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054B1 - 용적식 펌프 - Google Patents

용적식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054B1
KR101214054B1 KR1020090099744A KR20090099744A KR101214054B1 KR 101214054 B1 KR101214054 B1 KR 101214054B1 KR 1020090099744 A KR1020090099744 A KR 1020090099744A KR 20090099744 A KR20090099744 A KR 20090099744A KR 101214054 B1 KR101214054 B1 KR 101214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propulsion
branch
pump
volumetric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122A (ko
Inventor
만프레드 쉰들러
Original Assignee
에프엠오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엠오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프엠오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4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15/062Arrangements for supercharging the working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3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2/3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2/34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14Lubric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용적식 펌프의 흡입 유동은 공동현상 경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워터젯 펌프에서와 유사하게 추진 스트림을 이용하여 추가로 구동될 수 있다. 그러한 용적식 펌프의 배제실(displacement chamber) 내로 복수의 분기 채널이 통하는 경우, 기존에는 상기 분기 채널들 내 흡입 유동이 하나 또는 복수의 추진 스트림에 의해 복잡하게 최대한 동일한 양으로 구동되었다. 그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용적식 펌프의 추진 스트림을 주 채널(20)로부터 비대칭으로 분기되는 2개의 분기 채널(21, 22) 중 하나로만 향하게 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때, 추진 스트림을 발생시키는 추진 채널(30)의 개구 축선(31)은 다른 제1 분기 채널(21)을 가로질러 제2 분기 채널(22)를 향한다. 그로 인해, 상기 개구 축선(31) 방향으로 배출되는 추진 스트림은 특히 공급률이 높은 경우 주 채널(20) 내 흡입 유동의 적절한 분할을 촉진하며, 추진 스트림의 용적이 거의 대부분 제2 분기 채널(22)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적식 펌프는 양산에 적합한 제조 가능성으로 인해 예컨대 자동차에서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내접 기어 펌프 또는 베인 펌프(vane pump)로 적합하다.

Description

용적식 펌프{POSITIVE DISPLACEMENT PUMP}
본 발명은 용적식 펌프, 특히 자동차에서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내접 기어 펌프 또는 베인 펌프에 관한 것이다.
용적식 펌프의 흡입 유동은 공동현상 경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워터젯 펌프에서와 유사하게 추진 스트림을 이용하여 추가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 토출측의 유체로부터 추진 스트림을 발생시키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FR 2 443 598은 이러한 원리를 내접 기어 펌프를 토대로 명백하게 설명하고 있다.
DE 44 36 505 A1에는 상기 원리를 이용한 또 다른 내접 기어 펌프가 공지되어 있다. 충전 채널의 단부에 있는 노즐을 이용하여 추진 스트림이 발생하며, 이 추진 스트림은 상기 펌프의 흡입 키드니(suction kidney)로만 향한다. 충전 채널은 노즐과 함께 펌프 하우징 내에 완전하게 주조될 수 있다.
