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296B1 -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296B1
KR101214296B1 KR1020120044396A KR20120044396A KR101214296B1 KR 101214296 B1 KR101214296 B1 KR 101214296B1 KR 1020120044396 A KR1020120044396 A KR 1020120044396A KR 20120044396 A KR20120044396 A KR 20120044396A KR 101214296 B1 KR101214296 B1 KR 101214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wire
ring
wiring
sli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엽
Original Assignee
김준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엽 filed Critical 김준엽
Priority to KR102012004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revolving w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08Sli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3Structural associations of sli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이 지나가는 장비의 개폐부분에 설치되는 힌지 장치로서, 문틀과 문짝에 각각 고정되고, 배선이 지나가는 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와; 제1 및 제2 고정부 사이에서 제1 및 제2 고정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전부; 및 회전부 내에 구비되고, 내부로 배선이 인입되는 절연 재질의 몸체, 배선이 연결되는 전도체부, 전도체부 간의 구분을 위해 구비되는 절연체부, 및 몸체와 전도체부와 절연체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슬립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통신, 통전 및 원격 제어 등이 요구되는 모든 개폐 부분에 적용되어, 화재, 폭발, 부주의, 노후 등으로 인한 사고 발생 시, 노출되어 있는 배선의 손상으로 인한 단선, 단락, 부식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HINGE APPARATUS COMPRISING SLIP RING}
본 발명은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선이 지나가는 장비의 동작부분에 설치되고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장비에 있어서, 개폐구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비들이 있다. 이러한 경우, 개폐구에는 제어를 위한 배선이 지나가게 된다. 즉, 개폐구의 온오프 작동 또는 다양한 신호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문틀과 문짝 사이에 구비되는 힌지 부분을 지나가도록 배선이 구비된다.
차량의 경우, 문틀에 해당하는 차체와 문짝에 해당하는 문 사이, 차체와 트렁크 사이, 차체와 테일 게이트(tail gate) 사이 등에 배선이 구비된다. 이 때, 배선은 주름관 형상의 고무 튜브를 통해 노출된 채로 구비된다.
그리고 화학물질 보관실, 의약품 보관실, 위험물 보관실 등 보안을 요하는 다양한 용도의 개폐구에도 각종 잠금 장치와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들이 장착되고, 각 장치에 통신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선이 노출되는 경우, 화재, 침수, 충격, 폭발, 화학물질 유출, 부주의 등의 사고가 발생되면, 단선, 단락, 부식,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모든 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선이 노출됨으로 인한 문제점이 해결되도록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배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 장치를 원격으로도 제어할 수 있는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지나가는 장비의 개폐부분에 설치되는 힌지 장치는, 문틀과 문짝에 각각 고정되고, 배선이 지나가는 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 내에 구비되고, 내부로 상기 배선이 인입되는 절연 재질의 몸체, 상기 배선이 연결되는 전도체부, 상기 전도체부 간의 구분을 위해 구비되는 절연체부, 및 상기 몸체와 전도체부와 절연체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슬립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는, 상기 통로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는, 상기 배선과 연결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기어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을 통해 상기 구동 모터 및 기어 박스가 구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가 회동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의 상기 슬립링은, 상기 몸체에 번갈이 끼워지는 전도체링 및 절연체링을 포함하고, 인입되는 배선은 상기 전도체링에 용접되며, 인출되는 배선이 연결되는 회전 접촉자를 포함하는 구성; 또는 상기 몸체에 끼워지는 이중 전도체링 및 절연체링, 상기 몸체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중 전도체링에 밀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 전도체링에서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전도체링은 인입 배선이 용접되고, 상부에 구비되는 제2 전도체링은 인출 배선이 용접되는 구성; 또는 상기 몸체에 에칭(etching) 작업으로 도금을 하여 형성되는 전도체부를 포함하고, 인입되는 배선은 상기 전도체부에 도금 또는 융착되며, 인출되는 배선이 연결되는 회전 접촉자를 포함하는 구성; 또는 링 형상으로 요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요부에 각각 끼워지는 전도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 스프링의 일단에 인입 배선이 용접되고, 타단에 인출 배선이 용접되는 구성; 중 어느 하나인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통신, 통전 및 원격 제어 등이 요구되는 모든 개폐 부분에 적용되어, 배선이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화재, 폭발, 부주의, 노후 등으로 인한 사고 발생 시, 노출되어 있는 배선의 손상으로 인한 단선, 단락, 부식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다양한 개폐구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장치와 연결되어 각 장치들이 작동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자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동 모터와 기어 박스를 더 구비하여, 원격으로도 개폐구의 제어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일부 및 전체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일부 및 전체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일부 및 전체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는 제1 고정부(10), 제2 고정부(20), 회전부(30), 및 슬립링(5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정부(10, 20)와 회전부(30)는 일반적인 힌지와 유사한 형태이다.
