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110B1 - 라이센스의 전송원 컴포넌트와 전송처 컴포넌트 및, 그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라이센스의 전송원 컴포넌트와 전송처 컴포넌트 및, 그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110B1
KR101217110B1 KR1020050085199A KR20050085199A KR101217110B1 KR 101217110 B1 KR101217110 B1 KR 101217110B1 KR 1020050085199 A KR1020050085199 A KR 1020050085199A KR 20050085199 A KR20050085199 A KR 20050085199A KR 101217110 B1 KR101217110 B1 KR 101217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ense
component
content
transf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250A (ko
Inventor
무네타케 에비하라
히로시 쿠노
케이코 사에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 전송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를 개시하는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이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며,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처리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수단과, 메시지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50085199
라이센스, 컨텐츠, 전송원, 컴포넌트, 네트워크.

Description

라이센스의 전송원 컴포넌트와 전송처 컴포넌트 및, 그 처리 방법{LICENSE SOURCE COMPONENT, LICENSE DESTINATION COMPONENT,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와, 그 조합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PC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PD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사용자 기기 등이 구비하는 저작권관리부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를 주고받는 구성 예를 개시하는 블럭도,
도 7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부를 구성하는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실장예를 개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에서 취급되는 기본 데이터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기술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기술의 다른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대출원 라이센스의 기술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대출용 라이센스의 기술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 있어서의 메시지전송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a) 내지 (c)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컴포넌트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을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전송 타입 식별 정보의 일례인 전송 타입ID와 메시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컴포넌트 속성정보의 구체적인 예인 컴포넌트 속성ID와 메시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메시지의 종류와 그 구성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가 취급가능한 전송 타입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전송원 컴포넌트 및 전송처 컴포넌트의 메시지전송에 관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0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전송원 컴포넌트 및 전송처 컴포넌트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21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복수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를 주고받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24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5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26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PC 내의 2개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이동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7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복수의 기기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이동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8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이동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29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PC 내의 2개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복제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0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복제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31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PC 내의 2개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대출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2(a)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대출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32(b)는 도 32(a)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로부터 계속되는 타이밍 차트,
도 33은 동실시예에 연관된 PC 내의 2개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반환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4(a)는 동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반환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34(b)는 도 34(a)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로부터 계속되는 타이밍 차트이다.
본 발명은,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발명에 통합된 2004년 9월 16을 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2004-270286호와 관련된 중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라이센스 처리장치와, 프로그램 및, 라이센스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악 컨텐츠 등의 디지털 컨텐츠는, 종래의 아날로그 컨텐츠와는 달리, 품질의 열화를 수반하지 않고 복수번 복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 인터넷의 보급이나 PC(Personal Computer) 등의 고속·대용량화에 따라, 저작자의 허락을 얻지 않는 위법한 컨텐츠의 배포·교환 등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위법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서, 컨텐츠의 유통·이용에 제한을 부가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디지털 저작권관리)기술을 이용한 저작권관리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에서는, SDMI(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 등에 의해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라이센스(license:권리정보)에 기술된 이용 조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이용(재생, 복사 등)을 제한함에 의해,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2002-312211호 공보(특허문헌1이라 함)는, 일반적인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이용을 제한하는 저작권관리시스템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라이센스에는, 컨텐츠의 이용 조건으로서, "사용 기한", "다운로드 기한", "허용되는 복사 회수", "체크아웃 회수", "CD-R에 기록가능한 권리", "PD에 복사가능한 회수", "소유권에 이행할 수 있는 권리", "사양 로그를 취하는 권리"등, 다양한 조건이 기술되어 있다(특히 특 허문헌1의 도 8참조.). PC, PD(Portable Device) 등의 사용자 기기는, 내장된 저작권관리부(DRM모듈 등)에 의해, 이러한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저작권관리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저작권관리시스템에서는, 라이센스에 근거해 컨텐츠의 이용을 관리하는 저작권관리부는, 이용 제한 기능이나 사용자 기기의 종류 등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계되어 실장되고 있어, 범용성, 확장성이 부족한 것이었다. 이 결과, 유사한 이용 제한을 실행하는데도 불구하고, 다른 실장의 저작권관리부를 구비한 사용자 기기간에서 저작권관리 컨텐츠를 주고받는 것이 곤란했다.
저작권관리시스템의 본래의 사명은, 컨텐츠의 이용 제한과 교환에, 합법적인 컨텐츠의 포터빌러티(portability:이식가능)를 향상시키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종래의 저작권관리시스템에서는, 저작권관리부의 실장이 다른 경우에, 사용자 기기간에서 저작권관리 컨텐츠를 자유롭게 주고받기할 수 없어, 저작권관리 컨텐츠의 포터빌러티를 향상시킬 수 없었다. 이것은, 저작권관리시스템의 보급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저작권관리부 및 라이센스의 설계의 방식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즉, 컨텐츠의 이용 형태로서는, 재생, 복제, 이동, 대출(체크아웃), 반환(체크인), 보존 등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종래의 저작권관리부는, 이들의 이용 형태에 적합하게 대응한 모듈 구성을 채용하지 않고 있었으므로, 복수의 사용자 기기간에 걸치는 컨텐츠 이용에 충분하게 전부 대응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라이센스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이용 조건이 혼재해서 기술 되고 있고, 상기 이용 형태마다 명확하게 구분되어서 기술되고 있지 않아, 포터빌러티가 부족한 것이었다. 이 때문에, 어떤 실장을 가지는 저작권관리부는, 다른 실장에 대응한 라이센스의 기술로부터, 각각의 이용 형태마다 평가하는 이용 조건을 적합하게 판단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저작권관리부의 기능을 적합하게 모듈화함으로써, 범용성, 확장성을 개선할 수 있는 라이센스 처리장치와 프로그램 및 라이센서 처리 방법을 제공하여, 상이한 실장의 저작권관리부를 구비한 사용자 기기간에 있어서, 저작권 관리 컨텐츠의 포터빌러티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 전송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가 제공되는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다. 이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는,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처리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수단과, 메시지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 포넌트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의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의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의 조작 타입을 결정하는 결정수단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자신에 기술되어 있는 컴포넌트 속성을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있어서, 조작 타입은, 라이센스의 원본의 전송인 전송이나, 라이센스의 사본의 전송인 제시 또는, 라이센스의 갱신을 위한 전송인 갱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있어서, 라이센스 처리 유닛은, 라이센스를 기억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컴포넌트 또는,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이용하는 이용 컴포넌트일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있어서, 보존 컴포넌트는, 기억수단으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하고, 이용 컴포넌트에 라이센스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있어서, 이용 컴포넌트는,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 또는 갱신된 라이센스를, 보존 컴포넌트 또는 다른 보존 컴포넌트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있어서, 컴포넌트 속성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가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가리킬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있어서, 전송수단은,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컨텐츠 키를, 라이센스와 함께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 트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있어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내에 기술되고, 라이센스 처리 유닛은 라이센스 내의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대해 나타낸 이용 조건을 평가하여, 라이센스를 처리한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있어서,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는, 라이센스를 기억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컴포넌트이고, 취득수단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을 제어하는 컴포넌트 관리부에서 수신한 컨텐츠 식별에 근거하여, 기억수단으로부터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를 검색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 전송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의 라이센스 전송 방법이 제공되는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 방법은,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처리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스텝과, 메시지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 전송하는 스텝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 전송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의 라이센스 전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 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 프로그램은,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처리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스텝과, 메시지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 전송하는 스텝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를 제공하는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는,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처리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조작 타입 및 컴포넌트 속성에 근거하여,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라이센스를 처리하는 처리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는, 메시지 내의 조작 타입과 컴포넌트 속성에 근거하여,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를 허가 또는 금지하도록 메시지를 분석하는 분석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있어서, 조작 타입은, 라이센스의 원본의 전송인 전송이나, 라이센스의 사본의 전송인 제시 또는, 라이센스의 갱신을 위한 전송인 갱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있어서, 전송수단은,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컨텐츠 키를, 라이센스와 함께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있어서, 라이센스 처리 유닛은, 라이센스를 기억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컴포넌트 또는,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이용하는 이용 컴포넌트일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있어서, 이용 컴포넌트는,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평가하여, 라이센스의 처리 또는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있어서, 보존 컴포넌트는 이용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평가하여, 기억수단 내로의 라이센스의 보존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있어서, 컴포넌트 속성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가,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가리킬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있어서, 보존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속성정보에 근거하여,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가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분석하여, 이용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만을 처리하고, 이용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속성에 근거하여,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가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분석하여,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만을 처리한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있어서, 수신수단은, 라이센스 전송원 컴 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컨텐츠 키를, 라이센스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있어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내에 기술되고, 라이센스 처리 유닛은 라이센스 내의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대해 나타낸 이용 조건을 평가하여, 라이센스를 처리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의 라이센스 전송 방법이 제공되는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 방법은,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처리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스텝과, 조작 타입 및 컴포넌트 속성에 근거하여,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라이센스를 처리하는 스텝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의 라이센스 전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 프로그램은,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처리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스텝과, 조작 타입 및 컴포넌트 속성에 근거하여,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라이센스를 처리하는 스텝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처 모듈로 전송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이 제공되는데, 라이센스 전송처 모듈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은,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과 라이센스 전송처 모듈 사이의 라이센스의 처리를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에 대해 기술된 모듈 속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구성된 작성유닛과, 메시지를 라이센스 전송처 모듈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를 제공하는데,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다. 상기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는,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처리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유닛과, 조작 타입 및 컴포넌트 속성에 근거하여,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라이센스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처리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작권관리부의 기능을 적합하게 모듈 화함으로써, 라이센스 처리장치와 처리 방법의 범용성 및 확장성을 개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이한 실장의 저작권관리부를 구비한 사용자 기기간에 있어서, 저작권 관리 컨텐츠의 포터빌러티를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 및 그 구성요소 에 관하여 설명한다.
<1. 저작권관리 방식의 개요>
우선,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에 있어서의 저작권관리 방식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은, 영상, 음성 등의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처리한 저작권관리 컨텐츠(이하, "컨텐츠"라고 한다)의 이용 조건 및 이용 상태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 저작권관리시스템은, 저작권관리자에 의해 이용 조건이 규정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처리하고, 이때의 컨텐츠 암호처리 키(key)와 컨텐츠의 이용 조건 및 이용 상태기술(use status description)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고, 저작권관리를 행한다. 이러한 저작권관리를 행하 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 데이터는 이하의 3개이다.
(1) 컨텐츠,
(2) 컨텐츠 암호처리 키(이하, "컨텐츠 키"라고 한다.)
(3) 컨텐츠의 이용이나 기본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이용 조건 및 이용 상태기술(이하, "라이센스"라고 한다.).
컨텐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암호처리된 디지털 컨텐츠의 집합(저작권관리 컨텐츠)이다. 이 컨텐츠는, 라이센스에 기술된 이용 조건의 범위 내에 있어서 컨텐츠 키에 의해 복호처리되어 이용 가능해 진다. 컨텐츠 키는, 컨텐츠의 이용시에 필요한 값이며, 각 저작권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값의 비밀을 지키면서, 라이센스와 관련되게 만들어서 관리된다. 라이센스는, 컨텐츠의 이용이나 상기 3개의 기본 데이터의 전송 등을 제한하기 위한 이용 조건과 컨텐츠의 현재까지의 이용 상태가 기술되고 있어, 저작권관리시스템 내에서 위조·개조되지 않도록 관리된다.
또, 이러한 3개의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는 저작권관리시스템에서는, 저작권관리를 적합하게 실행하기 위해서, 이하의 3개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요건1) 컨텐츠 키의 은닉성 보증(컨텐츠 키가 폭로되지 않을 것)
(요건2) 라이센스의 완전성 보증(라이센스가 개조되지 않을 것)
(요건3) 3개의 기본 데이터의 관련성의 보증(컨텐츠와 컨텐츠 키와 라이센스의 관계가 교체하지 않을 것)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키면서, 사용자 기기의 종류나 컨텐츠의 종류, 이용 제 한의 타입 등에 따른 다양한 실장에 대응가능한 저작권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에서는, 저작권관리기능을 복수의 기본기능의 모임으로 간주하고, 각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저작권관리를 실행하는 저작권관리부(저작권관리용 소프트웨어)를, 상기 기본기능마다 복수의 모듈로 분할한다. 그리고, 저작권관리시스템에서는, 이 복수의 기본기능 모듈간에서 상기 3개의 기본 데이터를 주고받아서 처리함으로써, 컨텐츠의 저작권 관리를 실행한다.
이 모듈 분할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저작권관리부의 이용 제한 기능을 모두 리스트화하고, 이들의 이용 제한 기능을 이하의 2개의 기능으로 분류한다.
(a) 라이센스의 영속 보존에 관한 기능,
(b) 라이센스의 일시 이용에 관한 기능.
또한, 이들 2개의 큰 분류 중에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시점에서의 컨텐츠의 이용 형태마다 이용 제한 기능을 분할하고, 저작권관리부를 이 각 이용 제한 기능에 대응하는 모듈(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로 부품화한다.
이에 따라, 상기 (a), (b)에 속하는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각각 1나 이상 조합하는 것으로, 각 이용 형태의 컨텐츠 이용 제한을 실현한다. 또, 라이센스에는, 각 이용 제한 기능에 관한 파라미터를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마다 구분해서 기술한다. 이렇게 기술된 라이센스를, 네트워크 내의 각 사용자 기기에 설정된 상기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포터블(portable)하게 주고받기한다. 이 결과,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행하는 장소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 기기 에 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은, 저작권관리부(저작권관리용 소프트웨어)를, 컨텐츠의 이용 형태에 따른 라이센스의 처리 단위마다, 복수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기본기능 모듈)로 부품화해서 분산 배치하고, 이들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상에서 조합해서 이용함으로써, 컨텐츠의 네트워크 내 포터빌러티를 실현하려고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 1에 의거하여, 상기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와 그 조합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와 그 조합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작권관리를 실행하는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11, 12, 21, 22)는, 상기 (a)의 기능을 실행하는 보존 컴포넌트(1)와, 상기 (b)의 기능을 실행하는 이용 컴포넌트(2)로 분류된다.
보존 컴포넌트(1)는, 라이센스의 영속 보존 기능을 가지는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이며, 기억수단에 라이센스(305) 및 컨텐츠 키(302)를 안전하게 보존한다. 이 보존 컴포넌트(1)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이하, "HDD"라 함)용의 보존 컴포넌트(11)와, 반도체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억매체용의 보존 컴포넌트(12)를 포함한다. HDD용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사용자 기기에 내장되어 있는 HDD(111)에, 라이센스(305) 및 컨텐츠 키(302)를 안전하게 보존한다. 또, 리무버블 기억매체용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사용자 기기에 장착된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라이센스(305) 및 컨텐츠 키(302)를 안전하게 보존한다. 이렇게, 보존 컴 포넌트(1)는, 다른 기억방식을 가지는 복수의 기억수단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보존 컴포넌트(1)는, 자신에 대응하는 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305) 및 컨텐츠 키(302)를 판독하고, 이용 컴포넌트(2)에 전송한다. 또, 보존 컴포넌트(1)는, 이용 컴포넌트(2)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305) 및 컨텐츠 키(302)를 자신에 대응하는 기억수단에 기록해서 보존한다.
한편, 이용 컴포넌트(2)는, 라이센스의 일시 이용 기능을 가지는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이며, 상기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305)를 평가하여, 컨텐츠의 이용이나, 라이센스(305) 및 컨텐츠 키(302)의 전송을 제어한다. 이 이용 컴포넌트(2)는, 예를 들면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305)를 평가해서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컴포넌트(21)나,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305)를 평가해서 해당 라이센스(305)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컴포넌트(22)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용 컴포넌트(2)는, 컨텐츠의 이용시에,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받은 라이센스(305) 등을 일시적으로 이용할 뿐이며, 라이센스(305) 등을 영속적으로 보유할(예를 들면, 기억수단에 보존한다) 수는 없다.
이상과 같이, 저작권관리부의 기본기능을 복수의 보존 컴포넌트(1)와 복수의 이용 컴포넌트(2)로 분할함으로써, 이들의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305) 등을 주고받고,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를 재생 제어할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존 컴포넌트(11)는, 재생 대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305) 및 컨텐츠 키(302) 를, HDD(111)로부터 판독하고, 재생 컴포넌트(21)에 전송한다. 재생 컴포넌트(21)는, 전송된 라이센스(305)에 기술되어 있는 재생 조건을 평가하고, 재생 대상 컨텐츠의 재생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재생 가능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는, 컨텐츠 키L에 의해 재생 대상 컨텐츠를 복호처리하고, 후술하는 재생용 어플리케이션에 재생을 실행시킨다.
또, 사용자 기기간에서 컨텐츠를 이동하기 위해서,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를 이동하는 것을 제어할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동 대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305) 및 컨텐츠 키(302)를, HDD(111)로부터 판독하고, 이동 컴포넌트(22)에 전송한다. 이동 컴포넌트(22)는, 전송된 라이센스(305)에 기술되어 있는 이동 조건을 평가하고,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302)의 이동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이동 가능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이동 컴포넌트(22)는,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302)를, 보존 컴포넌트(12)에 전송한다. 보존 컴포넌트(21)는, 전송된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302)를,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보존한다. 이렇게 라이센스(305) 등이 이동되었을 경우, 예를 들면 후술하는 이동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이동 대상 컨텐츠도 HDD(111)로부터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이동시킨다. 이 결과, 리무버블 기억매체(40)를 장착한 다른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이동된 라이센스(305)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대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라이센스(305) 및 컨텐츠 키(302)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컨텐츠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에 있어서의 저작권관리 방식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했다. 연관된 저작권관리 방식에 준거하고, 개개의 사용자 기기나 컨텐츠의 종류 등에 따라 저작권관리부(저작권관리용 소프트웨어)를 실장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기기간 등에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주고받고, 컨텐츠의 포터빌러티를 향상할 수 있다. 이하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및 그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2. 시스템 구성>
다음에, 도 2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100)의 전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2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100)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100)은, 예를 들면 복수의 사용자 기기(10a, 10b,...:이하에서는 "사용자 기기(10)"로 총칭한다)와, 분배 서버(20)와, 이들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네트워크(30:홈네트워크(30a) 및 로컬라인(30b)을 포함한다.)와, 이들 장치간에서 컨텐츠나 라이센스 등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리무버블 기억매체(40)로 구성된다.
사용자 기기(10)는,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처리장치이며, 본 발명의 라이센스 처리장치의 일구성예다. 도 2에는, 이 사용자 기기(10)의 예로서, 노트형 혹은 데스크탑형의 PC(10a:Personal Computer;이하, "PC"이라고 한다.), 휴대형의 컨텐츠 재생장치인 포터블디바이스(10b:Portable Device;이하, "PD"라고 한다.), 홈 서버(10c), 텔레비전 장치(10d), CD, HD 혹은 DVD레코더/플레이어 등의 기록재생장치(10e), 거치형의 오디오 플레이어(10f), 카 오디오 기기(10g), 휴대전화(10h) 등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기기(10)는, 예를 들면 임의의 컴퓨터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가정용 게임기, 정보가전 등, 각종의 정보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연관되는 사용자 기기(10)는, 예를 들면 컨텐츠의 이용 기능(예를 들면, 컨텐츠의 재생, 보존, 이동, 결합, 분할, 변환, 복제, 대출, 반환 기능 등), 라이센스에 근거하는 컨텐츠의 이용 제어 기능, 컨텐츠의 관리기능(예를 들면, 컨텐츠ID에 근거하는 컨텐츠, 라이센스, 컨텐츠 키 등의 검색 또는 삭제기능 등), 리핑(ripping), 셀프 레코딩 등에 의한 컨텐츠 작성 기능 등을 가진다.
이 사용자 기기(10) 중, 네트워크(30)를 개재한 통신기능을 가지는 장치 (예를 들면, PC(10a), 홈 서버(10c) 등)는, 분배 서버(20)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자 기기(10)는, 예를 들면 분배 서버(20)로부터, 컨텐츠 분배용의 소프트웨어나, 저작권관리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고, 인스톨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 기기(10)는, 컨텐츠 분배 서버(20)로부터, 암호처리된 컨텐츠, 라이센스 및 암호화된 컨텐츠 키의 분배를 받고, 이들의 데이터를 기억장치나 리무버블 기억매체(40) 등의 기억수단에 기록할 수 있다.
또, 사용자 기기(10)는, 예를 들면 셀프 레코딩(녹음, 녹화 등)이나 리핑 등에 의해, 신규 컨텐츠를 작성하고, 기억장치나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기록할 수 있다. 또, 셀프 레코딩으로는, 사용자 기기(10) 자신이 가지는 촬상장치/집음장치 에 의해 촬영/집음 음성 등을 영상/음성의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또, 리핑으로는, 음악CD, 비디오DVD, 소프트웨어용CD-ROM 등의 기억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음성데이터나 영상데이터 등)을 추출하고, 컴퓨터로 처리가능한 화일 형식으로 변환하고, 기억장치나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또, 사용자 기기(10)는, 라이센스에 기술된 이용 조건(예를 들면, 재생 조건, 이동 조건 등)의 범위 내에서, 이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컨텐츠의 이용 제한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자 기기(10)는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컨텐츠 및 라이센스의 처리를 제어하는 저작권관리부(저작권관리 모듈)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저작권관리부는, PC(10a) 등의 사용자 기기(10)에 저작권관리용 소프트웨어를 사후적으로 인스톨해서 구성하여도 되고 혹은 PC(10a), PD(10b), 텔레비전 장치(10d), 기록재생장치(10e), 거치형의 오디오 플레이어(10f), 카 오디오 기기(10g) 등의 사용자 기기(10)에 프리인스톨되어 있어도 된다.
사용자 기기(10)는, 연관된 저작권관리부에 의해 라이센스에 기술된 컨텐츠의 이용 조건 및 이용 상태를 평가하고, 이용 조건을 만족시킬 것인가를 판단하고, 이 결과 이용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만, 컨텐츠의 이용(재생, 복제 등)이나, 라이센스의 처리(보존, 복제, 이동 등)를 허가하고,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컨텐츠의 재생이 허가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 기기(10)는, 암호화된 컨텐츠 키를 복호화하는 키를 취득할 수 있고, 이 취득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 키를 복호하고, 또한 이 복호된 컨텐츠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하고,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 사용자 기기(10)는, 다른 사용자 기기(10)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30), 홈 네트워크(30a), 로컬라인(30b), 또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를 거쳐서, 컨텐츠나 라이센스를 교환(이동, 복제, 대출, 반환 등)할 수 있다. 단, 사용자 기기(10) 사이에서 컨텐츠나 라이센스를 교환하려면, 저작권관리부에 의해, 라이센스에 기술된 이동 조건 등을 평가하고, 해당 컨텐츠 및 라이센스의 이동 등이 허가될 필요가 있다.
분배 서버(20)는, 서버 기능을 갖춘 컴퓨터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컨텐츠 분배 서비스 프로바이더로 설정된다. 이 분배 서버(20)는, 예를 들면 컨텐츠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사용자 기기(10)로부터의 분배요구에 따라, 해당 사용자 기기(10)에 네트워크(30)를 거쳐서 컨텐츠를 분배한다.
예를 들면, 음악 컨텐츠를 분배할 경우에는, 이 분배 서버(20)는, 전자음악분배(EMD;Electronic Music Distribution)서비스를 제공하는 EMD서버로서 구성된다. 이 경우, 분배 서버(20)는, 분배대상의 음악 컨텐츠를, 예를 들면 ATRAC3(Advanced Transform Acoustic Coding)방식, 또는 MP3(MPEG Audio Layer-3)방식 등의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고,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등의 암호화방식(encryption algorithm)으로 암호화한 뒤에, 사용자 기기(10)에 분배한다. 또, 분배 서버(20)는, 이렇게 암호화된 컨텐츠와 함께, 해당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와, 해당 컨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암호화된 컨텐츠 키를, 사용자 기기(10)에 분배한다.
또, 분배 서버(20)는, 사용자 기기(10)가, 예를 들면 리핑, 셀프 레코딩 등에 의해 스스로 작성한 컨텐츠의 이용을 관리하는 작성 컨텐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배 서버(20)는, 사용자 기기(10)에 대하여, 상기 작성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을 기술한 라이센스와, 해당 컨텐츠의 암호화를 해제하는 컨텐츠 키를 분배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 기기(10)는, 분배 서버(20)로부터 취득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에 근거하여, 상기 리핑 등에 의해 스스로 작성한 컨텐츠를 이용(재생, 복제 등)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2의 예에서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분배 서버(20)에 의한 네트워크(30)를 개재한 분배에 의해, 사용자 기기(10)에 컨텐츠, 라이센스, 컨텐츠 키 등이 제공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DVD, CD, MD, 반도체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억매체(40)를 거쳐서, 사용자 기기(10)에 컨텐츠, 라이센스, 컨텐츠 키 등이 제공되어도 된다.
네트워크(30)는, 상기 사용자 기기(10) 및 분배 서버(20)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통신회선망이다. 이 네트워크(30)는, 예를 들면 인터넷, 전화 회선망, 위성통신망 등의 공중회선망이나, WAN, LAN, IP-VPN 등의 전용 회선망 등의 유선 및 무선망으로 구성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30)는, 홈 네트워크(30a) 등의 사적 네트워크나, 로컬라인(30b)을 포함한다. 이 중, 사적 네트워크는, 저작권관리의 관점으로부터 보아서, 사적 사용의 범위 내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복수의 사용자 기기(10)를 서로 접속하는 네트워크다. 이러한 사적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동 일한 가정 내에 있어서 한정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사용자 기기(10)를 접속하는 LAN인 홈 네트워크(30a)나, 소규모인 한정된 그룹(회사, 친구 등) 내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사용자 기기(10)를 접속하는 LAN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사용자 자택에 있는 홈 네트워크(30a)에는, PC(10a), 홈 서버(10c), 텔레비전 장치(10d), 기록재생장치(10e), 거치형의 오디오 플레이어(10f)가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중, 홈 서버(10c)는, 예를 들면 허브 기능, 라우터 기능, 게이트웨이 기능 등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 자택 내의 사용자 기기(10)와 외부와의 통신을 관리하고 있다.
