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106B1 -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106B1
KR101217106B1 KR1020100020994A KR20100020994A KR101217106B1 KR 101217106 B1 KR101217106 B1 KR 101217106B1 KR 1020100020994 A KR1020100020994 A KR 1020100020994A KR 20100020994 A KR20100020994 A KR 20100020994A KR 101217106 B1 KR101217106 B1 KR 101217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plate
flexibility
artificial
connecting member
re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757A (ko
Inventor
양성렬
이수건
Original Assignee
(주) 해양비전21
이수건
어업회사법인 마린하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해양비전21, 이수건, 어업회사법인 마린하이테크(주) filed Critical (주) 해양비전21
Priority to KR102010002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10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해류의 흐름을 크게 차단하지 않고 물 움직임에 따라 수직봉과 세라믹판이 유동되는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는, 다수개의 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철근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개의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에 삽입되는 연결부재와 교대로 삽입되어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로 유동되며, 황토와 게르마늄 가루를 혼합하여 저온에서 소성하여 형성되는 다공성의 세라믹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The artificial fishing reef with flexibility for the construction of seaweed forest}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해류의 흐름을 크게 차단하지 않고 물 움직임에 따라 수직봉과 세라믹판이 유동 되는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수중에 수산생물의 산란장이나 치어 서식장을 조성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주로 철근으로 구성된 대형의 크기를 갖는 견고한 구조물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물 형태의 인공어초는 제작, 운반, 설치가 어렵고 비용이 고가이면서, 인공어초의 설치 후 설치 완료 시점인 해조류가 부착하는 단계까지 기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위에 해조류의 자원이 부족할 경우 해조류의 자연 부착이 어려워 인공어초에 해조류를 인공적으로 밧줄에 묶어 종사를 이식하는 연승수하식과 모조를 이식하는 해조초식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연안역의 갯녹음(백화)현상 발생은 제주도 남부 연안에서 최초로 보고된 이후 계속 확대되어 남해안, 동해안까지 발생되고 있다. 생태계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갯녹음 현상 발생 시에 긴급 대처방안으로 상기 연승수하식과 해조초식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갯녹음 현상 해결을 위한 최대의 방안이라 하여 많은 장비와 인원을 들여 해조류 종사를 이식하는 방법으로 해중림 조성 사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날로 심각해지는 해산자원의 감소를 방지할 목적으로 해양 목장화 사업, 해중림 조성 사업, 어류방류 사업, 인공어초 사업 등을 펼치고 있으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막대한 자금과 시간을 투자하여 인공어초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 사업을 하고 있지만, 해조류가 부착되지 않은 인공어초는 본래의 기능을 달성하지 못하며, 오히려 인위적인 물 흐름의 변화를 초래해 해양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연안을 황폐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연성을 보유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해류의 흐름을 크게 차단하지 않고 물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게 되며, 다공체 세라믹판 표면에 해조류 포자의 착상이 용이하여 단시일 내에 해조류를 성장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을 통하여 수산생물자원을 조성하는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는, 다수개의 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철근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개의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에 삽입되는 연결부재와 교대로 삽입되어 상,하,좌,우로 유동되며 황토와 게르마늄 가루를 혼합하여 저온에서 소성하여 형성되는 다공성의 세라믹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는, 유연성을 보유한 구조물로 이루어져 해류의 흐름을 크게 차단하지 않고 물 움직임에 따라 유동되어 해류와 파랑에 의한 인공어초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공성 세라믹판으로 구성된 인공어초에 의해 해조류 포자의 착생이 용이하여 빠른 시일 내에 해중림 조성이 가능하여 날로 고갈되어 가는 해양 수산자원의 생산성 증가를 유도하여 바다목장을 조성하고, 해중림 조성에 따라 온난화 기체인 이산화탄소를 저하시키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에서의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시설비가 저렴하고 장기간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의 세라믹판의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는, 다수개의 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철근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개의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에 삽입되는 연결부재와 교대로 삽입되어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재보다 크게 형성된 구멍의 유격을 통해 상,하,좌,우로 유동되며, 황토와 게르마늄 가루를 혼합하여 저온에서 소성하여 형성되는 다공성의 세라믹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세라믹판의 두께보다 높은 위치에서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판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세라믹판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판은 상기 수직봉이 관통되는 구멍이 세라믹판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의 세라믹판의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는 다수개의 