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526B1 -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526B1
KR101219526B1 KR1020100092424A KR20100092424A KR101219526B1 KR 101219526 B1 KR101219526 B1 KR 101219526B1 KR 1020100092424 A KR1020100092424 A KR 1020100092424A KR 20100092424 A KR20100092424 A KR 20100092424A KR 101219526 B1 KR101219526 B1 KR 10121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ice
porous
oxalic acid
metal contaminants
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726A (ko
Inventor
장성윤
박대우
남병직
함철희
유재은
이규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92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5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16Acidic compositions
    • C23F1/28Acidic compositions for etching iron group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살산을 용제로 하고, 습포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옥살산 및 습포물질을 포함하는 습포제를 이용하여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국소부위의 금속오염물을 적은 세정제의 양으로 유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도자기, 토기, 다공성 석조 문화재 등의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 방법{Poultice for removing metal pollutants of surface of porous cultural heritage and method for removing the metal polluta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공질인 도자기나 토기 유물이 금속유물과 동반하여 출토되거나 토양에서 오랜 기간 매장되었다가 발굴 출토된 경우, 유물 표면이 금속염에 의해 오염되어 변색되기도 하고 유물 표면이나, 태토(胎土) 및 빙렬(氷裂) 내부에까지 금속염이 침투하여 본연의 미(美)를 잃어버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 유물의 보존처리는 크게 물리적인 방법이나 화학적인 방법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물리적인 방법은 유물 처리에서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오염물의 종류와 무관하게 붓이나 솔을 이용하거나 스팀, 초음파 세척 등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데, 제거 효율이 낮으며 무리하게 오염물을 제거하려면 도자기나 토기 표면에 흠집이나 손상을 남길 수 있다. 또한 오염물이 태토와 고착되어 있거나 빙렬 틈으로 침투하여 태토와 빙렬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이럴 경우엔 화학적인 세정제를 사용하게 된다.
화학적인 세정법은 유물을 세정제에 침적시켜 오염물을 제거하는 침적법과 습포제를 사용하여 특정부분의 오염물만을 제거하는 습포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침적법은 보존처리용 세정제를 도자기와 토기 유물에 침적시켜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세정제와 오염물이 직접 반응하므로 오염물을 제거하는 데는 효과가 있지만 유물전체를 세척제에 침적시키므로 국부적인 오염원에만 적용하기 어렵고 계속적인 용제의 교환으로 용제의 낭비가 발생한다. 또한 침적과정에서 오염원이 없는 유물의 다른 부위에도 세정제가 접촉하므로 유물의 일부 구성성분이 용해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습포법은 용제를 팩이나 습포제의 형식으로 적용하는데, 용제를 습포물질과 섞어서 유물표면에 적용하면 용제가 유물표면의 오염물을 용해시키고 습포물질 쪽으로 흡수된다. 즉 습포물질의 바깥쪽에 있는 표면 용제가 먼저 마르므로 습포물질의 안쪽에 용해된 오염물은 습포물질에 남게 된다(SusanㆍVictoria, 1983).
이러한 방법은 특정부분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문화재의 오염물 제거에 적용된 사례는 매우 적은 편이다. 국내에서는 철에 오염된 백자시편(인위적으로 제작한 도자기 시편)을 EDTA-2Na와 구연산에 침적하여 철이온을 제거한 연구결과(함철희, 2007)가 유일하다. 국외에서는 도자기 표면의 철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약품이 사용된 바 있는데, Cyonyn(1992)는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가 유용하다고 보고하였고 산소 표백제에 의해 제거되기 어려운 철산화물은 히드로아황산나트륨(hydrosufite)으로 우선 처리하며 그 다음에 제삼인산나트륨(Trisodium phosphate)과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의 사용을 추천하였다(Henry, 1987).
대부분의 금속오염물은 유물의 국소부위에 발생하기 때문에 전체 유물을 세정제에 침적하는 것은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물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으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국소부위의 금속오염물 제거에는 그 부위에만 적용되는 습포제의 사용이 효과적이며 용제는 도자기와 토기에 적합한 세정제의 선택이 필요하다. 문화재에 사용되는 세정제는 유물의 안정성을 해치지 않고, 가역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약품의 사용 및 처리는 최소한으로 이루어져야 한다(양필승, 2005; 김주삼, 2001).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도자기, 토기유물과 같은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국소부위의 금속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옥살산을 용제로 하고, 습포물질을 이용한 습포법을 사용할 때 우수한 금속오염물의 제거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국소부위의 금속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세정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국소부위의 금속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살산을 용제로 하고, 습포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제로서 옥살산과 습포물질을 혼합하여 습포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습포제를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부위에 부착하는 단계(단계 2); 및