또, 로컬라인(30b)은, 복수의 사용자 기기(10)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이며, 예를 들면 USB(Univarsal Serial Bus)케이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케이블, IEEE1394케이블, 미니 플러그 등으로 구성된다. 이 로컬라인(30b)을 거쳐서, PD(10b)와 PC(10a)를 접속하는 것으로, PD(10b)와 PC(10a) 사이에서 컨텐츠 등의 각종의 데이터를 통신 가능해 진다. 또, 사용자 기기(10)는 서로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사용자 자택에서는, PC(10a)와 PD(10b)가 로컬라인(30b)으로 접속되고, 사용자 별장에서는 PC(10a)와 거치형의 오디오 플레이어(10f)가 로컬라인(30b)으로 접속되며, 자동차에서는 카 오디오 기기(10g)와 PD(10b)가 로컬라인(30b)으로 접속되어 있다.
리무버블 기억매체(40)는, 컨텐츠, 라이센스, 컨텐츠 키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기억수단이며, 예를 들면 DVD-R, DVD-RW, DVD-RAM, CD-R, CD-RW, 광자기디스크 등의 각종의 광디스크(3)나, 플렉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디스크, 각종의 반도체메모리 등이다. 또, 이 리무버블 기억매체(40)는, 예를 들면 암호 키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이용을 제한하는 저작권관리기능을 갖는 기억매체이여도 된다.
사용자 기기(10)는, 네트워크(30)를 사용하지 않고도, 연관되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를 거쳐서, 컨텐츠, 라이센스, 컨텐츠 키 등을 서로 주고받기할 수 있다. 또, 이 리무버블 기억매체(40)를, 판매점에 설치된 컨텐츠 판매 단말(도시하지 않음.)에 삽입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구입한 컨텐츠나 라이센스 등을 이러한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기억시켜도 된다. 이에 따라, 구입한 컨텐츠 등을 이러한 리무버블 기억매체(40)를 거쳐서 사용자 기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저작 관리시스템(100)에서는, 각 사용자 기기(1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라이센스의 처리 단위마다(컨텐츠의 이용 제한 기능마다) 컴포넌트로 분할된 구성의 저작권관리부가, 각 사용자 기기(10)의 타입 등에 따라 실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자기의 소유하는 사용자 기기(10) 사이에서, 컨텐츠,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 등을 비교적 자유롭게 주고받고, 다양한 형태에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실장의 저작권관리부가 인스톨된 사용자 기기(10) 사이에서, 컨텐츠,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이하, 컨텐츠 등이라고 한다)를 자유롭게 이동, 복제, 대출, 반환(이하, 이동 등이라고 한다.)할 수 있다. 이때의 통신 경로로서는, 상기 네트워크(30), 홈 네트워크(30a), 로컬라인(30b)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자택 내에서는 홈 네트워크(30a)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사용자 기기(10) 사이에서, 기기의 종류에 관계하지 않고, 컨텐츠 등의 이동 등을 할 수 있다. 또, PC(10a)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 등을, 로컬라인(30b)을 거쳐서 PD(10b)로 이동할 수 있다. 또, 사용자 자택의 PC(10a)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 등을, 네트워크(30)를 거쳐서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 별장의 PC(10a)나, 자동차 내의 카 오디오 기기(10g)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리무버블 기억매체(40)를 읽고 쓰기가능한 사용자 기기(10)간에서, 리무버블 기억매체(40)를 거쳐서 컨텐츠 등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10h)에 의해 분배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한 컨텐츠 등을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기록하고, 사용자 자택 내의 PC(10a)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물리적으로 격리한 사용자 기기(10) 사이에서, 컨텐츠를 리모트 제어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사용자 기기(10:예를 들면, 홈 네트워크(30a)의 홈 서버(10c))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를 다른 복수의 사용자 기기(10:홈 네트워크(30a)에 접속된 PC(10a), PD(10b), 텔레비전 장치(10c) 등)에 의해, 참조해서 이용할 수 있다. 또, PC(10a)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 등을 동일한 홈 네트워크(30a)에 접속된 거치형의 오디오 플레이어(10f)로 컨텐츠를 재생해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자택 내의 PC(10a)나 홈 서버(10c)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 등을 사용자 별장에 있는 PC(10a)나, 자동차 내의 카 오디오 기기(10g)에 의해 리모트 조작해서, 사용자 별장의 PC(10a)나 자동차 내의 카 오디오 기기(10g)에서 컨텐츠를 재생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에서는, 컨텐츠를 이용 제한하는 저작권관리기능을 담보하면서, 각종의 사용자 기기(10) 사이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포터빌러티를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리성, 컨텐츠 이용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3. 사용자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
다음에, 본 실시예에 연관된 사용자 기기(10)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기기(10)의 대표 예로서, PC(10a)와 PD(10b)의 하드웨어 구성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사용자 기기(10)인 PC(10a)와 PD(10b)는, 본 발명의 라이센스 처리장치의 하나의 구현예로서 구성된다.
우선, 도 3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PC(10a)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3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PC(10a)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0a)는, 예를 들면 CPU(101:Central Processing Unit)와, ROM(102:Read Only Memory)과, RAM(103:Random Access Memory)과, 호스트 버스(104)와, 브리지(105)와, 외부 버스(106)와, 인터페이스(107)와, 입력장치(108)와, 출력장치(110)와, 기억장치(111:HDD)와, 드라이브(112)와, 접속 포토(114)와, 통신장치(115)를 구비한다.
CPU(101)는, 연산 처리장치 및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ROM(1O2) 또는 HDD(111)에 저장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따라서 동작하고, PC(10a) 내의 각 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인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컨텐츠의 암호화 및 복호화처리, 데이터 변경 방지 및 데이터 검증을 위한 디지털 서명(MAC(Message Authentication Code) 등)의 생성 및 검증 처리, 접속된 것 이외의 사용자 기기(10)와의 사이에서 실행하는 컨텐츠 등의 입출력시의 인증 및 세션 키 공유 처리, 컨텐츠,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 등의 입출력 처리 제어, 또한 라이센스 평가 등의 저작권 관리 처리 등을 실행한다.
ROM(1O2)은, CPU(10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한다. 또, 이 ROM(1O2)은, 컨텐츠,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 등을 보존하는 기억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RAM(103)은, CPU(101)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 있어서 적절히 변화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memory)한다. 이것들은 CPU버스 등으로 구성되는 호스트 버스(1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버스(104)는, 브리지(105)를 거쳐서,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nterface)버스 등의 외부 버스(106)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장치(108)는,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널, 버튼, 스위치, 레버 등의 조작 수단과, 입력 신호를 생성해서 CPU(101)에 출력하는 입력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PC(10a) 사용자는, 이 입력장치(108)를 조작함에 의해, PC(10a)에 대하여 각종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동작을 지시하거나 할 수 있다.
출력장치(110)는, 예를 들면 CRT(Calthode Ray Tube)디스플레이장치, 액정 모니터(LCD)장치, 램프 등의 표시장치와, 스피커 등의 음성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 출력장치(110)는, 예를 들면 재생된 컨텐츠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는 재생된 영상 컨텐츠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동화상 혹은 정지 화상으로 표시한다. 한편, 음성출력장치는, 재생된 음성 컨텐츠를 발음한다.
HDD(111)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PC(10a)의 기억수단의 일례로서 구성된 데이터 저장용의 장치다. 이 HDD(111)는, CPU(1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상기 저작권관리용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등)이나 각종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또, 이 HDD(111)에는, 예를 들면 컨텐츠, 라이센스, 컨텐츠 키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드라이브(112)는 기억매체용 리더/라이터이며, PC(10a)에 내장, 또는 외부에 부착된다. 이 드라이브(112)는, PC(10a)에 로딩된 자기디스크(HD 등), 광디스크(CD, DVD 등), 광자기디스크(MO 등), 또는 반도체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대하여, 컨텐츠, 라이센스, 컨텐츠 키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록/재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브(112)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인터페이스(107), 외부 버스(106), 브리지(105) 및 호스트 버스(104)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RAM(103)에 공급한다. CPU(101)는, 필요에 따라서 이들 데이터를 ROM(1O2) 또는 HDD(111) 등에 저장한다. 한편, 드라이브(112)는, ROM(1O2) 또는 HDD(111) 등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나, 새롭게 생성한 데이터, 외부장치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CPU(101)로부터 받고,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기록한다.
접속 포토(114)는, 예를 들면 PC(10a)와 다른 사용자 기기(10) 등의 외부주변기기를 접속하는 포토이며, USB, IEEE 1394 등의 접속단자를 가진다. 접속 포토 (114)는, 인터페이스(107) 및 외부 버스(106), 브리지(105), 호스트 버스(104) 등을 거쳐서 CPU(101) 등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 포토(114)에 의해, PC(10a)는, PD(10b) 등에 대하여 로컬라인(30b)을 거쳐서 접속되어, 각종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 진다.
통신장치(115)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30:네트워크(30a)를 포함한다.)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다. 이 통신장치(115)는 다른 사용자 기기(10)나 분배 서버(20) 등의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30)를 거쳐서, 컨텐츠, 소스ID리스트L, 그룹 증명서G, 제어신호 등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음에, 도 4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PD(10b)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4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PD(10b)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D(10b)는, 예를 들면 제어장치(201)와, 플래시 메모리(202)와, RAM(203)과, 버스(206)와, 입력장치(208)와, 표시장치(210)와, HDD(211)와, 드라이브(212)와, 디코더(213)와, 통신장치(215)와, 오디오 출력 회로(216)와, 리모트 컨트롤러(218)와, 헤드폰(219)을 구비한다.
제어장치(201)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202) 또는 HDD(211)에 저장되어진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고, PD(10b)의 각부를 제어한다. 플래시 메모리(202)는, 예를 들면 제어장치(201)의 동작을 규정한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 ROM(1O2)은, 컨텐츠,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 등을 보존하는 기억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RAM(203)은,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RAM)으로 구성되어, 제어장치(201)의 처리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일시 기억한다.
버스(206)는, 제어장치(201), 플래시 메모리(202), RAM(203), 데이터처리장치(204), 입력장치(208), 표시장치(210), HDD(211), 드라이브(212), 디코더(213), 통신장치(215) 및 오디오 출력 회로(216) 등을 접속하는 데이터 선이다.
입력장치(208)와 리모트 컨트롤러(218)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버튼 키, 레버, 다이얼 등의 조작 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조작 수단에 대한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해서 제어장치(201)에 출력하는 입력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기기(10)의 사용자는, 이 입력장치(208)나, 후술의 리모트 컨트롤러(218)를 조작함에 의해, 사용자 기기(10)에 대하여 각종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동작을 지시하거나 할 수 있다.
표시장치(210)는, 예를 들면 LCD패널 및 LCD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이 표시장치(210)는, 제어장치(201)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표시한다.
HDD(211)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PD(10b)의 기억수단의 일례로서 구성된 데이터 저장용의 장치다. 이 HDD(211)는, 예를 들면 몇십GB의 기억 용량을 가지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로 구성되어, 컨텐츠, 라이센스, 컨텐츠 키나, 제어장치(201)의 프로그램,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HDD(211)를 구비한 PD(10b)는, 컨텐츠를 기록 및 재생가능한 컨텐츠 기록재생장치로서 구성된다. 이에 의해, PC(10a)로부터 리무버블 기억매체(40)를 거쳐서 제공된 컨텐츠뿐만아니라, PC(10a) 등으로부터 로컬라인(30b)을 거쳐서 수신한 컨텐츠를, HDD(211)에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PD(10b)는, HDD(211)를 구비하지 않고, 컨텐츠의 재생 전용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PD(10a)는, 예를 들면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를 판독해서 재생만 실행 가능(기록은 불가능)하게 된다.
드라이브(212)는, 기억매체용 리더/라이터이며, PC(10a)에 내장된다. 이 드라이브(212)는, PD(10b)에 로딩된 상기 각종의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대하여, 컨텐츠, 라이센스, 컨텐츠 키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록/재생한다. 디코더(213)는,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의 디코드 처리, 서라운드 처리, PCM데이터로의 변환 처리 등을 행한다.
통신장치(215)는, 예를 들면 USB컨트롤러 및 USB단자 등으로 구성되어, USB케이블 등의 로컬라인(30b)을 거쳐서 접속된 PC(10a) 등의 사용자 기기(10)와의 사이에서, 컨텐츠, 라이센스, 컨텐츠 키, 제어신호 등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오디오 출력 회로(216)는, 디코더(213)에 의해 디코드 되어, 제어장치(201)에 의해서 DA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증폭해서 리모트 컨트롤러(218)에 출력한다. 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는, 리모트 컨트롤러(218)로부터 헤드폰(219)에 출력되어, 헤드폰(219)에 내장된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음성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도 3 및 도 4에서는, 사용자 기기(10)의 일례인 PC(10a) 및 PD(10b)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 기기(10)는, 상기 PC(10a) 및 PD(10b)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홈 서버(10c), 텔레비전 장치(10d), 기록재생장치(10e), 거치형의 오디오 플레이어(10f), 카 오디오 기기(10g), 휴대전화(10h), 그 밖의 다양한 전자기기, 정보처리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기기(10)는, 각각의 기기 고유의 하드웨어 구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고, 그 하드웨어 구성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하지만, 컨텐츠를 이용 제어하기 위해서 라이센스를 처리하는 라이센스 처리장치인 사용자 기기(10)는, 전술한 저작권관리부(저작권관리 모듈)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연관되는 사용자 기기(10)는, 예를 들면 저작권관리용 프로그램을 보존하는 기억수단과, 이 저작권관리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가지고,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을 평가하고, 기기에 있어서의 컨텐츠 이용 가부를 판정하고, 이용 가능으로 판정을 얻은 것을 조건으로 해서 컨텐츠 이용을 실행한다.
<4. 저작권관리부의 기능 구성>
다음에, 도 5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사용자 기기(10) 등이 구비하는 저작권관리부(3:저작권관리 모듈)의 기능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5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사용자 기기(10) 등이 구비하는 저작권관리부(3)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작권관리부(3)는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4)과 접속되어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과, 컨텐츠를 실제로 이용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으로서, 사용자로부터의 컨텐츠 이용 요구를 접수하거나, 각 종 조작화면을 표시장치에 표시하거나 한다. 또, 어플리케이션(4)은, 컨텐츠 이용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면 컨텐츠의 재생을 실행하고, 혹은 복수의 사용자 기기(10)간(예를 들면, PC(10a)와 PD(10b)간)이나, 동일한 사용자 기기(10) 내의 기억수단간(예를 들면, HDD(111)와 리무버블 기억매체(40)간)에서, 컨텐츠를 이동하는 등을 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4)에 의한 컨텐츠의 이용은, 저작권관리부(3)에 의해 제어된다.
저작권관리부(3)는, 전술한 복수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와, 이들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컴포넌트 관리부(5)를 구비한다.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라이센스를 동적으로 처리하는 처리 단위(각 이용 제한 기능) 에 따라 부품화된 모듈이다. 이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컨텐츠의 이용(재생, 이동 등)을 제어하기 위해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처리(평가, 전송 등) 하는 기능이나,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기억수단에 안전하게 보존해서 관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저작권관리부(3)에서는, 컴포넌트 관리부(5)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고,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에 관한 정보(라이센스 자체, 컨텐츠 키 등)를 안전하게 주고받음으로써, 적절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에 적절한 데이터를 전송, 처리하고,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한다.
연관되는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존 컴포넌트(1)와, 이용 컴포넌트(2)로 분류된다.
우선, 보존 컴포넌트(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존 컴포넌트(1)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기억수단에 안전하게 보관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 로는, 보존 컴포넌트(1)는, 컨텐츠 키의 은닉성(상기 요건1) 및 라이센스의 완전성(상기 요건2)을 보증하면서, 이들 컨텐츠 키, 라이센스 및 컨텐츠의 관련성(상기 요건3)을 보증하도록, HDD(111)나 리무버블 기억매체(40) 등의 기억수단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보존하는 처리를 행한다(이 처리를 바인드(bind)라고 한다.). 또, 보존 컴포넌트(1)는, 이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바인드 처리 외에, 기억수단으로부터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하거나 혹은 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재기록하고, 삭제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이 보존 컴포넌트(1)는, 기억수단에 대한 읽고 쓰기를 실행하는 부분이 실장 환경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이한 기억방식을 가지는 기억수단마다 각각 설정된다. 이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1종류의 기억수단에 1종류의 보존 컴포넌트(1)가 대응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보존 컴포넌트(1)는, 예를 들면 리무버블 기억매체(40)의 종류나 사양(예를 들면, 일반적인 반도체메모리, 저작권관리기능첨부 반도체메모리, CD, DVD 등)에 대응해서 각각 설정되고, 또 다른 타입의 사용자 기기(10)가 구비하는 HDD(PC(10a)의 HDD(111), PD(10b)의 HDD(211) 등)에 대응해서 각각 설정된다.
도 5의 예에서는, HDD에 구성된 라이센스·컨텐츠 키기억부(6a)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보존하는 HDD용의 보존 컴포넌트(11:Bind1)와,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구성된 라이센스·컨텐츠 키기억부(6b)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보존하는 리무버블 기억매체용의 보존 컴포넌트(12:Bind2)가 표시되고 있다.
이러한 보존 컴포넌트(1)는, 기억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가 개조되거나, 은닉이 폭로되거나 하지 않도록,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기억수단에 안전하게 관련되게 만들어서 보존(즉, 바인드)한다. 이 안전한 보존 방법의 구체적 수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보존 컴포넌트(1)는, 대응하는 기억수단에 컨텐츠 등이 저장되는 일반적인 기억영역과는 별도로, 보존 컴포넌트(1) 이외는 액세스 불능한 비밀기억영역을 생성하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이 비밀기억영역에 보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저작권관리부(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면, 상기 비밀기억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에 액세스 불능이 되므로, 컨텐츠 키의 은닉성 및 라이센스의 완전성을 보증할 수 있다. 이 수법은, 기억수단이, DVD 등의 광디스크일 경우 등에 유용하다.
또, 보존 컴포넌트(1)는, 대응하는 기억수단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보존 컴포넌트만이 취급가능한 보존용 비밀 키(개조를 방지하기 위한 비밀인 미디어 키)로 암호화해서 보존해도 된다. 이에 의해, 기억수단 내의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에 액세스는 할 수 있지만, 상기 보존용 비밀 키로 복호화하지 않으면,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컨텐츠 키의 은닉성 및 라이센스의 완전성을 보증할 수 있다. 이 수법은, 기억수단이, 반도체메모리일 경우 등에 유용하다.
다음에, 이용 컴포넌트(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용 컴포넌트(2)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 필요에 따라서 컨텐츠를 입력해서, 라이센스에 기술된 각종의 이용 조건(후술하는 재생 조건, 이동 조건 등)을 평가해서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이용 컴포넌트(2)의 종류에 따라서는, 컨텐츠의 이용 제어 내용에 따라, 라이센스를 갱신하고, 갱신된 라이센스를 출력하는 것도 있다.
또, 이 이용 컴포넌트(2)는, 예를 들면 HDD, 리무버블 기억매체(40) 등으로 구성된 컨텐츠 기억부(7)와 접속되고, 필요에 따라서 컨텐츠 기억부(7)로부터 컨텐츠를 판독해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용 컴포넌트(2)는, 라이센스·컨텐츠 키기억부(6)로부터, 직접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취득할 수 없고, 반드시 보존 컴포넌트(1)를 개재하지 없으면 안 된다. 환언하면, 이용 컴포넌트(2)는, 스스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기억수단에 읽고 쓰기 및 보존하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용 컴포넌트(2)는 보존 컴포넌트(1)에 의해 라이센스·컨텐츠 키기억부(6)로부터 판독되어서 이용 컴포넌트(2)로 전송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처리하고, 필요에 따라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보존 컴포넌트(1)에 전송하여, 기억수단에 기록시킨다.
이러한 이용 컴포넌트(2)는, 적어도 컨텐츠의 이용 형태(조작)에 대해서 각각 설정된다. 여기에서, 컨텐츠의 이용 형태의 종류에 관하여 설명한다. 컨텐츠의 이용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컨텐츠를 소리나 영상으로서 출력하는 "재생", 사용자 기기(10)간 또는 기억수단간에서 컨텐츠를 이동(원본 전송)하는 "이동", 어떤 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를 복제(사본 전송)해서 다른 기억수단에 보존하는 "복제", 사용자 기기(10)간 또는 기억수단간에서 컨텐츠를 대출하는 "대출", 사용자 기기(10)간 또는 기억수단간에서 대출된 컨텐츠를 대출원으로 반환하는 "반 환"등이 있다.
또, 상기 "재생"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등속도재생, 등속도역재생, 신속 이송 재생, 되감기 재생, 신속 이송, 되감기, 일시정지, 시크(seek) 조작 등이 가능하다. 또, 상기 "대출"은, SDMI준거의 "체크아웃(Check Out)"에 해당하고, 상기 "반환"은, SDMI준거의 "체크인(Check In)"에 해당한다.
이러한 컨텐츠의 각 이용(각 조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 컴포넌트(2)의 구체적인 예로서, 예를 들면 재생 컴포넌트(21:Reproduction 또는 Play)와, 이동 컴포넌트(22:Move), 복제 컴포넌트(23:Copy)와, 대출 컴포넌트(24:Rent)와, 반환 컴포넌트(25:Return)를 갖는다.
재생 컴포넌트(21)는, 라이센스에 기술된 재생 조건을 평가하고,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이 재생 컴포넌트(21)는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재생 제어와,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재생 제어에 따라, 2종류로 설정되지만,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 이동 컴포넌트(22)는, 컨텐츠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에 기술된 이동 조건을 평가하고, 사용자 기기(10)간 또는 기억수단간에서의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이동(원본 전송)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이 이동 컴포넌트(22)에 의해, 이동원과 이동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이동이 허가되면, 이 이동원과 이동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동도 허가된다.
또, 복제 컴포넌트(23)는, 컨텐츠의 복제를 제어하기 위해서, 이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에 기술된 복제 조건을 평가하고, 사용자 기기(10)간 또는 기억수단간에서의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복제(사본 전송)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이 복제 컴포넌트(23)에 의해, 복제원과 복제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복제가 허가되면, 이 복제원과 복제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복제도 허가된다.
또, 대출 컴포넌트(24)는, 컨텐츠의 대출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에 기술된 대출 조건을 평가하고, 사용자 기기(10)간 또는 기억수단간에서의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대출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이 대출 컴포넌트(24)에 의해, 대출원과 대출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대출이 허가되면, 이 대출원과 대출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대출도 허가된다.
또, 반환 컴포넌트(25)는, 컨텐츠의 반환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에 기술된 반환 조건을 평가하고, 대출원과 대출처의 사용자 기기(10)간 또는 대출원과 대출처의 기억수단간에서의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반환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이 반환 컴포넌트(25)에 의해, 대출원과 대출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반환이 허가되면, 이 대출원과 대출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반환도 허가된다.
이상, 5종류의 이용 컴포넌트(2)에 관하여 설명했다. 또, 동일 종류의 컨텐츠 이용 제어를 행하는 이용 컴포넌트(2)는 실장 환경에 의존하는 부분에 따라, 복수의 이용 컴포넌트(2)를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디코더의 종류 마다, 복수의 재생 컴포넌트(21)를 설치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보존 컴포넌트(1)와 이용 컴포넌트(2)로 이루어지는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주고받음으로써,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한다. 이렇게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주고받기 위해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는, 특정한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이 메시지에는,
(1) 라이센스,
(2) 컨텐츠 키,
(3)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즉, 메시지의 종류)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 식별 정보,
(4) 메시지 전송원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정보가 포함된다.
이 메시지 중, (3) 전송 타입 식별 정보 및 (4) 컴포넌트 속성정보는, 적정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적정하게 전송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한 데이터이지만,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에, 컴포넌트 관리부(5)에 관하여 설명한다. 컴포넌트 관리부(5)는,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의 컨텐츠 이용 요구에 따라, 필요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사용하고, 컨텐츠의 이용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본적으로는, 컴포넌트 관리부(5)는, 1나의 컨텐츠 이용 요구에 대하여, 1나의 이용 컴포넌트(2)와, 1 또는 2 이상의 보존 컴포넌트(1)를 사용하고, 이용 요구받은 컨텐츠의 이용 을 제어한다. 이 컴포넌트 관리부(5)의 기본적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컴포넌트 관리부(5)는, 컨텐츠 이용 제어 처리에 사용하는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컴포넌트 관리부(5)는,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컨텐츠 이용 요구를 받으면, 요구받은 컨텐츠의 이용 제어를 행하는 이용 컴포넌트(2)와, 컨텐츠의 이용 제어에 필요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보존하는 보존 컴포넌트(1)를 결정한다. 그리고, 이들 결정된 보존 컴포넌트(1) 및 이용 컴포넌트(2)에 로드 지시를 보내고, 로드(기동)시킨다.
