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435A -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435A
KR20100047435A KR1020080106326A KR20080106326A KR20100047435A KR 20100047435 A KR20100047435 A KR 20100047435A KR 1020080106326 A KR1020080106326 A KR 1020080106326A KR 20080106326 A KR20080106326 A KR 20080106326A KR 20100047435 A KR20100047435 A KR 2010004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rm
license
drm conten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민
유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7435A/ko
Priority to US12/607,232 priority patent/US8732842B2/en
Publication of KR2010004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04N21/63345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by transmitt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7Time limited access, e.g. to a computer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될 시, 상기 콘텐츠의 타입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콘텐츠일 시, 상기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선스 카운트 후, 상기 라이선스의 만료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이면, 라이선스가 만료된 해당 DRM 콘텐츠에 대한 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DRM 콘텐츠를 삭제 또는 지정된 폴더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80106326
휴대단말, 콘텐츠, DRM, 라이선스, 사용자인터페이스

Description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 OF CONTENTS IN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가 적용된 디지털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에서 이용되는 유료 콘텐츠의 무단 복제나 재배포를 막기 위해,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라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DRM이란 문서, MP3파일, 벨소리, 동영상, 게임 등의 다양한 콘텐츠에 대해 암호기술을 적용하여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를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DRM은 디지털 콘텐츠가 생성되어 출판, 유통되어 사용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일련의 보호 및 관리 체계를 제공한다.
따라서 DRM이 적용된 콘텐츠(이하, 'DRM 콘텐츠'라 칭함)는 항상 암호화된 상태로 존재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DRM 콘텐츠가 복제되더라도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한 특정 라이선스(license)에 의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제어함으로써 불법 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선스는 권리발행서버(DRM 서버)에서 생성되어 디지털 콘텐츠 사용자에게 판매된다. 또한 상기 라이선스는 디지털 콘텐츠와 분리되어 사용자 기기(휴대단말 등)에 저장되어 해당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라이선스의 종류에는 카운트(count) 방식, 구간(interval) 방식, 시간-횟수(timed-count) 방식, 누적(accumulate) 방식 등이 있다.
상기 라이선스는 DRM 콘텐츠의 사용을 한정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예컨대, 특정 MP3 파일 구입 시, 사용자가 상기 MP3 파일에 대해 총 10회를 재생(play)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구매할 시, 상기 MP3 파일에 대해서는 총 10회의 재생만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MP3 파일이 재생될 때마다, 카운트는 1씩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10회째 재생에 따라 카운트가 '0'이 되면 더 이상 상기 MP3 파일의 재생은 불가능하며, 라이선스를 추가로 구매해야만 상기 MP3 파일에 대한 재생이 가능해진다. 즉, 사용자가 상기 MP3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MP3 파일에 해당하는 라이선스를 추가 구매해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라이선스가 만료된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요청될 시, 종래에서는 재생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보여 주거나, 자동으로 다음 콘텐츠로 이동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휴대단말에는 DRM 콘텐츠 이외에 사용자가 본래 가지고 있는 다른 일반 콘텐츠들이 상존할 수 있다. 따라서 DRM 콘텐츠와 일반 콘텐츠가 혼재하는 콘텐츠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재생 가능한 콘텐츠와 재생할 수 없는 콘텐 츠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콘텐츠들의 수가 늘어날수록 더울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콘텐츠 리스트를 통해서는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가 만료되어 재생이 불가능한 DRM 콘텐츠와 재생이 가능한 DRM 콘텐츠의 구별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즉, 다양한 콘텐츠들 중 어떠한 콘텐츠가 DRM 콘텐츠이며, 또한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가 만료된 콘텐츠가 어떠한 콘텐츠인지 구별할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콘텐츠를 관리하는 데 사용자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가 만료된 DRM 콘텐츠들 중에, 라이선스를 재구매하여 연장할 수도 있지만, 일부 DRM 콘텐츠들에 대해서는 라이선스를 재구매하지 않고 삭제를 희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라이선스를 재구매하거나 삭제해야 하는 해당 DRM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는 방법으로, 현재는 사용자의 기억에 의존해야 한다. 즉,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들을 일일이 기억하고 있어야 하므로, 콘텐츠를 관리하는 데 사용자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DRM 콘텐츠들과 일반 콘텐츠들이 혼재된 콘텐츠들에 대하여 사용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 존재하는 다수의 콘텐츠들을 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 내의 다수의 콘텐츠들 및 콘텐츠 리스트를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가 만료된 콘텐츠를 별도로 분리하여 저장 및 탐색할 수 있고, 분리된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삭제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 내에 혼재하여 존재하는 DRM 콘텐츠들과 일반 콘텐츠들의 분류하는 직관적인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콘텐츠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콘텐츠의 탐색을 보다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될 시, 상기 콘텐츠의 타입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콘텐츠일 시, 상기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선스 카운트 후, 상기 라이선스의 만료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이면, 라이선스가 만료된 해당 DRM 콘텐츠에 대한 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DRM 콘텐츠를 삭제 또는 지정된 폴더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카테고리의 콘텐츠 리스트가 요청될 시, 상기 콘텐츠 리스트의 표시방식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전체 콘텐츠 표시, DRM 콘텐츠 표시, 재생 DRM 콘텐츠 표시 및 만료 DRM 콘텐츠 표시의 표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표시되는 