제1 고정부(10)는 문틀에 해당하는 지지부에 고정된다. 즉, 제1 고정부(10)는 개폐 시, 고정되는 부분에 고정된다. 제1 고정부(10)는 배선(40)이 지나가는 제1 통로(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고정부(10)가 문틀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문짝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통로(11) 없이, 배선(40)이 지나갈 수 있도록 문틀에 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고정부(20)는 문짝에 해당하는 개폐부에 고정된다. 즉, 제2 고정부(20)는 개폐 시, 회동되는 부분에 고정된다. 제2 고정부(20)는 배선(40)이 지나가는 제2 통로(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고정부(20)가 문짝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문틀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통로(21) 없이, 배선(40)이 지나갈 수 있도록 문짝에 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부(30)는 제1 및 제2 고정부(10, 20)가 회동되도록 한다.
슬립링(50)은 회전부(30) 내에 구비된다. 슬립링(50)은 배선(40)이 인입되어 연결되는 전도체부(60), 절연체부(70), 절연 재질의 몸체, 및 이들이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몸체 및 케이스에 대한 설명은 제4 내지 제7 실시예를 통한 슬립링의 다양한 형태에서 하기한다.
제1 고정부(10)의 제1 통로(11)를 지나가는 배선(40)은 회전부(30) 내에 구비되는 슬립링(50)의 전도체부(60)와 연결된 뒤, 제2 고정부(20)의 제2 통로(21)를 지나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가 적용된 예가 도 10에 도시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장치(100)의 제1 고정부(10)가 지지부, 즉 차체(43)에 고정되고, 제2 고정부(20)가 계패부, 즉 문짝(41)에 고정된다. 차체(43)와 문짝(41)을 연결하는 배선(40)은 힌지 장치(100)를 통해 통과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가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하기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힌지 장치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하기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200) 적용 시, 문짝(41)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발명과 유사하지만, 배선이 통과되는 고정부에 구비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일부 및 전체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200)는 제1 고정부(10), 제1 덮개부(15), 제2 고정부(20), 제2 덮개부(25), 회전부(30), 및 슬립링(50)을 포함한다.
제1 고정부(10)는 문틀에 해당하는 지지부에 고정되고, 배선(40)이 지나가는 제1 통로(11)가 형성된다. 제1 고정부(10)는 배선(40)이 제1 통로(11)에 구비되면, 제1 통로(11)로부터 배선(40)이 노출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제1 통로(11)를 덮는 제1 덮개부(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덮개부(15)가 제1 고정부(10)를 다 덮는 형태인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통로(11)만을 덮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고정부(20)는 문짝에 해당하는 개폐부에 고정되고, 배선(40)이 지나가는 제2 통로(21)가 형성된다. 제2 고정부(20)는 배선(40)이 제2 통로(21)에 구비되면, 제2 통로(21)로부터 배선(40)이 노출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제2 통로(21)를 덮는 제2 덮개부(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덮개부(25)가 제2 고정부(20)를 다 덮는 형태인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통로(21)만을 덮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부(30)는 제1 및 제2 고정부(10, 20)가 회동되도록 한다.