건조 후 상기 혼합물을 다공질 문화재 표면에서 탈착시키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옥살산 및 습포물질을 포함하는 습포제를 이용하여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국소부위의 금속오염물을 적은 세정제의 양으로 유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도자기, 토기, 다공성 석조 문화재 등의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토나이트 습포제를 이용한 도자기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토나이트 습포제 도포 전후의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도자기 표면의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피올라이트 습포제를 이용한 도자기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피올라이트 습포제 도포 전후의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도자기 표면의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소섬유 습포제를 이용한 도자기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소섬유 습포제 도포 전후의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도자기 표면의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피올라이트 습포제를 이용한 청화백자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피올라이트 습포제 도포 회수에 의한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청화백자 표면의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피올라이트 습포제 도포 회수에 의한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유약이 박락된 도자기 표면의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옥살산에 침적된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분청사기 시편의 침적시간에 따른 표면의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구연산에 침적된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분청사기 시편의 침적시간에 따른 표면의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EDTA-4Na에 침적된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분청사기 시편의 침적시간에 따른 표면의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옥살산을 용제로 하고, 습포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포제에 있어서, 상기 옥살산은 용제로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을 용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자들은 도자기, 토기 등의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를 위한 용제를 선택하기 위하여 다양한 세정제를 대상으로 침적 실험한 결과, 옥살산에서는 침적후 10시간 이내에 오염물을 용해시켜 오염전과 거의 유사한 색차를 가졌으나, 그 외의 세정제(구연산, EDTA-4Na)는 장시간 침적하여도 금속오염물 제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습포제에 있어서, 용제로서 옥살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옥살산의 농도는 0.1~1.5 M인 것이 바람직하며, 0.25~1.0 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옥살산의 농도가 0.1 M 이하이면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5 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물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습포제에 있어서, 상기 습포물질은 용제에 의해 용해된 금속오염물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벤토나이트, 세피올라이트, 활성탄소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활성탄소섬유는 주원료로서 레이온,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피치 또는 페놀수지로 제조된 것(박민진 외, 1997)으로 섬유상에 발달된 미세기공으로 인하여 높은 비표면적을 갖고, 흡착속도가 빠르며, 흡착 용량이 큰 고성능 흡착재료이다(문동철 외, 2000).
상기 습포물질은 유물의 굴곡과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와 활성탄소섬유는 재료의 형태와 성질상 편평한 면에 사용할 경우 유리하고, 세피올라이트는 곡면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습포제는 용제(옥살산)와 습포물질을 혼합하여 겔 형태로 제조하거나, 습포물질이 활성탄소섬유와 같은 섬유인 경우에는 습포물질을 용제에 침적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습포물질과 옥살산의 혼합비는 1:3~5의 무게비(g/㎖)인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부착이 용이한 겔 형태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제로서 옥살산과 습포물질을 혼합하거나 습포물질을 옥살산에 침적시켜 습포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습포제를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부위에 부착하는 단계(단계 2); 및
건조 후 상기 혼합물을 다공질 문화재 표면에서 탈착시키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용제인 옥살산을 습포물질과 혼합하거나 상기 습포물질을 옥살산에 침적하여 제조한 습포제를 다공질 문화재 표면에 적용하면 용제가 유물표면의 오염물을 용해시키고 습포물질 쪽으로 흡수된다. 이때, 습포물질의 바깥쪽에 있는 표면 용제가 먼저 마르므로 습포물질의 안쪽에 용해된 오염물은 습포물질에 남게 되므로 다공질 문화재 표면에서 금속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문화재로는 도자기, 토기, 다공성을 갖는 석조문화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오염물은 철에 의한 오염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옥살산 및 습포물질을 포함하는 습포제를 이용하여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국소부위의 금속오염물을 적은 세정제의 양으로 유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도자기, 토기, 다공성 석조 문화재 등의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도자기 제작시편에서의 금속산화물 제거
시편은 유약을 입히지 않은 백자태토로 50×50×5 ㎜의 크기로 빚어 1,250 ℃의 온도로 소성한 것으로 염산 0.1 M에 철편을 침적시켜 만든 금속산화물 수용액에 시편을 1달 이상 침적시켜 오염물이 시편에 형성되도록 하였다.
오염된 도자기 시편에서 금속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습포물질로서 벤토나이트와 용제로서 옥살산(0.25 M/1 M)을 3배의 무게비(g/㎖)로 만들어 교반기에서 600 rpm으로 20분 동안 교반하여 겔 형태의 벤토나이트 습포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벤토나이트 습포제를 오염된 시료표면에 1-2 ㎜의 두께로 도포하고 10시간 경과 후, 건조된 벤토나이트 습포제를 시료표면에서 제거한 후 금속산화물 제거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제거효과는 육안관찰 및 색차값(ΔE*ab)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으며, 각 실험은 3회 반복한 후 평균값을 낸 것을 측정값으로 하였다.
육안 관찰 결과는 도 1에, 색차값 측정 결과는 도 2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옥살산의 농도
0.25 M 1 M