콘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특정 콘텐츠의 선택을 취소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선택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이동 또는 삭제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콘텐츠 리스트를 일반 콘텐츠, DRM 콘텐츠, 재생 DRM 콘텐츠, 만료 DRM 콘텐츠, 전체 콘텐츠의 항목별로 구별되는 표시 방식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일반 콘텐츠, DRM 콘텐츠, 재생 DRM 콘텐츠, 만료 DRM 콘텐츠를 각 항목별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콘텐츠 리스트를 위한 메뉴 화면 표시, DRM 콘텐츠에 대한 상태정보 표시,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구매 정보 표시와 관련된 일련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콘텐츠 리스트의 표시방식에 따라 각 콘텐츠를 타입별로 구별하여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콘텐츠들을 콘텐츠 타입별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희망하는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으며,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들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료 DRM 콘텐츠들에 대하여 설정 방식으로 따라 삭제하거나 지정된 폴더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만료 DRM 콘텐츠 관리를 위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만료 DRM 콘텐츠의 별도 관리를 통해 사용자는 만료 DRM 콘텐츠를 빠른 시간에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쉽게 라이선스가 만료된 DRM 콘텐츠에 대한 확인, 갱신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콘테츠 리스트 관리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획득에 따른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콘텐츠들에 대한 라이선스를 획득함에 따른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이 적용된 콘텐츠들을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와, 그를 이용한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나말 내의 다수의 콘텐츠들을 DRM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 콘텐츠와 DRM 기술이 적용된 콘텐츠(이하, 'DRM 콘텐츠'라 칭함)로 구분하고, 또한 상기 DRM 콘텐츠들 중 재생이 가능한 DRM 콘텐츠와, 라이선스 만료에 의하여 재생이 불가능한 DRM 콘텐츠로 구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 내의 다수의 콘텐츠들 중 DRM 콘텐츠와 일반 콘텐츠를 별도로 구분하여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일반 콘텐츠와 DRM 콘텐츠가 혼재된 콘텐츠 리스트 상에서 DRM 콘텐츠와 일반 콘텐츠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DRM 콘텐츠의 정보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가 만료되어 재생이 불가능한 DRM 콘텐츠와 재생이 가능한 DRM 콘텐츠를 별도로 분리하여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라이선스 만료에 의하여 재생이 불가능한 DRM 콘텐츠에 대하여 삭제 또는 특정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라이선스가 만료된 DRM 콘텐츠에 대하여 보다 간편하게 재구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DRM 콘텐츠 및 그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획득하는 과정을 하기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콘텐츠 구매 및 라이선스 획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101)은 사용자가 요청하는 콘텐츠 구 매를 위해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102)에 접속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102)에 상기 콘텐츠의 구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105단계). 상기 콘텐츠 서버(102)는 특정 웹사이트 서버(Website Server)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콘텐츠 서버(102)는 상기 휴대단말(101)이 요청하는 해당 콘텐츠를 상기 휴대단말(101)로 전송한다(106단계). 이때, 상기 콘텐츠는 DRM이 적용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상기 DRM이 적용되었다는 의미는 사전 규정된 암호화 키 및 암호화 형식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으며, 또한 사전 규정된 포맷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제한정보(Usage Rule, 재생 가능한 횟수, 재생 가능한 기간 등)가 기록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1)은 상기 콘텐츠 서버(102)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면, 수신하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DRM 서버(103)로 전송한다(107단계). 상기 DRM 서버(103)는 DRM 콘텐츠들에 대한 라이선스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라이선스란 소정의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권리증으로서, 해당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사용되는 복호화 키 및 사용제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101)은 DRM 시스템에서 규정한 라이선스를 부여받아야만 DRM이 적용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DRM 서버(103)는 상기 휴대단말(101)의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고, 정당한 사용자이면 상기 DRM이 적용된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단말(101)로 전송한다(108단계). 이때, 상기 라이선스에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복호화 키 및 사용제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1)은 상기 DRM 서버(103)로부터 수신하는 라이선스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102)에서 수신한 해당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휴대단말(101)에서는 상기 라이선스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사용되는 복호화 키 및 사용제한정보를 추출한다. 이어서, 상기 추출한 사용제한정보에 포함된 재생횟수 및/또는 재생기간 등을 검사하고, 이때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이 상기 사용제한정보에 위배되지 않으면 상기 복호화 키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를 복호화한 후 재생한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획득하는 DRM 콘텐츠를 일반 콘텐츠와 구별하여 관리하는 본 발명의 동작을 하기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특히, 상기 도 2 내지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DRM 콘텐츠를 일반 콘텐츠와 구별하고, DRM 콘텐츠를 일반 콘텐츠와 구분하여 탐색하고, 라이선스가 만료되어 재생이 불가능한 DRM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DRM 콘텐츠와 구별하여 별도로 관리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콘텐츠들을 콘텐츠 타입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참조부호 210과 같은 특정 카테고리의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210에서는 휴대단말에서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들에 대한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악, 영화, 앨범 등과 같은 각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카테고리별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크게 일반 콘텐츠와 DRM 콘텐츠를 구별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해서도 라이선스에 