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543B1 - 지폐 분별기 - Google Patents

지폐 분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543B1
KR101219543B1 KR1020120013564A KR20120013564A KR101219543B1 KR 101219543 B1 KR101219543 B1 KR 101219543B1 KR 1020120013564 A KR1020120013564 A KR 1020120013564A KR 20120013564 A KR20120013564 A KR 20120013564A KR 101219543 B1 KR101219543 B1 KR 101219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unit
sensing rod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옥
Original Assignee
김일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옥 filed Critical 김일옥
Priority to KR102012001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 G07D7/162Length or wid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분별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감지봉이 설치된 지폐 감별부; 및 상기 지폐 감별부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폐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지폐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 삽입부는 상기 지폐 감별부의 복수의 감지봉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감지봉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빈 공간이 설치되어, 상기 지폐 삽입부에 지폐가 삽입되지 않은 채 상기 지폐 감별부가 상기 지폐 삽입부 측으로 접혔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감지봉이 지폐 삽입부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지폐 삽입부에 지폐의 일부가 삽입된 채 상기 지폐 감별부가 상기 지폐 삽입부 측으로 접혔을 때에는 지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수의 감지봉이 상기 지폐 감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폐 분별기{BILL DIFFERENTIATING APPARUTUS}
본 발명은 지폐 분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시각장애인이 화폐 가치가 다른 여러 지폐를 분별할 수 있는 지폐 분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시각 장애인이 지폐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폐에 점자 표시를 한다. 그러나, 지폐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점자 표시 부분이 마모되어 시각 장애인이 점자 표시를 이용하여 지폐의 종류를 인식함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또한, 지폐의 점자 표시 외에는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지폐의 종류를 분별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장치는 종래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지폐의 점자 표시 외에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지폐의 종류를 분별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화폐 가치가 다른 여러 지폐를 용이하게 분별할 수 있는 지폐 분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감지봉이 설치된 지폐 감별부; 및 상기 지폐 감별부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폐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지폐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 삽입부는 상기 지폐 감별부의 복수의 감지봉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감지봉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빈 공간이 설치되어, 상기 지폐 삽입부에 지폐가 삽입되지 않은 채 상기 지폐 감별부가 상기 지폐 삽입부 측으로 접혔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감지봉이 지폐 삽입부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지폐 삽입부에 지폐의 일부가 삽입된 채 상기 지폐 감별부가 상기 지폐 삽입부 측으로 접혔을 때에는 지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수의 감지봉이 상기 지폐 감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별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폐 삽입부는 상기 지폐 감별부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된 제1판 및 상기 제1판과 접힘 가능하게 결합된 제2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판이 상기 제1판 측으로 접혔을 때,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의 사이 공간에 지폐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판에 상기 복수의 감지봉이 끼워질 수 있는 상기 빈 공간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감지봉은 적어도 지폐 종류의 총 수만큼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감지봉은 각각의 감지봉과 상기 지폐 삽입부 중 상기 지폐 감별부의 반대측의 최단 거리가 종류가 다른 지폐 각각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감지봉은 상기 지폐 감별부의 가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감지봉의 간격은 지폐의 길이가 가장 유사한 이종 지폐 간 길이의 차이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폐 분별기에 따르면, 지폐 삽입부에 삽입되는 지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수의 감지봉이 지폐감별부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시각 장애인도 용이하게 지폐의 종류를 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분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분별기의 지폐 삽입부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분별기에 있어서, 지폐를 삽입하지 않은 채 지폐 감별부를 지폐 삽입부 측으로 접었을 때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분별기에 있어서, 지폐 삽입부에 지폐를 삽입한 채 지폐 감별부를 지폐 삽입부 측으로 접었을 때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분별기에 있어서, 지폐 삽입부에 지폐를 삽입한 채 지폐 감별부를 지폐 삽입부 측으로 접었을 때의 지폐 