오염전

L* 82.54 82.54
a* -0.17 -0.17
b* 6.17 6.17

오염후


L* 76.36 76.22
a* 2.25 4.20
b* 21.08 23.31
ΔE*ab 16.32 18.81

도포후


L* 82.25 82.52
a* -0.05 -0.22
b* 7.71 6.50
ΔE*ab 1.58 0.34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백자 시편은 노란색을 띄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옥살산을 함유한 벤토나이트 습포제를 도포한 다음 일정 시간 후에 탈착시킨 백자 시편은 금속오염물이 제거되어 백색의 본래 색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시편과 오염되지 않은 시편과의 색차값(ΔE*ab)은 16.32 및 18.81이었으나, 0.25 M 또는 1 M의 옥살산을 함유한 벤토나이트 습포제를 도포한 후 10시간 후의 색차값(ΔE*ab)은 1.58 및 0.34로서 금속산화물의 제거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용제로서 옥살산을 사용하고 습포물질로서 벤토나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도자기, 토기, 석조 유물 등의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 실시예 2> 도자기 제작시편에서의 금속산화물 제거
습포물질로서 벤토나이트 대신 세피올라이트를 사용하고, 상기 세피올라이트를 옥살산의 5배의 무게비(g/㎖)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 중 육안 관찰 결과는 도 3에, 색차값 측정 결과는 도 4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옥살산의 농도
0.25 M 1 M