따라 재생 가능한 DRM 콘텐츠와 재생 불가능한 DRM 콘텐츠를 구별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가능한 DRM 콘텐츠에 대해서도 라이선스 만료가 도래하는 해당 DRM 콘텐츠를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상기 참조부호 210 내지 참조부호 27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참조부호 210 내지 참조부호 2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는, 현재 콘텐츠 리스트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영역(201)과, 콘텐츠 리스트의 콘텐츠를 항목별로 분류(sorting)하여 표시할 수 있는 분류영역(203)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콘텐츠들이 나열된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되는 리스트표시영역(205)과, 상기 콘텐츠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 소프트 키(215)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콘텐츠를 선택 지정할 수 있는 선택 소프트 키(217) 등을 표시하는 서브영역(207)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스트표시영역(205)에 나타낸 바 와 같이, 각 콘텐츠 항목에 대한 콘텐츠 타입을 구별할 수 있는 아이콘들(209, 211 ,213)을 제공한다. 상기 아이콘들(209, 211 ,213)은 DRM 콘텐츠에 대한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특정 콘텐츠 항목에 상기와 같은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을 시, 해당 콘텐츠는 일반 콘텐츠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DRM 콘텐츠를 일반 콘텐츠와 구분할 수 있도록 DRM 콘텐츠에 대해 설정된 아이콘을 해당 항목의 일정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은 해당 DRM 콘텐츠의 상태 정보별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해당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상태별로 구분하여, 라이선스에 의거하여 재생이 가능한 DRM 콘텐츠를 지시하는 아이콘(209)과 라이선스가 만료되어 재생이 불가능한 DRM 콘텐츠를 지시하는 아이콘(211)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재생이 가능한 DRM 콘텐츠에 대해서도 라이선스 사용에 따라 설정된 임계 이하로 카운트될 시, 해당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가 만료 예정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기능의 아이콘(213)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참조부호 213의 아이콘을 응용하여, 상기 아이콘(213)을 모든 DRM 콘텐츠에 적용하여, 각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의 사용 상태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참조부호 213의 아이콘과 같이, 모래시계 형태의 동적 아이콘을 통해, 특정 DRM 콘텐츠가 재생에 따른 라이선스 카운트 시 라이선스 변화 정보를 반영하여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210에서는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일반 콘텐츠와 DRM 콘텐츠가 혼재된 상태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모든 콘텐츠들에 대한 콘텐츠 리 스트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참조부호 210의 예시는 상기 참조부호 203의 분류영역(203) 내 메뉴들 중 <전체> 메뉴가 지정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전체> 메뉴는 일반 콘텐츠와 DRM 콘텐츠에 관계없이,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모든 콘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는 메뉴를 나타낸다.
이때,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분류영역(203) 내 메뉴들 중 다른 메뉴가 지정되면, 상기 휴대다말은 상기 지정되는 메뉴에 대응하여 콘텐츠들을 분류하고, 분류되는 해당 콘텐츠들의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분류영역(203) 내 메뉴들 중 <DRM> 메뉴가 지정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2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카테고리의 모든 콘텐츠들 중 DRM 콘텐츠만을 분류하여 표시한다. 상기 <DRM> 메뉴는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모든 콘텐츠들 중 DRM 콘텐츠만을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는 메뉴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230과 같이 DRM 콘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 정보, 즉, DRM 콘텐츠의 상태 정보를 지시하는 아이콘을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은 라이선스가 만료되어 DRM 재생이 불가능한 해당 DRM 콘텐츠에 대해서는 재생 가능한 DRM 콘텐츠와 구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참조부호 2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이 가능한 DRM 콘텐츠와 재생이 불가능한 DRM 콘텐츠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어느 한 종류의 DRM 콘텐츠에 대해서는 음영 처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230에서는 재생이 불가능한 DRM 콘텐츠에 대해 음영 처리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분류영역(203) 내 메뉴들 중 <재생 DRM> 메뉴가 지정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2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카테고리의 모든 콘텐츠들 또는 상기 모든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에 의거하여 재생이 가능한 DRM 콘텐츠만을 분류하여 표시한다. 상기 <재생 DRM> 메뉴는 상기 카테고리의 모든 콘텐츠들 또는 상기 모든 DRM 콘텐츠들 중 재생 가능한 DRM 콘텐츠만을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는 메뉴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250과 같이 DRM 콘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 정보, 즉, DRM 콘텐츠의 상태 정보를 지시하는 아이콘을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영역(203) 내 메뉴들 중 <만료 DRM> 메뉴가 지정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2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카테고리의 모든 콘텐츠들 또는 상기 모든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가 만료되어 재생이 불가능한 DRM 콘텐츠만을 분류하여 표시한다. 상기 <만료 DRM> 메뉴는 상기 카테고리의 모든 콘텐츠들 또는 상기 모든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 만료에 의하여 재생이 불가능한 DRM 콘텐츠만을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는 메뉴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참조부호 270과 같이 DRM 콘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 정보, 즉, DRM 콘텐츠의 상태 정보를 지시하는 아이콘을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희망하는 메뉴 선택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하여 직관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콘텐츠 식별을 보다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기 분류영역(203) 내에 <일반>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일반> 메뉴가 지정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 기 카테고리의 모든 콘텐츠들 중 일반 콘텐츠만을 분류하여 표시한다. 상기 <일반> 메뉴는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모든 콘텐츠들 중 일반 콘텐츠만을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는 메뉴를 나타낸다. 이때, DRM 콘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 정보, 즉, DRM 콘텐츠의 상태 정보를 지시하는 아이콘의 표시는 생략된다.