슬립링(50)은 회전부(30) 내에 구비된다. 슬립링(50)은 절연체부(70)와, 배선(40)이 연결되는 전도체부(60)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인 것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300)는 제1 고정부(10), 제2 고정부(20), 회전부(30), 슬립링(50), 구동 모터(80), 및 기어 박스(9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10)는 문틀에 해당하는 지지부에 고정되고, 배선(40)이 지나가는 제1 통로(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10)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제1 덮개부(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고정부(20)는 문짝에 해당하는 개폐부에 고정되고, 배선(40)이 지나가는 제2 통로(2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20)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제2 덮개부(2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회전부(30)는 제1 및 제2 고정부(10, 20)가 회동되도록 한다.
슬립링(50)은 회전부(30) 내에 구비된다. 슬립링(50)은 절연체부(70)와, 배선(40)이 관통되어 연결되는 전도체부(60)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80)는 배선(40)과 연결된다.
기어 박스(90)는 구동 모터(80)와 연결되고, 회전부(30)와 연결된다.
외부로부터 신호가 배선(40)을 통해 수신되면, 배선(40)과 연결된 구동 모터(80) 및 기어 박스(90)가 구동되어, 제1 및 제2 고정부(10, 20)가 회동된다. 이로 인하여, 힌지 장치(300)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제4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발명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슬립링의 형태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힌지 장치에 대한 별도의 설명 없이, 회전부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450)은 몸체(451), 전도체링(460), 절연체링(470), 회전 접촉자(465) 및 케이스(475)를 포함한다.
몸체(451)는 원통 형상이고, 절연 재질이다. 몸체(451) 내부로는 배선(40)이 관통된다.
전도체링(460)은 몸체(451)에 끼워지는데, 하기되는 절연체링(470)과 번갈아 가면서 끼워진다. 전도체링(460)에는 배선(40)이 용접된다. 여기서, 전도체링(460)과 배선(40)의 연결은 용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 및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절연체링(470)은 몸체(451)에 전도체링(460)과 번갈아 가면서 끼워진다.
회전 접촉자(465)는 몸체(451)에 조립되되, 배선(40)이 인출되는 부분에 조립된다. 회전 접촉자(465)는 인출되는 배선(40)이 연결된다.
케이스(475)는 전도체링(460) 및 절연체링(470)이 끼워지고, 회전 접촉자(465)가 조립된 몸체(451)가 내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케이스(475)와 회전 접촉자(465)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450)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재질의 몸체(451)를 준비한다. 이 때, 몸체(451) 내부로는 인입되는 배선(40)이 통과된다. 이 때, 배선(40)들은 몸체(451)로부터 일부가 옆면 또는 밑면으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51)에 전도체링(460)과 절연체링(470)을 번갈아가면서 끼운다. 이 때, 전도체링(460) 및 절연체링(470)은 인입된 배선(40)이 전도체링(460)에 각각 접하도록 끼워진다.
이어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하도록 구비된 배선(40)과 전도체링(460)을 용접한다.
다음으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이 되지 않은 반대쪽 몸체(451) 부분에 회전 접촉자(465)를 조립한다. 회전 접촉자(465)는 전도체링(460)과 연결되어 슬립링(450)을 통과한 배선(40)이 인출되면서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 때, 회전 접촉자(465)에는 전도체링(460)과의 원활한 접촉을 위하여 탄성체(453)가 구비된다.
이어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링(460) 및 절연체링(470)이 끼워지고, 전도체링(460)과 인입되는 배선(40)의 용접이 이루어지며, 인출되는 배선(40)과 용접되는 회전 접촉자(465)가 조립된 몸체(451)에 케이스(475)를 조립하여 슬립링(550)을 완성한다.