오염전

L* 82.54 82.54
a* -0.31 -0.31
b* 4.75 4.75

오염후


L* 74.84 77.32
a* 3.25 2.27
b* 24.04 19.79
ΔE*ab 19.76 14.80

도포후


L* 81.30 81.61
a* -0.42 -0.15
b* 5.62 5.60
ΔE*ab 1.38 1.09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백자 시편은 노란색을 띄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옥살산을 함유한 세피올라이트 습포제를 도포한 다음 일정 시간 후에 탈착시킨 백자 시편은 금속오염물이 제거되어 백색의 본래 색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시편과 오염되지 않은 시편과의 색차값(ΔE*ab)은 19.76 및 14.80이었으나, 0.25 M 또는 1 M의 옥살산을 함유한 세피올라이트 습포제를 도포한 후 10시간 후의 색차값(ΔE*ab)은 1.38 및 1.09로서 금속산화물의 제거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용제로서 옥살산을 사용하고 습포물질로서 세피올라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도자기, 토기, 석조 유물 등의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 실시예 3> 도자기 제작시편에서의 금속산화물 제거
오염된 도자기 시편에서 금속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습포물질로서 벤토나이트 대신 활성탄소섬유를 50×50×5 ㎜ 크기로 제단 후 옥살산 수용액 50 ㎖에 20분 이상 담가두어 용제가 충분히 섬유 속에 베어들도록 하였다. 상기 활성탄소섬유는 주원료로서 레이온,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피치 또는 페놀수지로 제조된 것(박민진 외, 1997)으로 섬유상에 발달된 미세기공으로 인하여 높은 비표면적을 갖고, 흡착속도가 빠르며, 흡착 용량이 큰 고성능 흡착재료이다(문동철 외, 2000).
제조된 활성탄소섬유 습포제를 오염된 시료표면에 부착하고 10시간 경과 후, 건조된 활성탄소섬유 습포제를 시료표면에서 제거한 후 금속산화물 제거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제거효과는 육안관찰 및 색차값(ΔE*ab)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으며, 각 실험은 3회 반복한 후 평균값을 낸 것을 측정값으로 하였다.
육안 관찰 결과는 도 5에, 색차값 측정 결과는 도 6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옥살산의 농도
0.25 M 1 M

오염전

L* 82.54 82.54
a* -0.17 -0.17
b* 6.17 6.17

오염후


L* 76.16 76.92
a* 2.70 2.44
b* 21.24 18.48
ΔE*ab 16.62 13.78

도포후


L* 81.90 81.45
a* -0.14 -0.16
b* 7.16 5.99
ΔE*ab 1.18 1.10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백자 시편은 노란색을 띄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옥살산을 함유한 활성탄소섬유 습포제를 도포한 다음 일정 시간 후에 탈착시킨 백자 시편은 금속오염물이 제거되어 백색의 본래 색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시편과 오염되지 않은 시편과의 색차값(ΔE*ab)은 16.62 및 13.78이었으나, 0.25 M 또는 1 M의 옥살산을 함유한 활성탄소섬유 습포제를 부착한 후 10시간 후의 색차값(ΔE*ab)은 1.18 및 1.10로서 금속산화물의 제거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용제로서 옥살산을 사용하고 습포물질로서 활성탄소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도자기, 토기, 석조 유물 등의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 실시예 4> 청화백자에의 금속산화물 제거
표면에 철못 등에 의한 오염물이 표면과 유약 내부에 침투된 청화백자 표면에 1지점 및 2지점을 선택하여 색차값을 측정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세피올라이트 습포제를 1회 내지 3회 도포한 후 일정 시간 후에 건조된 세피올라이트 습포제를 제거하여 색차값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7, 도 8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피올라이트 습포제를 이용한 청화백자의 금속오염물질 제거과정을 나타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피올라이트 습포제의 도포 회수에 따른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색차값(ΔE*ab)
1지점 2지점
오염부분 27.15 9.17
도포1회 24.95 4.53
도포2회 10.63 4.88
도포3회 5.82 2.33
도 8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염된 1지점의 색차값은 27.15, 2지점의 색차값은 9.17로 나타났으나, 3회 도포에는 1지점의 색차값이 5.82, 2지점의 색차값이 2.33으로 오염물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도 7을 통하여 육안상으로 오염물이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광택도에 있어서, 오염되지 않은 지점의 광택도는 41.63이었고, 오염물이 제거 된 부분에서는 40.5로 광택도의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유물의 안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금속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문화재의 국소부위 세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시예 5> 유약이 박락된 도자기의 금속산화물 제거
유약이 박락된 도자기 유물의 태토부분이 철산화물에 오염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세피올라이트 습포제를 도포한 후 일정 시간 후에 건조된 세피올라이트 습포제를 제거한 다음 도자기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산화물에 오염시에는 산화철에 의해 도자기의 표면이 붉은 색을 띄고 있었으나, 옥살산을 함유한 세피올라이트 습포제를 도포한 후 일정시간 지난 다음 건조된 세피올라이트 습포제 탈착시, 오염물이 제거되어 도자기 고유의 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금속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문화재의 국소부위 세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1> 용제에 따른 금속산화물 제거 효율 측정
본 발명에 따른 금속산화물 제거방법에 있어서 용제가 금속산화물 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편은 분청사기로 50×50×5 ㎜의 크기로 초벌구이한 분청사기태토에 화장토를 입히고 그 위에 분청사기 유약을 입힌 후 1,250 ℃의 온도로 소성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분청사기 시편을 0.01 M 염산에 철편을 침적시켜 만든 금속산화물 수용액에 1달 이상 침적시켜 오염물이 시편에 형성되도록 한 다음 색차값을 측정하였다.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보존처리용 세척제는 안정성이 확인된 EDTA-4Na(Junsei; 1%, 3%), 옥살산(Sigma-Aldrich; 0.25M, 1M), 구연산(Sigma-Aldrich; 0.25M, 1M)을 선정하여 시편과 세척제의 무게비를 1:10(g/㎖)으로 하여 침적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색차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10~12 및 표 5-7에 나타내었다.
도 10 및 표 5는 용제로서 옥살산 사용시 시간에 따른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11 및 표 6은 용제로서 구연산 사용시 시간에 따른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내며, 도 12 및 표 7은 용제로서 EDTA-4NA 사용시 시간에 따른 색차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옥살산의 농도
0.25 M 1 M