또한, 상기 도 2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사용자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하는 콘텐츠를 삭제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라이선스가 만료된 DRM 콘텐츠들에 대한 부분 삭제 또는 일괄 삭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분류영역(203) 내에 구성되는 각 메뉴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구성의 메뉴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설정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 2에서는 각 콘텐츠들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콘텐츠 리스트 상에서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었으나,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특정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여 상세 정보를 요청할 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으로 전환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 DRM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정 DRM 콘텐츠의 카테고리 정보, 라이선스 정보(예컨대, 사용횟수, 사용기간 등), 구매 서버 정보(예컨대, 웹사이트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정보 등), 라이선스 구매 가격 등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구매 서버 정보는 DRM 콘텐츠의 헤더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DRM 콘텐츠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DRM 서버의 URL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를 획득할 DRM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DRM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DRM 서버의 URL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를 추가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콘텐츠들을 콘텐츠 타입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3에서는 다양한 콘텐츠들에 대한 콘텐츠 리스트를 바둑판 형태로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 3에 도시된 구성 및 동작은 상기 도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구성 및 동작에 대응된다. 다만, 상기 도 3에서는 리스트표시영역(205)에 나타내는 콘텐츠 리스트를 바둑판 형태로 나타낸 것에 차이를 가지지만, 그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도 2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3에 나타낸 참조부호 310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도 2의 참조부호 210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구성 및 동작에 대응하며, 상기 도 3에 나타낸 참조부호 330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도 2의 참조부호 230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구성 및 동작에 대응하며, 상기 도 3에 나타낸 참조부호 350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도 2의 참조부호 250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구성 및 동작에 대응하며, 상기 도 3에 나타낸 참조부호 370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도 2의 참조부호 270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구성 및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3의 예시에 따른 상세 동작 설명은 상기 도 2를 참조하며, 여기서는 그에 따른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콘텐츠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실시 예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라이선스가 만료되어 재생이 불가능한 DRM 콘텐츠에 대하여, 라이선스를 재구매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와 그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라이선스 재구매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라이선스를 재구매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상기 도 2(도 3) 참조부호 210 내지 참조부호 270(참조부호 310 내지 참조부호 370)과 같은 상태에서, 특정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재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일괄 구매할 수 있다. 이를 상기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라이선스 구매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이 상기 도 2에서 라이선스가 만료된 DRM 콘텐츠들(Image 1, Movie 1)과 만료 기한이 도래한 DRM 콘텐츠(Music 2)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상기 DRM 콘텐츠들(Image 1, Movie 1, Music 2)에 대한 라이선스 재구매가 요청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도 4의 참조부호 4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 자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4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은 상기한 DRM 콘텐츠들(Image 1, Movie 1, Music 2)을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초기 화면은 요청되는 DRM 콘텐츠들 중 상위에 위치하는 DRM 콘텐츠(Image 1)에 포커스(하이라이트 표시 등)를 나타내고, 해당 DRM 콘텐츠에 대한 개략정보(파일명, 구입일, 금액, 사용권한 등)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전체 또는 일부의 DRM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420 및 참조부호 430에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420 및 참조부호 430은 상기한 DRM 콘텐츠들 중 일부의 DRM 콘텐츠들(Image 1, Music 2)을 선택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참조부호 420은 사용자 지정에 의해 DRM 콘텐츠(Image 1)에 포커스가 위치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참조부호 430은 사용자 지정에 의해 DRM 콘텐츠(Music 2)에 포커스가 위치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상기 참조부호 420의 상기 DRM 콘텐츠(Image 1)는 라이선스가 만료된 경우의 DRM 콘텐츠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참조부호 430의 상기 DRM 콘텐츠(Music 2)는 라이선스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의 DRM 콘텐츠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라이선스 구매를 희망하는 적어도 하나의 DRM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DRM 콘텐츠에 대한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참조부호 4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DRM 서버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440은 상기 선택되는 DRM 콘텐츠들의 라이선스 획득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DRM 서버로 접속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DRM 서버로의 접속은, DRM 콘텐츠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DRM 서버의 URL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를 획득할 DRM 서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해당 DRM 서버의 URL로 웹 브라우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DRM 서버로의 접속이 완료되면, 상기 DRM 서버와의 웹 브라우징 등을 수행하고, 상기 웹 브라우징을 통해 상기 참조부호 420 및 참조부호 430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DRM 콘텐츠들의 해당 라이선스에 대한 다운로드를 수행한다. 이에 대한 화면 실시 예가 참조부호 450에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절차에 의해 해당 DRM 콘텐츠들에 대한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구매한 각 라이선스들을 해당 DRM 콘텐츠들에 적용하여 라이선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그를 통한 콘텐츠 관리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이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501단계).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 완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503단계).