철근(5)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켜 형성되는 바닥판(1)과, 상기 철근(5)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개의 수직봉(2)과, 상기 수직봉(2)에 삽입되는 연결부재(3)와 교대로 삽입되어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를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재(3)보다 크게 형성된 구멍의 유격을 통해 상,하,좌,우로 유동되며, 황토와 게르마늄 가루를 혼합하여 저온에서 소성하여 형성되는 다공성의 세라믹판(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는, 상기 바닥판(1)의 상부에 각각의 인공어초 설치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임의의 격자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격자무늬에서 어느 한 지점을 기준으로 대각선방향으로 교차되게 수직봉(2)을 배치 고정시켜 각각의 인공어초끼리 충돌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1)의 철근(5) 길이는 1.2m x 1.8m 혹은 1.8m x 2.4m이고, 바닥판(1)의 높이는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30cm 정도로 제작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각각의 인공어초 높이를 동일하게 도시하였으나, 인공어초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크기와 높이를 얼마든지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의 재질은 주로 철근(5)과 콘크리트를 이용하였으나, 그 표면에 해조류 포자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황토를 저온(800℃)에서 소성하여 형성한 세라믹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판(1) 제작 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이전에 철근(5)에 고정되는 수직봉(2)은 직경 30mm-40mm의 철근을 사용하며, 여기에 상기 수직봉(2)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연결부재(3)를 수심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삽입한다.
상기 세라믹판(4)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황토와 게르마늄 가루를 혼합하여 저온(800℃)에서 소성하여, 표면이 거칠고 공극이 많이 형성되기 때문에 해조류의 포자 부착이 용이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라믹판(4)은 상기 수직봉(2)이 관통되는 구멍(41)이 세라믹판(4)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판(4)의 구멍(41)은 직경이 약 50mm정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해류의 흐름에 따라 상기 세라믹판(4)이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를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재(3)보다 크게 형성된 구멍의 유격을 통해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수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황토, 게르마늄 가루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바닥판(1)과 세라믹판(4)에 해조류의 포자가 착상하여 증식이 일어나 해중림이 형성되어 인공어초의 효과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세라믹판(4)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세라믹판(4)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판(6)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판(6)은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하고 해조류의 포자 부착을 위하여 황토를 첨가하여 함께 소성하며, 전단력에 약한 세라믹판(4)에 구조적인 강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둘러싸는 형태로 성형된다.
상기 연결부재(3)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 돌출부(311)가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세라믹판(4)의 두께보다 높은 위치에서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2 돌출부(312)가 형성되는 연결관(31)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31)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수심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2 돌출부(312)는 복수개의 연결관(31) 적층 시 그 사이에 결합되는 세라믹판(4)이 해수의 흐름에 따라 연결부재(3)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단으로부터 충분한 높이로 이격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개의 철근(5)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하기 전에 상기 철근 격자에 대각선으로 건너뛰면서 수직으로 원하는 길이로 수직봉(2)을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바닥판(1)을 형성시키고, 상기 바닥판(1)의 상부에 800℃에서 소성한 다공성의 세라믹판을 부착한다.
바닥판(1)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봉(2)에 다수개의 연결관(31)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수직봉(2)에 삽입되는 연결관(31)과 세라믹판(4)을 교대로 삽입하고 연결관(31)의 설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세라믹판(4)과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세라믹판(4)은 해수의 흐름에 따라 연결부재(3)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로 유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세라믹판(4)의 구멍이 편심되게 형성되어 구멍에 관통 결합되는 연결부재(3)를 중심으로 평상시에는 약간 기울고 유속이 발생 시 유속방향에 평행하게 유지되어 해류에 의한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세라믹판이 유동 가능한 이유는 연결부재의 외경보다 세라믹판의 구멍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관(31)과 세라믹판(4)을 교대로 수직봉(2)에 삽입하며, 마지막에는 최상에 위치한 세라믹판(4)을 관통한 수직봉(2)에 연결관(31)을 5cm정도 길이로 삽입하고, 수직봉(2)의 끝단을 휜 상태로 수직봉(2) 끝단을 용접하여 세라믹판(4)과 연결관(31)이 수직봉(2)의 끝단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마무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1 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진다.
그 다음 원하는 높이로 연결관(31)과 세라믹판(4)의 삽입을 반복한다. 수심에 따라서 연결관(31)의 길이를 변경하여 세라믹판(4)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비추어지는 빛의 광도에 따라서 다단계 층으로 해중림의 조성이 가능하다.
