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707B1 -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 - Google Patents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707B1
KR101215707B1 KR1020120059539A KR20120059539A KR101215707B1 KR 101215707 B1 KR101215707 B1 KR 101215707B1 KR 1020120059539 A KR1020120059539 A KR 1020120059539A KR 20120059539 A KR20120059539 A KR 20120059539A KR 101215707 B1 KR101215707 B1 KR 101215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afety
container
recov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박
Original Assignee
우승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승박 filed Critical 우승박
Priority to KR102012005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캔 용기 바닥에 포켓을 구비하여 개방된 뚜껑을 수납함으로써 탭 고리의 회수율이 우수하고 날카로운 뚜껑의 가장자리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통의 바닥에 뚜껑이 삽입되는 포켓을 구비하되, 상기 포켓은 바닥의 가장자리 절반 이하에 거쳐 부착되는 수납 커버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는 개방된 뚜껑을 바닥에 삽입하여 날카로운 가장자리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손을 비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와 함께 탭 고리를 완벽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SAFETY CAN}
본 발명은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캔 용기 바닥에 포켓을 구비하여 개방된 뚜껑을 수납함으로써 탭 고리의 회수율이 우수하고 날카로운 뚜껑의 가장자리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 용기는 음식 등을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원통형의 몸통 상하부에 수평의 바닥판과 상판을 일체로 부착하여 내용물을 담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판에는 소정의 크기로 뚜껑이 절취홈에 의해 구획되며 뚜껑에는 손가락을 걸어 개방할 수 있는 탭 고리가 리벳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탭 고리에 손가락을 넣고 젖히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리벳을 중심으로 탭 고리의 말단이 뚜껑을 누르게 되며 그 힘이 취약한 절취홈으로 전달되어 절취홈이 일부 절취되며 탭 고리를 잡아당기면 상판으로부터 뚜껑이 완전 분리됨으로써 개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개방된 뚜껑은 그 가장자리가 매우 날카로워 자칫 잘못하면 손을 비는 일이 종종 일어나고 있다. 특히 어린이나 노인의 경우 더욱 발생하고 있다. 또한, 탭 고리의 경우 재활용 가치가 커서 회수를 요하고 있으나 회수율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KR 10-0676180 B1 (2007.01.24) KR 10-2004-0089023 A (2004.10.20) KR 10-2011-0085807 A (2011.07.27) KR 20-2000-0016280 U (2000.08.25)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개방된 뚜껑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뚜껑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로부터 손이 비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된 뚜껑이 몸통과 같이 수거되도록 하여 탭 고리의 회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는,
몸통의 바닥에 뚜껑이 삽입되는 포켓을 구비하되,
상기 포켓은 바닥의 가장자리 절반 이하에 거쳐 부착되는 수납 커버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 커버는 개방부가 몸통 가장자리와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 커버는 개방부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뚜껑 삽입 완료시 오목부로 탭 고리가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은 가장자리에 단턱을 일부 형성하여 탭 고리가 걸림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통의 바닥에 뚜껑이 삽입되는 포켓을 구비하되,
상기 포켓은 바닥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닥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바닥과 이격된 다수의 단턱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는 개방된 뚜껑을 바닥에 삽입하여 날카로운 가장자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을 비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와 함께 탭을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의 저면 사시도.
도 4a, 4b, 4c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a, 4b, 4c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는 원통 형의 몸통(1)과, 몸통(1)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2)과, 몸통(1) 상부에 구비되며 원형의 절취홈(H)에 의해 구획된 뚜껑(3)과, 뚜껑(3)에 리벳 결합되는 탭 고리(4)로 구성된다.
상기 몸통(1)의 바닥(2)에 포켓(10)을 구비하여 개방된 뚜껑(3)이 포켓(10)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포켓(10)은 원판 모양의 수납 커버(11)가 바닥(2) 가장자리에 부착됨으로써 수납 커버(11)와 바닥(2) 사이에 포켓(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 커버(11)는 가장자리 절반 또는 그 이하만 바닥(2)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그 부착되지 않는 타단은 개방되어 이곳을 통해 뚜껑(3)이 삽입된다. 그리고 개방된 부분은 가장자리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시킴으로써 가장자리에 턱이 높게 형성된 캔 용기의 경우 뚜껑(3)의 초기 삽입이 용이토록 한다. 또한, 개방된 부분에 'V'형의 오목부(5)를 형성하여 뚜껑(3) 삽입시 탭 고리(4)가 이곳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완전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개방된 부분의 바닥(2) 가장자리에는 바닥(2)으로부터 살짝 이격된 단턱(6)을 일부 형성하여 삽입된 뚜껑(3)의 탭 고리(4)가 걸림되도록 한다. 여기서 단턱(6)의 내면에 완만한 돌부를 형성하면 탭 고리(4)의 걸림이 더욱 확실해진다. 이와 같이 단턱(6)에 탭 고리(4)가 삽입된 뚜껑(3)은 개방부를 통해 역으로 빠지지 않는다. 특히 대부분의 뚜껑(3)은 개방시 휘어지기 마련인데 이와 같이 휘어진 뚜껑(3)의 경우 단턱(6)이 없으면 개방부로 노출된 부분이 들림으로써 쉽게 빠지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탭 고리(4)를 고정하는 단턱(6)이 구비됨으로써 휘어진 뚜껑(3)이더라도 빠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의 수납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탭 고리(4)에 손가락을 넣어 뚜껑(3)을 개방하고 몸통(1)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 개방된 뚜껑(3)을 포켓(10)에 삽입하기 위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커버(11)의 개방부에 삽입한다. 이때, 탭 고리(4)의 반대쪽부터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뚜껑(3) 삽입 완료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 고리(4)가 오목부(5)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 고리(4)를 회전시켜 단턱(6) 내로 탭 고리(4)의 일단이 위치하도록 하여 걸림되도록 한다. 탭 고리(4)가 단턱(6)에 걸림되면 삽입된 뚜껑(3)은 다시 빠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몸통(1)의 포켓(10)에 뚜껑(3)이 삽입됨으로써 뚜껑(3)의 가장자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손을 비는 사고가 방지되고 뚜껑(3)의 회수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의 바닥(2)에 뚜껑(3)이 삽입되는 포켓(10)을 구비하되, 상기 포켓(10)은 다수의 단턱(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단턱(12)은 바닥(2)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닥(2)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며 바닥(2)과 살짝 이격된다. 여기서 이격되는 수치는 뚜껑(3)이 끼워질 수 있는 수치이면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단턱(12)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하면 되나 세 개 또는 네 개를 형성함이 삽입과 탈착 방지에 효과적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뚜껑(3)을 어느 일 방향으로부터 단턱(12)에 삽입하되, 먼저 서로 마주보는 양 단턱(12)부터 뚜껑(3)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슬라이딩되고 또 다른 하나의 단턱(12)에 삽입되는 말단이 끼워지며 마지막 부분은 뚜껑(3)을 살짝 휘어 나머지 단턱(12)에 밀어 끼운 후 탭 고리(4)를 회전시켜 단턱(12)에 끼워 고정하여 완료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는 단순히 단턱(12)만 형성하면 되므로 제조비가 매우 저렴하다.
1 : 몸통 2 : 바닥 3 : 뚜껑
4 : 탭 고리 5 : 오목부 6, 12 : 단턱
10 : 포켓 11 : 수납 커버 H : 절취홈