다음에, 컴포넌트 관리부(5)는, 로드한 보존 컴포넌트에, 컨텐츠의 이용 내용에 따른 메시지의 작성을 지시하고, 로드한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메시지를 취득한다. 이때, 컴포넌트 관리부(5)는, 컨텐츠 이용 내용에 따라, 보존 컴포넌트(1)에 저장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무효화(삭제)하도록 지시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의 이동의 경우에는, 컴포넌트 관리부(5)는, 보존 컴포넌트(1)에 대하여,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삭제하고나서, 전송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취득한 메시지를, 이용 컴포넌트(2)에 전송한다. 이용 컴포넌트(2)는, 수신된 메시지의 정당성을 확인한 후, 라이센스에 기술된 이용 조건을 평가하고, 컨텐츠의 이용의 가부를 판단하고, 이용가능하면, 컨텐츠의 이용을 어플리케이션에 지시한다. 또, 이용 컴포넌트(2)가 이동 컴포넌트(22) 등일 경우에는, 컨텐츠의 이동에 따라서,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도 이동시키기 위해서, 다른 보존 컴포넌트(1)에 메시지를 송신 한다.
이와 같이, 컴포넌트 관리부(5)는, 컨텐츠의 이용 요구에 따라, 필요한 복수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기능시켜서, 이들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사이에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교환시킴으로써, 요구된 컨텐츠 이용을 제어한다.
다음에, 도 6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를 주고받고,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6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를 주고받는 구성 예를 개시하는 블럭도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로서, 3개의 보존 컴포넌트(11, 12, 13)과, 재생 컴포넌트(21) 및, 이동 컴포넌트(22)가 접속 가능한 상태에 있게 한다. 이때의 접속 경로는, 동일한 사용자 기기(10) 내의 접속이면 버스 등이며, 다른 복수의 사용자 기기(10) 사이에서 접속할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30)나, 홈 네트워크(30a) 또는 로컬라인(30b) 등이다.
보존 컴포넌트(11, 12, 1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암호기술 등을 이용하거나, 비밀기억영역을 가지는 기억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라이센스를, 기억수단에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다. 보존 컴포넌트(1)는, 기억수단에 보존한 라이센스를 판독하고, 이용 컴포넌트(2)에 의해 해석 가능하도록 실체화(유효화)하고, 이용 컴포넌트(2)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존 컴포넌트(11)는 보존하고 있는 라이센스A를 실체화하여, 재생 컴포넌트(21)에 전송한다. 재생 컴포넌트(21)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A에 기술된 재생 조건을 평가하고, 해당 라이센스A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또, 보존 컴포넌트(12)는, 보존하고 있는 라이센스B를 실체화하고, 이동 컴포넌트(22)에 전송한다. 이동 컴포넌트(22)는, 보존 컴포넌트(12)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B에 기술된 이동 조건을 평가하고, 해당 라이센스B의 이동의 가부 및, 해당 라이센스B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동의 가부를 판단하고, 이동가능하면 라이센스B를 보존 컴포넌트(13)에 전송한다. 보존 컴포넌트(13)는 전송된 라이센스B에 기술된 보존 조건을 평가하고, 보존 가능이라고 판단하면, 대응하는 기억수단에 라이센스B를 안전하게 보존(바인드)한다. 또한, 보존 컴포넌트(13)는, 전송 지시를 받으면 보존하고 있는 라이센스B를 실체화하고, 재생 컴포넌트(21)에 전송한다. 그러면, 재생 컴포넌트(21)는, 전송된 라이센스B에 기술된 재생 조건을 평가하고, 해당 라이센스B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보존 컴포넌트(11, 12, 13)와, 재생 컴포넌트(21) 및 이동 컴포넌트(22) 등의 이용 컴포넌트(2)의 사이에서, 라이센스를 주고받음으로써, 1나의 컨텐츠 이용이 제어된다. 즉,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할 경우에는, 적어도 1나의 보존 컴포넌트(1)와, 적어도 1나의 이용 컴포넌트(2)가 연대해서 동작하는 것이 요청된다.
다음에, 도 7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부(3)를 구성하는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실장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7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부(3)를 구성하는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실장예를 개 시하는 설명도다.
도 7에는,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가 실장되는 라이센스 처리장치의 구성 예로서, 상기 도 2에 나타낸 기기 중, 분배 서버(20), PC(10a), 홈 서버(10c), PD(10b)가 구비하는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각 기기에는, 상기 각종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가 분산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배 서버(20)는, 이동 컴포넌트(22)와, HDD(411)용의 보존 컴포넌트(11)를 구비한다. 또, PC(10a)는, 재생, 이동, 복제, 대출, 반환 컴포넌트(21, 22, 23, 24, 25)와, HDD(111)용의 보존 컴포넌트(11)와, 리무버블 기억매체(40)용의 보존 컴포넌트(12)를 구비한다. 또, 홈 서버(110c)는, HDD(311)용의 보존 컴포넌트(11)를 구비한다. 또, PD(10b)는, 재생 컴포넌트(21)와, 리무버블 기억매체(40)용의 보존 컴포넌트(12)를 구비한다.
이러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실장예에 있어서는, 사용자 기기(10) 및 분배 서버(20)에 배치된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조합하는 것으로, 저작권관리를 행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배 서버(20)의 보존 컴포넌트(11) 및 이동 컴포넌트(22)와, PC(10a)의 보존 컴포넌트(11)를 조합함으로써, 분배 서버(20)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 및 라이센스 등을 PC(10a)에 분배(이동)하여, PC의 HDD(111)에 보존할 수 있다.
또, PC(10a)의 복제 컴포넌트(23) 및 보존 컴포넌트(11)와, 홈 서버(10c)의 보존 컴포넌트(11)를 조합함으로써, PC(10a)의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 및 라이센스 등을 홈 서버(10c)에 복제하고, 홈 서버(10c)의 HDD(311)에 보존할 수 있다. 또한, 홈 서버의 보존 컴포넌트(11)와, PC(10a)의 재생 컴포넌트(21)를 조합함으로써, 홈 서버(10a)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를, PC(10a)에서 재생할 수도 있다.
또, PC(10a) 내에서 대출 컴포넌트(24), 보존 컴포넌트(11) 및 보존 컴포넌트(12)를 조합함으로써, PC(10a)의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 및 라이센스 등을, PC(10a)의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대출해서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이 리무버블 기억매체(40)를 PD(10b)에 제공해서 장착한 뒤에, PD(10b)의 재생 컴포넌트(21)와 보존 컴포넌트(12)를 조합함으로써, 해당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 PD(10b)에서 재생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100)에서 사용되는 저작권관리부(3)의 기능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작권관리부(3)를, 컨텐츠의 이용 형태에 입각한 라이센스의 처리 단위마다 복수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에 부품화해서 구축함으로써, 저작권관리부(3)의 범용성, 확장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작권관리부(3)를 다양한 타입의 사용자 기기(10)에 대응하도록 설계해서 실장할 때에, 다른 실장의 저작권관리부(3)를 가지는 사용자 기기(10) 사이에서, 컨텐츠 및 라이센스 등을 적합하게 주고받고, 컨텐츠의 이용 및 그 제한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5. 데이터 구성>
다음에, 도 8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100)에서 취급되는 기본 데이터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8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100)에서 취급되는 기본 데이터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작권관리시스템(100)에서 취급되는 데이터는, 주로 디지털 컨텐츠(301)와, 컨텐츠 키(302)와, 컨텐츠(303:저작권관리 컨텐츠)와, 컨텐츠ID(304)와, 라이센스(305)이다.
(디지털 컨텐츠(301))
디지털 컨텐츠(301)는, 저작권관리의 대상이 되는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디지털 데이터다. 더 상세하게는, 이 디지털 컨텐츠(301), 예를 들면 음악, 강연, 라디오 프로그램 등의 음성 데이터(Audio data),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프로그램, 사진, 회화, 도표 등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 혹은 동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영상(Video data) 혹은 전자도서(E-book), 게임, 소프트웨어 등의 데이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컨텐츠(301)로서, 주로 분배 서버(20)로부터 분배된 음악 데이터, 또는 음악CD 등으로부터 리핑된 음악 데이터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작권관리시스템(100)에서는, 이 디지털 컨텐츠(301)를 암호처리해서 저작권관리 컨텐츠(303)를 생성하고, 시스템 내에서 저작권관리한다.
(컨텐츠 키(302))
컨텐츠 키(302)는, 컨텐츠(303)를 복호화하기 위한 컨텐츠 암호처리 키이며, 예를 들면 1 또는 2 이상의 비밀 키의 집합인 키 뭉치(Key Ring)로 구성된다. 예 를 들면, 컨텐츠 키(302)의 구체적인 예는,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한 비밀 키와, 암호화된 프린지(fringe)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비밀 키의 집합이다. 또, 컨텐츠 키(302)의 다른 구체적인 예는, 비디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분할하고, 각각 다른 비밀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했을 때의 비밀 키의 집합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100)에서는, 디지털 컨텐츠(301)의 은닉성을 보증하기 위해서, 비밀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301)를 암호화한다. 이때, "디지털 컨텐츠(301):비밀 키=m:n"의 관계에 있어, 1나의 디지털 컨텐츠(301)에 대하여 복수의 비밀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도 되고, 복수의 디지털 컨텐츠(301)를 1나의 비밀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도 된다. 이들의 비밀 키의 집합(키 뭉치)을 컨텐츠 키(302)로 정의한다. 이 결과, "디지털 컨텐츠(301):컨텐츠 키(302)=m:1"의 관계가 된다.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100)에서는, 이 컨텐츠 키(302)를 1나의 저작권관리된 컨텐츠(303)과 대등한 것으로 간주하고, 이용 조건에 의한 제어 단위로서 취급한다.
(컨텐츠(303))
컨텐츠(303)는, 1나의 컨텐츠 키(302)에 의해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301)의 집합(저작권관리 컨텐츠)이다. 이 결과, "컨텐츠 키(302):컨텐츠(303)=1:1"의 관계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컨텐츠(303)" 혹은 "컨텐츠"의 용어는, 컨텐츠 키(302)에 의해 암호처리된 디지털 컨텐츠(301)의 집합인 저작권관리 컨텐츠를 의미한다. 컨텐츠(303)는, 저작권관리부(3)에 의해 이용 제어되지만, 라이센스(305) 및 컨텐츠 키(302)가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으면, 반드시, 컨텐츠(303) 자체를 안전 하게 관리하는 필요는 없다.
(컨텐츠ID(304))
컨텐츠ID(304)는, 컨텐츠 키(302)에 특정되어 부여되는 식별자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 키(302):컨텐츠(303)=1:1"의 관계에 있어서, 이 컨텐츠ID(304)에 의해, 컨텐츠(303)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컨텐츠ID(304)는, 컨텐츠(303)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부(3)는, 이 컨텐츠ID(304)와, 컨텐츠의 이용 내용의 지시가 입력되면, 컨텐츠(303)의 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라이센스(305))
라이센스(305)는, 컨텐츠(303)의 이용 권한을 나타내는 전자 데이터다. 이 라이센스(305)에는, 컨텐츠(303)의 이용(재생, 이동, 대출 등) 및, 컨텐츠(303), 컨텐츠 키(302) 및 라이센스(305)의 전송에 관한 이용 조건 및 이용상태가 기술된다. 라이센스(305)는 컨텐츠 키(302)에 대하여 부여되어, 1나의 컨텐츠 키(302)에 대하여, 복수의 컨텐츠 키(302)를 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컨텐츠 키(302):컨텐츠(303):라이센스(305)=1:1:n"의 관계에 있게 된다.
또, 상기 도 8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지털 컨텐츠, 컨텐츠 키, 컨텐츠, 컨텐츠ID, 라이센스로 이루어지는 용어에 부호(301~305)를 부착해서 설명했지만, 본 명세서의 다른 기재에서는, 이들의 용어에 부호를 부착하지 않고 표현할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도, 이들 각 용어의 의미는, 상기에서 정의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6. 라이센스 기술>
다음에, 도 9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기술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도 9 내지 도 12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기술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각각 컨텐츠의 이동, 복제, 대출, 반환 제어에 사용가능한 라이센스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센스에는, 컨텐츠의 이용(재생, 이동, 대출 등)을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 도시의 예로서는, 라이센스는, XML(eXtended Markup Language)에 의해 기술되고 있지만, 라이센스의 기술언어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라이센스는, 라이센스에 관한 정보가 기술되는 라이센스 정보기술부(501)와,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되는 이용 조건기술부(502)로 이루어진다.
라이센스 정보기술부(501)에는, 예를 들면 라이센스에 의해 제어하는 대상이 되는 컨텐츠 및 컨텐츠 키를 나타내는 "컨텐츠ID"와, 컨텐츠의 저작권자인 개인 또는 기업(서비스 프로바이더 등)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인 "저작권자 정보 "가 기술된다. 컨텐츠ID는, <U_ContentID>태그로 둘러싸여진 부분에 기술되고, 저작권자 정보는, <Legal Copyright>태그로 둘러싸여진 부분에 기술된다. 라이센스에 컨텐츠ID를 기술함으로써, 라이센스와, 이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 키를 관련되게 만들 수 있다. 또, 이 라이센스 정보기술부(501)에는, 라이센스에 관한 정보로서, 라이센스의 발행일 등을 기술해도 된다.
이용 조건기술부(502)는, 컨텐츠의 이용 조건정보가, 컨텐츠의 이용 형태(조 작 내용)마다, 즉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마다 구분되어서 기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 조건기술부(502)는, 컨텐츠의 재생 조건이 기술된 재생 조건기술부(521)와, 컨텐츠의 이동 조건이 기술된 이동 조건기술부(522)와, 컨텐츠의 복제 조건이 기술된 복제 조건기술부(523)와, 컨텐츠의 대출 조건이 기술된 대출 조건기술부(524)와, 컨텐츠의 반환 조건이 기술된 반환 조건기술부(525)와,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의 보존 조건이 기술된 보존 조건기술부(511)로 구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용 조건을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처리 기능에 따라 구분해서 기술함으로써,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자신에 대응하는 부분의 이용 조건을 평가하고, 컨텐츠의 이용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생 컴포넌트(21)는 라이센스 중, 재생 조건기술부(521)만을 평가하고, 컨텐츠의 재생의 가부를 제어한다. 또, 보존 컴포넌트(1)는, 라이센스 중, 보존 조건기술부(511)만을 평가하고, 기억수단에 대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보존의 가부를 제어한다.
또,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기술부(502)에는, 상기 모든 이용 조건이 기술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의 이동제어용의 라이센스는, 적어도 재생 조건기술부(521)와, 이동 조건기술부(522)와, 보존 조건기술부(511)를 포함하면 된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의 복제 제어용의 라이센스는, 적어도 재생 조건기술부(521)와, 복제 조건기술부(523)와, 보존 조건기술부(511)를 포함하면 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의 대출 제어용의 라이센스(대출원 라이센스)는, 적어도 재생 조건기술부(521)와, 대 출 조건기술부(524)와, 보존 조건기술부(511)를 포함하면 된다. 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의 반환 제어용의 라이센스(대출용 라이센스)는, 적어도 재생 조건기술부(521)와, 반환 조건기술부(525)와, 보존 조건기술부(511)를 포함하면 된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대출용 라이센스는, 도 11에 나타내는 대출원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대출원 라이센스로부터, 라이센스 정보기술부(501), 재생 조건기술부(521) 및 보존 조건기술부(511)를 추출하고, 이것들에 대하여, 새롭게 생성된 반환 조건기술부(525)를 추가함으로써, 대출용 라이센스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대출용 라이센스의 대출 처리시에는, 대출용 라이센스의 반환 조건기술부(525)와, 대출원 라이센스의 대출 조건기술부(523)에 동일한 대출ID가 기술되어, 쌍방의 라이센스를 관련되게 만들 수 있다.
다음에, 이러한 이용 조건기술부(502)의 기술 내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용 조건기술부(502)에는, 예를 들면 컨텐츠의 이용 제어 파라미터와, 컨텐츠의 이용 상태(스테이터스)와, 프로퍼티 선택 리스트(Property Selection List)가 기술된다.
이용 제어 파라미터는,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허가/금지)하기 위한 파라미터다. 이 이용 제어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컨텐츠의 이용 회수제한(재생 회수제한, 이동 회수제한, 복제 회수제한, 대출 회수제한 등), 컨텐츠의 이용 유효기한(재생 유효기한, 이동 유효기한, 복제 유효기한, 대출 유효기한, 반환 유효기한 등) 또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보존 회수제한 혹은 보존 유효기한 등을 의미하는 파 라미터다.
이용 상태(이하, "스테이터스")는, 컨텐츠의 이용에 관한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스테이터스는, 예를 들면 컨텐츠의 재생 완료 회수 등을 포함하는 재생 스테이터스, 컨텐츠의 이동 완료 회수 등을 포함하는 이동 스테이터스, 컨텐츠의 복제 완료 회수 등을 포함하는 복제 스테이터스, 컨텐츠의 대출 완료 회수(체크아웃 회수) 등을 포함하는 대출 스테이터스, 라이센스의 보존 완료 회수 등을 포함하는 보존 스테이터스 등이다.
프로퍼티 선택 리스트는, 라이센스의 각 이용 조건을 평가해서 컨텐츠의 이용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제한하기 위한 리스트다. 컨텐츠 중에는, 특정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구비한 사용자 기기(10)에서만 처리를 허가시키고 싶지 않은 것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재생 회수제어에 대응한 재생 컴포넌트(21)를 구비한 사용자 기기(10)에서만 재생을 인지하지 않는 컨텐츠 등이 있다. 이러한 요망에 대처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센스에 프로퍼티 선택 리스트를 기술하고, 라이센스를 처리가능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제한한다.
이 프로퍼티 선택 리스트는, 재생 조건기술부(521), 이동 조건기술부(522) 등, 이용 제한 기술부마다 각각 기술된다. 각 프로퍼티 선택 리스트에는, 프로퍼티ID와 액션 코드의 조합이 적어도 1나 포함된다.
프로퍼티ID는,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식별자다.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특성은, 예를 들면 해당 컴포넌트를 제공한 기업, 해당 컴포 넌트가 준거하는 저작권관리 방식, 해당 컴포넌트가 취급하는 컨텐츠의 종류(영상데이터인가, 음성 데이터인가 등), 해당 컴포넌트가 가지는 기능(이용 회수제한 기능, 유효기한제한 기능, 디지털 데이터 출력 기능, 암호처리 기능을 가질지 등), 기타 다양한 컴포넌트의 특성이다. 또, 액션으로는,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프로퍼티ID에 해당하는 특성의 유무에 따른 리스트 해석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자신의 특성에 대응하는 프로퍼티ID를 유지해 두고, 상기 프로퍼티 선택 리스트에 기술된 프로퍼티ID와 동일한 프로퍼티ID를 자신이 유지하고 있을 것인가를 확인하고,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액션 코드에서 지정된 액션을 행한다. 액션으로는, 다양한 조건이 정의되고 있어, 임의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에 있어서의 컨텐츠 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라이센스에 기술되는 구성요소에 관하여 설명했다. 여기에서, 도 9에 나타내는 라이센스의 재생 조건기술부(521)의 기술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의 라이센스의 재생 조건기술부(521)의 기술은 아래와 같다.
<Play>
<PropertySelectionList>
MagicGateVideo, 0x82;CountDownPlay, 0x81;
</PropertySelectionList>
<Parmeter>Remain=3, </Parameter>
<Status>Remain=2, </Status>
</Play>
<PropertySelectionList>의 부분에는, 컨텐츠 재생에 관한 프로퍼티 선택 리스트가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MagicGateVideo"는, 해당 재생 조건기술부(521)를 취급 가능한 재생 컴포넌트(21)의 특성을 나타내는 프로퍼티ID이며, "0x82"는 액션 코드다. 이 기술은, 프로퍼티 "MagicGateVideo"에 대해서, 액션ID "0x82"로 정의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재생 회수제한 "CountDownPlay"에 대해서, 액션 코드 "0x81"로 정의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Parameter>의 부분에는, 컨텐츠의 재생 제어 파라미터가 기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Remain=3"은, 재생 회수제한을 실행하기 위한 회수 파라미터이며, 재생 상한회수가 "3"회인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 재생 컴포넌트(21)는, 해당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최대 3회까지만,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허가할 수 없다.
<Status>의 부분에는,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나타내는 재생 스테이터스가 기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Remain=2"는 현재까지 컨텐츠가 재생된 회수인 재생 완료 회수를 나타내는 회수 스테이터스이며, 재생 완료 회수가 "2"회인 것을 의미한다. 재생 컴포넌트(21)는, 이 재생 완료 회수가 상기 재생 상한회수 미만인 것인가를 평가하고, 미만이면 컨텐츠의 재생을 허가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재생 상한회수가 "3"회이므로, 해당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나중 1회만 컨텐츠를 재생가능하다.
다음에,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에 의해, 이상과 같은 기술의 라이센스를 평가하는 수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상기 라이센스에 기술된 이용 조건 중, 자기에 대응하는 부분의 이용 조건기술(예를 들면, 재생 컴포넌트(21)라면 재생 조건부(521))을 참조하고, 컨텐츠의 이용 제어를 행한다.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컨텐츠의 이용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이하의 순서로 처리를 행한다.
(1) 라이센스 내의 이용 조건기술의 검색
우선,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라이센스의 기술 중에서, 자기에 대응하는 부분의 이용 조건기술(예를 들면, 재생 컴포넌트(21)라면 재생 조건기술부(521))을 검색해서 판독한다. 이 검색 동작은, 라이센스에 기술되어 있는 이용 조건식별 부호(예를 들면, <Play>태그)에 근거해서 주어진다.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라이센스 내에, 라이센스 내에 자신에 대응하는 부분의 이용 조건기술이 없으면,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자신에 대응하는 부분의 이용 조건기술이 있으면, 다음 (2)의 처리로 진행된다.
(2) 프로퍼티 선택 리스트의 검증에 근거하는 처리의 가부판단
다음에,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자신에 대응하는 이용 조건기술의 프로퍼티 선택 리스트를 평가하고, 다음 (3)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의 가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해당 이용 조건기술의 프로퍼티 선택 리스트에 리스트업된 프로퍼티ID를, 자신이 보유하고 있을 것인가 아닌가 에 의거하여, 상기 액션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를, 프로퍼티 선택 리스트 중의 각 프로퍼티ID에 대해서, 상위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행해서, 최종적으로 는 (3)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의 가부의 결과를 얻는다. 이에 따라,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실장의 타당성이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에 실장 완료의 처리 기능을 체크할 수 있다.
(3) 이용 제어 파라미터 및 스테이터스에 근거하는 컨텐츠의 이용의 가부판단
다음에,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이용 조건기술부에서, 이용 제어 파라미터 및 스테이터스의 값을 판독하고, 이 값을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이용 가부판단 함수에 맞추고, 이 함수에서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킬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 결과, 해당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에는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고, 한편 해당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컨텐츠의 이용을 금지한다. 이러한 컨텐츠의 이용 제어의 예로서는, 이용 회수제어(예를 들면, 재생 회수제어, 보존 회수제어, 이동 회수제어 등), 이용 유효기한제어(예를 들면, 재생 유효기한제어, 보존 유효기한제어, 이동 유효기한제어 등) 등이 있다.
여기에서, 재생 컴포넌트(21)가, 라이센스의 재생 조건기술부(521)를 평가해서 재생 회수제어를 행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재생 컴포넌트(21)는, 재생 조건기술부(521)로부터, 재생 회수제한을 실행하기 위한 회수 파라미터(예를 들면, 도 9의 <Parameter>Remain=3)를 취득한다. 이때, 회수 파라미터가 0이면, 재생 컴포넌트(21)는, 재생 회수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재생 컴포넌트(21)는 다른 재생 조건이 만족될 때만 재생을 허가한다.
다음에, 상기 취득한 회수 파라미터가 0 이외이면, 재생 컴포넌트(21)는, 재 생 조건기술부(521)로부터, 재생 완료 회수를 의미하는 회수 스테이터스(예를 들면, 도 9의 <Status>Remain=2)를 취득한다. 또한, 재생 컴포넌트(21)는, 회수 파라미터의 값과 회수 스테이터스의 값을 비교한다.
이 결과, 회수 파라미터의 값이 회수 스테이터스의 값보다 클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는, 컨텐츠의 재생을 허가하는 동시에, 회수 스테이터스 값을 1 가산한다. 한편, 회수 파라미터의 값이 회수 스테이터스의 값 이하일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는, 컨텐츠의 재생을 금지한다.
이상, 재생 컴포넌트(21)에 의한 재생 회수제어 처리의 예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른 이용 컴포넌트(2) 또는 보존 컴포넌트(1)에 의한 이용 회수제어 처리도, 상기 재생 회수제어 처리와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가, 어떠한 이용 제어 파라미터 및 스테이터스를 참조할지는,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실장에 의존하고, 라이센스의 기술 내용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재생 컴포넌트(21)가 재생 회수제어를 행하는 함수를 보유할 경우에는, 해당 재생 컴포넌트(21)는, 상기한 용에, 재생 조건기술부(521)의 재생 회수제어에 관한 회수 파라미터를 참조하고, 재생 회수에 근거하는 재생 가부제어를 행한다. 이때, 재생 조건기술부(521)에, 재생 회수제어에 관한 회수 파라미터가 기술되지 않고 있으면, 재생 컴포넌트(21)는, 재생 가능이라고 판단하도록 디폴트 값을 사용한다.
한편, 재생 컴포넌트(21)가 재생 회수제어를 행하는 함수를 보유하지 않을 경우에는, 재생 조건기술부(521)의 재생 회수제어에 관한 재생 제어 파라미터가 기술되어 있더라도, 해당 재생 컴포넌트(21)는 이러한 파라미터를 무시하고, 재생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라이센스의 기술 내용에 의존하지 않고, 각각의 실장에 따라 이용 제어 파라미터 및 스테이터스를 적절히 참조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의 실장에 관계없이,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주고받는 라이센스를 표준화할 수 있다.
