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685B1 -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685B1
KR101116685B1 KR1020100013130A KR20100013130A KR101116685B1 KR 101116685 B1 KR101116685 B1 KR 101116685B1 KR 1020100013130 A KR1020100013130 A KR 1020100013130A KR 20100013130 A KR20100013130 A KR 20100013130A KR 101116685 B1 KR101116685 B1 KR 101116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us
parking
vehicl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223A (ko
Inventor
안대원
서덕재
김현우
김영모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6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본 발명의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제1모드에서 버스 베이 존에 대해 불법 주정차를 단속하여 단속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제2모드에서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 지역에서 감지된 차량에 대한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 상기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로부터 단속정보 또는 차량 데이터를 수신받아 중계하는 중계기;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로부터 단속정보 또는 차량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상기 단속정보 수신되면 상기 단속정보에 따른 불법 주정차 고지를 이행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버스 베이 존에서 미리 등록된 버스가 정차하지 않았거나, 상기 버스 베이 존에서 미리 등록되지 않은 차량이 주정차하는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단속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속정보에 따른 불법 주정차 고지를 이행하는 관제센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는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영역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를 토대로 미리 등록된 버스가 버스 베이 존에 정차하는지 않았는지, 상기 버스 베이 존에 미리 등록되지 않은 차량이 주정차하는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단속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는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마다 상기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 영역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를 토대로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센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CURBING A ILLEGAL PARKING FOR BUS BAY ZONE}
본 발명은 주정차 단속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처리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주정차 단속을 이행하는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널리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주정차 금지 영역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를 처리하여 미리 정해둔 시간 이상 정지한 차량을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감지하여 단속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버스의 무질서한 정차에 의해 교통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승객의 승하차시의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버스 베이 존(BUS BAY ZONE)을 마련하고 있으나, 버스들은 여전히 임의의 장소에 정차하여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고 있다. 상기 버스의 운전자들이 버스 베이 존에 정차하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는 상기 버스 베이 존에 일반 차량들이 주정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 버스 베이 존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버스 베이 존에 정차하지 않는 버스와 더불어 상기 버스 베이 존에 주정차하는 차량에 대해 동시에 단속할 수 있는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버스 베이 존에 정차하지 않는 버스와 더불어 상기 버스 베이 존에 주정차하는 차량에 대한 단속을 동시에 이행하는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버스 베이 존에 설치되어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마다 촬상장치를 구동하여 단속을 이행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함은 물론이며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충전을 이행하는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제1모드에서 버스 베이 존에 대해 불법 주정차를 단속하여 단속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제2모드에서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 지역에서 감지된 차량에 대한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 상기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로부터 단속정보 또는 차량 데이터를 수신받아 중계하는 중계기;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로부터 단속정보 또는 차량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상기 단속정보 수신되면 상기 단속정보에 따른 불법 주정차 고지를 이행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버스 베이 존에서 미리 등록된 버스가 정차하지 않았거나, 상기 버스 베이 존에서 미리 등록되지 않은 차량이 주정차하는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단속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속정보에 따른 불법 주정차 고지를 이행하는 관제센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는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영역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를 토대로 미리 등록된 버스가 버스 베이 존에 정차하는지 않았는지, 상기 버스 베이 존에 미리 등록되지 않은 차량이 주정차하는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단속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는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마다 상기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 영역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를 토대로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센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버스 베이 존에 정차하지 않는 버스에 대한 단속과 더불어 상기 버스 베이 존에 주정차하는 차량에 대한 단속을 동시에 이행하여 버스 베이 존의 활용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곳에서는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마다 촬상장치를 구동하여 단속을 이행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함은 물론이며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충전을 이행하여 전력 수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방법의 흐름도.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버스 베이 존에 설치된 제1 내지 제N주정차 단속 단말기(1001,1002~100N)와, 상기 제 내지 제N주정차 단속 단말기(1001,1002~100N)로부터의 단속정보를 중계하는 중계기(102)와, 상기 중계기(102)를 통해 단속정보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관제센터(10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N주정차 단속 단말기(1001,1002~100N)는 전력공급 원활지역을 위한 제1모드와 전력공급 제한지역을 위한 제2모드를 구비한다.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주정차 단속 단말기(1001,1002~100N)는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지역을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상하여 감시하며, 상기 버스 베이 존으로 차량이 접근하면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차량 데이터를 토대로 버스 베이 존에서의 불법 주정차를 감지하여 불법 주정차에 대한 단속 정보를 생성하여 중계기(102)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속 정보에는 단속 정보 식별정보,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상정보, 시각정보, 장소정보, 차량번호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주정차 단속 단말기(1001,1002~100N)는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마다 촬상장치를 온하여 웨이크업시켜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지역을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촬상하고, 상기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지역을 촬상한 촬상정보로부터 버스 베이 존을 지나거나 정지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차량 데이터를 중계기(102)로 제공한다. 상기 차량 데이터는 차량 데이터 식별정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촬상정보, 시각정보, 장소정보, 차량번호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주정차 단속 단말기(1001,1002~100N)는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지역에 차량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촬상장치를 오프하여 슬립시킨다. 또한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주정차 단속 단말기(1001,1002~100N)는 솔라 모듈을 통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하여, 구동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중계기(102)는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제1 내지 제N주정차 단속 단말기(1001,1002~100N)로부터 단속 정보 또는 차량 데이터를 수신받아 취합하여 관제 센터(104)로 전송한다.