DE 41 38 516 A1으로부터 공지된 베인 펌프의 경우, 그 흡입 유동이 분사기의 추진 스트림에 의해 추가로 구동된다. 분사기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펌프 흡입 채널 내에 동축으로 장착된다. 흡입 채널은 베인 펌프의 외부 링 가까이로 안내되어 거기서 양측 충전을 위해 T자형으로 분기된다. 분사기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외 부 링을 향한다. 추진 스트림을 흡입 유동과 함께 다른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분사기를 편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DE 198 36 628 A1 및 DE 100 37 080 A1으로부터 공지된, 상기 베인 펌프의 개선예에서는 분사기가 이중 분사(twin-jet) 방식으로 제공되는데, 여기서는 2개의 추진 스트림이 거울 대칭을 이루어 배치된 분기 채널을 향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산에 적합한 제조 가능성과, 높은 효율과, 광범위한 공급률 범위에 걸쳐 공동현상이 적은 흡입 거동이 더 양호하게 절충되는, 도입부에 제시한 원리에 따라 작용하는 용적식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제시된 용적식 펌프에 의해 해결된다. 제1항에 따르면 상기 용적식 펌프는 흡입측으로부터 토출측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고, 특히 회전식 배출 유닛 및 흡입 채널 시스템을 위한 배제실이 포함된 하우징을 갖는다. 흡입 채널 시스템은 주 채널뿐 아니라 제1 분기 채널과 제2 분기 채널도 포함한다. 주 채널은 하우징으로의 흡입 포트로부터 더 안쪽으로 안내되고, 이때 제1 분기 채널은 주 채널로부터 한 유입부를 통해 임의의 각도로 갈라지고, 이어서 주 채널은 제2 분기 채널로 계속 뻗어간다. 상기 두 분기 채널은 계속해서 배제실 내로 이어진다. 또한 하우징 내에는 흡입 채널 시스템으로, 바람직하게는 유입 영역으로 통하는 추진 채널이 포함된다. 이 추진 채널은 토출측의 유체를 추진 스트림 상태로 가속화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추진 스트림을 이용하여 흡입측 유체가 추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적식 펌프는 특히 추진 채널의 개구 축선이 제1 분기 채널로의 유입부를 가로질러 제2 분기 채널을 향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개구 축선은 추진 스트림의 시작 방향을 규정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비해 이례적인 개구 축선의 배치 및 배향은 다음의 고찰에 기초한다. 즉, 용적식 펌프의 흡입 채널이 외부로부터 더 안쪽으로 안내되고, 주 채널로부터 하나의 분기 채널이 임의의 각도로 분기되면, 다음과 같은 상태가 가능해진다. 분기되는 분기 채널은 분기점에서 계속 뻗어나가는 분기 채널에 비해 횡단면 및 곡률이 대개 유동에 보다 적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용적으로는 특히 더 바깥쪽에서 분기되는 분기 채널의 경우 상기 분기점에서 더 안쪽으로 안내되는 분기 채널의 경우보다 종종 더 많은 설치 공간이 제공된다. 따라서 계속 뻗어나가는 분기 채널에, 특히 공급률이 높을 경우, 더 나중에 공급되고, 그럼으로써 상황에 따라 공급량이 부족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그 오일 유동은 분기된 분기 채널 내 오일 유동보다 더 일찍 공동화 경향, 즉 기포 증착 경향을 보일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비대칭형 분기에서는, 분기 채널들이 유체공학적으로 대등하게 형성된 경우에도 분기되는 분기 채널이 흡입 포트에 조금 더 가까이 배치된 유입부에 의해 주 채널로부터의 흡입 유동을 더 먼저 흡입한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추진 스트림은 2개의 분기 채널 중 단 하나로만 배향되고, 이를 위해 추진 채널의 개구 축선은 분기되는 제1 분기 채널의 유입부를 횡단하여 계속 뻗어나가는 제2 채널 분기쪽으로 배향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적인 조치들을 통해, 특히 공급률이 높은 경우 분기점에서의 흡입 유동의 적절한 분할이 촉진되고, 추진 스트림의 용적이 거의 대부분 제2 분기 채널로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분기 채널에서 우선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공동 현상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공동 소음(cavitation noise) 및 공동 침식(cavitation erosion)이 예방된다. 또한, 전술한 방식으로 형성된 추 진 채널은 간단하게, 바람직하게는 여러 부분으로 된 펌프 하우징 내로 통합될 수 있으며, 특히 완전하게 주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추진 채널이 공간 절약 측면에서 주 채널 옆에 안내되도록 하고, 상기 두 채널을 하우징 부분들 중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추진 채널이 유입부에서 또는 유입부 직전에 끝나거나, 흡입 채널 시스템으로 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제실로 통하는 2개의 분기 채널에 의해 용적식 펌프의 높은 효율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적식 펌프가 그의 양산에 적합한 제조 가능성으로 인해 특히 자동차에서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내접 기어 펌프 또는 베인 펌프로서 적합하긴 하나, 다른 유형의 펌프 및 다른 사용 목적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적식 펌프는, 공급 유량이 일정하거나 가변적이면서 마찬가지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부재를 구비한 기어 링 펌프, 외접 기어 펌프, 로터리 베인 펌프 또는 진자 슬라이드 펌프(pendulum slide pump)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들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통해, 양산에 적합한 제조 가능성과, 높은 효율과, 광범위한 공급률 범위에 걸쳐 공동현상이 적은 흡입 거동이 더 양호하게 절충되는, 도입부에 제시한 원리에 따라 작용하는 용적식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용적식 펌프는 오일 순환계로 연결되고, 하나의 하우징(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식 배출 유닛을 위 한 배제실(2)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한 배출 유닛은 특히 내접 기어 펌프 또는 링 기어 펌프의 휠 세트, 베인 펌프의 로터-베인 유닛, 그리고 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부재를 구비한 또 다른 배출 유닛일 수도 있다.