제5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발명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슬립링의 형태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발명과 유사하지만, 전도체부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힌지 장치에 대한 별도의 설명 없이, 회전부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550)은 몸체(551), 이중 전도체링(560a, 560b), 절연체링(570), 스프링(553), 및 케이스(575)를 포함한다.
절연 재질의 몸체(551) 내부로는 배선(40)이 관통된다.
전도체링(560; 560a, 560b)은 이중으로 구성된다. 제1 전도체링(560a)은 하부에, 제2 전도체링(560b)은 상부에 구비된다. 제1 전도체링(560a)은 인입되는 배선(40)과 연결되고, 제2 전도체링(560b)은 인출되는 배선(40)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전도체링(560a)이 인출되는 배선(40)과 연결되고, 제2 전도체링(560b)이 인입되는 배선(4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 때, 각 이중 전도체링(560)과 배선(40)의 연결은 용접과 같이,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절연체링(570)은 몸체(551)에서 이중 전도체링(560)과 번갈아 가면서 끼워진다.
스프링(553)은 이중 전도체링(560) 및 절연체링(570)이 끼워진 몸체(551) 상부에 구비된다. 스프링(553)에 의해 몸체(551)의 상부에서 하부로 힘이 가해져서, 이중 전도체링(560) 끼리 밀착되어, 원활한 접촉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프링(553)은 다양한 종류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575)는 이중 전도체링(560) 및 절연체링(570)이 끼워진 몸체(551)가 내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550)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재질의 몸체(551)를 준비한다. 몸체(551) 내부로는 인입되는 배선(40)이 통과된다. 이 때, 배선(40)들은 몸체(551)로부터 일부가 옆면 또는 밑면으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51)에 이중 전도체링(560)과 절연체링(570)을 번갈아가면서 끼운다. 이 때, 이중 전도체링(560) 중에서 제1 전도체링(560a) 또는 제2 전도체링(560b)이 인입되는 배선(40)과 각각 접하도록 끼워진다. 그리고 몸체(551)의 상부에는 스프링(553)이 구비된다.
이어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하도록 구비된 인입되는 배선(40)과 제1 전도체링(560a)을 용접하고, 인출되는 배선(40)과 제2 전도체링(560b)을 용접한다. 이 때, 제1 전도체링(560a)과 인출 배선(40)이 연결되고, 제2 전도체링(560b)과 인입 배선(40)이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전도체링(560) 및 절연체링(570)이 끼워지고, 인입되는 배선(40)과 제1 전도체링(560a) 및 인출되는 배선(40)과 제2 전도체링(560b)의 용접이 이루어진 몸체(551)에 케이스(575)를 조립하여 슬립링(550)을 완성한다.
제6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발명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슬립링의 형태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발명과 유사하지만, 전도체부 및 절연체부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힌지 장치에 대한 별도의 설명 없이, 회전부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650)은 몸체(651), 전도체부(660), 회전 접촉자(665) 및 케이스(675)를 포함한다.
몸체(651)는 절연 재질이다. 몸체(651) 내부로는 배선(40)이 관통된다.
전도체부(660)는 몸체(651)에 형성된다. 전도체부(660)는 몸체(651)에 에칭(etching) 작업으로 도금, 예컨대 구리와 같은 전도체 물질로 도금하여 형성된다. 전도체부(66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4 실시예의 전도체링(460)과 같은 형태로서, 몸체(651)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도체부(660) 형성 시, 몸체(651) 내부로부터 인입되어 노출되는 배선(40)이 함께 도금 또는 융착되어, 전도체부(660)와 배선(40)은 연결된다.
전도체부(660)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651) 부분은 절연체부가 된다.
회전 접촉자(665)는 몸체(651)에 조립되되, 배선(40)이 인출되는 부분에 조립된다. 회전 접촉자(665)는 인출되는 배선(40)이 연결된다.