다음으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재생한 콘텐츠가 DRM 콘텐츠인지 일반 콘텐츠인지를 분석한다(505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재생한 콘텐츠의 타입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타입 분석은 DRM 콘텐츠의 경우 DRM 기술이 적용된 콘텐츠임을 나타내는 특정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식별정보의 존재 여부에 따라 DRM 콘텐츠와 일반 콘텐츠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콘텐츠의 경우 재생을 위해서는 라이선스와 같은 암호화키가 설정되는 데, 상기 콘텐츠 재생 시 라이선스 연동에 의한 재생인지의 여부를 통해서도 상기 DRM 콘텐츠를 구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방식 외에 DRM 콘텐츠와 일반 콘텐츠를 구분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만약 상기 분석결과 상기 재생한 콘텐츠가 DRM 콘텐츠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후의 라이선스의 만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507단계). 예를 들어,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해 총 10회를 재생할 수 있는 라이선스였다면, 상기 재생에 따라 상기 라이 선스를 카운트하여 1회를 차감한다. 따라서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해서는 이후 총 9회의 재생만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카운트에 따른 체크에 의해 상기 라이선스의 만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09단계). 이때,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라이선스가 만료된 DRM 콘텐츠에 대한 처리 방식을 확인한다(511단계). 즉, 사용자는 라이선스가 만료된 DRM 콘텐츠에 대하여 자동 삭제하거나, 또는 지정된 특정 폴더로 이동하는 등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된 DRM 콘텐츠에 대한 처리 방식 즉, 삭제인지 폴더 이동인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상기 확인결과, 삭제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된 해당 DRM 콘텐츠를 삭제한다(513단계). 반면, 상기 확인결과, 폴더 이동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된 해당 DRM 콘텐츠의 상태정보를 변경하여 매핑할 수 있다(515단계). 예를 들면,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가 만료됨을 나타내는 아이콘(211)을 상기 DRM 콘텐츠에 매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폴더로 이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517단계). 예를 들면,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이선스가 만료된 DRM 콘텐츠만을 관리할 수 있는 폴더를 사용자 지정에 따라 설정하고, 상기와 같이 라이선스가 만료된 DRM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지정에 따른 해당 폴더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509단계에서 상기 라이선스의 만료 여부 확인 결과,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가 아니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카운트 후의 라이선스가 설정된 임계값 이하에 포함되는지 체크할 수 있다(519단계). 이때, 상기 라이선스가 상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에 포함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상태정보를 변경하여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DRM 콘텐츠가 라이선스에 의해 재생은 가능하나, 해당 라이선스가 만료 예정임을 나타내는 기능의 아이콘으로 상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콘텐츠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콘텐츠 리스트 요청을 감지하면(601단계), 상기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카테고리의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요청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요청을 감지할 시, 상기 요청되는 해당 콘텐츠 리스트의 표시 방식을 체크할 수 있다(603단계). 이러한 동작은 전술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예시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각 표시 방식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표시 방식 체크결과(603단계), 전체 콘텐츠 표시 방식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전체 콘텐츠를 추출한다(611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추출하는 전체 콘텐츠들을 일반 콘텐츠와 DRM 콘텐츠로 구분한 다(613단계). 상기 일반 콘텐츠와 DRM 콘텐츠 구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DRM 콘텐츠에 설정되는 식별정보의 존재 여부에 따라 일반 콘텐츠 및 DRM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구별하는 각 DRM 콘텐츠별 설정된 상태정보를 DRM 콘텐츠별로 추출하여 매핑할 수 있다(615단계). 상기 상태정보는 전술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일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일반 콘텐츠와 상기 상태정보가 매핑된 DRM 콘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617단계). 이러한 화면 예시가 상기 도 2의 참조부호 210 및 상기 도 3의 참조부호 310에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시 방식 체크결과(603단계), DRM 콘텐츠 표시 방식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DRM 콘텐츠를 추출한다(613단계). 이때, 상기 613단계에서는 라이선스의 만료에 관계없이 재생 가능한 DRM 콘텐츠와 재생 불가능한 DRM 콘텐츠 모두를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추출하는 DRM 콘텐츠들을 재생 DRM 콘텐츠와 만료 DRM 콘텐츠로 구분한다(623단계). 상기 재생 DRM 콘텐츠와 만료 DRM 콘텐츠 구분은 각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 체크를 통해 구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구별하는 각 DRM 콘텐츠별 설정된 상태정보를 재생 DRM 콘텐츠와 만료 DRM 콘텐츠별로 추출하여 매핑할 수 있다(625단계). 상기 상태정보는 전술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일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재생 DRM 콘텐츠와 만료 DRM 콘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DRM 콘 텐츠들의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627단계). 이러한 화면 예시가 상기 도 2의 참조부호 230 및 상기 도 3의 참조부호 330에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시 방식 체크결과(603단계), 재생 DRM 콘텐츠 표시 방식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에 의거하여 재생이 가능한 재생 DRM 콘텐츠를 추출한다(631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추출하는 재생 DRM 콘텐츠별 설정된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각 재생 DRM 콘텐츠에 매핑할 수 있다(633단계). 상기 상태정보는 전술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일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재생 DRM 콘텐츠들의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635단계). 이러한 화면 예시가 상기 도 2의 참조부호 250 및 상기 도 3의 참조부호 350에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시 방식 체크결과(603단계), 만료 DRM 콘텐츠 표시 방식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 만료에 의거하여 재생이 불가능한 만료 DRM 콘텐츠를 추출한다(641단계). 이때, 상기 만료 DRM 콘텐츠 추출은 상기한 DRM 콘텐츠들 중 각 콘텐츠들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설정된 분류절차를 통해 만료 DRM 콘텐츠를 추출할 수도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만료 DRM 콘텐츠를 별도로 저장하는 저장영역으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추출하는 만료 DRM 콘텐츠별 설정된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각 만료 DRM 콘텐츠에 매핑할 수 있다(643단계). 상기 상태정보는 전술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상 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일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만료 DRM 콘텐츠들의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645단계). 이러한 화면 예시가 상기 도 2의 참조부호 270 및 상기 도 3의 참조부호 370에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은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적어도 하나의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획득이 요청되면(701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요청되는 적어도 하나의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를 획득할 DRM 서버로 접속하여, 해당 DRM 서버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할 수 있다(703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만료 DRM 콘텐츠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DRM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를 획득할 DRM 서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DRM 서버의 URL로 웹 브라우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DRM 서버와의 웹 브라우징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에 대한 다운로드를 수행한다(705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다운로드 수행에 따른 다운로드 완료 여부를 체크한다(707단계).