오일 순환계는 용적식 펌프 외에 탱크(4) 및 오일로 윤활될 어셈블리(5)를 포함하며, 상기 어셈블리는 특히 자동차의 내연기관이나 변속기일 수 있다. 용적식 펌프를 이용하여 오일이 오일 순환계를 통해 흡입측에서 토출측으로 공급된다. 흡입측은 탱크(4)와, 상기 탱크(4)를 하우징(1)으로의 흡입 포트(7)와 연결하는 흡입관(6)과, 상기 하우징(1) 내에 통합된 흡입 채널 시스템을 포함한다. 오일 순환계의 토출측은 토출관(8)을 가지며, 이 토출관은 우선 하우징 내부에서는 배제실(2)로부터 하우징(1)측 토출 포트(9)로 안내되고, 이어서 하우징 외부에서 어셈블리(5)로 안내된다. 토출측에는 그 외에도 토출관(8)으로부터 분기되어 또 다른 하우징(1)측 포트(12)와 연결되는 초과압력관(10)이 속한다. 이 초과압력관(10) 내에 간단한 압력 제어 밸브(11)가 결합되고, 이 압력 제어 밸브는 토출관(8) 내 제어 압력에 대해 사전 설정된 값이 초과되면 개방된다. 어셈블리(5)로부터 다시 탱크(4)로 안내되는 관(13)으로써 오일 순환계가 닫힌다.
용적식 펌프의 하우징(1) 내에 포함된 흡입 채널 시스템은 주 채널(20)과, 제1 분기 채널(21)과, 제2 분기 채널(22)을 포함한다. 주 채널(20)은 하우징(1) 외부의 흡입 포트(7)에서 시작하여 반경방향으로 더 안쪽으로, 즉 배제실(2)의 회전축(3)에 더 가깝게 안내된다. 여기서, 주 채널(20)로부터 먼저 제1 분기 채널(21)이 유입부(23)를 통해 대략 직각으로, 즉 바람직하게는 약 90°± 15°의 각도로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축(3)에 대략 평행하게 분기된다. 계속해서 주 채널(20)은 전이부(24)에서 제2 분기 채널(22)로 곧바로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거의 직선으로 뻗어나간다. 상기 전이부(24)는 바람직하게 흡입 채널 시스템 내에서 오일이 주 채널(20)로부터 제2 분기 채널(22)로만 흐르기 시작하는 지점에 표시되어 있다.