케이스(675)는 전도체부(660)가 형성되고, 회전 접촉자(665)가 조립된 몸체(651)가 내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케이스(675)와 회전 접촉자(665)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650)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재질의 몸체(651)를 준비한다. 몸체(651) 내부로는 인입되는 배선(40)이 통과된다. 이 때, 배선(40)들은 몸체(651)로부터 일부가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51)에 에칭 작업으로 전도체부(660)를 형성한다. 에칭 작업은 인입된 배선(40)이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전도체부(660)와 배선(40)은 연결된다.
이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40)과 전도체부(660)가 연결된 몸체(651) 부분에 회전 접촉자(665)를 조립한다. 회전 접촉자(665)는 전도체부(660)와 연결되어 슬립링(650)을 통과한 배선(40)이 인출되면서 접촉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회전 접촉자(665)에는 전도체부(660)와의 원활한 접촉을 위하여, 탄성체(653)가 구비된다.
이어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부(660)가 형성되고, 전도체부(660)와 인입되는 배선(40)이 연결되며, 인출되는 배선(40)과 연결되도록 회전 접촉자(665)가 조립된 몸체(651)에 케이스(675)를 조립하여 슬립링(650)을 완성한다.
제7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발명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슬립링의 형태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4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발명과 유사하지만, 전도체부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힌지 장치에 대한 별도의 설명 없이, 회전부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750)은 몸체(751), 전도체 스프링(760), 회전 접촉자(765), 및 케이스(775)를 포함한다.
절연 재질의 몸체(751) 내부로는 배선(40)이 인입된다. 몸체(751)는 링 형상의 요부가 형성된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751)는 요부가 형성되고, 요부 부분으로 인입된 배선(40)이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전도체 스프링(760)은 몸체(751)의 요부에 각각 구비된다. 전도체 스프링(760)의 일단은 인입되는 배선(40)과 연결되고, 타단은 인출되는 배선(40)과 연결되는 회전 접촉자(765)와 연결된다. 여기서, 전도체 스프링(760)은 나선 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775)는 전도체 스프링(760)이 끼워지고, 회전 접촉자(765)가 조립된 몸체(751)가 내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케이스(775)와 회전 접촉자(765)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750)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재질이고 요부가 형성된 몸체(751)를 준비한다. 몸체(751)의 내부로는 배선(40)이 인입되되, 요부로 배선(40)들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751)의 요부에 전도체 스프링(760)을 각각 위치시킨다.
이어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 스프링(760), 인입된 배선(40)이 연결된 몸체(751), 및 회전 접촉자(765)를 조립한다. 회전 접촉자(765)는 전도체 스프링(760)의 타단과 연결되는데, 이는 몸체(751)를 통과한 배선(40)이 인출되면서 연결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 스프링(760)이 끼워지고, 전도체 스프링(760)의 일단과 인입되는 배선(40)이 연결되고, 전도체 스프링(760)의 타단과 인출되는 배선(40)이 연결되며, 회전 접촉자(765)가 조립된 몸체(751)에 케이스(775)를 조립하여 슬립링(750)을 완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는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힌지 장치
10, 20; 고정부
11, 21; 통로
15, 25; 덮개부
30; 회전부
40; 배선
41; 문짝
43; 문틀
50, 450, 550, 650, 750; 슬립링
60, 660; 전도체부
70; 절연체부
80; 구동 모터
90; 기어 박스
451, 551, 651, 751; 몸체
453, 553, 653; 스프링
460, 560; 전도체링
465, 665, 765; 회전 접촉자
470, 570; 절연체링
475, 575, 675, 775; 케이스
760; 전도체 스프링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배선이 지나가는 장비의 개폐부분에 설치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문틀과 문짝에 각각 고정되고, 배선이 지나가는 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내에 구비되고, 내부로 상기 배선이 인입되는 절연 재질의 몸체, 상기 배선이 연결되는 전도체부, 상기 전도체부 간의 구분을 위해 구비되는 절연체부, 및 상기 몸체와 전도체부와 절연체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슬립링과;
    상기 배선과 연결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기어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을 통해 상기 구동 모터 및 기어 박스가 구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4. 배선이 지나가는 장비의 개폐부분에 설치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문틀과 문짝에 각각 고정되고, 배선이 지나가는 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 내에 구비되고, 내부로 상기 배선이 인입되는 절연 재질의 몸체, 상기 배선이 연결되는 전도체부, 상기 전도체부 간의 구분을 위해 구비되는 절연체부, 및 상기 몸체와 전도체부와 절연체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슬립링;을 포함하고,