상기 다운로드가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운로드 절차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다운로드가 완료되 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하여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선스를 각 만료 DRM 콘텐츠별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709단계).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각 만료 DRM 콘텐츠별로 라이선스 업데이트를 통해 변경되는 각 만료 DRM 콘텐츠의 상태정보를 변경한다(711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라이선스가 만료된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를 업데이트함에 따라 재생 불가능한 만료 DRM 콘텐츠임을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재생 가능한 재생 DRM 콘텐츠임을 나타내는 상태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라이선스가 업데이트되는 적어도 하나의 DRM 콘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폴더로 이동할 수 있다(713단계). 예를 들면, 만료 DRM 콘텐츠를 저장하는 지정된 폴더에서 해당 DRM 콘텐츠들을 제거하고, 지정된 다른 폴더(예컨대, 재생 가능한 DRM 콘텐츠들의 저장 폴더 등)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휴대단말의 저장부의 저장영역의 메타정보를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콘텐츠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동작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단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단말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를 하기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를 일예로 하여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무선통신부(810)와, 입력부(820)와, 오디오처리부(830)와, 표시부(840)와, 저장부(850) 및 제어부(860)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850)는 설정정보 저장영역(67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810)는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810)는 지원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8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통신부(810)는 외부 서버(콘텐츠 서버, DRM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콘텐츠 구매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획득에 관련된 메시지 등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810)는 상기 제어부(8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DRM 콘텐츠 및 특정 DRM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선스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810)는 상기 제어부(860)의 제어에 따라 라이선스 구매를 위한 요청을 DRM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 및 라이선스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820)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86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820)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위한 키패드(Keypad)와 터치패드(Touch pa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820)는 상기 표시부(84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820)는 상기 표시부(840)에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특정 콘텐츠의 선택을 취소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84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820)는 상기와 같이 선택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이동 또는 삭제를 위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840)로 전달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830)는 마이크(MIC, Microphone) 및 스피커(SPK, Speaker)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86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86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83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부(86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특히, 상기 오디오처리부(830)는 일반 콘텐츠 또는 DRM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성분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4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 및 기능 설정 등에 따른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840)는 상기 제어부(86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840)는 상기 제어부(86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840)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일반 콘텐츠, DRM 콘텐츠, 재생 DRM 콘텐츠, 만료 DRM 콘텐츠, 콘텐츠 전체 등으로 구별되는 표시 방식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 방식은 사용자 설정 또는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부(860)가 처리하며, 상기 표시부(840)는 상기 제어부(8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 방식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40)는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획득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화면 데이터, 웹 브라우징 화면 데이터 및 다운로드 화면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만료 DRM 콘텐츠들에 대한 라이선선들의 획득 과정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4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부(84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예시가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나 있다.
상기 저장부(85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85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콘텐츠 서버, DRM 서버,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는 일반 콘텐츠, DRM 콘텐츠, 재생 DRM 콘텐츠, 만료 DRM 콘텐츠 및 라이선스를 포함하며,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상기 휴대단말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850)는 상기 무선통신부((810)를 통한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850)는 상기 휴대단말의 콘텐츠들을 항목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 콘텐츠들과 DRM 콘텐츠들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DRM 콘텐츠들을 재생 DRM 콘텐츠와 만료 DRM 콘텐츠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부(850)는 각각의 콘텐츠 타입별로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850)는 각 콘텐츠에 대응하는 메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부(850)는 각 콘텐츠에 대응하는 메타정보를 저장하며, 콘텐츠 리스트가 호출될 시 상기 콘텐츠 리스트의 표시방식에 대응하는 해당 콘텐츠들의 메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860)는 사용자의 콘텐츠 리스트 호출 시, 설정된 표시 방식에 따른 해당 메타정보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기 저장부(850)로부터 호출함으로써 표시 방식에 따른 해당 콘텐츠들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850)는 상기와 같은 콘텐츠들을 콘텐츠 저장영역(851)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저장영역(851)은 각 콘텐츠의 타입별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850)는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한 처리 방식에 대한 설정정보와 같은 상기 휴대단말 동작에 따른 다양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설정정보는 설정정보 저장영역(853)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850)는 각 DRM 콘텐츠에 대한 각 DRM 콘텐츠 정보와, 각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DRM 콘텐츠 정보는 해당 DRM 콘텐츠에 대한 크기, 타입, 세부 명칭, 콘텐츠 재생 시간, 콘텐츠 재생 횟수, 상태정보(아이콘 포함), DRM 콘텐츠의 재생 권한 제한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85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저장 부(850)의 어플리케이션 저장영역(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850)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85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860)는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860)는 상기 무선통신부(810)와, 상기 입력부(82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830)와, 상기 표시부(840) 및 상기 저장부(85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8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시, 설정되거나 요청되는 표시 방식에 따라 해당 콘텐츠들을 추출하여 콘텐츠 리스트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860)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완료될 시, 상기 특정 콘텐츠의 타입을 판단하여 DRM 콘텐츠일 시 상기 DRM 콘텐츠의 해당 라이선스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60)는 상기 카운트에 의해 변경되는 라이선스의 만료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제어부(860)는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될 시,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한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라이선스 만료에 따른 해당 DRM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지정된 폴더로의 이동을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860)는 각 DRM 콘텐츠들에 대한 각 라이선스 정보에 의거하여 각 DRM 콘텐츠들의 상태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60)는 적어도 하나의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한 라 이선스 획득을 위한 일련의 절차를 제어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860)는 콘텐츠 리스트 표시를 위하여 메뉴 화면 표시, 콘텐츠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DRM 콘텐츠에 대한 상태정보 표시,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구매 정보 표시 등을 위한 일련의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860)는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시, 일반 콘텐츠와 DRM 콘텐츠가 혼재된 전체, 일반 콘텐츠, DRM 콘텐츠, 재생 DRM 콘텐츠, 만료 DRM 콘텐츠별로 분류하여 사용자에 의한 설정 방식에 따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86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60)의 전술한 기능 제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60)는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전송될 신호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인터리빙(interleaving) 등을 통해 변환한 후 변조하여 RF 모듈로 제공할 수 있으며, RF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복조, 등화(Equalization), 채널 디코딩(Channel decoding)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베이스밴드 모듈이 상기 제어부(86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860) 및 상기 무선통신부(810)에 각각 구비될 수 있거나, 상기 제어부(860) 및 상기 무선통신부(81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 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디지털방송수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카메라모듈 및 인터넷통신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콘텐츠 구매 및 라이선스 획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콘텐츠들을 콘텐츠 타입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콘텐츠들을 콘텐츠 타입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라이선스를 재구매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콘텐츠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28)

  1. 휴대단말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될 시, 상기 콘텐츠의 타입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콘텐츠일 시, 상기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선스 카운트 후, 상기 라이선스의 만료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이면, 라이선스가 만료된 해당 DRM 콘텐츠에 대한 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DRM 콘텐츠를 삭제 또는 지정된 폴더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가 아니면, 상기 카운트 후의 라이선스가 설정된 임계값 이하에 포함되는지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선스가 상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에 포함될 시,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재생하는 콘텐츠가 일반 콘텐츠인지 DRM 콘텐츠인지 구분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획득이 요청될 시, 상기 라이선스 획득을 위한 서버로 접속하여 해당 라이선스의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선스의 업데이트가 완료될 시, 상기 DRM 콘텐츠의 상태정보를 변경하고 지정된 폴더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관리 방법.
