 시험
봉독에 대한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봉독 0.5 ~ 5 mg/kg을 24 마리의 생쥐에게 복강 내 투여하여 행동 관찰 후 24 시간 생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봉독을 2 ~ 3 mg/kg을 투여한 생쥐 6 마리 중 3 마리가 생존하고 나머지 3 마리는 희생당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1 mg/kg 미만의 용량을 투여한 생쥐의 경우는 모두 생존하였으며, 행동 관찰상 약물을 투여하지 않았던 생쥐와 비교하여 통계학상의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생쥐에서 봉독의 대략적인 반수가 생존할 독성 용량은 2.5 mg/kg으로 판단된다.
제제예 1 : 드레싱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봉독 0.1 g과 알긴산염 1 g을 골고루 혼합하고, 증류수 5 ml를 넣어 잘 섞은 후, 60 ℃ 온도의 핫플레이트 상에서 투명해질 때까지 잘 섞고 유리판으로 옮겨 유리막대를 이용하여 얇게 펴주었다. 이때, 봉독과 알긴산염 및 물의 비율은 치료하고자하는 상처 또는 화상 부위, 상태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드레싱의 크기, 두께, 공극 등은 어떠한 형태로든 제조 가능하다. 또한, 알긴산염을 대신하여 히알루론산 등과 같은 통상의 젤 매트릭스 재료가 사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드레싱은 도 5와 같다.
제제예 2 : 연고제의 제조
상기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봉독 1.0 중량%, 밀납 1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5.0 중량%, 피이지-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바셀린 5.0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제제예 3 : 패취제의 제조
상기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패취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봉독 1.2 중량%, 헥실렌글리콜 20.0 중량%, 디에킬아민 0.7 중량%, 폴리아크릴산 1.0 중량%, 아황산나트륨 0.1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1.0 중량%,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 1.0 중량%,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중량%,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 2.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0 중량%, 탈이온수 100 중량%.
제제예 4: 기능성 식품의 제조
<음료의 제조>
봉독 1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3)

  1. 삭제
  2. 서양종꿀벌(Apis meliffea L.)에서 채집한 건조 봉독의 증류수 추출물로서, 멜리틴이 48.5~67.2 중량%, 아파민이 2.0~3.2 중량%, 그리고 포스포리파아제 A2가 10.8~14.5 중량%로 함유되어 있으며, 아밀로이드베타 응집 저해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형성 억제 및 NO, IL-1, IL-6 및 TNF-α의 염증사이토카인 생성 억제를 위한 유효성분으로 0.01~1%(w/v)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풍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서양종꿀벌(Apis meliffea L.)에서 채집한 건조 봉독의 증류수 추출물로서, 멜리틴이 48.5~67.2 중량%, 아파민이 2.0~3.2 중량%, 그리고 포스포리파아제 A2가 10.8~14.5 중량%로 함유되어 있으며, 아밀로이드베타 응집 저해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형성 억제 및 NO, IL-1, IL-6 및 TNF-α의 염증사이토카인 생성 억제를 위한 유효성분으로 0.01~1%(w/v)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풍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KR1020100000564A 2010-01-05 2010-01-05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1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64A KR101219551B1 (ko) 2010-01-05 2010-01-05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64A KR101219551B1 (ko) 2010-01-05 2010-01-05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383A KR20110080383A (ko) 2011-07-13
KR101219551B1 true KR101219551B1 (ko) 2013-01-11

Family

ID=4491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564A KR101219551B1 (ko) 2010-01-05 2010-01-05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574B1 (ko) 2013-05-23 2014-12-1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아파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90009592A (ko) 2017-07-19 2019-01-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6343A1 (en) * 2011-12-05 2014-12-04 Key Neurosciences Sas Composition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WO2013129739A1 (ko) * 2012-02-27 2013-09-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봉독-pla2를 포함하는 이상 조절 t 세포 활성 저하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US20220143103A1 (en) * 2019-03-28 2022-05-12 Inist St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inflammatory disorders, comprising bee veno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019A (ko) * 2008-03-07 2009-09-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019A (ko) * 2008-03-07 2009-09-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574B1 (ko) 2013-05-23 2014-12-1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아파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90009592A (ko) 2017-07-19 2019-01-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장수말벌의 일벌로부터 분리된 봉독을 함유하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383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551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56775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래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42696A (ko) 흰점박이꽃무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7395622B2 (ja) 新規なフィーカリバクテリウムプラウスニッツィイ菌株eb-fpdk11およびその用途
CN113543793A (zh) 螺旋藻提取物的制备方法、和包含螺旋藻提取物的用于改善认知能力的药学组合物及保健功能食品
KR101225114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028602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190001164A (ko) 강황, 모과 및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7250180B2 (en) Anti-prostate cancer composition and therapeutic uses therefor
KR102228339B1 (ko) 아로니아 열매 및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의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4371431B2 (ja)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KR20180137971A (ko) 신경 세포사 억제 활성을 갖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70699A (ko) 홍삼, 원지, 복령, 모렐 및 초석잠의 혼합발효물로부터 얻어지는 인지능 개선용 옥고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6753B1 (ko) 좁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1280A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10145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lzheimer&#39;s disease containing basil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918206B1 (ko) 작약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36460A (ko)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887585B1 (ko) 암브로시아 아르테미시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신경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45349A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828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내 대사 촉진용 조성물
EP3110432A1 (en) Composition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ucositis and/or stomatitis
KR20230122472A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