<7. 컴포넌트간에서의 라이센스 전송 프로토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100)에서는, 저작권관리부(3)의 기능을 부품화한 복수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 등을 주고받음으로써,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한다. 이때,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 등이, 적절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 있어서, 적절한 순서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 등이 부정하게 전송되어, 컨텐츠가 부정 이용되는 위험성이 있다. 예를 들면, 어떤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다른 보존 컴포넌트(12)에 대하여, 복제 컴포넌트(23)를 경유하지 않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가 직접 전송되어버리면, 해당 라이센스의 복제 조건으로서 복제 회수의 제한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복제 완료 회수가 카운트되지 않고 라이센스 등이 부정하게 복제되어버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부(3)에서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부정한 전송을 방지하고, 저작권관리기능을 확실하면서 정당하게 실행시키기 위해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등의 전송 프로토콜이 규정되어 있다.
이 전송 프로토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주고받아진다. 이 전송 프로토콜은, 컴포넌트간에서 주고받아지는 메시지 전체의 물리 포맷에 대해서 규정하는 것은 아니고, 메시지의 구성요소인 데이터의 포맷을 규정하는 것이다. 데이터포맷을 정의함으로써, 상이한 실장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 있어서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상이한 실장의 저작권관리부(3)를 구비한 복수의 사용자 기기(10) 사이에 있어서 라이센스 등을 주고받고 싶을 경우에, 각각의 저작권관리부(3)가 취급하는 메시지의 데이터포맷이 공통이면, 라이센스 등의 데이터를 변환하지 않고 용이하게 주고받기할 수 있다.
또, 메시지의 물리 포맷에 관해서는 실장 의존으로서도 된다. 이에 따라, 적용 환경에 알맞은 라이센스 전송 프로토콜의 실장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통신 프로토콜에 실장할 경우의 일례로서, 메시지의 구성 데이터를 행지향(row oriented)으로 송신하는 프로토콜을 실장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또, 클래스간의 방법 호출로서 실장할 때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인수에 입력해서 실장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이하에, 이러한 라이센스 처리컴포넌트간의 라이센스의 전송 프로토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3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 있어서의 메시지전송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13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 있어서의 메시지전송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센스 등의 전송원(송신측)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31:이하, "전송원 컴포넌트(31)"라고 한다.)로부터, 라이센스 등의 전송처(수신측)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32:이하, "전송처 컴포넌트(32)"라고 한다.)에 라이센스(305)와,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 키(302)를 전송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전송원 컴포넌트(31)와 전송처 컴포넌트(32)는, 보존 컴포넌트(1) 또는 이용 컴포넌트(2)의 어느 하나이어도 되지만,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존 컴포넌트(1)일 경우에는, 전송처 컴포넌트(32)는 이용 컴포넌트(2)이며, 한편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이용 컴포넌트(2)일 경우에는, 전송처 컴포넌트(32)는 보존 컴포넌트(1)이다.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전송 프로토콜에서는, 전송원 컴포넌트(31)로부터 전송처 컴포넌트(32)로는, 소정의 데이터포맷의 메시지(400)가 전송된다. 이 메시지(400)는,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와, 컴포넌트 속성정보(320)와,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305)와, 해당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305)에 대응하는 컨텐츠 키(302)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시지(400)를 전송함에 의해, 상기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305)와 컨텐츠 키(302)에 대하여,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와,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를 부가하고, 이들 4개의 데이터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전송할 수 있다.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는, 전송원 컴포넌트(31)와 전송처 컴포넌트(32)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라이센스(305)의 전송 타입(전송/제시/갱신1/갱신2/갱신3)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는, 전송원 컴포넌트(31)의 속성(이용/보존)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전송 타입 식별 정보)
도 14(a) 내지 (c)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컴포넌트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센스(305)의 전송 타입은 라이센스(305)의 전송 목적과, 전송원 컴포넌트(31)와 전송처 컴포넌트(32)와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대략은 "전송(Transfer)", " 제시(Show)", 갱신(Update)"이라는 3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갱신"은, "갱신1(갱신 요구;Request Update)", "갱신2(갱신 라이센스 전송;Transfer Updated Licence)" "갱신3(갱신 완료 통지;Notify Updated Completion)",라는 3타입으로 분류된다. 이 결과, 라이센스(305)의 전송 타입은, 5타입 있게 된다. 이하에, 각 전송 타입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은 라이센스(305)의 원본(305a)의 전송이다. 전송원 컴포넌트(31)로부터 전송처 컴포넌트(32)로 라이센스(305)를 "전송"할 경우에는, 전송원 컴포넌트(31)는, 유지하고 있는 라이센스(305)를 삭제하고, 해당 라이센스(305)의 원본(305a)를 전송처 컴포넌트(32)에 전송한다. 이에 의해, 전송원 컴포넌트(31)로부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라이센스(305)를 이동할 수 있다.
또,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시"는 라이센스(305)의 사본(305b:복제)의 전송이다. 전송원 컴포넌트(31)로부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라이센스 (305)를 "제시"할 경우에는, 전송원 컴포넌트(31)는, 유지하고 있는 라이센스(305)를 유지한 채로 삭제하지 않고, 해당 라이센스(305)의 사본(305b)을 전송처 컴포넌트(32)에 전송한다. 이에 의해,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유지하고 있는 라이센스(305)를 전송처 컴포넌트(32)에 제시할 수 있다.
또,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갱신"은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유지하고 있는 라이센스(305)를 갱신하기 위한 전송이다. 라이센스(305)를 "갱신"할 경우에는, 우선 전송원 컴포넌트(31)는 유지하고 있는 라이센스(305)의 사본(305b)을 전송처 컴포넌트(32)에 제시해서 갱신 요구를 행한다("갱신1"). 다음에, 전송처 컴포넌트(32)는, 전송된 라이센스(305)를 갱신하고, 갱신된 라이센스(305)의 원본(305a)을 전송처 컴포넌트(32)에 전송한다("갱신2"). 또, 전송처 컴포넌트(32)는 갱신된 라이센스(305)의 사본(305b)을 전송처 컴포넌트(32)에 제시하고, 갱신 완료 통지를 행한다("갱신3"). 이에 의해,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유지하고 있었던 라이센스(305)가 갱신된다.
이와 같이, 전송원 컴포넌트(31)와 전송처 컴포넌트(32)와의 사이의 라이센스(305)의 전송 타입은 5타입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전송 프로토콜에서는, 이들 5개의 전송 타입에 따라, 5종류의 전송 타입 식별 정보(320)가 설정되어 있다.
도 15에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전송 타입 식별 정보(320)의 일례인 전송 타입ID와, 메시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5종류의 전송 타입(전송, 제시, 갱신1, 2, 3)에 따라, 5종류의 전송 타입ID(0x01, 0x02, 0x03, 0x04, 0x05)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이 전송 타입ID는, 상기 전송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ID이며, 상기 전송 타입 식별 정보의 일례다.
전송원 컴포넌트(31)에 의해, 이러한 전송 타입ID를 메시지(400)에 포함함으로써, 해당 메시지(400)에 포함되는 라이센스(305)의 전송 타입을 지정하고, 라이센스(305)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400)는, 어떠한 전송 타입ID를 포함하는지에 따라, 5종류로 분류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송 타입ID "0x01"을 포함하는 메시지(400)는 라이센스의 원본을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다. 또, 전송 타입ID "0x02"을 포함하는 메시지(400)는 라이센스의 사본을 제시하기 위한 메시지다. 또, 전송 타입ID "0x03"을 포함하는 메시지(400)는 라이센스의 갱신 요구를 행하기 위한 메시지다. 또, 전송 타입ID "0x04"을 포함하는 메시지(400)는, 갱신된 라이센스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다. 또, 전송 타입ID "0x05"을 포함하는 메시지(400)는, 라이센스의 갱신 완료를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이와 같은 메시지(400)의 종류에 대해서는, 후술의 도 17에서 상세한 설명한다.
이상,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의 차이점에 따른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전송 타입ID)에 관하여 설명했다. 전송원 컴포넌트(31)에 의해, 상기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를 라이센스(305)와 함께 전송함에 의해, 전송처 컴포넌트(32)에 있어서, 해당 라이센스(305)의 전송 타입을 식별하고, 식별한 전송 타입에 따른 라이센스(305) 등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 속성정보)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그 속성에 따라 크게 2종류에 분류된다. 하나는, 라이센스(305)를 기억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컴포넌트(1:보존 컴포넌트(11) 등)이며, 또 하나는 라이센스(305)를 이용하는 이용 컴포넌트(2:재생 컴포넌트(21) 등)이다. 이들 속성은, 동일속성을 가지는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끼리의 접속을 금지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는, 전송원 컴포넌트(31)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구체적으로는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존 컴포넌트(1) 또는 이용 컴포넌트(2) 중 어디에 속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자신이 속하는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를 보유하고 있어, 메시지의 작성 시에, 자신이 보유하는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를 메시지에 포함한다.
도 16에, 이 컴포넌트 속성정보(320)의 구체적인 예인 컴포넌트 속성ID와 메시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존 컴포넌트(1)에는 "0x01"이 되는 컴포넌트 속성ID를 할당할 수 있어, 이용 컴포넌트(2)에는, "0x02"이 되는 컴포넌트 속성ID가 할당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보존 컴포넌트(1)에 속하는 보존 컴포넌트(11, 12, ...)는, 동일한 컴포넌트 속성ID "0x01"을 보유하고, 이용 컴포넌트(2)에 속하는 재생, 이동, 복제, 대출, 반환 컴포넌트(21, 22, 23, 24, 25)는, 동일한 컴포넌트 속성ID "0x02"를 보유한다.
따라서,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존 컴포넌트(1)에 속할 경우, 이 전송원 컴포넌트(31)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400)에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이 포함된다. 한편,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이용 컴포넌트(2)에 속할 경우, 이 전송원 컴포 넌트(31)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400)에는, 컴포넌트 속성ID "0x02"이 포함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컴포넌트 속성ID 등으로 구성되는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를, 메시지(400)에 포함함으로써, 전송처 컴포넌트(32)에 있어서, 전송원 컴포넌트(31)의 속성을 식별하고, 전송원 컴포넌트(31)와 전송처 컴포넌트(32)가 다른 속성인 것을 체크할 수 있다.
(메시지 종류)
다음에, 본 실시예에 연관된 메시지(400)의 종류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시지(400)는 상기 라이센스(305)의 전송 타입에 따라서, 분류된다. 도 17에, 본 실시예에 연관된 메시지의 종류와 그 구성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메시지(400)는, 예를 들면 상기 5종류의 라이센스(305)의 전송 타입에 따라, 5종류의 메시지(전송 메시지, 제시 메시지, 갱신 요구 메시지, 갱신 전송 메시지, 갱신 완료 메시지)로 분류된다. 이하에, 각 메시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1) 전송 메시지
전송 메시지는, 전송원 컴포넌트(31)로부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라이센스의 원본을 전송(즉,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다. 이 때문에,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로서, "전송"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1"을 포함한다. 또, 전송원 컴포넌트(31)는, 보존 컴포넌트(1) 또는 이용 컴포넌트(2)의 어느 것으로도 되므로,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로서, "보존" 또는 "이용"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 또는 "0x02"중 어느 것을 포함한다.
(2) 제시 메시지
제시 메시지는, 전송원 컴포넌트(31)로부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라이센스의 사본을 전송(즉, 제시)하기 위한 메시지다. 이 때문에,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로서, "제시"를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2"을 포함한다. 또, 전송원 컴포넌트(31)는, 보존 컴포넌트(1)에 한정되므로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로서,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을 포함한다.
(3) 갱신 요구 메시지
갱신 요구 메시지는, 전송원의 보존 컴포넌트(1)가 전송처의 이용 컴포넌트(2)에 대하여, 기억수단에 보존하고 있는 라이센스의 갱신 요구를 행하기 위한 메시지다. 이 때문에,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로서, "갱신1(갱신 요구)"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3"을 포함한다. 또, 전송원 컴포넌트(31)는, 보존 컴포넌트(1)에 한정되므로,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로서,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을 포함한다. 이 갱신 요구 메시지에 의해, 전송원의 보존 컴포넌트(1) 내의 라이센스는, 전송 메시지에 의한 동시 액세스로부터 배타적으로 처리된다.
또, 이 갱신 요구 메시지에 대하여는, 다음의 (4) 갱신 전송 메시지에서 응답 해야만 한다.
(4) 갱신 전송 메시지
갱신 전송 메시지는, 전송원의 이용 컴포넌트(2)에 의해 갱신된 라이센스를, 상기 갱신 요구원의 보존 컴포넌트(1)에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다. 이 때문에, 전 송 타입 식별정보(310)로서, "갱신2(갱신 라이센스 전송)"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4"을 포함한다. 또, 전송원 컴포넌트(31)는 이용 컴포넌트(1)에 한정되므로,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로서, "이용"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2"을 포함한다. 이러한 갱신 전송 메시지는, 상기 (3) 갱신 요구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송신된다. 연관되는 갱신 전송 메시지를 받은 상기 갱신 요구원의 보존 컴포넌트(1)는, 갱신된 라이센스를 기억수단에 덮어쓴다. 또, 이 갱신 전송 메시지에 대하여, 다음의 (5) 갱신 완료 메시지에서 응답해도 된다.
(5) 갱신 완료 메시지
갱신 완료 메시지는, 상기 갱신 요구원의 보존 컴포넌트(1)에 있어서 라이센스의 갱신이 완료한 것을, 전송처의 이용 컴포넌트(2)에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다. 이 때문에,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로서, "갱신3(갱신 완료 통지)"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5"을 포함한다. 또, 전송원 컴포넌트(31)는, 보존 컴포넌트(1)에 한정되므로,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로서,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을 포함한다. 이러한 갱신 전송 메시지는, 상기 (4) 갱신 전송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갱신 라이센스를 덮어쓴 후에, 송신된다. 이 갱신 완료 메시지는, 옵션적인 메시지이며, 반드시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또, 이 갱신 완료 메시지는, 라이센스(305) 및 컨텐츠 키(302)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연관된 5종류의 메시지에 관하여 설명했다. 또, 상기 5종류의 메시지 이외의 메시지(예를 들면, 처리 중단 메시지 등)를,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전송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상기 메시지)의 주고받기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취급 가능한 전송 타입)
우선, 도 18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가 취급가능한 전송 타입(즉, 메시지의 종류)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18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가 취급가능한 전송 타입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자신이 취급가능한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자신이 취급가능한 메시지의 종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재생 컴포넌트(21a:Reproduce(갱신 없음))는, 상기 재생 컴포넌트(21)의 일종이며, 라이센스에 기술된 재생 스테이터스의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재생 제어를 행한다. 이 제1재생 컴포넌트(21a:이하, 간단히 "재생 컴포넌트(21a)"라고 한다.)는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제시된 라이센스를 받는 것이 가능(즉, 상기 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처리 가능)하다. 또, 재생 컴포넌트(21a)는 다른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에 대하여, 라이센스를 전송(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은 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제2재생 컴포넌트(21b:Reproduce(갱신 있음))는, 상기 재생 컴포넌트(21)의 일종이며, 라이센스에 기술된 재생 스테이터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재생 제어를 행한다. 이 제2재생 컴포넌트(21b:이하, 간단히 "재생컴포넌트(21b)"라 고 한다.)는 라이센스의 "갱신"을 위해, 보존 컴포넌트(1)와의 사이에서 갱신 대상의 라이센스를 주고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재생 컴포넌트(21b)는, 갱신 요구원의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갱신1) 및 갱신 완료 메시지(갱신3)를 수신해서 처리가능하고, 또 갱신 요구원의 보존 컴포넌트(1)에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갱신2)를 송신가능하다.
또, 이동 컴포넌트(22:Move)는,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받을 수 있고, 또한 다른 보존 컴포넌트(1)에 라이센스를 전송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컴포넌트(22)는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상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해서 처리가능하고, 이동 전의 보존 컴포넌트(1)에 상기 전송 메시지를 송신가능하다.
또, 복제 컴포넌트(23:Copy)는,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제시된 라이센스를 받을 수 있고, 또한 다른 보존 컴포넌트(1)에 라이센스를 전송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복제 컴포넌트(23)는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상기 제시 메시지를 수신해서 처리가능하고, 복제처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에 상기 전송 메시지를 송신가능하다.
또, 대출 컴포넌트(24:Rent)는, 라이센스의 "갱신"을 위해서, 보존 컴포넌트(1)와의 사이에서 갱신 대상의 라이센스를 주고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출 컴포넌트(24)는 갱신 요구원의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갱신1) 및 갱신 완료 메시지(갱신3)를 수신해서 처리가능하고, 또 갱신 요구원의 보존 컴포넌트(1)에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갱신2)를 송신가능하다.
또, 반환 컴포넌트(25:Return)는, 상기 대출원 라이센스의 "갱신"을 위해서, 보존 컴포넌트(1)와의 사이에서 갱신 대상의 라이센스를 주고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환 컴포넌트(25)는, 갱신 요구원의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갱신1) 및 갱신 완료 메시지(갱신3)를 수신해서 처리가능하고, 또 갱신 요구원의 보존 컴포넌트(1)에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갱신2)를 송신가능하다. 또한, 반환 컴포넌트(25)는 대출 대상의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수신가능한데, 요컨대 상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해서 처리가능하다.
또, 읽기 전용 보존 컴포넌트(16:Bind)는, 상기 보존 컴포넌트(1)의 일종이며, 라이센스가 안전하게 보존된 읽기 전용 기억수단으로부터 라이센스 등을 판독해서 제시가능하지만, 기억수단에 라이센스 등을 기록할 수는 없다. 이 읽기 전용 보존 컴포넌트(16)는, 예를 들면 재생 전용기기인 PD(10b)에 설정된 리무버블 기억매체(40)용 보존 컴포넌트(12) 등이다.
이 읽기 전용 보존 컴포넌트(16)는, 이용 컴포넌트(2)에,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라이센스를 제시 가능(즉, 상기 제시 메시지를 송신 가능)하지만, 다른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로부터, 라이센스(메시지)를 받을 수는 없다.
또, 기록 전용 보존 컴포넌트(17:Bind)는, 상기 보존 컴포넌트(1)의 일종이며, 라이센스 등을 기억수단에 기록해서 보존가능하지만, 기억수단으로부터 라이센스 등을 판독할 수는 없다. 이 기록 전용 보존 컴포넌트(17)는, 예를 들면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사용자 기기(10)에 컨텐츠 및 라이센스 등을 프리인스톨할 경우나,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컨텐츠 및 라이센스 등을 미리 기록해서 시장에 유통시킬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기록 전용 보존 컴포넌트(17)는, 이용 컴포넌트(2)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수신가능하지만(즉, 상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고, 처리 가능), 다른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에 대해서, 라이센스(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다.
또, 읽기/쓰기가능 보존 컴포넌트(18:Bind)는, 상기 보존 컴포넌트(1)의 일종이며, 기억수단에 대하여 라이센스 등을 판독하고, 기록하고, 보존, 재기록(갱신)이 가능하다. 이 읽기/쓰기가능 보존 컴포넌트(18)는, 예를 들면 PC(10a) 등에 설정된 HDD용 보존 컴포넌트(11) 또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용 보존 컴포넌트(12) 등이다.
이 읽기/쓰기가능 보존 컴포넌트(18)는, 이용 컴포넌트(2)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 및 갱신을 위해 전송된 라이센스를 수신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읽기/쓰기가능 보존 컴포넌트(18)는, 이용 컴포넌트(2)로부터 상기 전송 메시지 및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갱신2)를 수신해서 처리가능하다. 또, 이 읽기/쓰기가능 보존 컴포넌트(18)는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라이센스를, 이용 컴포넌트(2)에, 전송, 제시, 갱신을 위해 전송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읽기/쓰기가능 보존 컴포넌트(18)는, 이용 컴포넌트(2)에 상기 전송 메시지, 제시 메시지 및 갱신 요구 메시지(갱신1) 및, 갱신 완료 메시지(갱신3)를 송신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해당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 자체의 처리 기능에 따라, 입출력가능한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이 미리 정해져 있다. 이 때문에,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메시지를 주고받기할 때에, 적정한 전송 타입으로 라이센스를 주고받을 수 있다.
(컴포넌트의 기능 구성)
다음에, 도 19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에 관한 정보(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한, 전송원 컴포넌트(31) 및 전송처 컴포넌트(32)의 기능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19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전송원 컴포넌트(31) 및 전송처 컴포넌트(32)의 메시지전송에 관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원 컴포넌트(31)는, 라이센스 취득부(352)와, 전송 타입 결정부(354)와, 속성정보 취득부(356)과, 메시지 작성부(358)와, 메시지 송신부(360)를 구비한다.
라이센스 취득부(352)는, 전송 대상의 상기 라이센스 및 해당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 키를 취득한다. 이 라이센스 취득부(352)의 처리 기능은,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존 컴포넌트(1)일 경우와,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이용 컴포넌트(2)일 경우가 다르다. 이하에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존 컴포넌트(1)일 경우에는, 라이센스 취득부(352)는,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의 전송 지시(메시지 작성 지시)에 의거하여, 라이센스·컨텐츠 키기억부(6)로부터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취득한다. 이때, 전송원 컴포넌트(31)는, 상기 전송 지시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ID에 의거하여, 라이센스·컨텐츠 키기억부(6)를 검색하고, 해당 컨텐츠ID가 상기 라이센스 정보기술부(501)에 기술되어 있는 라이센스를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로서 취득한다. 또한, 라이센스 취득부(352)는, 컨텐츠ID에 의해 해당 라이센스에 관련되게 만들어져 있는 컨텐츠 키도 취득한다. 또, 전송원 컴포넌트(31)는,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의 유무를 컴포넌트 관리부(5)에 회신해도 된다. 또, 상기 라이센스·컨텐츠 키기억부(6)는, HDD(111)나 리무버블 기억매체(40) 등의 기억수단이며,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이용 컴포넌트(2) 있을 경우에는, 이 라이센스·컨텐츠 키기억부(6)를 갖지 않는다.
한편,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이용 컴포넌트(2)일 경우에는, 라이센스 취득부(352)는, 다른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로부터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취득한다.
라이센스 취득부(35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취득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메시지 작성부(358)에 출력한다.
전송 타입 결정부(354)는, 전송원 컴포넌트(31)로부터 전송처 컴포넌트(32)로 전송되는 상기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을 결정한다. 이때, 전송 타입 결정부(354)는,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수신한 전송 지시(예를 들면, 메시지 작성 지시)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 타입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 타입을 결정해도 되고, 혹은 전송원 컴포넌트(31)의 처리 기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전송 타입에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복수의 전송 타입으로 라이센스를 전송가능한 경우(즉, 복수종류의 메시지를 송신가능할 경우, 예를 들면 전송원 컴포넌트 (31)가 도 18에 나타낸 읽기/쓰기가능 보존 컴포넌트(18)일 경우 등)에는, 전송 타입 결정부(354)는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의 전송 타입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 타입을 결정한다. 한편,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취급가능한 전송 타입이 미리 정해져 있을 경우(예를 들면,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이동 컴포넌트(22) 등의 이용 컴포넌트(2)일 경우 등)에는, 전송 타입 결정부(354)는, 상기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전송 타입으로 결정한다.
전송 타입 결정부(354)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한 전송 타입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전송 타입 식별ID)를, 메시지 작성부(358)에 출력한다.
속성정보 취득부(356)는, 전송원 컴포넌트(31)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를 취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는, 보존 컴포넌트(1) 또는 이용 컴포넌트(2) 중 하나로 분류되어 있고,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보존" 또는 "이용"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를 보유하고 있다. 속성정보 취득부(356)는,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유하고 있는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를 판독하고, 메시지 작성부(358)에 출력한다.
메시지 작성부(358)는, 상기 라이센스 취득부(352)로부터 입력된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와, 상기 전송 타입 결정부(354)로부터 입력된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와, 상기 속성정보취득부(356)로부터 입력된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를 연결하고, 메시지를 작성하고, 메시지 송신부(360)에 출력한다.
메시지 송신부(360)는, 상기 메시지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처 컴포넌트(32)에 송신한다. 이때, 송신하는 메시지가 개조되지 않도록, 임의의 데 이터 보호 기술(예를 들면, 디지털 서명의 부가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처 컴포넌트(32)는, 메시지 수신부(370)와, 메시지 검사부(372)와, 라이센스 평가부(374)와, 라이센스 처리부(376)와, 라이센스 갱신부(378)를 구비한다.
메시지 수신부(370)는, 전송원 컴포넌트(31)로부터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검사부(372)에 출력한다.
메시지 검사부(372)는, 메시지 수신부(37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에 포함되는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 및 컴포넌트 속성정보(320)에 의거하여,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하고, 해당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금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시지 검사부(372)는, 메시지 수신부(37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에 대해서, 데이터 보호 기술에 의한 처리나 검증 작업을 행한 후, 해당 메시지로부터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 컴포넌트 속성정보(320), 라이센스, 컨텐츠 키를 추출한다.
또, 메시지 검사부(372)는,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와, 전송처 컴포넌트(32)가 수신가능한 전송 타입을 의미하는 전송 타입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한 메시지의 정당성(즉, 라이센스가 적정한 전송 타입으로 전송되어 온 것인가)을 검사한다(제1검사기준).
더 상세하게는, 전송처 컴포넌트(32)는,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신가능한 전송 타입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를 보유하고 있다. 거기에서, 메시지 검사부(372)는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와, 수신가능한 전송 타입을 나타 내는 전송 타입ID를 대조한다. 이 결과, 쌍방의 전송 타입ID가 일치할 경우에는, 전송된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한다. 한편, 쌍방의 전송 타입ID가 다른 경우에는, 전송된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하고, 해당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한다.