상기 관제 센터(104)는 상기 중계기(102)를 통해 제1모드로 동작하는 주정차 단속 단말기로부터 단속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단속 정보에 따른 단속 고지서를 발행한다.
또한 상기 관제 센터(104)는 상기 중계기(102)를 통해 차량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데이터가 미리 등록된 버스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가 미리 등록된 버스인 경우에는 버스 베이 존에서 정지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단속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가 미리 등록된 버스가 아니며 상기 버스 베이 존에서 정지하면, 상기 차량 데이터에 따른 차량에 대한 차량 데이터가 기 등록되었는지를 토대로 불법 주정차를 판별하여 단속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단속 여부를 결정한 후에 상기 관제센터(104)는 단속 고지서를 SMS 등을 토대로 경찰청 시스템은 물론이고, 단속 대상 차량의 소유주가 미리 등록해둔 휴대 단말기로 통지하거나, 버스 회사 시스템 등으로 통지한다.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단말기>
상기 제1 내지 제N주정차 단속 단말기(1001,1002~100N)는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이하 어느 한 주정차 단속 단말기에 대해서만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는 제어모듈(200), 촬상장치(202), 통신모듈(204), 메모리부(206), 차량 감지부(208), 솔라모듈(210), 충전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의 구성 중 차량 감지부(208), 솔라모듈(210), 충전부(212)의 구성은 제2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으로,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가 제1모드로만 사용될 경우에는 생략가능하다.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구동한다.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제어모듈(200)은 촬상장치(202)를 구동하여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에 위치하는 다수의 차량을 감지하고, 상기 다수의 차량 중 미리 등록된 버스에 대해서는 버스 베이 존에서 정차하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다수의 차량 중 미리 등록된 버스가 아닌 차량에 대해서는 버스 베이 존에서 불법 주정차하는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단속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모듈(204)을 통해 중계기(102)로 전송한다.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제어모듈(200)은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마다 촬상장치(202)를 구동하여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에 위치하는 다수의 차량을 촬상하여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204)을 통해 중계기(102)로 전송한다.
상기 촬상장치(202)는 상기 제어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온되며, 촬상영역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베이 존(BB) 및 그 주변 영역이다.
상기 통신모듈(204)은 상기 제어모듈(200)의 요청에 따라 단속 정보 또는 차량 데이터를 중계기(102)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부(106)는 상기 제어모듈(200)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부(106)는 주정차 단속 단말기의 설치위치 등에 대한 정보는 물론이고, 촬상정보, 단속정보, 차량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차량 감지부(208)는 제2모드로의 동작을 위해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차량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모듈(200)로 통지한다.
상기 솔라 모듈(210)은 제2모드로의 동작을 위해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부(212)로 공급한다.
상기 충전부(212)는 제2모드로의 동작을 위해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솔라 모듈(210)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여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의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는 설치자에 의한 설정 또는 관제센터의 원격 명령에 따라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동작한다.
<제1모드에 따른 주정차 단속 단말기의 동작>
먼저 상기 제1모드에 따른 주정차 단속 단말기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의 제어모듈(200)은 촬상장치(202)를 토대로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 영역에 대한 감시를 이행한다(300단계)). 상기 감시를 위해 촬상영역내의 차량의 번호판을 다중으로 검출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200)은 촬상정보로부터 미리 등록된 버스 차량의 번호판이 감지되는지를 체크한다(302단계). 상기 미리 등록된 버스 차량의 번호판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모듈(200)은 연속되어 입력되는 촬상정보를 토대로 해당 차량이 버스 베이 존에 정차하는지를 체크한다(304단계). 즉, 버스 베이 존에 일정시간 이상 정지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미리 등록된 버스 차량이 버스 베이 존에 일정시간 이상 정지하면 합법한 버스운행으로 판단하고 다시 버스 베이 존에 대한 감시를 계속한다.