    상기 슬립링은,
    상기 몸체에 번갈이 끼워지는 이중 전도체링 및 절연체링, 상기 몸체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중 전도체링에 밀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 전도체링에서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전도체링은 인입 배선이 용접되고, 상부에 구비되는 제2 전도체링은 인출 배선이 용접되는 구성; 또는
    상기 몸체에 에칭(etching) 작업으로 도금을 하여 형성되는 전도체부를 포함하고, 인입되는 배선은 상기 전도체부에 도금 또는 융착되며, 인출되는 배선이 연결되는 회전 접촉자를 포함하는 구성; 또는
    링 형상으로 요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요부에 각각 끼워지는 전도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 스프링의 일단에 인입 배선이 용접되고, 타단에 인출 배선이 용접되는 구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KR1020120044396A 2012-04-27 2012-04-27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 KR101214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396A KR101214296B1 (ko) 2012-04-27 2012-04-27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396A KR101214296B1 (ko) 2012-04-27 2012-04-27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296B1 true KR101214296B1 (ko) 2012-12-20

Family

ID=4790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396A KR101214296B1 (ko) 2012-04-27 2012-04-27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9931B2 (en) 2018-04-23 2020-0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circuit count electrical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894Y1 (ko) 2003-02-06 2003-05-22 주식회사 에이앤지텍 전선이 관통가능한 경첩
US7063042B2 (en) 2003-10-31 2006-06-20 C. Hager & Sons Hinge Manufacturing Co. Continuous gear hinge with electrical condu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894Y1 (ko) 2003-02-06 2003-05-22 주식회사 에이앤지텍 전선이 관통가능한 경첩
US7063042B2 (en) 2003-10-31 2006-06-20 C. Hager & Sons Hinge Manufacturing Co. Continuous gear hinge with electrical condu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9931B2 (en) 2018-04-23 2020-0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circuit count electrical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2977B2 (ja) 電気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US9743545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10647275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US8379375B2 (en) Power source circuit shut off device
US9380721B2 (en) Cable clip for module electronics
CN109980369A (zh) 导线连接器、电导线设备以及产生电连接的方法
JP2009535762A (ja) スナップオンコネクタ
US9437350B2 (en) Electrical line for a motor vehicle
CN103682882A (zh) 连接器连接结构
US20170361719A1 (en) Securized and portable electric vehicle charger
JP6689364B2 (ja) 車両用板ガラスのための板ガラス担体を備える構成ユニット
JP2013532887A (ja) 電気的接続部材
KR101214296B1 (ko) 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링이 장착된 힌지 장치
CN107342518B (zh) 旋转连接器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JP4981605B2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及び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KR101629732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US10559931B2 (en) High circuit count electrical connector
US9899821B2 (en) Cordset assembly
CN101752740A (zh) 线缆连接器组件
CN110323592B (zh) 电连接器、电气单元以及车辆
JP4818470B2 (ja) 昇降路電線とドアインターロックスイッチの連結構造
CN105591262B (zh) 柔性扁平电缆用连接部件及具备其的旋转连接器装置
KR101920968B1 (ko) 저압 접속장치
JP5202917B2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及び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