이러한 메시지 검사부(372)의 제1검사기준에 근거하는 검사 기능에 의해, 전송처 컴포넌트(32)는 전송처 컴포넌트(32)의 기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전송 타입으로 전송된 라이센스만을 처리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시지 검사부(372)는,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정보(320)와, 전송처 컴포넌트(32)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수신한 메시지의 정당성(즉, 라이센스의 전송이 적정할 것인가)을 검사한다(제2검사기준). 이 검사의 결과, 메시지 검사부(372)는, 전송원 컴포넌트(31)의 속성과 전송처 컴포넌트(32)의 속성이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하는 한편, 쌍방의 속성이 동일할 경우에는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한다.
더 상세하게는, 전송처 컴포넌트(32)는, 전송처 컴포넌트(32) 자신의 컴포넌트 속성("보존"또는 "이용")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를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송처 컴포넌트(32)가 보존 컴포넌트(1)인 경우에는 컴포넌트속성 "보존"을 의미하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을 보유하는 한편, 전송처 컴포넌트(32)가 이용 컴포넌트(2)인 경우에는, 컴포넌트 속성 "이용"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2"을 보유하고 있다.
그래서, 메시지 검사부(372)는,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와, 전 송처 컴포넌트(32)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를 대조한다. 이 결과, 쌍방의 컴포넌트 속성ID가 다른 경우에는, 전송된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한다. 한편, 쌍방의 전송 타입ID가 일치할 경우에는, 전송된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하고, 해당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한다.
이러한 메시지 검사부(372)의 제2검사기준에 근거하는 검사 기능에 의해, 보존 컴포넌트(1)는 이용 컴포넌트(2)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만을 처리가능하고, 이용 컴포넌트(2)는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만을 처리가능하게 된다.
또, 전송처 컴포넌트(32)는, 상기와 같은 전송처 컴포넌트(32) 자신의 컴포넨트 속성을 의미하는 컴포넌트 속성ID가 아니라, 전송처 컴포넌트(32)가 취급가능한 컴포넌트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를 보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메시지 검사부(372)는,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와, 상기 취급 가능한 컴포넌트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와를 대조하고, 쌍방이 일치할 경우에는 전송된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하고, 쌍방이 다른 경우에는 전송된 메시지가 부정하다고 판단하는 해도 된다.
이상, 메시지 검사부(372)는, 상기 2개의 검사 기준으로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 결과, 쌍방의 검사 기준을 만족시켰을 경우에는,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처리를 허가하고, 어느 하나 혹은 2개의 검사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처리를 금지하고, 예를 들면 에러(Error) 통지한다.
라이센스 평가부(374)는, 메시지 검사부(372)에 의해, 라이센스 등의 처리가 허가되었을 경우에, 라이센스에 기술되어 있는 이용 조건(재생 조건, 보존 조건·이동 조건 등) 중, 전송처 컴포넌트(32)의 기능에 따른 구분의 이용 조건을 평가하고,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용(재생 등)이나, 해당 라이센스 등의 처리(보존, 이동 등)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라이센스 평가부(374)는, 상기 평가의 결과, 해당 라이센스의 이용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의 이용이나 해당 라이센스 등의 처리를 허가하고, 만족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의 이용이나 해당 라이센스 등의 처리를 금지한다.
라이센스 처리부(376)는, 라이센스 평가부(374)에 의해, 라이센스의 처리가 허가되었을 경우에, 전송처 컴포넌트(32)의 기능에 따라,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존 컴포넌트(1)인 경우에는, 라이센스 처리부(376)는, 기억수단에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보존한다. 또,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이용 컴포넌트(2)일 경우에는, 라이센스 처리부(376)는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지시하거나, 다른 보존 컴포넌트(1)에 대한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의 전송(전송)을 지시하거나 한다. 또,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대출 컴포넌트(24)일 경우에는, 라이센스 처리부(376)는, 대출원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대출용 라이센스를 작성하는 라이센스 작성부로서도 기능한다.
라이센스 갱신부(378)는, 라이센스 평가부(374)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라이센스에 기술된 스테이터스를 갱신한다. 예를 들면, 라이센스 갱신부(378)는 라이센스에 기술되어 있는 재생 스테이터스의 재생 완료 회수를 증가시키거나, 이 동 스테이터스의 이동 완료 회수를 증가시키거나 한다.
이상, 전송원 컴포넌트(31) 및 전송처 컴포넌트(32)의 기능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다. 또, 도 1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송원 컴포넌트(31)에 대해서는 메시지의 송신 처리에 관한 기능 블록을 도시하고, 전송처 컴포넌트(32)에 대해서는 메시지의 수신 처리 및 그 후의 처리에 관한 기능 블록을 도시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송원 컴포넌트(31) 및 전송처 컴포넌트(32)는 메시지의 송신 처리 및 수신 처리의 쌍방을 실행가능할 경우도 있고, 이 경우에는, 1나의 컴포넌트(31, 32)가, 쌍방의 처리에 관련된 기능 블록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8. 라이센스 전송 방법>
다음에, 도 20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전송원 컴포넌트(31)와 전송처 컴포넌트(32)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에 관한 정보(메시지)를 전송하는 라이센스 전송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전송원 컴포넌트(31)와 전송처 컴포넌트(32)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스텝S10에서는,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전송 지시를 받는다(스텝S10).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존 컴포넌트(1)일 경우, 전송 지시는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작성 지시이다. 이 메시지 작성 지시에는 전송 타입 지시 정보와 컨텐츠ID가 포함된다. 한편,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이동 컴포넌트(22) 등의 이용 컴포넌트(2)일 경우, 예를 들면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전송 지시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전송 지시를 받 은 전송원 컴포넌트(31)는, 메시지 작성 처리 스텝 S12 내지 S18을 시작한다.
다음에, 스텝S12에서는,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을 결정한다(스텝S12). 전송원 컴포넌트(31)의 전송 타입 결정부(35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송원 컴포넌트(31)에 의한 전송 목적에 따라서, 전송 지시나 미리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해 전송 타입을 결정하고, 결정한 전송 타입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 식별ID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라이센스의 원본을 전송할 경우에는, 전송 타입 "전송"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 식별ID "0x01"을 생성한다.
또한, 스텝S14에서는,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전송원 컴포넌트(31)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정보(320)를 취득한다(스텝S14). 전송원 컴포넌트(31)의 속성정보 취득부(35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유하고 있는 전송원 컴포넌트(31) 자신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를 판독해서 취득한다. 예를 들면,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존 컴포넌트(1)일 경우에는, 컴포넌트 속성ID는 "0x01"이다.
또, 속성정보 취득부(356)는,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존 컴포넌트(1)와 이용 컴포넌트(2)의 어느 종류일지를 판단하고, 해당 전송원 컴포넌트(31)의 컴포넌트 속성을 설정하고, 컴포넌트 속성ID를 생성해도 된다.
그 후, 스텝S16에서는,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와,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 키를 취득한다(스텝S16).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보존 컴포넌트(1)일 경우에는, 라이센스 취득부(352)는 메시지 전송지시에 포함되는 컨텐츠ID에 의거하여, 라이센스·컨텐츠 키기억부(6)를 검색 하고,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와,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 키를 취득한다. 또, 전송원 컴포넌트(31)가 이용 컴포넌트(2)일 경우에는, 라이센스 취득부(352)는,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로부터 추출되어, 필요에 따라서 가공(예를 들면, 라이센스 갱신부(378)에 의한 갱신, 라이센스 처리부(376)에 의한 대출원 라이센스의 작성 등)된 라이센스와 컨텐츠 키를 취득한다.
또, 상기 스텝S12 내지 S16의 처리 순서는, 상기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순서에서 행해도 된다.
다음에, 스텝S18에서는,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18). 전송원 컴포넌트(31)의 메시지 작성부(358)는, 상기 취득된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와, 상기 결정된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전송 타입ID)와, 상기 취득된 컴포넌트 속성정보(320:컴포넌트 속성ID)를 연결하여,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스텝S20에서는, 전송원 컴포넌트(31)가 메시지를 전송처 컴포넌트(32)에 송신한다(스텝S20;라이센스 전송 스텝). 구체적으로는, 전송원 컴포넌트(31)의 메시지 송신부(360)는 컴포넌트 관리부(5)에 의해 지정된 전송처 컴포넌트(32)에 대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 1나의 메시지는, 1나의 전송처 컴포넌트(32)에만 송신가능하다. 이에 따라, 라이센스의 부정한 복제 등이나 컨텐츠의 부정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스텝S22에서는, 전송처 컴포넌트(32)가 전송원 컴포넌트(31)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수신한다(스텝S22). 메시지의 수신 후에는, 이 메시지에 포함되 어 있는 라이센스의 처리를 행하는 전에, 이하의 메시지 검사 처리S24 내지 S28(검사 스텝)을 행하고,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증한다.
우선, 스텝S24에서는, 전송처 컴포넌트(32)가 수신한 메시지 내의 데이터를 추출한다(스텝S24). 구체적으로는, 전송처 컴포넌트(32)의 메시지 검사부(372)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관련해서, 데이터 보호 기술에 의한 처리나 검증 작업을 행한 후에, 해당 메시지로부터 전송 타입 식별정보(310:전송 타입ID), 컴포넌트 속성정보(320:컴포넌트 속성ID), 라이센스, 컨텐츠 키를 추출한다.
다음에, 스텝S26에서는, 전송처 컴포넌트(32)가 제1검사기준인 전송 타입에 의거하여,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26). 구체적으로는, 전송처 컴포넌트(32)의 메시지 검사부(37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와, 전송처 컴포넌트(32)가 수신가능한 전송 타입을 의미하는 전송 타입ID(미리 설정)를 대조한다. 이 결과, 쌍방의 전송 타입ID가 일치할 경우에는 전송된 메시지가 정당하다(즉, 라이센스가 적정한 전송 타입으로 전송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스텝S28에 진행된다. 한편 ·쌍방의 전송 타입ID가 다른 경우에는, 전송된 메시지가 부당하다(즉, 라이센스가 부정한 전송 타입으로 전송되었다)고 판단하고, 해당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한다. 이 경우에는, 에러 종료가 된다.
또한, 스텝S28에서는, 전송처 컴포넌트(32)가 제2검사기준인 컴포넌트 속성에 의거하여,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28). 구체적으로는, 전송처 컴포넌트(32)의 메시지 검사부(372)는,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와, 전송 처 컴포넌트(32)의 속성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를 대조한다. 이 결과, 쌍방의 컴포넌트 속성ID가 다른 경우에는, 전송된 메시지가 정당(즉, 라이센스가 적정한 전송원으로부터 전송되었다)하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해당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처리가 허가되어, 스텝S30에 진행된다. 한편, 쌍방의 전송 타입ID가 일치할 경우에는, 전송된 메시지가 부당하다(즉, 라이센스가 부정한 전송원으로부터 전송되었다)고 판단하고, 해당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한다. 이 경우에는, 에러 종료가 된다.
또, 상기 스텝S26 내지 S28의 처리순서는, 상기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스텝S28을 실행 후에 스텝S26을 행해도 된다.
그 후, 스텝S30에서는, 전송처 컴포넌트(32)가,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처리한다(스텝S30). 예를 들면, 전송처 컴포넌트(32)의 라이센스 평가부(374)는, 해당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처리(이동, 보존 등)의 가부를 판단하거나,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용(재생, 이동 등)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렇게 하여, 전송된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용이 제어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전송 방법과, 이때의 전송원 컴포넌트(31)와 전송처 컴포넌트(32)의 라이센스 처리 방법에 관하여 설명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송신측의 전송원 컴포넌트(31)에 의하여,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에 대하여, 전송 타입 식별 정보와,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정보를 부가해서 송신하고, 수신측의 전송처 컴포넌트(32)에 의해 해당 전 송 타입 식별 정보와 컴포넌트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라이센스 전송의 정당성을 검사하고, 전송이 정당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만 해당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한다. 이러한 라이센스 전송 프로토콜을 따르는 것으로, 적정한 컴포넌트에 적정한 전송 타입으로 라이센스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라이센스에 정해진 범위를 넘은 부정한 라이센스 처리나 부정한 컨텐츠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1에 의거하여, 복수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상기 전송 프로토콜을 따라서 라이센스를 적정하게 주고받는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연관되는 복수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를 주고받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1에는, 이동 컴포넌트(22)와 보존 컴포넌트(12, 11)를 조합하고,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HDD(111)에 이동시키는 예가 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전송 프로토콜에서는, 라이센스의 이동은 이동 컴포넌트(22)를 거쳐서 행하면서, 이동원에 라이센스가 남지 않도록 라이센스를 전송해야만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21의 예에서, 라이센스를 적정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보존 컴포넌트(12)가 전송 메시지(401:전송 타입 "전송", 컴포넌트 속성 "보존")를 이동 컴포넌트(22)에 송신하고, 다음에 이동 컴포넌트(22)가 전송 메시지(402:전송 타입 "전송", 컴포넌트 속성 "이용")를 보존 컴포넌트(11)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라이센스의 부정한 이동을 금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존 컴포넌트(12)와 보존 컴포넌트(11)가 직접 접속되어, 쌍방의 사이에서 라이센스가 직접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면, 이동 완료 회수를 카운트 하지 않고, 라이센스가 부정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존 컴포넌트(12)는, 컴포넌트 속성 "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만을 받아서 처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존 컴포넌트(12)로부터 보존 컴포넌트(11)에, 전송 메시지(403:전송 타입 "전송", 컴포넌트 속성 "보존")를 송신해도, 보존 컴포넌트(12)는 이 전송 메시지(403)를 받아, 라이센스를 HDD(111)에 보존할 수 없다. 따라서, 보존 컴포넌트(12, 11) 사이를 직접 접속하여, 이동 컴포넌트(22)를 개재하는 않고 라이센스를 부정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또, 혹시, 보존 컴포넌트(12)로부터 이동 컴포넌트(22)에 라이센스의 사본을 전송(즉, 제시)하여, 보존 컴포넌트(11)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면,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라이센스를 남긴 채로 라이센스가 부정하게 이동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 컴포넌트(22)는 전송 타입 "전송"을 포함하는 메시지만을 받아서 처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존 컴포넌트(12)로부터 이동 컴포넌트(22)에 제시 메시지(404:전송 타입 "제시", 컴포넌트 속성 "보존")를 송신해도, 보존 컴포넌트(12)는 이 제시 메시지(404)를 받아서, 라이센스의 이동 처리를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2)에 라이센스를 남긴 채로, 라이센스를 부정에 이동시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9.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다음에, 본 실시예에 연관된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하에서는, 라이센스에 기술된 재생 스테이터스의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재생 제어 방법과, 해당 재생 스테이터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재생 제어 방법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우선, 도 22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0a)는 재생 스테이터스의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재생 제어를 행하는 재생 컴포넌트(21a:도 8참조)와, HDD용의 보존 컴포넌트(11)와, 리무버블 기억매체용의 보존 컴포넌트(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PC(10a)는, 보존 컴포넌트(11) 및 재생 컴포넌트(21a)를 이용하여,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에 의거하여,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존 컴포넌트(11)는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하고, 제시 메시지(전송 타입 제시,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보존)을 작성하고, 이 제시 메시지를 재생 컴포넌트(21a)에 송신한다. 이 경우,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 K의 원본은, HDD(111)에 보존된 채다. 재생 컴포넌트(21a)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갱신 요구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제시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상기 컨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재생 가능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a)는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를 판독하고,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컨텐츠 키에서 암호 해제해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한다.
또, PC(10a)는, 보존 컴포넌트(12) 및 재생 컴포넌트(21a)를 이용하여, 상기 HDD(111)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에 의거하여, 해당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 제어할 수 있다.
또, 이상과 같은 PC(10a)에 있어서의 2종류의 재생 제어 처리에 있어서, 재생 대상의 컨텐츠는, 예를 들면 HDD(111) 또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 중 어디에 보존되어도 되며, 대응하는 라이센스 등의 보존 장소에 의존하지 않는다.
한편, PD(10b)는 재생 컴포넌트(21a)와 리무버블 기억매체용의 보존 컴포넌트(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PD(10b)에, PC(10a)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컨텐츠 키 및 컨텐츠가 보존되어 있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가 제공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PD(10b)는, 보존 컴포넌트(12) 및 재생 컴포넌트(21a)를 이용하여, 상기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에 의거하여,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를 재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D(10b)의 보존 컴포넌트(12)는,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하고, 제시 메시지(전송 타입 "제시",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보존")를 작성하고, 이 제시 메시지를 재생 컴포넌트(21a)에 송신한다. 이 경우,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 K의 원본은,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보존된 채 다. 재생 컴포넌트(21a)는 보존 컴포넌트(12)로부터 수신한 제시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제시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상기 컨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재생 가능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a)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를 판독하고,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컨텐츠 키에서 암호 해제하여, 해당 컨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도 23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의 처리 플로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23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어플리케이션(4)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의 재생 요구를 접수한다(스텝S102). 다음에, 어플리케이션(4)은 재생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컨텐츠 화일로부터 컨텐츠ID를 추출한다(스텝S104). 또한, 어플리케이션(4)은, 컴포넌트 관리부(5)에 컨텐츠ID와, 컨텐츠 이용 내용이 "재생"인 것을 의미하는 이용 내용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제어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컨텐츠ID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 제어를 행하도록 지시한다(스텝S106).
다음에, 컴포넌트 관리부(5)는,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생 제어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재생 제어를 시작하고, 수신한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의 검색을 각 보존 컴포넌트(11,12,...)에 지시한다(스텝S108). 이 검색 지시는, 각 보존 컴포넌트(11,12,...)에 컨텐츠ID와 검색 지시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주어진다. 이 검색 지시의 대상이 되는 보존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관리부(5)로 동일한 사용자 기기(10) 내에 있는 1 또는 2 이상의 보존 컴포넌트로 제한해도 되고 혹은, 홈 네트워크(30a) 등으로 접속된 그 밖의 사용자 기기(10) 내에 있는 보존 컴포넌트도 포함해도 된다.
검색 지시를 받은 각 보존 컴포넌트(11,12,...)는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수신한 컨텐츠ID에 의거하여, 자신에 대응하는 기억수단(HDD(111), 리무버블 기억매체(40) 등) 내에,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가 보존되어 있는가를 검색한다(스텝SllO). 이 검색의 결과, 해당 라이센스를 발견했을 경우에는, 보존 컴포넌트(11)는 해당 라이센스를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해서 컴포넌트 관리부(5)에 송신한다(스텝S112). 이때, 검색 결과적으로, 1나의 보존 컴포넌트(1)가, 1 또는 2 이상의 해당 라이센스를 송신해도 되고, 복수의 보존 컴포넌트(11, 12)가 각각 1 또는 2 이상의 라이센스를 송신해도 된다. 또, 어느쪽의 보존 컴포넌트(11, 12, ...)에도,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가 보존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컨텐츠의 재생이 금지되어, 재생 제어 처리는 종료한다.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복수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 중 로드(기동) 대상의 보존 컴포넌트(11) 및 재생 컴포넌트(21a)를 결정한다(스텝S114).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컴포넌트 관리부(5)는, 라이센스의 리허설 평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상기 검색 지시에 따라 1 또는 2 이상의 보존 컴포넌트(1)로부터 수신한 라이센스의 재생 조건을 리허설 평가한다. 컴포넌트 관리부(5)는, 이 리허설 평가 결과에 의거하여, 재생 요구를 받은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시에서 적합한 1나의 보 존 컴포넌트(1) 및 1나의 재생 컴포넌트(21)를, 로드 대상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검색 지시에 따라 복수의 라이센스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이들의 라이센스 내에서, 사용자에 있어서 최적인 라이센스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라이센스를 보존하고 있는 보존 컴포넌트(11)를 로드 대상으로 결정한다. 또, 선택한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재생을 허가한다고 했을 경우에, 재생 스테이터스의 갱신을 따를 것인가를 판단하고, 이 결과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갱신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재생 컴포넌트(21a)를 로드 대상으로 결정하는 한편, 갱신을 따른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갱신 처리를 실행가능한 재생 컴포넌트(21b)를 로드 대상으로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스텝S114에 있어서,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라이센스가 선택되어, 보존 컴포넌트(11)와 재생 컴포넌트(21b)가 로드 대상으로 결정된 것으로서 설명한다.
다음에,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결정된 로드 대상의 보존 컴포넌트(11) 및 재생 컴포넌트(21a)에 대하여, 로드 지시해서 기동시킨다(스텝S116). 이 결과, 보존 컴포넌트(11) 및 재생 컴포넌트(21a)는, 서로 인증을 행하고, 쌍방의 사이에 안전한 통신 경로, 예를 들면 SAC(Secure Authenticated Channel)을 형성한다(스텝S118).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보존 컴포넌트(11)에 제시 메시지의 작성을 지시한다(스텝S120). 구체적으로는, 이 메시지 작성 지시는,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ID와, 전송 타입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주어진다. 이 전송 타입 지시 정보는,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즉, 작성하는 메시지의 종류)을 지정하는 정보이다. 본 처리 플로우에서는, 갱신을 수반하지 않는 재생 제어 처리를 행하므로, 전송 타입 지시 정보는, 전송 타입 "제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메시지 작성 지시에 의해, 컴포넌트 관리부(5)는,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의 사본을 재생 컴포넌트(21a)에 전송하도록(즉, 해당 라이센스를 포함하는 제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메시지 작성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제시 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122). 구체적으로는, 보존 컴포넌트(11)는, 자신에 대응하는 기억수단(HDD(111) 등)으로부터,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한다. 또한,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렇게 판독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와, 상기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지시된 전송 타입인 "제시"를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2"와, 보존 컴포넌트(11) 자신의 속성인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를 연결하여, 제시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렇게 작성한 제시 메시지를 재생 컴포넌트(21a)에 송신한다(스텝S124). 이에 따라, 재생 컴포넌트(21a)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상기 제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렇게, 제시 메시지의 송신 처리에서는, 보존 컴포넌트(11)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재생 컴포넌트(21a)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그 후, 재생 컴포넌트(21a)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제시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126). 이 제시 메시지의 정당성 검사 처리에서는,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제시"를 나타내는 "0x02"이면서,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보존"을 나타내는 "0x01"인 것이 검사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제시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a)는,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하고, 스텝S128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제시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a)는 해당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재생 제어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재생 컴포넌트(21a)는,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상기 재생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재생의 가부를 판단한다(스텝S128). 이 라이센스 평가 처리에서, 재생 컴포넌트(21a)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라이센스의 재생 조건기술부(521)에 기술된 재생 조건을 평가하고, 재생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 평가의 결과, 재생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a)는, 상기 재생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재생을 허가한다. 그리고, 재생 컴포넌트(21a)는, HDD(111) 등의 컨텐츠 기억부(7)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를 판독하고,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컨텐츠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암호해제)하고, 해당 컨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4)에 전송한다(스텝S130). 이 결과, 어플리케이션(4)은 복호화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한다(스텝S132).
한편, 상기 스텝S126에서, 재생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a)는, 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금지하고, 어플리케이션(4)에 대하여 그 지시의 통지를 행한다(도시하지 않음.).
(갱신을 수반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다음에,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4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 의한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0a)는, 라이센스의 재생 스테이터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재생 제어를 행하는 재생 컴포넌트(21b:도 8참조)와, HDD용의 보존 컴포넌트(1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PC(10a)는, 보존 컴포넌트(11)와 재생 컴포넌트(21b)와의 사이에서, 전송 타입이 "갱신"인, 예를 들면 3개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재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보존 컴포넌트(11)는,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하고, 갱신 요구 메시지(전송 타입 "갱신1",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보존")를 작성하고, 재생 컴포넌트(21b)에 송신한다. 이 경우,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 K의 원본은, HDD(111)에 보존된 채다. 재생 컴포넌트(21b)는, 보 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갱신 요구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갱신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상기 컨텐츠의 재생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재생 가능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b)는, 라이센스의 재생 스테이터스를 갱신하고, 이 갱신 라이센스를 포함하는 갱신 전송 메시지(전송 타입 "갱신2",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이용")를 작성하고, 보존 컴포넌트(11)에 송신한다. 보존 컴포넌트(11)는, 재생 컴포넌트(21b)으로부터 수신한 갱신 전송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를, 갱신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에 재기록한다.
또한, 보존 컴포넌트(11)는, 갱신 라이센스를 포함하는 갱신 완료 메시지(전송 타입 "갱신3",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보존")를 작성하고, 재생 컴포넌트(21b)에 송신한다. 재생 컴포넌트(21b)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갱신 완료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를 판독하고, 갱신 완료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컨텐츠 키에서 암호해제하고, 해당 컨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도 25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의 처리 플로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25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제어 처리(갱신 있음)에 있어서의 스텝S202 내지 스텝S214의 처리는, 상기 도 23에서 설명한 재생 제어 처리(갱신 없슴)에 있 어서의 스텝S102 내지 스텝S114의 처리와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스텝S214에서는, 재생 스테이터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라이센스가 선택되고, 보존 컴포넌트(11)와 재생 스테이터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재생 제어를 실행가능한 재생 컴포넌트(21b)가 로드 대상으로 결정된 것으로 한다.