이와 달리 상기 미리 등록된 버스 차량이 버스 베이 존에 일정시간 미만으로 정지하는 경우에는 불법한 버스운행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에 대해 단속정보를 생성한다(306단계). 상기 단속정보는 단속정보 식별정보, 단속종류정보, 촬상정보, 시각정보, 장소정보, 차량번호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속종류정보로는 버스 불법 정차, 버스 베이 존 내의 불법 주차, 버스 베이 존 내의 불법 정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대한 단속 정보가 생성된 후에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단속 정보를 관제 센터(104)로 전송하여, 상기 단속 정보에 따른 고지를 이행토록 한다(308단계).
상기 버스 베이 존 감시시에 상기 제어모듈(200)은 미리 등록된 버스 차량이 아닌 차량이 상기 버스 베이 존에 정지하는지를 체크한다(310단계).
상기 버스 베이 존에 미리 등록되지 않은 차량이 정지하면, 상기 제어모듈(200)은 정차 단속 규정 시간 또는 주차 단속 규정 시간 이전에 인식된 정지차량인지를 체크한다.
상기 정차 단속 규정 시간 또는 주차 단속 규정 시간 이전에 인식된 정지 차량이면, 상기 제어모듈(200)은 해당 차량에 대해 버스 베이 내 불법 주정차 단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단속 정보를 관제 센터(104)로 전송하여, 상기 단속 정보에 따른 고지를 이행토록 한다(308단계).
이와 달리 상기 정차 단속 규정 시간 또는 주차 단속 규정 시간 이전에 인식된 정지 차량이 아니면,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임시저장한다(314단계). 상기 차량 데이터는 적어도 촬상정보, 시각정보,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 공급이 원활한 지역에서는 제1모드로 동작하여 촬상장치를 통해 버스 베이 존에 대한 감시 및 불법 주정차 단속을 이행하며, 단속정보까지 생성하여 관제 센터(104)에 제공한다. 이로서 관제 센터(104)의 부하를 절감하면서도 고품위의 불법 주정차 단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2모드에 따른 주정차 단속 단말기의 동작>
먼저 상기 제2모드에 따른 주정차 단속 단말기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의 제어모듈(200)은 현재 시각이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인지를 체크한다(300단계). 여기서, 상기 제2모드에 따른 동작 구간은 제1시간동안의 웨이크업 구간과 제2시간동안의 슬립 구간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게 설정될 수 있다.
현재 시각이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에 속하면, 상기 제어모듈(200)은 촬상장치(202)를 웨이크업하여 촬상을 이행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로부터 다중 번호판 인식을 이행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를 관제 센터(104)로 전송한다. 상기 차량 데이터는 적어도 촬상정보, 시각정보, 차량번호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00)은 현재 시각이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촬상장치(202)를 슬립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제2모드로 동작하여 웨이크업 구간마다 촬상장치를 구동시켜 촬상을 이행하여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제센터(104)로 전송하게 구성하고, 차량 데이터를 제공받는 관제센터(104)가 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속여부를 결정하여 단속정보를 생성하도록 구현하였다. 이로서 전력 수급이 제한된 지역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면서도 고품위의 불법 주정차 단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2모드에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시키기 위해 제어모듈이 차량 데이터의 생성 이외의 동작을 이행하지 않는 것으로 개시하였으나, 관제센터(104)의 부하 절감을 고려하여 제2모드에서도 단속정보를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1001,1002~100N : 주정차 단속 단말기
102 : 중계기
104 : 관제센터

Claims (6)

  1.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 있어서,
    제1모드에서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영역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를 토대로 미리 등록된 버스가 버스 베이 존에 정차하지 않았거나, 상기 버스 베이 존에 미리 등록되지 않은 차량이 주정차하는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단속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제2모드에서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마다 상기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 영역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를 토대로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
    상기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로부터 단속정보 또는 차량 데이터를 수신받아 중계하는 중계기;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로부터 단속정보 또는 차량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상기 단속정보 수신되면 상기 단속정보에 따른 불법 주정차 고지를 이행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버스 베이 존에서 미리 등록된 버스가 정차하지 않았거나, 상기 버스 베이 존에서 미리 등록되지 않은 차량이 주정차하는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단속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속정보에 따른 불법 주정차 고지를 이행하는 관제센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는,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마다 상기 촬상을 위한 촬상장치를 웨이크업시키고,
    상기 웨이크업 구간이 아니면 상기 촬상을 위한 촬상장치를 슬립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는,