완성된 인공어초는 선박과 크레인을 이용하여 지정된 해역에 투입하여 안착 설치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바닥판
2 : 수직봉
3 : 연결부재
31 : 연결관
311 : 제1 돌출부, 312 : 제2 돌출부
4 : 세라믹판
41 : 구멍
5 : 철근
6 : 보강판

Claims (4)

  1. 다수개의 철근(5)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켜 형성되는 바닥판(1)과,
    상기 철근(5)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개의 수직봉(2)과,
    상기 수직봉(2)에 삽입되는 연결부재(3)와 교대로 삽입되어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를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재(3)보다 크게 형성된 구멍의 유격을 통해 상,하,좌,우로 유동되며, 황토와 게르마늄 가루를 혼합하여 저온에서 소성하여 형성되는 다공성의 세라믹판(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 돌출부(311)가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세라믹판(4)의 두께보다 높은 위치에서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2 돌출부(312)가 형성되는 연결관(3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판(4)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세라믹판(4)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판(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판(4)은 상기 수직봉(2)이 관통되는 구멍(41)이 세라믹판(4)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KR1020100020994A 2010-03-09 2010-03-09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KR101217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994A KR101217106B1 (ko) 2010-03-09 2010-03-09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994A KR101217106B1 (ko) 2010-03-09 2010-03-09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757A KR20110101757A (ko) 2011-09-16
KR101217106B1 true KR101217106B1 (ko) 2012-12-31

Family

ID=4495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994A KR101217106B1 (ko) 2010-03-09 2010-03-09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1532A (zh) * 2014-04-19 2014-07-23 严斯文 螃蟹脱壳装置
USD757369S1 (en) 2014-09-14 2016-05-24 Matthew E. Marsden Structure for attracting and accumulating aquatic organisms
US9681645B2 (en) 2014-10-14 2017-06-20 Matthew E Marsden Structure for attracting and accumulating aquatic organisms
CN109699540A (zh) * 2019-01-16 2019-05-03 杨文畅 一种用于生蚝养殖的串连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008A (ja) 2002-08-29 2004-03-25 Umi Kobo:Kk 藻場の造成方法及び藻場造成礁
JP2007020460A (ja) 2005-07-15 2007-02-01 Okabe Co Ltd 食害防除具及びこれを用いた藻場造成用構造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008A (ja) 2002-08-29 2004-03-25 Umi Kobo:Kk 藻場の造成方法及び藻場造成礁
JP2007020460A (ja) 2005-07-15 2007-02-01 Okabe Co Ltd 食害防除具及びこれを用いた藻場造成用構造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757A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59B1 (ko) 인공어초
KR101294897B1 (ko) 해조류 부착용 요철 홈을 갖는 사다리꼴 요철형 인공어초 및 제작방법
KR101217106B1 (ko) 유연성을 갖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CN103461241A (zh) 一种安全生态的多层养殖网箱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JP4247238B2 (ja) 人工魚礁
AU2010200201B2 (en) Tripod-Type Artificial Reef for a Seaweed Forest
KR20120108927A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KR101827348B1 (ko) 폐전봇대를 이용한 인공어초
KR101572415B1 (ko)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쉘터구조물을 가지는 침선어초
JP3114373U (ja) 人工浮魚礁
KR101788562B1 (ko) 부력부재를 이용한 다기능 부어초
KR200395739Y1 (ko) 아파트형 목제어초
KR100962664B1 (ko) 어류용 인공어초 및 그 제조 방법
KR101344008B1 (ko) 친환경 해중 인공어초
KR101624469B1 (ko)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쉘터구조물을 가지는 침선어초
KR100962667B1 (ko) 패류용 인공어초 및 그 제조 방법
JP2014045720A (ja) 漁場施設用成形体とその製造方法
KR200393238Y1 (ko) 조장형성 및 해수정화용 인공 어초블록
KR200405469Y1 (ko) 연안해역의 조장 목장 형성을 위한 어소ㆍ어초 블록
KR200471100Y1 (ko) 돌하르방 인공어초
KR101031654B1 (ko) 필로티형 해중림용 어초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KR101030597B1 (ko) 와류형 복합인공어초
JP2004339858A (ja) 護岸・魚礁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