  6.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카테고리의 콘텐츠 리스트가 요청될 시, 상기 콘텐츠 리스트의 표시방 식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전체 콘텐츠 표시, DRM 콘텐츠 표시, 재생 DRM 콘텐츠 표시 및 만료 DRM 콘텐츠 표시의 표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확인하는 표시방식이 상기 전체 콘텐츠 표시방식일 시, 일반 콘텐츠와 DRM 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 콘텐츠들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DRM 콘텐츠별 설정된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각 DRM 콘텐츠에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콘텐츠와 상기 상태정보가 매핑된 DRM 콘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콘텐츠들의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확인하는 표시방식이 상기 DRM 콘텐츠 표시방식일 시, 재생 가능한 재생 DRM 콘텐츠와 재생 불가능한 만료 DRM 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체 DRM 콘텐츠들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각 DRM 콘텐츠별 설정된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각 DRM 콘텐츠에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 DRM 콘텐츠와 상기 만료 DRM 콘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DRM 콘텐츠들의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
    상기 재생 DRM 콘텐츠와 상기 만료 DRM 콘텐츠를 구분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확인하는 표시방식이 상기 재생 DRM 콘텐츠 표시방식일 시, DRM 콘텐츠 들 중 라이선스에 의거하여 재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 DRM 콘텐츠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 DRM 콘텐츠별 설정된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각 재생 DRM 콘텐츠에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생 DRM 콘텐츠의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재생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
    라이선스의 만료 예정 여부에 대응하여 각 재생 DRM 콘텐츠의 상태정보를 구별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표시방식이 상기 만료 DRM 콘텐츠 표시방식일 시, DRM 콘텐츠들 중 라이선스 만료에 의거하여 재생이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만료 DRM 콘텐츠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만료 DRM 콘텐츠별 설정된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각 만료 DRM 콘텐츠에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만료 DRM 콘텐츠의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만료 DRM 콘텐츠 추출은 만료 DRM 콘텐츠를 별도로 저장하는 저장영역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방식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 표시 후, 적어도 하나의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획득이 요청될 시 상기 라이선스를 획득할 DRM 서버로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DRM 서버와의 웹 브라우징을 통해 상기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에 대한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다운로드 완료 시, 상기 다운로드하는 라이선스에 의거하여 각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과정은,
    상기 만료 DRM 콘텐츠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DRM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정보를 참조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이후, 각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업데이트 시, 해당 만료 DRM 콘텐츠의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선스가 업데이트되는 적어도 하나의 DRM 콘텐츠를 지정된 폴더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19. 휴대단말에 있어서,
    표시되는 콘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특정 콘텐 츠의 선택을 취소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선택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이동 또는 삭제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콘텐츠 리스트를 일반 콘텐츠, DRM 콘텐츠, 재생 DRM 콘텐츠, 만료 DRM 콘텐츠, 전체 콘텐츠의 항목별로 구별되는 표시 방식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일반 콘텐츠, DRM 콘텐츠, 재생 DRM 콘텐츠, 만료 DRM 콘텐츠를 각 항목별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콘텐츠 리스트를 위한 메뉴 화면 표시, DRM 콘텐츠에 대한 상태정보 표시,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구매 정보 표시와 관련된 일련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콘텐츠 리스트의 표시방식에 따라 각 콘텐츠를 타입별로 구별하여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각 콘텐츠에 대응하는 메타정보를 저장하며, 콘텐츠 리스트가 호출될 시 상기 콘텐츠 리스트의 표시방식에 대응하는 해당 콘텐츠들의 메타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한 처리 방식에 대한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각 DRM 콘 텐츠에 대한 각 DRM 콘텐츠 정보와, 각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완료될 시 상기 특정 콘텐츠의 타입을 판단하고, 상기 특정 콘텐츠가 DRM 콘텐츠이면 상기 DRM 콘텐츠의 해당 라이선스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트에 의해 변경되는 라이선스의 만료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될 시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한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라이선스가 만료되는 해당 DRM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지정된 폴더로의 이동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DRM 콘텐츠들에 대한 각 라이선스 정보에 의거하여 각 DRM 콘텐츠들의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 표시 후, 적어도 하나의 만료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획득이 요청될 시, 상기 라이선스를 획득할 DRM 서버로의 접속을 통해 상기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하는 라이선스에 의거하여 각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료 DRM 콘텐츠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DRM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DRM 서버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만료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업데이트 시, 해당 만료 DRM 콘텐츠의 상태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라이선스가 업데이트되는 해당 DRM 콘텐츠를 지정된 폴더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휴대단말이 지원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콘텐츠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획득에 관련된 메시지 송수신을 처리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080106326A 2008-10-29 2008-10-29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47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326A KR20100047435A (ko) 2008-10-29 2008-10-29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US12/607,232 US8732842B2 (en) 2008-10-29 2009-10-2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in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326A KR20100047435A (ko) 2008-10-29 2008-10-29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435A true KR20100047435A (ko) 2010-05-10

Family

ID=4211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326A KR20100047435A (ko) 2008-10-29 2008-10-29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32842B2 (ko)