Claims (6)

  1. 몸통(1)의 바닥(2)에 개방된 뚜껑(3)이 삽입되는 포켓(10)을 구비하되, 상기 포켓(10)은 바닥(2)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닥(2)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바닥(2)과 이격된 다수의 단턱(12)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
  2. 몸통(1)의 바닥(2)에 개방된 뚜껑(3)이 삽입되는 포켓(10)을 구비하되, 상기 포켓(10)은 바닥(2)의 가장자리 절반 이하에 거쳐 부착되는 수납 커버(1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바닥(2)은 가장자리에 단턱(6)을 형성하여 탭 고리(4)가 걸림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59539A 2012-06-04 2012-06-04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 KR101215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539A KR101215707B1 (ko) 2012-06-04 2012-06-04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539A KR101215707B1 (ko) 2012-06-04 2012-06-04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707B1 true KR101215707B1 (ko) 2012-12-26

Family

ID=4790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539A KR101215707B1 (ko) 2012-06-04 2012-06-04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7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088A (ja) 2000-10-27 2002-05-09 Masaji Hara 贈答缶および贈答缶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088A (ja) 2000-10-27 2002-05-09 Masaji Hara 贈答缶および贈答缶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709B2 (en) Child-resistant package
EP2902341B1 (en) Storage container
KR20090031063A (ko) 셀러드볼 밀폐용기의 뚜껑
US20150122817A1 (en) Container with an insert and a lid
KR101215203B1 (ko) 슬라이드 개폐식 식품용기
KR101215707B1 (ko) 뚜껑 회수가 용이한 안전 캔 용기
JP6716448B2 (ja) 抽出容器
KR101934693B1 (ko) 개폐가 용이한 캔 용기용 커버
CN208842940U (zh) 汇集食品碎屑型吸塑包装盒
KR200478678Y1 (ko) 안전 캔
KR100934229B1 (ko) 밀폐용기
CN211568550U (zh) 翻盖式包装盒
KR101458319B1 (ko) 캔 오프너
JP2019069814A (ja) 容器の開栓補助機能付き係止具
KR20130001425U (ko) 음식물 쓰레기 용기용 납부필증 고정구
JP4570036B2 (ja) 包装容器
JP4921541B2 (ja) 運搬容器
KR20100006068U (ko) 안전 원터치 캔
KR10074363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JP3621920B2 (ja) 容器構造
JP5480724B2 (ja) 容器のキャップ
KR200479762Y1 (ko) 사기도박방지용 카드제품
KR200246279Y1 (ko) 물티슈 겸용 분통
JP3106762U (ja) 納豆容器
KR101483483B1 (ko) 카트리지 타입 블리스터 포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