오염전

L* 76.41 76.41
a* -5.35 -5.35
b* 2.26 2.26

오염후


L* 69.14 70.36
a* -1.32 -2.52
b* 15.52 14.41
ΔE*ab 15.93 14.27

60시간
침적후
L* 74.26 76.15
a* -6.17 -6.33
b* 4.64 3.91
ΔE*ab 3.67 2.33

구연산의 농도
0.25 M 1 M

오염전

L* 76.41 76.41
a* -5.35 -5.35
b* 2.26 2.26

오염후


L* 68.51 67.97
a* -0.26 -0.86
b* 12.05 12.88
ΔE*ab 13.95 15.38

1,556시간
침적후
L* 72.87 73.59
a* -3.11 -2.50
b* 7.02 6.04
ΔE*ab 6.73 5.88

EDTA-4NA의 농도
1% 3%

오염전

L* 76.41 76.41
a* -5.35 -5.35
b* 2.26 2.26

오염후


L* 70.45 68.60
a* -1.25 -0.80
b* 18.06 17.09
ΔE*ab 16.04 17.67

1,640시간
침적후
L* 70.96 72.74
a* -2.30 -3.07
b* 10.82 12.00
ΔE*ab 12.54 10.94
도 10~12 및 표 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제로서 옥살산을 사용한 경우에는 색차값(ΔE*ab)이 15.93 및 14.27에서 60시간 침적 후, 3.67 및 2.33으로 오염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연산을 사용한 경우에는 1,556시간 침적 후에도 색차값(ΔE*ab)이 7.02 및 5.88로 나타남으로써 옥살산에 비해 25배 넘은 침적시간에도 금속오염물을 제거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DTA-4NA를 사용한 경우, 1,640시간 침적 후에도 색차값(ΔE*ab)이 12.54 및 10.94로 나타남으로써 옥살산에 비해 27배 넘은 침적시간에도 금속오염물을 제거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도자기와 같은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시 습포제의 용제로서 옥살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옥살산을 용제로 하고, 습포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살산의 농도는 0.1~1.5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살산의 농도는 0.25~1.0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물질은 벤토나이트, 세피올라이트 또는 활성탄소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물질과 옥살산은 1:3~5의 무게비(g/㎖)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문화재는 도자기, 토기 또는 다공성을 갖는 석조문화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오염물은 철에 의한 오염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8. 용제로서 옥살산과 습포물질을 혼합하거나 습포물질을 옥살산에 침적시켜 습포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습포제를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산화물로 오염된 부위에 부착하는 단계(단계 2); 및
    건조 후 상기 습포제를 다공질 문화재 표면에서 탈착시키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옥살산의 농도는 0.1~1.5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옥살산의 농도는 0.25~1.0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물질은 벤토나이트, 세피올라이트 또는 활성탄소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물질과 옥살산은 1:3~5의 무게비(g/㎖)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문화재는 도자기, 토기 또는 다공성을 갖는 석조문화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오염물은 철에 의한 오염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방법.
KR1020100092424A 2010-09-20 2010-09-20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 방법 KR101219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424A KR101219526B1 (ko) 2010-09-20 2010-09-20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424A KR101219526B1 (ko) 2010-09-20 2010-09-20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726A KR20120030726A (ko) 2012-03-29
KR101219526B1 true KR101219526B1 (ko) 2013-01-11