KR (1) KR201000474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162B1 (ko) * 2010-08-13 2013-09-12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
WO2015122580A1 (ko) * 2014-02-12 2015-08-20 주식회사 포티스 디지털 저장장치가 구비된 기기에 사용되는 컨텐츠 상황 알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35B1 (ko) * 2005-10-04 2007-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제한 수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7849017B2 (en) * 2006-06-29 2010-12-07 Flexera Software, Inc. Enforced seat-based licensing
US10339570B2 (en) 2010-04-21 2019-07-02 Fox Entertainment Group, Inc. Customized billboard website advertisements
US8584256B2 (en) * 2010-04-21 2013-11-12 Fox Entertainment Group, Inc. Digital delivery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enabling the digital delivery of media content
KR101653311B1 (ko) * 2010-08-02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2020864A1 (ko) * 2010-08-13 2012-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15732A (ko) * 2010-08-13 2012-02-22 주식회사 팬택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US8802957B2 (en) 2010-08-16 2014-08-12 Boardwalk Technology Group, Llc Mobile replacement-dialogue recording system
US8260657B1 (en) 2010-12-20 2012-09-04 Google Inc. Dynamic pricing of electronic content
US8510851B2 (en) * 2010-12-21 2013-08-13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ontent protected media streams
US20120222083A1 (en) * 2011-02-28 2012-08-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forcing data privacy
US8561151B2 (en) * 2011-03-24 2013-10-15 Avid Technology, Inc. Mobile software entitlements manager
KR20130056583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기간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US8983076B2 (en) * 2011-12-22 2015-03-1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key delivery in HTTP live streaming
US9323906B2 (en) * 2013-09-04 2016-04-26 D2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enforcement
IL228523A0 (en) * 2013-09-17 2014-03-31 Nds Ltd Processing private data in a cloud-based environment
AU2014200318B2 (en) * 2014-01-17 2020-07-02 Vsk Electronics Nv Threat-monitor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170011363A (ko) * 2015-07-22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3063B2 (en) * 1999-03-27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Binding a digital license to a portable device or the like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and checking out/checking in the digital license to/from the portable device or the like
US20040230806A1 (en) * 2003-05-14 2004-1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content control includ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through dynamic instrumentation
CN1816784A (zh) * 2003-06-30 2006-08-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通过图标对保护内容项的标识
US7089594B2 (en) * 2003-07-21 2006-08-08 July Systems, Inc. Application rights management in a mobile environment
KR100643278B1 (ko) * 2003-10-22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저장 장치의 디지털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8271390B2 (en) * 2004-06-14 2012-09-18 Nokia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license manager
JP4380480B2 (ja) * 2004-09-16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ライセンス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ライセンス処理方法
US7698223B2 (en) * 2005-04-21 2010-04-13 Microsoft Corporation Pluggable file-based digital rights management API layer for applications and engines
US20080109911A1 (en) * 2006-11-03 2008-05-08 Microsoft Corporation Send/Lend Business Righ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162B1 (ko) * 2010-08-13 2013-09-12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
WO2015122580A1 (ko) * 2014-02-12 2015-08-20 주식회사 포티스 디지털 저장장치가 구비된 기기에 사용되는 컨텐츠 상황 알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2842B2 (en) 2014-05-20
US20100107258A1 (en)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7435A (ko)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50338A (ko)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431835B2 (en) Method of enabling digital music content to be downloaded to and used on a portable wireless computing device
EP244492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nd social network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information
US20130013740A1 (en) Media Sha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Machine Readable Media thereof
KR100785070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콘텐츠 재생 방법 및장치
US200602653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dynamically changing content
US201601326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icensing Content
US8060444B2 (en) Determining whether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39;s native license is valid
JP2009147721A (ja) コンテンツ視聴管理装置、コンテンツ視聴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視聴管理システム
JP5490793B2 (ja) 複製支援装置、端末装置、複製支援方法、及び複製支援プログラム
KR20090054110A (ko) 휴대단말의 콘텐츠 권리객체 획득 방법 및 장치
JP5467245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紹介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紹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83551B1 (ko)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5738908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KR100846101B1 (ko) 실시간 drm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휴대 단말기
KR101283770B1 (ko) 컨텐츠 배포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14271B1 (ko)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5993978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07280442A (ja) 情報再生装置、リスト作成方法、リスト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80082252A (ko) 콘텐츠 유통 방법, 시스템, 서버 및 클라이언트 장치
KR20040097017A (ko)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하는 시스템 및디지털 콘텐츠 판매 방법
JP2014157544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KR20120019198A (ko)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Ahamed et al. Secure Media P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