다음에,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결정된 로드 대상의 보존 컴포넌트(11) 및 재생 컴포넌트(21b)에 대하여, 로드 지시해서 기동시킨다(스텝S216). 이 결과, 보존 컴포넌트(11) 및 재생 컴포넌트(21b)는, 서로 인증을 행하고, 쌍방의 사이에 안전한 통신 경로, 예를 들면 SAC를 형성한다(스텝S218).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보존 컴포넌트(11)에, 갱신 요구 메시지의 작성을 지시한다(스텝S220). 구체적으로는, 이 메시지 작성 지시는,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ID와 전송 타입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주어진다. 이 전송 타입 지시 정보는,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즉, 작성하는 메시지의 종류)을 지정하는 정보다. 본 처리 플로우에서는, 갱신을 수반하는 재생 제어 처리를 행하므로, 전송 타입 지시 정보는, 전송 타입 "갱신1"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메시지 작성 지시에 의해,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의 사본을 재생 컴포넌트(21b)에 전송하도록,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지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메시지 작성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갱신 요구 메시지를 작성한 다(스텝S222). 구체적으로는, 보존 컴포넌트(11)는, 자신에 대응하는 기억수단(HDD(111) 등)으로부터,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한다. 또한,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렇게 판독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와, 상기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지시된 전송 타입인 "갱신1"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3"와, 보존 컴포넌트(11) 자신의 속성인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를 연결해서 갱신 요구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렇게 작성한 갱신 요구 메시지를 재생 컴포넌트(21b)에 송신한다(스텝S224). 이에 따라, 재생 컴포넌트(21b)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갱신 요구 메시지의 송신 처리(스텝S224)에서는, 보존 컴포넌트(11)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재생 컴포넌트(21b)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그 후, 재생 컴포넌트(21b)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갱신 요구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226). 이 갱신 요구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에서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갱신1"을 나타내는 "0x03"이면서,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보존"을 나타내는 "0x01"인 것을 검사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b)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하고, 스텝S228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b)는 해당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재생 제어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재생 컴포넌트(21b)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상기 재생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재생의 가부를 판단한다(스텝S228). 이 라이센스 평가 처리에서, 재생 컴포넌트(21b)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라이센스의 재생 조건기술부(521)에 기술된 재생 조건을 평가하여, 재생 조건을 만족시킬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 재생 조건평가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재생 회수제한 또는 재생 유효기한 등의 재생 조건이 평가되고, 필요에 따라서 재생 조건기술부(521)에 기술된 재생 스테이터스가 참조된다.
이 평가의 결과, 재생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b)는, 상기 재생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재생을 금지하고, 어플리케이션(4)에 대하여 그 취지의 통지를 행한다(도시하지 않음.).
한편, 재생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b)는, 상기 재생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재생을 허가하는 동시에, 재생 허가에 따라 해당 라이센스의 재생 스테이터스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재생 회수제어를 행할 경우에, 재생 컴포넌트(21b)는, 상기 1회의 재생 허가에 따라 재생 완료 회수를 1나 증가시키는 것 같이 재생 스테이터스를 재기록한다.
다음에, 재생 컴포넌트(21b)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해서, 상기 재생 스테이터스가 갱신된 라이센스(이하, "갱신 라이센스"라고 한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갱신 전송 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230). 구체적으로는, 재생 컴포넌트(21b)는, 상기 갱신 라이센스와,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컨텐츠 키와, 갱신 라이센스의 전송을 의미하는 전송 타입인 "갱신2"를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4"와, 재생 컴포넌트(21b) 자신의 속성인 "이용"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2"를 연결하고, 갱신 전송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재생 컴포넌트(21b)는, 이렇게 작성한 갱신 전송 메시지를 보존 컴포넌트(11)에 송신한다(스텝S232). 이에 따라, 보존 컴포넌트(11)는, 재생 컴포넌트(21b)으로부터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렇게, 갱신 전송 메시지의 송신 처리(S232)에서는, 재생 컴포넌트(21b)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보존 컴포넌트(11)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그 후, 보존 컴포넌트(11)는, 재생 컴포넌트(21b)로부터 수신한 갱신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234). 이 갱신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에서는,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갱신2"을 나타내는 "0x04"이며서,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이용"을 나타내는 "0x02"인 것을 검사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갱신 라이센스의 보존을 허가하고, 스텝S326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보존 컴포넌트(11)는, 해당 갱신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재생 제어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보존 컴포넌트(11)는, 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를 갱신한다(스텝S236). 구체적으로는, 보존 컴포넌트(11)는, 자신에 대응하는 기억수단(HDD(111) 등)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에서 송신한 갱신 전의 라이센스)를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갱신 라이센스에 재기록한다.
또한,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해서, 상기 라이센스의 갱신 완료를 통지하기 위한 갱신 완료 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238). 구체적으로는, 보존 컴포넌트(11)는, 자신에 대응하는 기억수단(HDD(111) 등)으로부터, 상기 갱신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한다. 또한, 보존 컴포넌트(11)는, 판독한 갱신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와, 라이센스의 갱신 완료 통지를 의미하는 전송 타입인 "갱신3"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5"와, 보존 컴포넌트(11) 자신의 속성인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를 연결하고, 갱신 완료 메시지를 작성한다.
다음에,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렇게 작성한 갱신 완료 메시지를 재생 컴포넌트(21b)에 송신한다(스텝S240). 이에 따라, 재생 컴포넌트(21b)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갱신 완료 메시지의 송신 처리S240에서는, 보존 컴포넌트(11)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재생 컴포넌트(21b)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그 후, 재생 컴포넌트(21b)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갱신 완료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242). 이 갱신 완료 메시지의 정당성 검사 처리 에서는,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갱신3"을 나타내는 "0x05"이며서,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보존"을 나타내는 "0x01"인 것을 검사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b)는, 라이센스의 갱신이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재생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재생을 금지하고, 재생 제어 처리가 종료한다.
한편,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재생 컴포넌트(21b)는, 상기 스텝S228에서의 라이센스 평가에 의해 재생이 허가된 컨텐츠(즉, 재생 요구를 받은 컨텐츠)를, HDD(111) 등의 컨텐츠 기억부(7)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컨텐츠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암호해제)하고, 해당 컨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4)에 전송한다(스텝S244). 이 결과, 어플리케이션(4)은, 복호화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한다(스텝S246).
이상, 본 실시예에 연관된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라이센스의 갱신 없슴/갱신 있음)에 대해서 각각 설명했다. 연관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보존 컴포넌트(11)와 재생 컴포넌트(21)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컨텐츠를 적합하게 재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의 수신측의 컴포넌트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의 정당성을 매회 검사하므로, 라이센 스 등의 부정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및 라이센스의 포맷과, 해당 라이센스의 전송 프로토콜과, 컴포넌트의 기본 기능이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다른 실장의 저작권관리부(3)를 구비한 사용자 기기(10) 사이에 있어서도, 포터블(이식가능)한 라이센스를 주고받고, 적합하게 컨텐츠의 재생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소정 사용자 기기(10)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를, 이 사용자 기기(10)에 대하여 네트워크(30)를 거쳐서 접속되어 물리적으로 격리한 그 밖의 사용자 기기(10)에 전송하고, 해당 그 밖의 사용자 기기(10)가 구비하는 재생 컴포넌트(21)를 이용하여, 적합하게 재생 제어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10. 라이센스 이동 방법>
다음에,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이동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라이센스 이동법 방법은, 복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2개의 보존 컴포넌트(1)와 이동 컴포넌트(22)를 이용하여, 이동원인 제1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를 이동 전인 제2기억수단에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우선, 도 26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이동 방법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PC(10a) 내의 2개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이동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0a)는 이동 컴포넌트(22)와, 이동원이 되는 제1기억수단의 일례인 HDD(111)용의 보존 컴포넌트(11:제1보존 컴포넌트)와, 이동 처가 되는 제2기억수단의 일례인 리무버블 기억매체(40)용의 보존 컴포넌트(12:제2보존 컴포넌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PC(10a)는, 보존 컴포넌트(11, 12)와 이동 컴포넌트(22)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의 원본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이동원의 HDD(111)로부터 이동원의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우선 HDD용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동 컴포넌트(22)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원본을 전송(즉, 전송)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존 컴포넌트(11)는,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한다. 다음에, 보존 컴포넌트(11)는, 판독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포함하는 제1전송 메시지(전송 타입 "전송",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보존")을 작성하고, 이동 컴포넌트(22)에 송신한다. 이때, 보존 컴포넌트(11)는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삭제한다.
이동 컴포넌트(22)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전송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제1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이동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이동 가능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이동 컴포넌트(22)는, 필요에 따라서 이동 회수의 카운트를 행해서 라이센스의 이동 스테이터스를 갱신한 후에, 리무버블 기억매체(40)용의 보존 컴포넌트(12)에 라이센스 등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컴포넌트(22)는, 상기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포함하는 제2전송 메시지(전송 타입 " 전송",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이용")를 작성하고, 보존 컴포넌트(12)에 송신한다.
보존 컴포넌트(12)는, 이동 컴포넌트(22)로부터 수신한 전송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를 평가하여,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대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보존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보존가능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보존 컴포넌트(12)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기록해서 보존한다.
이와 같이, 2개의 보존 컴포넌트(11, 12)와 이동 컴포넌트(22)와의 사이에서 전송 메시지를 주고받음으로써, 2개의 기억수단(111, 40) 사이에서 라이센스 등을 이동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전송 메시지는 제1메시지에 해당하고, 상기 제2전송 메시지는 제2메시지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라이센스 이동 방법을 이용하여,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기기간에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복합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도 27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복수의 기기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이동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분배 서버(20)의 이동 컴포넌트(22)는, 사용자 기기(10)인 휴대전화(10h)의 보존 컴포넌트(12)에 대하여, 분배 서버(20)의 기억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판독된 라이센스 등을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전송 타입 "전송",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이용")를 송신한다. 다음에, 휴대전화(10h)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수신한 전송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전송 메시지 에 포함되는 라이센스 등을,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기록해서 보존한다. 이렇게 하여, 분배 서버(20)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등을, 휴대전화(10h)에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무버블 기억매체(40)를 휴대전화(10h)로부터 제거하고, 제1PC(10a-1)에 장착한다. 제1PC(10a-1)는 이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등을 해당 PC(10a-1)와 네트워크(30) 등을 거쳐서 접속된 제2PC(10a-2)의 HDD(111)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PC(10a-1)의 보존 컴포넌트(12)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로부터 판독한 라이센스 등을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전송 타입 "전송",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보존")를 작성하고, 제1PC(10a-1)의 이동 컴포넌트(22)에 송신한다. 또한, 제1PC(10a-1)의 이동 컴포넌트(22)는, 수신한 전송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이동 조건을 평가한다. 이 결과, 이동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에는, 이동 컴포넌트(22)는,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 등을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전송 타입 "전송",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이용")를 작성해서 네트워크(30) 등을 거쳐서, 제2PC(10a-2)의 보존 컴포넌트(11)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제2PC(10a-2)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수신한 전송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 등을, HDD(111)에 기록해서 보존한다.
이상과 같이, 각종의 기기로 이동 컴포넌트(22) 및 보존 컴포넌트(11, 12)를 분산 배치하고, 이들의 컴포넌트간에서 전송 메시지를 주고받음으로써 상기 각종 기기간에서, 라이센스의 이동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28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이동 방법의 처리 플로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28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이동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어플리케이션(4)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의 이동 요구를 접수한다(스텝S302). 다음에, 어플리케이션(4)은, 이동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컨텐츠 화일로부터, 컨텐츠ID를 추출한다(스텝S304). 또한, 어플리케이션(4)은, 컴포넌트 관리부(5)에 이동 제어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이동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이동 제어, 즉,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이동 제어를 행하도록 지시한다(스텝S306). 이 이동 제어 지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컨텐츠ID와 컨텐츠 이용 내용이 "이동"인 것을 의미하는 이용 내용정보와, 컨텐츠 및 라이센스의 이동원의 기억수단(제1기억수단) 및 이동원의 기억수단(제2기억수단)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에, 컴포넌트 관리부(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 제어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로드(기동) 대상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결정한다(스텝S308). 예를 들면, 컴포넌트 관리부(5)는, 로드 대상의 컴포넌트로서, 이동 컴포넌트(22)와 상기 이동 제어 지시 정보에 의해 지정된 이동원의 기억수단에 대응하는 보존 컴포넌트(11:이하,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와, 해당 지정된 이동원의 기억수단에 대응하는 보존 컴포넌트(12)(이하,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를 결정한다. 또, 이 로드 대상결정 처리에서는, 컴포넌트 관리부(5)는, 예를 들면 상기 도 23의 스텝S108 내지 S114과 같은 방법으로, 이동 요구를 받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보존하고 있는 보존 컴포넌트를 컨텐츠ID에 근거해 검색해서, 로드 대상으로 결정해도 된다.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결정된 로드 대상의 보존 컴포넌트(11, 12) 및 이동 컴포넌트(22)에 대하여 로드 지시를 행하고, 이들의 컴포넌트를 기동시킨다(스텝S310). 이 결과,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와 이동 컴포넌트(22) 및, 이동 컴포넌트(22)와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서로 인증을 행하고, 쌍방의 사이에 안전한 통신 경로, 예를 들면 SAC를 형성한다(스텝S312).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전송 메시지의 작성을 지시한다(스텝S314). 구체적으로는, 이 메시지 작성 지시는,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ID와, 전송 타입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주어진다. 본 처리 플로우에서는, 라이센스의 이동 처리를 행하므로, 상기 전송 타입 지시 정보는, 전송 타입 "전송"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메시지 작성 지시에 의해,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의 원본을 이동 컴포넌트(22)에 전송하도록,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지시할 수 있다.
다음에,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메시지 작성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메시지(제1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316). 구체적으로는,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자 신에 대응하는 이동원의 기억수단(HDD(111) 등)으로부터,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한다. 또한,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렇게 판독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와 상기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지시된 전송 타입인 "전송"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1"와,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 자신의 속성인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를 연결하고, 전송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동원의 기억수단(HDD(111) 등)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무효화(예를 들면, 삭제)한다(스텝S318). 이렇게, 다음 스텝S320에서의 전송 메시지의 송신 전에, 이동원의 기억수단 내의 라이센스 등을 무효화함으로써, 예를 들면, 부정 사용자가, 전송메시지의 송신 후에 부정한 수단에 의해 라이센스 등의 무효화 처리를 방해하고, 이동원과 이동 전의 쌍방에 라이센스 등이 존재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스텝S316에서 작성한 전송 메시지를 이동 컴포넌트(22)에 송신한다(스텝S320). 이에 따라, 이동 컴포넌트(22)는,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상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렇게, 전송 메시지의 송신 처리(S320)에서는,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이동 컴포넌트(22)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다음에, 이동 컴포넌트(22)는, 이동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322). 이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에서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전송"을 나타내 는 "0x01"이면서,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보존"을 나타내는 "0x01"인 것이 검사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전송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이동 컴포넌트(2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하고, 스텝S324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전송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이동 컴포넌트(22)는, 해당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이동 처리가 종료한다.
또한, 이동 컴포넌트(2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이동의 가부를 판단한다(스텝S324). 이 라이센스 평가 처리에서는, 이동 컴포넌트(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라이센스의 이동 조건기술부(522)에 기술된 이동 조건을 평가하여 이동 조건을 만족시킬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 이동 조건평가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이동 회수제한 또는 이동 유효기한 등의 이동 조건이 평가되고, 필요에 따라서 이동 조건기술부(522)에 기술된 이동스테이터스가 참조된다.
이러한 평가의 결과, 이동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이동 컴포넌트(2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이동을 금지하고, 어플리케이션(4)에 대하여 그 취지의 통지를 행한다(도시하지 않음.).
한편, 이동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이동 컴포넌트(2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이동을 허가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해당 라이센스의 이동 스테이터스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동 회수제어를 행할 경우에, 이동 컴포넌트(22)는, 상기 1회의 이동 허가에 따라 이동 완료 회수를 1나 증가시키는 것 같이 이동 스테이터스를 재기록한다.
다음에, 이동 컴포넌트(22)는, 상기 이동이 허가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메시지(제2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326). 구체적으로는, 이동 컴포넌트(22)는, 상기 이동이 허가된 라이센스(이동 스테이터스의 갱신이 주어졌을 경우에는, 갱신된 라이센스)와, 상기 이동이 허가된 컨텐츠 키와, 전송 타입 "전송"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1"와, 이동 컴포넌트(22) 자신의 속성인 "이용"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2"을 연결하고, 전송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이동 컴포넌트(22)는, 이렇게 작성한 전송 메시지를,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에 송신한다(스텝S328). 이에 따라,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이동 컴포넌트(22)로부터 상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 전송 메시지의 송신 처리(S328)에서는, 이동 컴포넌트(22)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그 후,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이동 컴포넌트(22)로부터 수신한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330). 이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에서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전송"을 나타내는 "0x01"이면서,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이용"을 나타내는 "0x02"인 것을 검사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 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전송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하고, 스텝S334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전송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해당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이동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제2기억수단에 대한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보존의 가부를 판단한다(스텝S332). 이 라이센스 평가 처리에서는,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라이센스의 보존 조건기술부(511)에 기술된 보존 조건을 평가하고, 보존 조건을 만족시킬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 보존 조건평가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보존 회수제한 또는 보존 유효기한 등의 보존 조건이 평가되고, 필요에 따라서 보존 조건기술부(511)에 기술된 보존 스테이터스가 참조된다.
이 평가의 결과, 보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보존을 금지하고, 중단 시퀸스를 실행한다.
한편, 보존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보존을 허가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해당 라이센스의 보존 스테이터스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보존 회수제어를 행할 경우에,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1회의 보존 허가에 따라 보존 완료 회수를 1나 증가시키는 것 같이 보존 스테 이터스를 재기록한다.
그 후,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자신에 대응하는 제2기억수단(예를 들면, 리무버블 기억매체(40)) 등에 대하여, 상기 보존이 허가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기록해서 보존한다(스텝S334).
이상과 같이 해서, 이동 요구를 받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가, 제1기억수단으로부터 제2기억수단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라이센스 등의 이동이 완료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동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컴포넌트 관리부(5)로 이동 완료 통지를 송신하고(스텝S336), 컴포넌트 관리부(5)는 이 이동 완료 통지의 수신에 따라, 어플리케이션(4)에 컨텐츠 이동 허가를 통지한다(스텝S338).
이 결과, 어플리케이션(4)은,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이동 허가의 통지에 따라, 상기 이동 요구를 받은 컨텐츠를 제1기억수단으로부터 제2기억수단으로 이동한다(스텝S340).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4)은, 예를 들면 제1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해당 컨텐츠를 판독하여, 제2기억수단에 기록해서 보존하고, 제1기억수단으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삭제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이동 방법의 처리 플로우에 관하여 설명했다. 연관되는 라이센스 이동 방법에 의하면, 이동원 및 이동 전의 보존 컴포넌트(11, 12)와 이동 컴포넌트(22)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의 이동을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의 수신측의 컴포넌트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의 정당성을 매회 검사하므 로, 라이센스 등의 부정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및 라이센스의 포맷과, 해당 라이센스의 전송 프로토콜과, 컴포넌트의 기본기능이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다른 실장의 저작권관리부(3)를 구비한 사용자 기기(10) 사이에 있어서도, 라이센스를 포터블하게 주고받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의 이동을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30)를 거쳐서 접속되어 물리적으로 격리한 사용자 기기(10) 사이에서, 각 사용자 기기(10)의 저작권관리부(3)의 실장에 의존하지 않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를 적합하게 이동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각종의 사용자 기기(10) 사이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포터빌러티를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11.라이센스 복제 방법>
다음에,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복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라이센스 복제법 방법은, 복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복제를 제어하기 위해서, 2개의 보존 컴포넌트(1)와 복제 컴포넌트(23)를 이용하여, 복제원인 제1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를, 복제처인 제2기억수단에 복제하는 방법이다.
우선, 도 29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복제 방법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PC(10a) 내의 2개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복제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0a)는 복제 컴포넌트(23)와, 복제원이 되는 제1기억수단의 일례인 HDD(111)용의 보존 컴포넌트(11:제1보존 컴포넌트)와, 복제처가 되는 제2기억수단의 일례인 리무버블 기억매체(40)용의 보존 컴포넌트(12:제2 보존 컴포넌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PC(10a)는, 보존 컴포넌트(11, 12)와 복제 컴포넌트(23)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의 사본을 전송하기 위한 제시 메시지와, 라이센스의 원본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복제원의 HDD(111)로부터 복제처의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복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우선, HDD용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복제 컴포넌트(23)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사본을 전송(즉,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존 컴포넌트(11)는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한다. 다음에, 보존 컴포넌트(11)는, 판독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포함하는 제시 메시지(전송 타입 "제시",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보존")을 작성하고, 복제 컴포넌트(23)에 송신한다. 이때, 보존 컴포넌트(11)는,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삭제하지 않으므로, HDD(111) 내에 해당 라이센스 등이 보존된 채가 된다.
복제 컴포넌트(23)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제시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제시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복제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복제 가능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복제 컴포넌트(23)는, 필요에 따라서 복제 회수의 카운트를 행해서 라이센스의 복제 스테이터스를 갱신한 후에, 리무버블 기억매체(40)용의 보존 컴포넌트(12)에 라이센스 등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제 컴포넌트(23)는, 상기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전송 타입 "전송",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이용")를 작성하고, 보존 컴포넌트(12)에 송신한다.
보존 컴포넌트(12)는, 복제 컴포넌트(23)로부터 수신한 전송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대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보존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보존가능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보존 컴포넌트(12)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기록해서 보존한다.
이와 같이, 2개의 보존 컴포넌트(11, 12)와 복제 컴포넌트(23)와의 사이에서 제시 메시지 및 전송 메시지를 주고받음으로써, 2개의 기억수단(111, 40) 사이에서 라이센스 등을 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시 메시지는 제1메시지에 해당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는 제2메시지에 해당한다.
또, 전술한 도 27의 이동 처리와 같이, 각종의 기기에 복제 컴포넌트(23) 및 보존 컴포넌트(11, 12)를 분산 배치하고, 이들의 컴포넌트간에서, 제시 및 전송 메시지를 주고받음으로써, 상기 각종의 기기간에서, 라이센스의 복제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0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복제 방법의 처리 플로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30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복제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어플리케이션(4)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의 복제 요구를 접수한다(스텝S402). 다음에, 어플리케이션(4)은, 복제 요구받은 컨텐츠의 컨텐츠 화일로부터, 컨텐츠ID를 추출한다 (스텝S404). 또한, 어플리케이션(4)은, 컴포넌트 관리부(5)에 복제 제어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복제 요구받은 컨텐츠의 복제 제어, 즉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복제 제어를 행하도록 지시한다(스텝S406). 이 복제 제어 지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컨텐츠ID와, 컨텐츠 이용 내용이 "복제"인 것을 의미하는 이용 내용정보와, 컨텐츠 및 라이센스의 복제원의 기억수단(제1기억수단) 및 복제처의 기억수단(제2기억수단)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에, 컴포넌트 관리부(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제 제어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로드(기동) 대상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결정한다(스텝S408). 예를 들면, 컴포넌트 관리부(5)는, 로드 대상의 컴포넌트로서, 복제 컴포넌트(23)와, 상기 복제 제어 지시 정보에 의해 지정된 복제원의 기억수단에 대응하는 보존 컴포넌트(11:이하,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와, 해당 지정된 복제처의 기억수단에 대응하는 보존 컴포넌트(12:이하,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를 결정한다. 또, 이 로드 대상결정 처리에서는, 컴포넌트 관리부(5)는, 예를 들면 상기 도 23의 스텝S108 내지 S114과 같은 방법으로, 복제 요구받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보존하고 있는 보존 컴포넌트를 컨텐츠ID에 근거해 검색하고, 로드 대상으로 결정해도 된다.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결정된 로드 대상의 보존 컴포넌트(11, 12) 및 복제 컴포넌트(23)에 대하여 로드 지시를 행하고, 이들의 컴포넌트를 기동시킨다(스텝S410). 이 결과,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와 복제 컴포넌트(23) 및, 복제 컴포넌트(23)와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와는, 서로 인증을 행하고, 쌍 방의 사이에 안전한 통신 경로, 예를 들면 SAC를 형성한다(스텝S412).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제시 메시지의 작성을 지시한다(스텝S414). 구체적으로는, 이 메시지 작성 지시는,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ID와, 전송 타입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주어진다. 본 처리 플로우에서는, 라이센스의 복제 처리를 행하므로, 상기 전송 타입 지시 정보는, 전송 타입 "제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메시지 작성 지시에 의해,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의 사본을 복제 컴포넌트(23)에 전송하도록,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지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메시지 작성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제시 메시지(제1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416). 구체적으로는,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자신에 대응하는 복제원의 기억수단(HDD(111) 등)으로부터,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한다. 또한,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렇게 판독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와, 상기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지시된 전송 타입인 "제시"를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2"와,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 자신의 속성인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를 연결하고, 제시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 이 라이센스 복제 방법에서는, 전술한 라이센스 이동 처리와는 달리, 복제원의 기억수단(HDD(111) 등)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원 본은, 무효화(예를 들면, 삭제)되지 않는다.
그 후,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스텝S416에서 작성한 제시 메시지를 복제 컴포넌트(23)에 송신한다(스텝S420). 이에 따라, 복제 컴포넌트(23)는,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상기 제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렇게, 제시 메시지의 송신 처리(S420)에서는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복제 컴포넌트(23)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다음에, 복제 컴포넌트(23)는, 복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제시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422). 이 제시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에서는,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제시"를 나타내는 "0x02"이면서,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보존"을 나타내는 "0x01"인 것이 검사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제시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복제 컴포넌트(23)는,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하고, 스텝S424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제시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복제 컴포넌트(23)는 해당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복제 처리가 종료한다.
또한, 복제 컴포넌트(23)는,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복제의 가부를 판단한다(스텝S424). 이 라이센스 평가 처리에서는, 복제 컴포넌트(23)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라이센스 의 복제 조건기술부(523)에 기술된 복제 조건을 평가하고, 복제 조건을 만족시킬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 복제 조건평가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복제 회수제한 또는 복제 유효기한 등의 복제 조건이 평가되어, 필요에 따라서 복제 조건기술부(523)에 기술된 복제 스테이터스가 참조된다.