Family

ID=4613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424A KR101219526B1 (ko) 2010-09-20 2010-09-20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504B1 (ko) 2020-12-08 2022-04-15 대한민국 도자기 문화재 표면 오염물 표백 겔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973A (ko) * 1999-10-20 2002-06-24 크리스 로저 에이취. 입자 및 분자 여과를 위한 복합형 파이버
KR100637950B1 (ko) 1998-11-10 2006-10-23 프라마톰 아엔페 게엠베하 물품 표면의 오염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950B1 (ko) 1998-11-10 2006-10-23 프라마톰 아엔페 게엠베하 물품 표면의 오염제거 방법
KR20020048973A (ko) * 1999-10-20 2002-06-24 크리스 로저 에이취. 입자 및 분자 여과를 위한 복합형 파이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504B1 (ko) 2020-12-08 2022-04-15 대한민국 도자기 문화재 표면 오염물 표백 겔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726A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A98930C2 (ru) Гель для очис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варианты),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и способ дезактивации поверхности
RU2429287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оборудования пищевой и перерабатывающе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CN103924246A (zh) 一种金相腐蚀液及其配置方法及2205双相不锈钢金相的显示方法
CN103357623A (zh) 一种实验室玻璃器皿清洗方法
KR101219526B1 (ko)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용 습포제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문화재 표면의 금속오염물 제거 방법
CN102660747A (zh) 用于银器与鎏金银器保护的硫脲类复配除锈剂和除锈膏
JP5586614B2 (ja) ステンレス鋼の表面処理方法
JPS6220157B2 (ko)
CN102041194B (zh) 一种含有附着剂的花岗石锈斑清洗液及制备方法
CN106760483A (zh) 一种钢模板表面防锈方法
KR101629336B1 (ko) 알루미늄 부재의 세정 방법
CN111351694A (zh) 一种无渗水污损边缘显微组织的金相试样制备方法
CN102965676A (zh) 一种锆及锆合金铸件酸洗工艺
Moropoulou et al. Efficiency and countereffects of cleaning treatment on limestone surfaces—investigation on the Corfu Venetian Fortress
CN110441322A (zh) 一种蓝宝石晶棒的表面染色检验手法
Altavilla et al. The cleaning of early glasses: investigation about the reactivity of different chemical treatments on the surface of ancient glasses
CN107937156A (zh) 医疗器械高效多酶清洗剂及其制备方法
JP2005170057A (ja) 防汚性及び易洗浄性の高い金属又は樹脂成形製品
RU2325370C1 (ru) Состав для гидроизоляции пористых бето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KR20020023901A (ko) 석재 표면의 세척제 조성물
SU1740407A1 (ru) Сред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твердой поверхности
RU2236443C1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ое чистяще-мо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CN108130228A (zh) 一种基于多离子水的衣物去污湿巾及其制备方法
EP2640820B1 (fr) Composition sèche pour compresse de nettoyage ou de dessalement et compresse correspondante
CN116732517A (zh) 一种脆弱青铜器粉状锈加固剂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