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088B1 - 차량용 태그 - Google Patents

차량용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088B1
KR101215088B1 KR1020110035886A KR20110035886A KR101215088B1 KR 101215088 B1 KR101215088 B1 KR 101215088B1 KR 1020110035886 A KR1020110035886 A KR 1020110035886A KR 20110035886 A KR20110035886 A KR 20110035886A KR 101215088 B1 KR101215088 B1 KR 10121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ag
control unit
movement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370A (ko
Inventor
민세홍
오연진
이향진
Original Assignee
계영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영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계영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1003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08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9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application selection, e.g. an acceleration sensor or a set of radio butt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 G06K19/0705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the battery being connected to a power saving arran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움직임이 있을 때와 움직임이 없을 때를 구분하여 태그에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가 자동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차량용 태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가속도검출부, 가속도검출부에서 인가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지 혹은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여 근거리 통신을 위해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로 송출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태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태그{VEHICLES TAG}
본 발명은 차량용 태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움직임이 있을 때와 움직임이 없을 때를 구분하여 태그에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가 자동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차량용 태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급속한 증가로 주차장의 확보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물에 대하여 주차 공간의 확보를 법규로 의무화하고 있다.
대단지 아파트, 대형마트, 백화점, 쇼핑몰, 대형병원 등은 건물의 대형화에 따라 주차장도 복층 및 대형화로 설치되고 있으며, 불법 주차를 방지하기 위해 주차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대형화된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 운전자는 주차 위치를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만일, 주차 위치를 정확히 기억하지 못할 경우 주차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불필요한 주차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 관리 시스템에 주차 위치를 추적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특정된 주차 구역별로 카메라를 설치하여 주차된 차량 번호와 주차 위치를 인식하여 저장하고, 차량 번호의 입력에 따라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번호의 인식은 낮은 인식율이 제공되고, 카메라의 사각 등을 감안하여 많은 수량의 카메라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일 예로, 주차장의 지정된 위치에 무선 중계기를 설치하고, 임의의 주차 공간에 주차가 완료되는 경우 운전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차 위치를 인식시키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주차 위치의 인식을 위해서는 운전자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버튼을 반드시 구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에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움직일 때와 움직이지 않을 때를 구분하여 태그에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자동 송출될 수 있는 차량용 태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주차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가속도 변화가 검출되면 태그에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가 송출되어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통지될 수 있는 차량용 태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가속도검출부; 가속도검출부에서 인가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지 혹은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여 근거리 통신을 위해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로 송출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태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움직임 검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 주차상태로 판단하여 절전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주차상태에서 가속도검출부로부터 가속도의 변화가 검출되면 주차된 차량에 외부 충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1차 전지, 2차 전지, 차량용 배터리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가 차량용 배터리로 적용되는 경우 배터리 전압을 설정된 전압으로 다운시키는 트랜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태그는 가속도 검출을 통해 차량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만 태그에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가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주차 위치의 확인에 신뢰성 및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차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따른 가속도 변화가 검출되는 경우 태그에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송출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움직이 없는 상태에서는 절전모드를 실행하여 한정된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그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속도검출부(11)와 버튼입력부(12), 제어부(13), 전원부(14) 및 무선통신부(15)를 포함한다.
가속도검출부(11)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의 변화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3)에 인가한다.
버튼 입력부(12)는 비상 알람용 버튼으로, 운전자에 의한 버튼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서비스 지역내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제어부(13)에 인가한다.
제어부(13)는 가속도검출부(11)에서 인가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 상태인지 혹은 정지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13)는 가속도검출부(11)를 통해 차량의 움직임 검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자동으로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13)는 가속도검출부(11)를 통해 차량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주차상태로 판단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여 전원의 소비를 최소화시킨다.
상기 제어부(13)는 주차상태에서 가속도검출부(11)를 통해 가속도의 변화가 검출되면 주차된 차량에 외부 충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송출시켜 운전자(소유자)의 신속한 대응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3)는 버튼 입력부(12)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서비스 지역내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인지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송출시켜 신속한 대응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전원부(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태그의 동작 실행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14)는 1차 전지 혹은 2차 전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는 차량용 배터리의 전원이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배터리 전압을 설정된 전압, 예를 들어 3V 내지 5V의 전압으로 다운시키는 트랜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5)는 상기 제어부(13)에서 인가되는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설정된 방식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한 다음 근거리 통신을 위해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로 송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차량용 태그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태그가 장착된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여 주차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가속도검출부(11)는 차량의 이동에 따른 움직임을 검출하여 제어부(13)에 인가한다.
제어부(13)는 가속도검출부(11)로부터 차량의 움직임이 인식됨에 따라 메모리 영역에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엑세스하여 무선통신부(15)에 제공한다.
무선통신부(15)는 제어부(13)에서 인가되는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설정된 방식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한 다음 근거리 통신을 위해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로 송출시킨다.
따라서, 주차장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수신기는 차량용 태그에서 송출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관제센터에 설치된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이동에 따른 움직임 인식에 따라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송출하는 상태에서 차량이 임의의 장소에 주차가 완료되면 더 이상 차량의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가속도검출부(11)는 차량의 움직임이 발생되고 있지 않다는 정보를 제어부(13)에 통지한다.
따라서, 제어부(13)는 메모리 영역에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의 송출 동작을 완료하고, 절전모드로 진입하여 전력 소비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주차되어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의 송출이 중지되고, 절전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주차상태에서 외부의 요인에 의해 차량에 충격이 인가되면 가속도검출부(11)에 가속도의 변화(차량의 움직임)가 검출된다.
따라서, 제어부(13)는 가속도검출부(11)에 인가되는 가속도 변화의 정보에 따라 주차된 차량에 외부의 요인에 의해 충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송출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신속한 대응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 버튼 입력부(12)로부터 운전자가 선택한 키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13)는 비상 상황의 발생에 따른 운전자의 긴급 요청으로 판단하여 비상 상황의 발생 정보를 송출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그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태그(10), 상기 차량용 태그(10)와 설정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되는 수신기(20), 상기 수신기(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30), 서버(30)와 연결되어 세대내에 설치되는 월패드(40) 및 서버(30)와 연결되는 주차관리용 키오스크(5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태그(10)는 고유의 아이디가 부여되어 차량내에 설치되 가속도의 변화로부터 차량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근거리 통신을 위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무선통신으로 송출한다.
주차장의 특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수신기(20)는 상기 차량용 태그(10)에서 송출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수신하면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30)에 전송한다.
서버(30)는 상기 수신기(2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차량의 위치로 인식하며, 최종적으로 인식된 차량의 위치를 주차 위치로 확정하여 저장한다.
이후, 서버(30)는 차량정보 데이터로부터 해당 세대 월패드(40)의 IP를 추출하여 세대내에 설치되는 월패드(40)를 통해 차량의 주차 위치를 설정된 방식으로 표출시켜 운전자 및 세대원이 주차된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30)는 주차관리용 키오스크(50)에 차량의 주차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검색에 의해 주차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월패드(40)는 주차장에 설치되는 CCTV와 연동하여 주차된 차량을 표시할 수 있어, 세대원의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된 차량에서 가속도 변화가 발생되면 차량용 태그(1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송출한다.
따라서, 수신기(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수신하여 서버(30)에 전송하며, 서버(30)는 주차된 차량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가속도 변화가 발생되었음을 해당 세대내의 월패드(40)에 통지하여 운전자 및 세대원이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월패드(40)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니, 운전자 혹은 세대원이 미리 등록한 연락처(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에 통지하는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 : 가속도검출부 12 : 버튼입력부
13 : 제어부 14 : 전원부
15 : 무선통신부