분별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도면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분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분별기에 있어서, 지폐를 삽입하지 않은 채 지폐 감별부를 지폐 삽입부 측으로 접었을 때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지폐 삽입부에 지폐를 삽입한 채 지폐 감별부를 지폐 삽입부 측으로 접었을 때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분별기는 지폐 감별부(100) 및 지폐 삽입부(200)를 포함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삽입부(200)에 지폐의 일부를 삽입한 채 지폐 감별부(100)를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분별기의 각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지폐 감별부(100)는 시각 장애인 등의 사용자가 지폐의 종류를 용이하게 감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지폐 감별부(100)에는 복수의 감지봉(1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은 그 두께가 지폐 감별부(110)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외측으로는 평평하게 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도 1 및 도 3 참조). 이는 지폐 삽입부(200)에 지폐의 일부를 삽입한 채 지폐 감별부(100)를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었을 때, 지폐 삽입부(200)와 지폐 감별부(100)의 사이 공간에 끼워진 지폐에 의해서 감지봉이 지폐 감별부(1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5 및 도 6 참조). 여기서, 지폐 감별부(100)의 내측이란 지폐 감별부(100)를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었을 때 지폐 삽입부(200)와 겹쳐지는 측을 말하며, 지폐 감별부(100)의 외측이란 그 반대 측을 말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은 적어도 지폐 종류의 총 수만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든 종류의 지폐에 대하여 다른 수의 감지봉(110)이 지폐 감별부(1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은 각각의 감지봉(110a, 110b, 110c, 110d)과 상기 지폐 삽입부(200) 중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반대 측(X)의 최단 거리가 종류가 다른 지폐 각각의 길이와 동일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길이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길이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 뿐 아니라 ±2mm 이하의 약간의 오차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각국의 지폐는 화폐의 가치에 따라 지폐의 종류가 구분되며, 지폐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길이(가로 및 길이가 모두 다를 수도 있으며, 세로 길이만 다르거나 가로 길이만 다를 수 있음)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구성은 지폐 삽입부(200)에 지폐를 삽입했을 때, 지폐 삽입부(200)에 삽입되지 않은 지폐의 일부가 덮는 감지봉(110)의 수를 지폐 종류마다 다르게 하여, 종류가 다른 지폐를 지폐 삽입부(200)에 삽입하고 지폐 감별부(100)를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었을 때, 다른 수의 감지봉이 지폐 감별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감지봉이 설치된 일례로서, 상기 복수의 감지봉 중 상기 지폐 삽입부(200)와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감지봉(110a)과 상기 지폐 삽입부(200) 중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반대 측(X)의 최단 거리가 최단 길이를 갖는 지폐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지폐 삽입부(200)와 가장 먼 곳에 설치된 감지봉(110d)과 상기 지폐 삽입부(200) 중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반대 측(X)의 최단 거리가 최장 길이를 갖는 지폐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감지봉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가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감지봉(110a, 110b, 110c, 110d)의 간격은 지폐의 길이가 가장 유사한 이종(異種)의 지폐 간 길이의 차이와 동일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감지봉의 간격은 인접하는 감지봉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고, 상기 지폐 간 길이의 차이는 지폐의 길이가 가장 유사한 이종의 지폐간 길이의 차이의 평균을 의미하며, 지폐간 길이의 차이와 동일하다는 의미는 지폐 간 길이의 차이와 완전히 동일한 경우 뿐 아니라 ±2mm 이하의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의 형상은 상기 지폐 감별부(100) 외측으로 돌출 시 사용자가 감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재질 또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례로 상기 감지봉은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의 폭(가로 길이)은 지폐의 길이가 가장 유사한 이종(異種)의 지폐 간 길이의 차이보다 작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만약 감지봉(110)의 폭이 상기 지폐 간 길이의 차이보다 크다면 지폐의 종류를 분별하기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일례로 사용자가 소지하기 용이한 형상인 사각 형상, 육면체 형상 등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재질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폐 삽입부(200)는 상기 지폐 감별부(100)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폐 감별부(100)를 상기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폐 삽입부(200)에는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복수의 감지봉(110)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빈 공간(210)이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감지봉(110)과 대응하는 위치란, 상기 지폐 감별부(100)를 상기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었을 때, 상기 지폐 감별부(100)에 설치된 복수의 감지봉과 겹쳐지는 지폐 삽입부(200)의 위치를 말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지폐 삽입부(200)에 지폐가 삽입되지 않은 채 상기 지폐 감별부(100)가 상기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혔을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이 지폐 삽입부(200)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폐 삽입부(200)에 지폐가 삽입된 채 상기 지폐 감별부(100)가 상기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혔을 때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빈 공간(210)과 상기 감지봉(110) 사이에 지폐(A)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빈 공간(210)과의 사이에 지폐가 위치하고 있는 감지봉(110)의 수에 따라 지폐 감별부(100) 외측으로 돌출되는 감지봉(110)의 수가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는 종류에 따라 다른 길이(세로 및 가로 길이가 다른 경우, 세로 길이가 다른 경우, 가로 길이가 다른 경우가 있음)를 갖는다. 