이러한 평가의 결과, 복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복제컴포넌트(23)는,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복제를 금지하고, 어플리케이션(4)에 대하여 그 취지의 통지를 행한다(도시하지 않음.).
한편, 복제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복제 컴포넌트(23)는, 상기 제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복제를 허가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해당 라이센스의 복제 스테이터스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복제 회수제어를 행할 경우에, 복제 컴포넌트(23)는 상기 1회의 복제 허가에 따라 복제 완료 회수를 1나 증가시키는 것 같이 복제 스테이터스를 재기록한다.
다음에, 복제 컴포넌트(23)는, 상기 복제가 허가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메시지(제2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426). 구체적으로는, 복제 컴포넌트(23)는, 상기 복제가 허가된 라이센스(복제 스테이터스의 갱신이 주어졌을 경우에는, 갱신된 라이센스)와, 상기 복제가 허가된 컨텐츠 키와, 전송 타입 "전송"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1"와, 복제 컴포넌트(23) 자신의 속성인 "이용"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2"를 연결하고, 전송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복제 컴포넌트(23)는, 이렇게 작성한 전송 메시지를,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에 송신한다(스텝S428). 이에 따라,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복제 컴포넌트(23)로부터 상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전송 메시지의 송신 처리(S428)에서는, 복제 컴포넌트(23)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그 후,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복제 컴포넌트(23)로부터 수신한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430). 이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에서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전송"을 나타내는 "0x01"이면서,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이용"을 나타내는 "0x02"인 것을 검사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전송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하고, 스텝S434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전송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해당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복제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제2기억수단에 대한 해당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보존의 가부를 판단한다(스텝S432). 이 라이센스 평가 처리에서는,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라이센스의 보존 조건기술부(511)에 기술된 보존 조건을 평가하고, 보존 조건을 만족시킬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 보존 조건평가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보존 회수제한 또는 보존 유효기한 등의 보존 조건이 평가되어, 필요에 따라서 보존 조건기술부(511)에 기술된 보존 스테이터스가 참조된다.
이 평가의 결과, 보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의 보존을 금지하고, 중단 시퀸스를 실행한다.
한편, 보존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보존을 허가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해당 라이센스의 보존 스테이터스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보존 회수제어를 행할 경우에,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1회의 보존 허가에 따라 보존 완료 회수를 1나 증가시키는 것 같이 보존 스테이터스를 재기록한다.
그 후,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자신에 대응하는 제2기억수단(예를 들면, 리무버블 기억매체(40)) 등에 대하여, 상기 보존이 허가된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기록해서 보존한다(스텝S434).
이상과 같이 하여, 복제 요구받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가, 제1기억수단으로부터 제2기억수단에 복제된다. 이렇게 라이센스 등의 복제가 완료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컴포넌트 관리부(5)에 복제 완료 통지를 송신하고(스텝S436), 컴포넌트 관리부(5)는 이 복제 완료 통지의 수신에 따라, 어플리케이션(4)에 컨텐츠 복제 허가를 통지한다(스텝S438).
이 결과, 어플리케이션(4)은,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복제 허가의 통지에 따라, 상기 복제 요구받은 컨텐츠를 제1기억수단으로부터 제2의기억수단에 복제한다(스텝S440).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4)은, 예를 들면 제1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해당 컨텐츠를 판독하고, 제2기억수단에 기록해서 보존하고, 제1기억수단으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삭제하지 않는다.
이상,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복제 방법의 처리 플로우에 관하여 설명했다. 연관되는 라이센스 복제 방법에 의하면, 복제원 및 복제처의 보존 컴포넌트(11, 12)와 복제 컴포넌트(23)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의 복제를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의 수신측의 컴포넌트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의 정당성을 매회 검사하므로, 라이센스 등의 부정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및 라이센스의 포맷과, 해당 라이센스의 전송 프로토콜과, 컴포넌트의 기본기능이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다른 실장의 저작권관리부(3)를 구비한 사용자 기기(10) 사이에 있어서도, 라이센스를 포터블하게 주고받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의 복제를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30)를 거쳐서 접속되어 물리적으로 격리한 사용자 기기(10) 사이에서, 각 사용자 기기(10)의 저작권관리부(3)의 실장에 의존하지 않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를 적합하게 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각종의 사용자 기기(10) 사이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포터빌러티를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12. 라이센스 대출 방법>
다음에,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대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라이센스 대출 방법은, 복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대출을 제어하기 위해서, 2개의 보존 컴포넌트(1)와 대출 컴포넌트(24)를 이용하여, 대출원인 제1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를 갱신하고, 이 대출원 라이센스에 근거해 대출용 라이센스를 작성해서 대출 상대인 제2기억수단에 대출하는 방법이다. 이 대출 처리는, SDMI에 있어서의 체크아웃 처리에 해당한다.
우선, 도 31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대출 방법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PC(10a) 내의 2개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대출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0a)는, 대출 컴포넌트(24)와, 대출원이 되는 제1기억수단의 일례인 HDD(111)용의 보존 컴포넌트(11:제1보존 컴포넌트)와, 대출 상대가 되는 제2기억수단의 일례인 리무버블 기억매체(40)용의 보존 컴포넌트(12:제2보존 컴포넌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PC(10a)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와 대출 컴포넌트(24)와의 사이에서, 갱신 메시지를 송수신함에 의해, 대출원의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307)를 갱신하고, 대출용 라이센스(308)를 작성하고, 또 대출 컴포넌트(24)로부터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에 전송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작성한 대출용 라이센스(308)를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307)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하고, 갱신 요구 메시지(전송 타입 " 갱신1",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보존")를 작성하고, 대출 컴포넌트(24)에 송신한다. 또, 대출원 라이센스(307)는, 이용 조건으로서, 대출 조건, 재생 조건 및 보존 조건 등이 기술된 라이센스다(도 11참조).
다음에, 대출 컴포넌트(24)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갱신 요구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갱신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대출원 라이센스(307)를 평가하고, 해당 대출원 라이센스(307) 및 컨텐츠 키의 대출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대출 가능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 컴포넌트(24)는, 대출원 라이센스(307)의 대출 스테이터스를 갱신하고, 이 갱신된 대출원 라이센스와 컨텐츠 키를 포함하는 갱신 전송 메시지(전송 타입 "갱신2",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이용")를 작성하고,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송신한다.
또한,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대출 컴포넌트(24)로부터 수신한 갱신 전송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307)를, 갱신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갱신된 대출원 라이센스(307)에 재기록한다. 그 후,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갱신된 대출원 라이센스(307) 및 컨텐츠 키를 포함하는 갱신 완료 메시지(전송 타입 "갱신3",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보존")를 작성하고, 대출 컴포넌트(24)에 송신한다.
다음에, 대출 컴포넌트(24)는,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갱신 완료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대출원 라이센스(307)에 의거하여 대출용 라이센스(308)를 작성한다. 이 대출원 라이센스(308)는, 대출원 라이센스(307)로부터 추출된 대출 조건, 재생 조건 및 보존 조건 등과, 새롭게 생성된 반환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 다(도 12 참조). 다음에, 대출 컴포넌트(24)는, 작성한 대출용 라이센스(308)와 컨텐츠 키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전송 타입 "전송",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이용")를 작성하고,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에 송신한다.
다음에,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대출 컴포넌트(24)로부터 수신한 전송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이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대출용 라이센스(308)를 평가하고,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대한 대출용 라이센스(308) 및 컨텐츠 키의 보존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보존가능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대출용 라이센스(308) 및 컨텐츠 키를 기록해서 보존한다.
이와 같이, 대출 상대와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 12)와 대출 컴포넌트(24)와의 사이에서 갱신 메시지 및 전송 메시지를 주고받음으로써, 대출원의 기억수단인 HDD(111)로부터, 대출처의 기억수단인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대출용 라이센스(308) 및 컨텐츠 키를 대출할 수 있다. 또,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는 제1메시지에 해당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는 제2메시지에 해당하고,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는 제3메시지에 해당한다.
또, 대출 컴포넌트(24)는, 갱신한 대출원 라이센스(307)와 대출용 라이센스(308)에, 동일한 대출ID를 기술해 둠으로써, 대출원 라이센스(307)와 대출용 라이센스(308)를 관련되게 만든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라이센스 반환 처리를 적합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전술한 도 27의 이동 처리와 같이, 각종의 기기에 대출 컴포넌트(24) 및 대출원 및 대출 대상의 보존 컴포넌트(11, 12)를 분산 배치하고, 이들의 컴포넌트간에서, 갱신 및 전송 메시지를 주고받음으로써, 상기 각종의 기기간에서, 라이센스의 대출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대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2(a) 및 (b)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대출 방법의 처리 플로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32(a) 및 (b)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대출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3(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어플리케이션(4)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의 대출 요구를 접수한다(스텝S502). 다음에, 어플리케이션(4)은, 대출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컨텐츠 화일로부터, 컨텐츠ID를 추출한다(스텝S504). 또한, 어플리케이션(4)은, 컴포넌트 관리부(5)에 대출 제어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대출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대출 제어, 즉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대출 제어를 행하도록 지시한다(스텝S506). 이 대출 제어 지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컨텐츠ID와, 컨텐츠 이용 내용이 "대출"인 것을 의미하는 이용 내용정보와, 컨텐츠 및 라이센스의 대출원의 기억수단(제1기억수단) 및 대출처의 기억수단(제2기억수단)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에, 컴포넌트 관리부(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출 제어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로드(기동) 대상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결정한다(스텝S508). 예를 들면, 컴포넌트 관리부(5)는, 로드 대상의 컴포넌트로서, 대출 컴포넌트(24)와, 상기 대출 제어 지시 정보에 의해 지정된 대출원의 기 억수단에 대응하는 보존 컴포넌트(11:이하,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와, 해당 지정된 대출처의 기억수단에 대응하는 보존 컴포넌트(12:이하,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를 결정한다. 또, 이 로드 대상결정 처리에서는, 컴포넌트 관리부(5)는, 예를 들면 상기 도 23의 스텝S108 내지 S114와 같은 방법으로, 대출 요구를 받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보존하고 있는 보존 컴포넌트를 컨텐츠ID에 근거해 검색하고, 로드 대상으로 결정해도 된다.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결정된 로드 대상의 보존 컴포넌트(11, 12) 및 대출 컴포넌트(24)에 대하여 로드 지시를 행하고, 이들의 컴포넌트를 기동시킨다(스텝S510). 이 결과,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와 대출 컴포넌트(24) 및, 대출 컴포넌트(24)와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와는, 서로 인증을 행하고, 쌍방의 사이에 안전한 통신 경로, 예를 들면 SAC를 형성한다(스텝S512).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갱신 요구 메시지의 작성을 지시한다(스텝S514). 구체적으로는, 이 메시지 작성 지시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ID와, 전송 타입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주어진다. 본 처리 플로우에서는, 대출원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대출 처리를 행하므로, 상기 전송 타입 지시 정보는, 전송 타입 "갱신1"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메시지 작성 지시에 의해,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대출원 라이센스의 사본을 대출 컴포넌트(24)에 전송하도록,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지시할 수 있다.
다음에,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메시지 작성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대출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갱신 요구 메시지(제1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516). 구체적으로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자신에 대응하는 대출원의 기억수단(HDD(111) 등)으로부터,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대출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한다. 또한,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렇게 판독한 대출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와, 상기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지시된 전송 타입인 "갱신1"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3"와,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 자신의 속성인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를 연결하고, 갱신 요구 메시지를 작성한다.
그 후,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스텝S516에서 작성한 갱신 요구 메시지를 대출 컴포넌트(24)에 송신한다(스텝S518). 이에 따라, 대출 컴포넌트(24)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렇게, 갱신 요구 메시지의 송신 처리(S518)에서는, 대출 플로우의 보존 컴포넌트(11)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대출 컴포넌트(24)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다음에, 대출 컴포넌트(24)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갱신 요구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520). 이 갱신 요구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에서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갱신1"을 나타내는 "0x03"이면서,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보존"을 나타내는 "0x01"인가를 검사한다. 이 검사 처 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원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하고, 스텝S522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 컴포넌트(24)는, 해당 대출원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대출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원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해당 대출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대출의 가부를 판단한다(스텝S522). 이 대출원 라이센스 평가 처리에서는,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대출원 라이센스의 대출 조건기술부(524)에 기술된 대출 조건을 평가하고, 대출 조건을 만족시킬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 대출 조건평가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대출 회수제한 또는 대출 유효기한 등의 대출 조건이 평가되어, 필요에 따라서 대출 조건기술부(524)에 기술된 대출 스테이터스가 참조된다.
이러한 평가의 결과, 대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컴포넌트(24)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대출을 금지하고, 어플리케이션(4)에 대하여 그 취지의 통지를 행한다(도시하지 않음.). 한편, 대출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대출을 허가하고, 스텝S524에 진행된다.
다음에,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 대출원 라이센스의 대출 허가에 따라, 대출원ID를 신규 생성한다(스텝S524). 이 대출ID는, 대출 처리 단위로 생성되는 고유한 식별자다.
또한,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 대출원 라이센스의 대출 허가에 따라, 대출원 라이센스의 대출 스테이터스를 갱신한다(스텝S526). 구체적으로는,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 생성한 대출ID를, 해당 대출원 라이센스의 대출 조건기술부(524) 내의 대출 스테이터스에게 추가 기술한다. 또, 예를 들면 대출 회수제어를 행할 경우에는,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 1회의 대출 허가에 따라 대출 완료 회수를 1나 증가시키는 것 같이, 상기 대출 스테이터스를 재기록한다.
다음에,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해서, 상기 대출 스테이터스가 갱신된 대출원 라이센스(이하,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라고 한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갱신 전송 메시지(제3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528). 구체적으로는,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와,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컨텐츠 키와, 갱신된 라이센스의 전송을 의미하는 전송 타입인 "갱신2"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4"와 대출 컴포넌트(24) 자신의 속성인 "이용"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2"(이)를 연결하고, 갱신 전송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대출 컴포넌트(24)는, 이렇게 작성한 갱신 전송 메시지를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송신한다(스텝S530). 이에 따라,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대출 컴포넌트(24)로부터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렇게, 갱신 전송 메시지의 송신 처리(S530)에서는, 대출 컴포넌트(24)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 (31)에 해당하고,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그 후,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대출 컴포넌트(24)로부터 수신한 갱신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532). 이 갱신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에서는,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갱신2"을 나타내는 "0x04"이면서,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이용"을 나타내는 "0x02"인 것을 검사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의 보존을 허가하고, 스텝S534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해당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대출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대출원의 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를 갱신한다(스텝S534). 구체적으로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대출원의 기억수단(HDD(111) 등)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에서 송신한 갱신 전의 대출원 라이센스)를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에 재기록한다.
또한,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 해서, 상기 대출원 라이센스의 갱신 완료를 통지하기 위한 갱신 완료 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536). 구체적으로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대출원의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한다. 또한,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판독한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와, 라이센스의 갱신 완료 통지를 의미하는 전송 타입인 "갱신3"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5"와,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 자신의 속성인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를 연결하고, 갱신 완료 메시지를 작성한다.
다음에,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렇게 작성한 갱신 완료 메시지를 대출 컴포넌트(24)에 송신한다(스텝S538). 이에 따라, 대출 컴포넌트(24)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렇게, 갱신 완료 메시지의 송신 처리(S538)에서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대출 컴포넌트(24)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그 후, 대출 컴포넌트(24)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갱신 완료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540). 이 갱신 완료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로는,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갱신3"을 나타내는 "0x05"이면서,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보존"을 나타내는 "0x01"인 것을 검사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가 부당 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 컴포넌트(24)는, 대출원 라이센스의 갱신이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대출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대출을 금지하고, 대출 처리가 종료한다.
한편,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 컴포넌트(24)는,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대출용 라이센스를 작성한다(스텝S544).
구체적으로는, 우선 대출 컴포넌트(24)는, 예를 들면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로부터, 컨텐츠ID 등이 기술된 라이센스 정보기술부(501)와, 재생 조건기술부(521)와, 보존 조건기술부(511)를 추출하고, 대출용 라이센스의 베이스를 작성한다. 이때, 재생 조건기술부(521) 또는 보존 조건기술부(511)의 추출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대출 처리가 종료 된다. 다음에, 대출 컴포넌트(24)는, 대출용 라이센스의 반환 조건을 기술한 반환 조건기술부(525)를 새롭게 생성하고, 이 반환 조건기술부(525)를 상기 대출용 라이센스의 기초로 추가 기술하고, 대출용 라이센스로 한다. 또한, 대출컴포넌트(24)는, 반환 조건기술부(525)의 반환 스테이터스에, 상기 스텝S524에서 생성한 대출ID를 추가하고, 대출용 라이센스의 작성이 완료한다.
다음에,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메시지(제2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546). 구체적으로는, 대출 컴포넌트(24)는, 상기 작성된 대출용 라이센스와, 상기 갱신 완료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컨텐츠 키와, 전송 타입 "전송"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1"(이)와, 대출 컴포넌트(24) 자신의 속성인 "이용"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2"를 연결하고, 전송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대출 컴포넌트(24)는, 이렇게 작성한 전송 메시지를,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에 송신한다(스텝S546). 이에 따라,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대출 컴포넌트(24)로부터 상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전송 메시지의 송신 처리(S546)에서는, 대출 컴포넌트(24)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그 후,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대출 컴포넌트(24)로부터 수신한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548). 이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에서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전송"을 나타내는 "0x01"이면서,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이용"을 의미하는 "0x02"인 것을 검사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전송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용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하고, 스텝S534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전송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해당 대출용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대출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용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대출 상대인 제2기억수단(예를 들면, 리무버블 기억매체(40) 등)에 대한 해당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보존의 가부를 판단한다( 스텝S550). 이 대출용 라이센스 평가 처리에서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대출용 라이센스의 보존 조건기술부(511)에 기술된 보존 조건을 평가하고, 보존 조건을 만족시킬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 보존 조건평가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보존 회수제한 또는 보존 유효기한 등의 보존 조건이 평가되고, 필요에 따라서 보존 조건기술부(511)에 기술된 보존 스테이터스가 참조된다.
이 평가의 결과, 보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용 라이센스의 보존을 금지하고, 중단 시퀸스를 실행한다.
한편, 보존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보존을 허가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해당 대출용 라이센스의 보존 스테이터스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보존 회수제어를 행할 경우에,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1회의 보존 허가에 따라 보존 완료 회수를 1나 증가시키는 것 같이 보존 스테이터스를 재기록한다.
그 후,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대출처의 기억수단에 대하여, 상기 보존이 허가된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기록해서 보존한다(스텝S552).
이상과 같이 하여, 대출 요구를 받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가, 대출원의 기억수단(제1기억수단)으로부터 대출처의 기억수단(제2기억수단)에 대출된다. 이렇게 라이센스 등의 대출이 완료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컴포넌트 관리부(5)에 대출 완료 통지를 송신하고(스텝S554), 컴포넌트 관리부(5)는, 이 대출 완료 통지의 수신에 따라, 어플리케이션(4)에 컨텐츠 대출 허가를 통지한다(스텝S556).
이 결과, 어플리케이션(4)은,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대출 허가의 통지에 따라, 상기 대출 요구를 받은 컨텐츠를, 대출원의 기억수단으로부터 대출처의 기억수단에 대출한다(스텝S558).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4)은, 예를 들면 대출원의 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해당 컨텐츠를 판독하고, 대출처의 기억수단에 기록해서 보존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대출 방법의 처리 플로우에 관하여 설명했다. 연관되는 라이센스 대출 방법에 의하면, 대출원 및 대출 대상의 보존 컴포넌트(11, 12)와 대출 컴포넌트(24)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의 대출을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의 수신측의 컴포넌트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의 정당성을 매회 검사하므로, 라이센스 등의 부정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및 라이센스의 포맷과, 해당 라이센스의 전송 프로토콜과, 컴포넌트의 기본기능이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다른 실장의 저작권관리부(3)를 구비한 사용자 기기(10) 사이에 있어서도, 라이센스를 포터블하게 주고받아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의 대출을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30)를 거쳐서 접속되어 물리적으로 격리한 사용자 기기(10) 사이에서, 각 사용자 기기(10)의 저작권관리부(3)의 실장에 의존하지 않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를 적합하게 대출할 수 있다 고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각종의 사용자 기기(10) 사이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포터빌러티를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13. 라이센스 반환 방법>
다음에,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반환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라이센스 반환 방법은, 복수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반환을 제어하기 위해서, 2개의 보존 컴포넌트(1)와 반환 컴포넌트(25)를 이용하여, 대출 상대인 제2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용 라이센스를 삭제하는 동시에, 대출원인 제1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를 갱신하고, 대출용 라이센스를 대출원의 제1기억수단에 반환하는 방법이다. 이 반환 처리는, SDMI에 있어서의 체크인 처리에 해당한다.
우선, 도 33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반환 방법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본 실시예에 연관된 PC(10a)내의 2개의 기억수단간에 있어서의 라이센스 반환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0a)는, 반환 컴포넌트(25)와, 대출원(반환처)인 제1기억수단의 일례인 HDD(111)용의 보존 컴포넌트(11:제1보존 컴포넌트)와, 대출 상대(반환원)인 제2기억수단의 일례인 리무버블 기억매체(40)용의 보존 컴포넌트(12:제2보존 컴포넌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PC(10a)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로부터 반환 컴포넌트(25)에 전송 메시지를 송신함에 의해, 상기 대출용 라이센스(308)를 리무버블 기억매체(40)로부터 삭제하고, 또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와 반환 컴포넌트(25)와의 사 이에서, 갱신 메시지를 송수신함에 의해, 대출원의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307)를 갱신하여, 대출용 라이센스(308)를 HDD(111)에 반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에 보존되어 있는 반환 대상의 대출용 라이센스(308)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하고, 전송 메시지(전송 타입 "전송",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보존")를 작성하고, 반환 컴포넌트(25)에 송신한다. 이때, 보존 컴포넌트(12)는 리무버블 기억매체(40)로부터, 대출용 라이센스(308) 및 컨텐츠 키를 삭제한다.
한편,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307)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하고, 갱신 요구 메시지(전송 타입 "갱신1",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보존")를 작성하고, 반환 컴포넌트(25)에 송신한다. 또, 이 대출원 라이센스(307)는, 상기 반환 대상의 대출용 라이센스(308)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이며, 쌍방의 라이센스(307, 308)는 동일한 대출ID가 기술되어, 관련되게 만들어져 있다.
다음에, 반환 컴포넌트(25)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로부터 수신한 전송 메시지와,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갱신 요구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용 라이센스(308)를 평가하고, 해당 대출원 라이센스(308) 및 컨텐츠 키의 반환 가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반환 가능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반환 컴포넌트(25)는,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원 라이센스(307)의 대출 스테이터스를 갱신하고, 이 갱신된 대출원 라이센스와 컨 텐츠 키를 포함하는 갱신 전송 메시지(전송 타입 "갱신2",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 "이용")을 작성하고,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송신한다.
그 후,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반환 컴포넌트(25)로부터 수신한 갱신 전송 메시지를 검사한 후에, HDD(111)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307)를, 갱신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갱신된 대출원 라이센스(307)에 재기록한다.
이와 같이, 대출 상대와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 12)와 반환 컴포넌트(25)와의 사이에서 갱신 메시지 및 전송 메시지를 주고받음으로써, 대출처의 기억수단인 리무버블 기억매체(40)로부터, 대출원의 기억수단인 HDD(111)에, 대출용 라이센스(308) 및 컨텐츠 키를 반환하고, 대출원 라이센스의 대출 가능회수를 1나 가산할 수 있다. 또,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는 제1메시지에 해당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는 제2메시지에 해당하며,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는 제3메시지에 해당한다. 또, 반환 컴포넌트(25)는, 대출ID에 의거하여 대출원 라이센스(307)와 대출용 라이센스(308)를 대조함으로써, 대출용 라이센스를 적정한 대출원의 기억수단에 반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4(a) 및 (b)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반환 방법의 처리 플로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34(a) 및 (b)는,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반환 방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34(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어플리케이션(4)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의 반환 요구를 접수한다(스텝S602). 다음에, 어플리케이션(4)은, 반환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컨텐츠 화일로부터, 컨텐츠ID를 추출 한다(스텝S604). 또한, 어플리케이션(4)은, 컴포넌트 관리부(5)에 반환 제어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반환 요구를 받은 컨텐츠의 반환 제어, 즉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반환 제어를 행하도록 지시한다(스텝S606). 이 반환 제어 지시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컨텐츠ID와, 컨텐츠 이용 내용이 "반환"인 것을 의미하는 이용 내용정보와, 컨텐츠 및 라이센스의 대출원의 기억수단(제1기억수단) 및 대출처의 기억수단(제2기억수단)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에, 컴포넌트 관리부(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반환 제어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로드(기동) 대상의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를 결정한다(스텝S608). 예를 들면, 컴포넌트 관리부(5)는, 로드 대상의 컴포넌트로서, 반환 컴포넌트(25)와, 상기 반환 제어 지시 정보에 의해 지정된 대출원 기억수단에 대응하는 보존 컴포넌트(11:이하,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와, 해당 지정된 대출처의 기억수단에 대응하는 보존 컴포넌트(12:이하,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를 결정한다. 또, 이 로드 대상결정 처리에서는, 컴포넌트 관리부(5)는, 예를 들면 상기 도 23의 스텝S108 내지 S114과 같은 방법으로, 반환 요구를 받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보존하고 있는 보존 컴포넌트를 컨텐츠ID에 근거해 검색하고, 로드 대상으로 결정해도 된다.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결정된 로드 대상의 보존 컴포넌트(11, 12) 및 반환 컴포넌트(25)에 대하여 로드 지시를 행하고, 이들의 컴포넌트를 기동시킨다(스텝S610). 이 결과,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와 반환 컴포넌트(25) 및, 반환 컴포넌트(25)와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서로 인증을 행하고, 쌍방 의 사이에 안전한 통신 경로, 예를 들면 SAC를 형성한다(스텝S612).