Claims (7)

  1. 차량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가속도검출부; 등록된 데이터(태크 아이디)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가속도검출부에서 인가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지 혹은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여 근거리 통신을 위해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로 송출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태크에 있어서,
    비상 상황의 발생시 운전자의 긴급 호출 요구를 제어부에 인가되는 버튼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움직임이 있을 때와 움직임이 없을 때를 구분하고, 차량의 움직임 검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송출하고,
    주차상태에서 가속도검출부로부터 가속도의 변화가 검출되면 주차된 차량에 외부 충격이 발생 된 것으로 판단하여 등록된 데이터(태그 아이디)를 송출하며,
    상기 전원부는 1차 전지나 2차 전지 혹은 차량용 배터리로 적용될 수 있고, 차량용 배터리가 적용되는 경우 배터리 전압을 설정된 전압(3V 내지 5V)으로 다운시키는 트랜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태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035886A 2011-04-18 2011-04-18 차량용 태그 KR10121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886A KR101215088B1 (ko) 2011-04-18 2011-04-18 차량용 태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886A KR101215088B1 (ko) 2011-04-18 2011-04-18 차량용 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370A KR20120118370A (ko) 2012-10-26
KR101215088B1 true KR101215088B1 (ko) 2012-12-24

Family

ID=4728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886A KR101215088B1 (ko) 2011-04-18 2011-04-18 차량용 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231B1 (ko) * 2014-06-13 2016-03-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측위를 위한 신호 송출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태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166A (ja) 2004-09-29 2006-04-13 Doshisha 移動体検出システム、及び、移動体検出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166A (ja) 2004-09-29 2006-04-13 Doshisha 移動体検出システム、及び、移動体検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370A (ko)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456B1 (ko) 아파트에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7251122B (zh) 用于运行传感器设备的方法和传感器设备
CN103714676A (zh) 装置自动开关控制系统及其方法
US10849072B1 (en) Tracking device battery conservation
US10417853B2 (en) Park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rking system
US11335199B2 (en) Parking control system, parking control method, and mobile robot device
KR20130131574A (ko)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215088B1 (ko) 차량용 태그
JP5396442B2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90042189A (ko) 주차면 관리 시스템
KR20160021554A (ko) 주차 구역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380958B1 (ko)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77651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0020892A (ja) 駐車場管理装置および方法
KR20090090869A (ko) 무선 경비 장치 및 방법
KR20110138711A (ko) 보안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5338A (ko) 임펄스 레이더를 이용한 주차장 자동 제어 시스템
EP3828114B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detecting an out-of-operation state of an elevator system
KR20120094374A (ko) Rfid 태그를 이용하는 차량인식장치 및 그를 이용한 주차관리방법
KR101557976B1 (ko) 원격 주차 위치 확인 장치
KR101116685B1 (ko)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JP2011141581A (ja) 車内異常通知システム
KR102452997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5108999A (ja) 動態管理システム
KR101754180B1 (ko)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주차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