따라서, 일정한 길이의 지폐 삽입부(200)에 삽입되는 지폐의 길이는 일정하고, 지폐 삽입부(200)에 삽입되지 않는 지폐 부분의 길이가 지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 결과, 지폐 삽입부(200)에 삽입된 지폐의 종류가 달라지게 되면, 지폐 감별부(100)를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었을 때 지폐 감별부(100)와 지폐 삽입부(200) 사이에 위치는 지폐 부분의 길이가 지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되고, 상기 지폐 삽입부(200)에 설치된 빈 공간(210)과 상기 감지봉(110) 사이에 지폐가 위치하는 감지봉(100)의 수도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분별기는 상기 지폐 삽입부(200)에 삽입된 지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지폐 감별부(100)가 상기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혔을 때 다른 수의 감지봉(110)이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시각 장애인 등 사용자가 용이하게 화폐 가치가 다른 지폐의 종류를 분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분별기의 지폐 삽입부(200) 구성의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폐 삽입부(200)의 구성은 일례로 상기 지폐 감별부(100)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된 제1판(220) 및 상기 제1판과 접힘 가능하게 결합된 제2판(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판(230)이 상기 제1판(220)측으로 접혔을 때, 상기 제1판(220)과 상기 제2판(230) 사이의 공간에 지폐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판(230)에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이 끼워질 수 있는 상기 빈 공간(210)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폐 삽입부(200)의 구성은 다른 예로서, 상기 지폐 감별부(100)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된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에 지폐가 삽입될 수 있는 포켓 형식의 공간이 설치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폐 삽입부(200)는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고, 일례로 사용자가 소지하기 용이한 형상인 사각 형상, 육면체 형상 등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지폐 삽입부(200)의 재질 또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고, 일례로 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실시예]
대한민국 지폐는 화폐의 가치에 따라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오만원권으로 구분되며, 천원권은 136mm, 오천원권은 141mm, 만원권은 148mm, 오만원권은 154mm의 길이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분별기는, 지폐 감별부(100)와 지폐 삽입부(200)를 갖으며, 지폐 삽입부(200)는 제1판(220)과 제2판(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판(220)은 상기 지폐 감별부(100)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판(230)은 상기 제1판(220)과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판(230)이 상기 제1판(220)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판(220)과 제2판(230)의 사이 공간에 지폐의 일부가 삽입되고, 지폐가 삽입된 채 지폐 감별부(100)가 지폐 삽입부(또는 제2판)측으로 접히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여기서, 지폐 감별부(100), 제1판(220) 및 제2판(230)은 가로 85mm, 세로 55mm, 두께 2mm의 직육면체이며, 상기 지폐 감별부(100)에는 4개의 감지봉(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감지봉(110)의 크기는 가로 3mm, 세로 5mm, 두께 4mm이다.
4개의 감지봉 중 지폐 삽입부(200)에서 가장 가까운 제1감지봉(110a)은, 지폐 삽입부(200) 중 지폐 감별부(100)의 반대측(X)에서 제1감지봉(110a)까지의 최단 거리가 136mm이다.
제1감지봉(110a)과 인접한 제2감지봉(110b)은, 지폐 삽입부(200) 중 지폐 감별부(100)의 반대측(X)에서 제2감지봉(110b)까지의 최단 거리가 141mm이다.
제2감지봉(110b)과 인접한 제3감지봉(110c)은, 지폐 삽입부(200) 중 지폐 감별부(100)의 반대측(X)에서 제3감지봉(110c)까지의 최단 거리가 148mm이다.
제3감지봉(110c)과 인접한 제4감지봉(110d)은, 지폐 삽입부(200) 중 지폐 감별부(100)의 반대측(X)에서 제4감지봉(110d)까지의 최단 거리가 154mm이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 분별기를 이용하여 지폐의 종류를 분별한 결과를 서술한다.
우선 지폐 삽입부(200)에 천원권을 삽입한 후 지폐 감별부(100)를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었을 때, 지폐 감별부(100) 외측으로 한개의 감지봉이 돌출된다.
다음으로, 지폐 삽입부(200)에 오천원권을 삽입한 후 지폐 감별부(100)를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었을 때, 지폐 감별부(100) 외측으로 두개의 감지봉이 돌출된다.
다음으로, 지폐 삽입부(200)에 만원권을 삽입한 후 지폐 감별부(100)를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었을 때, 지폐 감별부(100) 외측으로 세개의 감지봉이 돌출된다.
다음으로, 지폐 삽입부(200)에 오만원권을 삽입한 후 지폐 감별부(100)를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었을 때, 지폐 감별부(100) 외측으로 네개의 감지봉이 돌출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분별기를 이용하면, 지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수의 감지봉이 지폐 감별부 외측으로 돌출하여 시각장애인도 용이하게 지폐의 종류를 분별할 수 있게 된다.