또한, 컴포넌트 관리부(5)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에, 제1메시지 작성 지시를 송신하고, 전송 메시지의 작성을 지시한다(스텝S614). 구체적으로는, 이 제1메시지 작성 지시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에 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ID와, 전송 타입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주어진다. 본 스텝에서는, 대출용 라이센스를 반환하기 위한 전송을 지시하므로, 상기 전송 타입 지시 정보는, 전송 타입 "전송"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제1메시지 작성 지시에 의해,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대출용 라이센스의 원본을 반환 컴포넌트(25)에 전송하도록,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에 대하여 지시할 수 있다.
다음에,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제1메시지 작성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메시지(제2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616). 구체적으로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자신에 대응하는 대출처의 기억수단(리무버블 기억매체(40) 등)으로부터,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한다. 또한,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이렇게 판독한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와, 상기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지시된 전송 타입인 "전송"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1"와,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 자신의 속성인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를 연결하고, 전송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대출처의 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무효화(예를 들면, 삭제)한다(스텝S618). 이와 같이, 다음 스텝S620에서의 전송 메시지의 송신 전에, 대출처의 기억수단 내의 라이센스 등을 무효화함으로써, 예를 들면 부정 사용자가 전송 메시지의 송신 후에 부정한 수단에 의해 라이센스 등의 무효화 처리를 방해하고, 대출처의 기억수단에 라이센스 등이 잔존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는, 상기 스텝S616에서 작성한 전송 메시지를 반환 컴포넌트(25)에 송신한다(스텝S620). 이에 따라, 반환 컴포넌트(25)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로부터 상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렇게, 전송 메시지의 송신 처리(S620)에서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반환 컴포넌트(25)이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다음에, 반환 컴포넌트(25)는, 대출처의 보존 컴포넌트(12)로부터 수신한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622). 이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에서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전송"을 나타내는 "0x01"이면서,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보존"을 나타내는 "0x01"인 것이 검사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전송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용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하고, 스텝S624에 진행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반환 컴포넌트(25)는, 컴포넌트 관리부(5)에, 대출용 라이센스 회수 완료 통지를 행해도 된다. 한편, 상기 전송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반환 컴포넌트(25)는, 해당 대출용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반환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에,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용 라이센스를 평가하고, 해당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반환의 가부를 판단한다(스텝S632). 이 대출용 라이센스 평가 처리에서는,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대출용 라이센스의 반환 조건기술부(525)에 기술된 반환 조건을 평가하고, 반환 조건을 만족시킬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 반환 조건평가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반환 유효기한 등의 반환 조건이 평가되어, 필요에 따라서 반환 조건기술부(525)에 기술된 반환 스테이터스가 참조된다.
이러한 평가의 결과, 반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반환을 금지하고, 중단 시퀸스를 실행한다. 한편, 반환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의 반환을 허가하고, 스텝S626에 진행된다.
다음에, 컴포넌트 관리부(5)는, 제2메시지 작성 지시에 의해,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갱신 요구 메시지의 작성을 지시한다 (스텝S626). 구체적으로는, 이 제2메시지 작성 지시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ID와, 전송 타입 지시 정보를 송신 함으로써 주어진다. 본 스텝에서는, 대출원 라이센스의 갱신을 수반하는 전송을 지시하므로, 상기 전송 타입 지시 정보는, 전송 타입 "갱신1"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연관되는 제2메 시지 작성 지시에 의해, 컴포넌트 관리부(5)는,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대출원 라이센스의 사본을 반환 컴포넌트(25)에 전송하도록,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대하여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제2메시지 작성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대출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갱신 요구 메시지(제1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628). 구체적으로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자신에 대응하는 대출원의 기억수단(HDD(111) 등)으로부터, 상기 컨텐츠ID에 대응하는 대출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를 판독한다. 또한,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이렇게 판독한 대출원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와, 상기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지시된 전송 타입인 "갱신1"을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0x03"과,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 자신의 속성인 "보존"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1"을 연결하고, 갱신 요구 메시지를 작성한다.
그 후,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스텝S628에서 작성한 갱신 요구 메시지를 반환 컴포넌트(25)에 송신한다(스텝S630). 이에 따라, 반환 컴포넌트(25)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렇게, 갱신 요구 메시지의 송신 처리(S630)에서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반환 컴포넌트(25)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한다.
다음에, 반환 컴포넌트(25)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로부터 수신한 갱신 요구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632). 이 갱신 요구 메시지의 정당성검 사 처리에서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갱신1"을 나타내는 "0x03"이면서,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보존"을 나타내는 "0x01"인 것이 검사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대출원 라이센스의 처리를 허가하고, 스텝S622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반환 컴포넌트(25)는, 해당 대출원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반환 처리가 종료한다.
또, 이 도 34의 처리 플로우 예로서는, 스텝S614 내지 S624을 스텝S626 내지 S632보다도 앞에서 행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텝S614 내지 S624을 스텝S626 내지 S632보다도 뒤에 행해도 된다.
다음에,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 대출용 라이센스의 반환 조건기술부(525)의 반환 스테이터스에게 기술되어 있는 대출ID와, 상기 대출원 라이센스의 대출 조건기술부(524)의 대출 스테이터스에게 기술되어 있는 대출ID를 대조하고, 쌍방의 대출ID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한다(스텝S634). 이 결과, 쌍방의 대출ID가 일치할 경우에는, 반환 처리가 속행되어, 스텝S636에 진행된다. 한편, 쌍방의 대출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환 처리가 중지된다. 이 대출ID의 대조 처리에 의해, 대출용 라이센스와 대출원 라이센스와가 대응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 잘못된 반환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 대출원 라이센스의 반환 허가에 따라, 대출원 라이센스의 대출 스테이터스를 갱신한다(스텝S636). 구체적으로는,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 대출원 라이센스의 대출 스테이터스에 기술되어 있는 대출ID를 삭제한다. 또, 예를 들면 대출 회수제어가 행해지고 있을 경우에는,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 대출원 라이센스의 대출 스테이터스에 기술되어 있는 대출 완료 회수를 1나 감소시키는(또는, 대출 가능회수를 1나 증가시킨다) 것 같이, 대출 스테이터스를 재기록한다
다음에,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해서, 상기 스텝S636에서 대출 스테이터스가 갱신된 대출원 라이센스(이하,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라고 한다.) 및 컨텐츠 키를 전송하기 위한 갱신 전송 메시지(제3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S638). 구체적으로는, 반환 컴포넌트(25)는, 상기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와, 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컨텐츠 키와, 갱신된 라이센스의 전송을 의미하는 전송 타입인 "갱신2"를 나타내는 전송 타입ID "OxO4"와, 반환 컴포넌트(25) 자신의 속성인 "이용"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속성ID "0x02"를 연결하고, 갱신 전송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반환 컴포넌트(25)는, 이렇게 작성한 갱신 전송 메시지를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에 송신한다(스텝S640). 이에 따라,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반환 컴포넌트(25)로부터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렇게, 갱신 전송 메시지의 송신 처리(S640)에서는 반환 컴포넌트(25)가 상기 전송원 컴포넌트(31)에 해당하고,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가 상기 전송처 컴포넌트(32)에 해당 한다.
그 후,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반환 컴포넌트(25)로부터 수신한 갱신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을 검사한다(스텝S642). 이 갱신 전송 메시지의 정당성검사 처리로는,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전송 타입ID가, 전송 타입 "갱신2"를 나타내는 "0x04"이면서,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컴포넌트 속성ID가, 컴포넌트 속성 "이용"을 나타내는 "0x02"인 것을 검사한다. 이 검사 처리는,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메시지 검사 처리와 대략 동일한 순서로 실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메시지 검사의 결과,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의 보존을 허가하고, 스텝S644에 진행된다. 한편,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해당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의 처리를 금지하고, 반환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대출원의 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를 갱신한다(스텝S644). 구체적으로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대출원의 기억수단(HDD(111) 등)에 보존되어 있는 대출원 라이센스(상기 갱신 요구 메시지에서 송신한 갱신 전의 대출원 라이센스)를, 상기 갱신 전송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갱신 대출원 라이센스에 재기록한다. 또, 도 34에 나타내는 반환 처리 플로우 예로서는,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갱신 전송 메시지에 응답하고, 반환 컴포넌트(25)에 갱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 되지 않고, 갱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반환 요구를 받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대출용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가, 대출처의 기억수단(제2기억수단)으로부터 대출원의 기억수단(제1기억수단)에 반환된다. 이렇게 라이센스 등의 반환이 완료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대출원의 보존 컴포넌트(11)는, 컴포넌트 관리부(5)에 반환 완료 통지를 송신하고(스텝S646), 컴포넌트 관리부(5)는, 이 반환 완료 통지의 수신에 따라, 어플리케이션(4)에 컨텐츠 반환 허가를 통지한다(스텝S648).
이 결과, 어플리케이션(4)은, 컴포넌트 관리부(5)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반환 허가의 통지에 따라, 상기 반환 요구를 받은 컨텐츠를, 대출원의 기억수단으로부터 대출처의 기억수단에 반환한다(스텝S650).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4)은, 예를 들면 대출처의 기억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해당 컨텐츠를 삭제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연관된 라이센스 반환 방법의 처리 플로우에 관하여 설명했다. 연관되는 라이센스 반환 방법에 의하면, 대출원 및 대출 대상의 보존 컴포넌트(11, 12)와 반환 컴포넌트(25)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 및 컨텐츠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의 반환을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의 수신측의 컴포넌트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의 정당성을 매회 검사하므로, 라이센스 등의 부정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및 라이센스의 포맷과, 해당 라이센스의 전송 프로토콜과, 컴포넌트의 기본기능이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다른 실장의 저작권관리부(3)를 구비한 사용자 기기(10) 사이에 있어서도, 라이센스를 포터블하게 주고받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의 반환을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30)를 거쳐서 접속되어 물리적으로 격리한 사용자 기기(10) 사이에서, 각 사용자 기기(10)의 저작권관리부(3)의 실장에 의존하지 않고, 라이센스 및 컨텐츠를 적합하게 반환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각종의 사용자 기기(10) 사이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포터빌러티를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저작권관리시스템 및 그 구성요소, 동작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다. 본 저작권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저작권관리부를 기본기능마다 부품화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 중, 적어도 1나의 보존 컴포넌트(1)와, 적어도 1나의 이용 컴포넌트(2)를 조합하고, 연관되는 컴포넌트간에서 라이센스를 주고받음으로써, 각 이용 형태마다 이용 제한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라이센스는, 상기 이용 형태마다 이용 조건이 구분해서 기술되어, 기술 방식이 표준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관되는 라이센스를, 네트워크(30)를 거쳐서 접속된 라이센스 처리 컴포넌트간에서 포터블에 교환가능하다. 따라서, 컨텐츠의 이용 제어를 실행하는 컴포넌트를, `네트워크(30)에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 기기(10)에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키의 보호 방식은, 컨텐츠 키의 보호 방식의 기준을 라이센스 내에 기술해 두고, 이 기준을 달성하고 있는 보호 방식의 범위 내에서, 저작권관리부의 실장에 구애되지 않고, 컨텐츠 키를 변환 배포한다. 이에 따라, 다른 실장의 저작권관리부(3)를 가지는 복수의 저작권관리시스템을, 네트워크(30)를 거쳐서 접속하여, 이들의 저작권관리시스템간에서, 각각의 라이센스 및 컨텐츠를 포터블하게 주고받아서 저작권관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과 컨텐츠 이용의 자유도를 향상시켜서, 저작권관리시스템의 보급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관련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그것들에 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송 타입 속성정보, 전송원의 컴포넌트 속성정보, 라이센스 및 컨텐츠 키는, 1나의 메시지에 포함되어 동시에 전송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4개의 데이터의 관련되어 있지 않다면, 이들의 데이터를 다른 타이밍에서 개별적으로 송신해도 된다. 또, 컨텐츠 키는, 반드시 라이센스와 함께 전송되지 않아도 된다.
또, 이용 컴포넌트(2)는, 전술한 재생 컴포넌트 등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컨텐츠의 분할을 제어하는 분할 컴포넌트, 컨텐츠의 결합을 제어하는 결합 컴포넌트, 컨텐츠 키를 사용한 컨텐츠의 변환을 제어하는 변환 컴포넌트, 라이센스를 다른 저작권관리 방식이나 다른 보존 방식에 따라 출력하는 익스포트 컴포넌트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컨텐츠 이용을 제어하는 저작권관리시스템 에 적용가능하고, 특히 상이한 실장의 저작권관리부를 가지는 복수의 사용자 기기간에서 컨텐츠를 포터블하게 교환가능한 저작권관리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27)

  1.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 전송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이고,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이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며,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자신이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가리키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수단과,
    메시지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2. 제1항에 있어서,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의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의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의 조작 타입을 결정하는 결정수단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자신에 기술되어 있는 컴포넌트 속성을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3. 제1항에 있어서,
    조작 타입은, 라이센스의 원본의 전송인 전송이나, 라이센스의 사본의 전송인 제시 또는, 라이센스의 갱신을 위한 전송인 갱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4. 제1항에 있어서,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는, 라이센스를 기억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컴포넌트 또는,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평가하는 이용 컴포넌트이고,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는, 라이센스를 기억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컴포넌트 또는,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평가하는 이용 컴포넌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5. 제4항에 있어서,
    보존 컴포넌트는, 기억수단으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하고, 이용 컴포넌트에 라이센스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6. 제5항에 있어서,
    이용 컴포넌트는,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 또는 갱신된 라이센스를, 보존 컴포넌트 또는 다른 보존 컴포넌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7. 제4항에 있어서,
    컴포넌트 속성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가,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8. 제1항에 있어서,
    전송수단은,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컨텐츠 키를, 라이센스와 함께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9. 제1항에 있어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내에 기술되고, 라이센스 처리 유닛은, 라이센스 내의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대해 나타낸 이용 조건을 평가하여, 라이센스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 원 컴포넌트.
  10. 제2항에 있어서,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는, 라이센스를 기억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컴포넌트이고, 취득수단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을 제어하는 컴포넌트 관리부에서 수신한 컨텐츠 종류에 근거하여, 기억수단으로부터 전송 대상의 라이센스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11.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 전송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의 라이센스 전송 방법이고,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이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며,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자신이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가리키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스텝과,
    메시지를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로 전송하는 스텝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의 라이센스 전송 방법.
  12. 삭제
  13.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이고,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이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며,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자신이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가리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조작 타입 및 컴포넌트 속성에 근거하여,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라이센스를 처리하는 처리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14. 제13항에 있어서,
    메시지 내의 조작 타입과 컴포넌트 속성에 근거하여,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를 허가 또는 금지하도록 메시지를 분석하는 분석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조작 타입은, 라이센스의 원본의 전송인 전송이나, 라이센스의 사본의 전송인 제시 또는, 라이센스의 갱신을 위한 전송인 갱신 중 어느 하나인 것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16. 제13항에 있어서,
    전송수단은,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컨텐츠 키를, 라이센스와 함께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17. 제13항에 있어서,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는, 라이센스를 기억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컴포넌트 또는,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평가하는 이용 컴포넌트이고,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는, 라이센스를 기억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컴포넌트 또는,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평가하는 이용 컴포넌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이용 컴포넌트는,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평가하여, 라이센스의 처리 또는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19. 제17항에 있어서,
    보존 컴포넌트는 이용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를 평가하여, 기억수단 내로의 라이센스의 보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20. 제17항에 있어서,
    컴포넌트 속성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가,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21. 제20항에 있어서,
    보존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속성정보에 근거하여,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가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분석하여, 이용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만을 처리하고,
    이용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속성에 근거하여,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가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분석하여, 보존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만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22. 제13항에 있어서,
    수신수단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된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컨텐츠 키를, 라이센스와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23. 제13항에 있어서,
    컨텐츠의 이용 조건은 라이센스 처리 유닛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내에 기술되고, 라이센스 처리 유닛은, 라이센스 내의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에 대해 나타낸 이용 조건을 평가하여, 라이센스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24.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의 라이센스 전송 방법이고,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각각이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며,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와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 사이의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컴포넌트 자신이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가리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스텝과,
    조작 타입 및 컴포넌트 속성에 근거하여,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라이센스를 처리하는 스텝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컴포넌트의 라이센스 전송 방법.
  25. 삭제
  26.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처 모듈로 전송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이고,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이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며,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과 라이센스 전송처 모듈 사이의 라이센스의 전송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 자신이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가리키는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구성된 작성유닛과,
    메시지를 라이센스 전송처 모듈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
  27. 컨텐츠의 이용 조건이 기술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모듈이고,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과 라이센스 전송처 모듈 각각이 라이센스 처리 유닛이며,
    라이센스와,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과 라이센스 전송처 모듈 사이의 라이센스의 전송 타입을 나타내는 조작 타입 및, 라이센스 전송원 모듈 자신이 보존 컴포넌트 또는 이용 컴포넌트인지를 가리키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유닛과,
    조작 타입 및 모듈 속성에 근거하여,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라이센스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처리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전송처 모듈.
KR1020050085199A 2004-09-16 2005-09-13 라이센스의 전송원 컴포넌트와 전송처 컴포넌트 및, 그처리 방법 KR101217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70286A JP4380480B2 (ja) 2004-09-16 2004-09-16 ライセンス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ライセンス処理方法
JPJP-P-2004-00270286 2004-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250A KR20060051250A (ko) 2006-05-19
KR101217110B1 true KR101217110B1 (ko) 2012-12-31

Family

ID=3551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199A KR101217110B1 (ko) 2004-09-16 2005-09-13 라이센스의 전송원 컴포넌트와 전송처 컴포넌트 및, 그처리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80818B2 (ko)
EP (1) EP1637965A1 (ko)
JP (1) JP4380480B2 (ko)
KR (1) KR101217110B1 (ko)
CN (1) CN100451911C (ko)
BR (1) BRPI0503695A (ko)
HK (1) HK1084467A1 (ko)
RU (1) RU2308074C2 (ko)
TW (1) TWI2862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4969B2 (en) * 2003-01-02 2014-02-04 Catch Media, Inc. Content provisioning and revenue disbursement
JP3823925B2 (ja) * 2003-02-05 2006-09-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ライセンス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38785B2 (ja) * 2004-09-30 2011-08-03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
US8935416B2 (en) * 2006-04-21 2015-01-13 Fortinet, Inc. Method, apparatus, signals and medium for enforcing compliance with a policy on a client computer
CN100533452C (zh) * 2006-06-26 2009-08-26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数字权利管理的方法和装置
JP4293213B2 (ja) 2006-09-11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660769B2 (en) * 2006-09-12 2010-0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 player with secure processing vault
KR100869945B1 (ko) * 2006-11-03 2008-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Drm 권한 개선 방법과 drm 권한 개선 컨텐츠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US8949926B2 (en) 2007-04-23 2015-02-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tecting contents, method for sharing contents and device based on security level
KR101099192B1 (ko) 2007-05-07 2011-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안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47435A (ko) * 2008-10-29 2010-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EP2513832A1 (en) * 2009-12-18 2012-10-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rights management using attribute-based encryption
US10289809B1 (en) * 2010-05-17 2019-05-1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Transferring media files between users after encrypting with encryption key obtained from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erver
JP5545037B2 (ja) * 2010-05-28 2014-07-0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
US8694613B2 (en) 2010-11-22 2014-04-08 Sony Corporation Cli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WI511543B (zh) * 2010-12-20 2015-12-01 Univ Hungkuang 用於改善最差等待時間的工作劃分方法及系統
CN102142067A (zh) * 2011-03-09 2011-08-03 中山大学 一种基于数字家庭网络的数字版权管理系统
US9384613B2 (en) 2012-08-16 2016-07-05 Google Inc. Near field communication based key sharing techniques
US8410898B1 (en) 2012-08-16 2013-04-02 Google Inc. Near field communication based key sharing techniques
US9118670B2 (en) * 2013-08-30 2015-08-25 U-Me Holdings LLC Making a user's data, settings, and licensed content available in the cloud
JP6269209B2 (ja) * 2014-03-18 2018-01-31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364553A1 (en) * 2015-06-09 2016-12-15 Intel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tected Content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US10133856B2 (en) * 2016-11-07 2018-11-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oftware license for vehicle
CN107197191B (zh) * 2017-05-27 2021-05-11 深圳市景阳科技股份有限公司 网络硬盘录像的写入方法和装置
JPWO2019159689A1 (ja) * 2018-02-13 2021-01-2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1397793B2 (en) * 2019-12-03 2022-07-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livering digital content for an appl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8033A (ja) 1998-05-20 1999-11-30 Fujitsu Ltd ライセンス委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297A (en) * 1987-11-10 1995-02-14 Auto-Tro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number of concurrent copies of a program in a network based on the number of available licenses
US5629980A (en) * 1994-11-23 1997-05-13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digital works
US5638443A (en) * 1994-11-23 1997-06-10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composite digital works
US6963859B2 (en) * 1994-11-23 2005-11-08 Contentguard Holdings, Inc. Content rendering repository
JPH08263438A (ja) * 1994-11-23 1996-10-11 Xerox Corp ディジタルワークの配給及び使用制御システム並びにディジタルワークへのアクセス制御方法
US5715403A (en) * 1994-11-23 1998-02-03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digital works having attached usage rights where the usage rights are defined by a usage rights grammar
CN101303717B (zh) * 1995-02-13 2015-04-29 英特特拉斯特技术公司 用于安全交易管理和电子权利保护的系统和方法
US5892900A (en) * 1996-08-30 1999-04-06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US6983371B1 (en) * 1998-10-22 2006-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per-distribution of protected digital content
US7194092B1 (en) * 1998-10-26 2007-03-20 Microsoft Corporation Key-based secure storage
JP2000148471A (ja) 1998-11-13 2000-05-30 Hitachi Ltd 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
US7073063B2 (en) * 1999-03-27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Binding a digital license to a portable device or the like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and checking out/checking in the digital license to/from the portable device or the like
US6885748B1 (en) * 1999-10-23 2005-04-26 Contentguard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digital works
KR20020064672A (ko) * 2001-02-02 2002-08-0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콘텐츠 이용 관리 시스템 및 콘텐츠 이용 관리 방법
JP2002312211A (ja) 2001-04-13 2002-10-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EP1407341B1 (en) * 2001-07-17 2016-08-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ntent usage device and network system, and licens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US20030229593A1 (en) * 2002-03-14 2003-12-11 Michael Raley Rights expression profile system and method
US7080043B2 (en) * 2002-03-26 2006-07-18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revocation and license modification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on a computing device
US7493289B2 (en) * 2002-12-13 2009-02-17 Aol Llc Digital content store system
JP4099049B2 (ja) 2002-12-16 2008-06-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WO2004055651A1 (en) 2002-12-17 2004-07-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simple digital right management language
KR20050084955A (ko) * 2002-12-20 2005-08-2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콘텐츠 이용실적 수집 시스템,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
US7703128B2 (en) * 2003-02-13 2010-04-20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identity management
US20050108176A1 (en) * 2003-04-30 2005-05-19 Jarol Scott B. Configurable rules based content item consumption
US20050138407A1 (en) * 2003-12-19 2005-06-23 Nitu Choudhary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digital rights
EP1702251A2 (en) 2004-01-08 2006-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es Co., Lt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license distribu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8775319B2 (en) * 2006-05-15 2014-07-08 The Directv Group, Inc. Secure content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to operate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8033A (ja) 1998-05-20 1999-11-30 Fujitsu Ltd ライセンス委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5056A (en) 2006-07-16
RU2308074C2 (ru) 2007-10-10
US20060059102A1 (en) 2006-03-16
CN100451911C (zh) 2009-01-14
BRPI0503695A (pt) 2006-04-25
TWI286275B (en) 2007-09-01
RU2005128899A (ru) 2007-03-27
JP4380480B2 (ja) 2009-12-09
KR20060051250A (ko) 2006-05-19
JP2006085479A (ja) 2006-03-30
EP1637965A1 (en) 2006-03-22
HK1084467A1 (en) 2006-07-28
CN1749912A (zh) 2006-03-22
US8280818B2 (en)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110B1 (ko) 라이센스의 전송원 컴포넌트와 전송처 컴포넌트 및, 그처리 방법
KR20060051212A (ko) 이동 컴포넌트와 프로그램 및 이동 방법
KR20060051285A (ko) 복제 컴포넌트와 프로그램 및 그 복제 방법
JP4760101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20060051251A (ko) 반환 컴포넌트와 프로그램 및 반환 컴포넌트 방법
KR20060051211A (ko) 재생 컴포넌트와 프로그램 및 그 재생 제어 방법
KR20060051286A (ko) 대출 컴포넌트와 프로그램 및 대출 컴포넌트 방법
JP2005141635A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共有方法
WO2006009217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プログラム
WO2006009210A1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60106654A (ko) 콘텐츠 정보제공시스템, 콘텐츠 정보제공서버, 콘텐츠재생장치, 콘텐츠 정보제공방법, 콘텐츠 재생방법 및컴퓨터 프로그램
JP2008015622A (ja) 著作権保護記憶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WO2006009224A1 (ja) 通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処理装置,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6009207A1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52363B2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175445A1 (en) Electronic Device,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Unauthorized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s
JP4710449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コンテンツ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10448B2 (ja) 通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処理装置,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77840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613721B2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293971A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コンテンツ記録再生方法、コンテンツ記録再生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記録再生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情報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