    상기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영역에 대한 촬상정보에 대해 다중 번호판 인식을 이행하여 차량번호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단속정보에는 단속종류정보, 촬상정보, 차량번호정보, 시각정보, 장소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차량 데이터에는 촬상정보, 차량번호정보, 시각정보, 장소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4.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 각각이, 제1모드에서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영역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를 토대로 미리 등록된 버스가 버스 베이 존에 정차하지 않았거나, 상기 버스 베이 존에 미리 등록되지 않은 차량이 주정차하는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단속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제2모드에서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마다 상기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 영역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를 토대로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중계기가, 상기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로부터 단속정보 또는 차량 데이터를 수신받아 중계하는 단계;
    관제 센터가,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다수의 주정차 단속 단말기로부터 단속정보 또는 차량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상기 단속정보 수신되면 상기 단속정보에 따른 불법 주정차 고지를 이행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버스 베이 존에서 미리 등록된 버스가 정차하지 않았거나, 상기 버스 베이 존에서 미리 등록되지 않은 차량이 주정차하는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단속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속정보에 따른 불법 주정차 고지를 이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는,
    미리 정해둔 웨이크업 구간마다 상기 촬상을 위한 촬상장치를 웨이크업시키고,
    상기 웨이크업 구간이 아니면 상기 촬상을 위한 촬상장치를 슬립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 단속 단말기는,
    상기 버스 베이 존 및 그 주변영역에 대한 촬상정보에 대해 다중 번호판 인식을 이행하여 차량번호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단속정보에는 단속종류정보, 촬상정보, 차량번호정보, 시각정보, 장소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차량 데이터에는 촬상정보, 차량번호정보, 시각정보, 장소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방법.
KR1020100013130A 2010-02-12 2010-02-12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116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130A KR101116685B1 (ko) 2010-02-12 2010-02-12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130A KR101116685B1 (ko) 2010-02-12 2010-02-12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223A KR20110093223A (ko) 2011-08-18
KR101116685B1 true KR101116685B1 (ko) 2012-03-07

Family

ID=4492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130A KR101116685B1 (ko) 2010-02-12 2010-02-12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637B1 (ko) 2018-07-10 2019-06-27 장승현 버스 정보 안내기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43B1 (ko) * 2012-12-24 2013-04-23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영역 감시기능을 구비한 차량 탑재형 카메라 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97B1 (ko) * 2007-03-15 2008-03-10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버스를 이용한 버스전용차로 위반차량의 단속방법
KR100970495B1 (ko) 2010-02-04 2010-07-16 대전광역시 버스베이에서의 불법 주정차 차량 계도 및 단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도 및 단속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97B1 (ko) * 2007-03-15 2008-03-10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버스를 이용한 버스전용차로 위반차량의 단속방법
KR100970495B1 (ko) 2010-02-04 2010-07-16 대전광역시 버스베이에서의 불법 주정차 차량 계도 및 단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도 및 단속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637B1 (ko) 2018-07-10 2019-06-27 장승현 버스 정보 안내기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223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27617B (zh) 非电动汽车充电位阻拦装置
JP5220919B2 (ja) ループコイルを用いた一体型ループ式車両検知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駐車情報システム
CN108881834A (zh) 商用车远程摄像监控系统及其方法
CN107592504A (zh) 一种实现智能监测车辆异常并进行录像的系统及方法
CN204252043U (zh) 智慧车辆道闸控制系统
KR101874479B1 (ko) 전기차 충전 시스템
CN110155065B (zh) 一种基于车路协同的能耗控制方法、系统及汽车
CN204904595U (zh) 基于zigbee RSSI车位检测的路边停车系统
JP2010277420A (ja) 駐車場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車載用装置
CN102074111A (zh) 一种车辆超高检测报警装置
CN103581527A (zh) 一种安防系统中的跟踪摄像方法、装置及安防主机
KR101116685B1 (ko) 버스 베이 존에 대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0217A (ko) 레이다를 활용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감시 장치 및 방법
US11854354B2 (en) Mobile control unit, facility management system, mobile unit control system,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mobile unit control method
CN209803992U (zh) 一种电子警察设备
KR101859329B1 (ko) 주정차 단속 시스템
TWM633552U (zh) 地磁智慧停車系統及裝置
CN212781222U (zh) 车辆损伤监控系统
CN112938675B (zh) 用于检测电梯系统的不运行状态的系统和方法
JP2008191914A (ja) 路車間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205281788U (zh) 非电动汽车充电位阻拦装置
TW201934976A (zh) 具有電池電壓變化偵測功能的車載裝置
KR100632228B1 (ko) 전원 차단시 저장 시간을 연장시켜 주는, 저장장치 일체형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0939796B1 (ko) 사각지대의 주정차 위반 단속이 가능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3689579U (zh) 一种带视频采集功能的自动巡查考勤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