100 지폐 감별부
110 감지봉
110a 제1감지봉 110b 제2감지봉 110c 제3감지봉 110d 제4감지봉
200 지폐 삽입부
210 지폐 삽입부의 빈 공간
220 제1판
230 제2판
A 지폐
X 지폐 삽입부 중 지폐 감별부의 반대측

Claims (5)

  1. 복수의 감지봉(110)이 설치된 지폐 감별부(100); 및
    상기 지폐 감별부(100)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폐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지폐 삽입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 삽입부(200)는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복수의 감지봉(110)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빈 공간(210)이 설치되어, 상기 지폐 삽입부(200)에 지폐가 삽입되지 않은 채 상기 지폐 감별부(100)가 상기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혔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이 지폐 삽입부(200)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지폐 삽입부(200)에 지폐의 일부가 삽입된 채 상기 지폐 감별부(100)가 상기 지폐 삽입부(200) 측으로 접혔을 때에는 지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수의 감지봉이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폐 삽입부(200)는,
    상기 지폐 감별부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된 제1판(220) 및 상기 제1판(220)과 접힘 가능하게 결합된 제2판(2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판(230)이 상기 제1판(220) 측으로 접혔을 때, 상기 제1판(220)과 상기 제2판(230)의 사이 공간에 지폐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판(230)에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이 끼워질 수 있는 상기 빈 공간(21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은 적어도 지폐 종류의 총 수만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은 각각의 감지봉(110a, 110b, 110c, 110d)과 상기 지폐 삽입부 중 상기 지폐 감별부의 반대측(X)의 최단 거리가 종류가 다른 지폐 각각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봉(110)은 상기 지폐 감별부(100)의 가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감지봉의 간격은 지폐의 길이가 가장 유사한 이종 지폐 간 길이의 차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별기.
KR1020120013564A 2012-02-08 2012-02-08 지폐 분별기 KR101219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564A KR101219543B1 (ko) 2012-02-08 2012-02-08 지폐 분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564A KR101219543B1 (ko) 2012-02-08 2012-02-08 지폐 분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543B1 true KR101219543B1 (ko) 2013-01-10

Family

ID=4784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564A KR101219543B1 (ko) 2012-02-08 2012-02-08 지폐 분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5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214B1 (ko) 2012-04-19 2013-06-17 김일옥 지폐 구분기
KR102117787B1 (ko) 2019-06-17 2020-06-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지갑
KR20230059466A (ko) 2021-10-26 2023-05-03 박채린 시각 장애우용 지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772A (en) 1978-07-10 1980-01-25 Hamamatsu Tv Kk Electrode for channel type electron multiplier
JPH07175955A (ja) * 1992-06-15 1995-07-14 Shinichi Nakagawa 視覚障害者用携帯可能紙幣識別器
KR100880833B1 (ko) 2008-11-05 2009-03-06 주식회사 보이스아이 시각 장애인용 지폐 감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772A (en) 1978-07-10 1980-01-25 Hamamatsu Tv Kk Electrode for channel type electron multiplier
JPH07175955A (ja) * 1992-06-15 1995-07-14 Shinichi Nakagawa 視覚障害者用携帯可能紙幣識別器
KR100880833B1 (ko) 2008-11-05 2009-03-06 주식회사 보이스아이 시각 장애인용 지폐 감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214B1 (ko) 2012-04-19 2013-06-17 김일옥 지폐 구분기
KR102117787B1 (ko) 2019-06-17 2020-06-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지갑
KR20230059466A (ko) 2021-10-26 2023-05-03 박채린 시각 장애우용 지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543B1 (ko) 지폐 분별기
JPH02268391A (ja) 硬貨選別装置
EP1158470A3 (en) Bill counting machine
KR101114162B1 (ko)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
KR101276214B1 (ko) 지폐 구분기
CA2530517C (en) Container for coins or tokens
WO2003081541A3 (de) Münzbrett
JP6423770B2 (ja) 受皿装置及び硬貨釣銭機
KR200452340Y1 (ko) 세컨드 런 기능을 가진 지폐계수기
CN205680185U (zh) 一种公交投币机
CN211956605U (zh) 一种硬币投币分拣装置
KR102198255B1 (ko) 동전 자동분류 저금통
JP6739912B2 (ja) 硬貨枚数計測手段を備えた硬貨処理装置
KR102537464B1 (ko) 시각 장애우용 지갑
JP5636030B2 (ja) 棒金収納庫
US5021027A (en) Coin computer with integral coin indicia
JP5400248B1 (ja) 硬貨選別器及びそれを備えた財布
KR200263723Y1 (ko) 주화 저장장치
JP5334626B2 (ja) コイン整理用の複数区別二つ折れ小銭入れ
CN104063941A (zh) 一种硬币计数器
CN205541077U (zh) 排列覆盖式点钞机磁头组
KR102075331B1 (ko) 멀티포켓형 지폐처리장치
CN105719388A (zh) 一种硬币计数器
CN206726334U (zh) 一种用于自动找零设备的分币器
JP3178419U (ja) 硬貨収納計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