그 밖에도 도 1에서는 두 분기 채널(21, 22)이 축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는 측(14a, 14b)에서 배제실(2) 내로 통하고, 그 연결 영역들이 흡입 키드니(25, 26)로서 구현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제1 분기 채널(21)은 배제실(2)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지나며, 그에 상응하게 "14a"측으로부터 "14b"측으로 변경된다. 그에 반해 제2 분기 채널(22)은 오직 배제실(2)의 "14a"측에서만 안내된다. 또한, 제1 분기 채널(21)은 제2 분기 채널(22)의 가장 좁은 지점보다 항상 더 큰 횡단면을 갖는다. 이는 특히 설치 공간에 좌우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예컨대 하우징(1) 내에서 더 안쪽의 배제실(2) 근처에서보다 더 바깥쪽에 더 많은 설치 공간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제1 분기 채널(21)의 더 큰 횡단면으로 인해 그리고 상기 제1 분기 채널의 유입부(23)가 제2 분기 채널(22)로의 전이부(24)에 선행함으로 인해, 제1 분기 채널(21)이 본 발명에 따라 제1 분기 채널(21)이 먼저 흡입하게 된다. 이는 관련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특히 공급률이 점차 증가하는 경우, 제2 분기 채널(22)은 제1 분기 채널(21)에 비해 제1 분기 채널보다 경우에 따라 불충분하게 오일이 흘러들어가는 분기 채널이다. 그 결과, 제 2 분기 채널(22)에서의 오일 유동이 제1 분기 채널(21)에서의 오일 유동보다 더 빨리 기포 증착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제1 분기 채널(21)이 더 길며, 더 많은 만곡부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하우징(1) 내에서 주 채널(20)의 영역에 소위 추진 채널(30)이 포함된다. 이 추진 채널은 하기에 기술되는 것처럼 토출측의 오일 가속을 위해 정확히 1개의 추진 스트림을 발생시키도록 제공된다. 상기 추진 스트림을 이용하여 흡입측의 오일이 워터젯 펌프의 경우와 유사하게 구동될 수 있다.
도 2에는 흡입 채널 시스템 및 도 1에 따른 용적식 펌프의 추진 채널(30)이 회전축(3)에 대해 수직인 세부 단면도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주 채널(20)이 흡입 포트(7)로부터 시작하여 반경방향으로 더 안쪽으로 안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용적식 펌프의 내부 영역은 배제실(2)의 점선의 원주로써 표시되어 있다. 또한 주 채널(20)로부터 제1 분기 채널(21)이 유입부(23)에서 축방향으로 또는 도면 평면 내로 갈라지는 모습이 재차 도시된다. 또한, 이어서 주 채널(20)이 전이부(24)에서 곧바로 제2 분기 채널(22)로 이어지는 모습도 도시된다. "이어서"라 함은 주 채널(20) 내 흡입 유동(28)의 방향으로 볼때 유입부(23) 이후를 의미한다. 제2 분기 채널(22)은 전이부(24) 이후에 흡입 키드니(25)를 향해 역시 축방향으로 또는 도면 평면 내로 분기된다.
추진 채널(30)과 주 채널(20)은 릿지(ridge)(27)에 의해 분리된다. 추진 채널(30)과 주 채널(20)은 흡입 포트(7) 및 추가 포트(12)에서 시작하여 서로 나란히 평행하게, 추진 채널(30)이 약간 꺾여서 주 채널(20)에 대해 본 실시예의 경우 약 13°의 예각을 취하며, 최종적으로 유입부(23) 직전에서 흡입 채널 시스템 내로 통할 때까지, 안내된다. 본 도면에서는 추진 채널(30)이 그의 개구쪽으로 가면서 가늘어지는 섹션(32)에서 가늘어지는 것을 명백히 볼 수 있다. 이처럼 가늘어지는 섹션(32)는 추진 스트림(29)용 노즐로서 작용한다. 추진 스트림(29)은 용적식 펌프의 토출측으로부터 초과압관(10)을 통해 초과압력의 발생 시 추진 채널(30)에 공급되어, 추진 채널(30)의 개구에서 또는 상기 가늘어지는 섹션(32)의 단부에서 추진 스트림로서 배출된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상기 추진 스트림은 흡입 유동(28)보다 훨씬 더 높은 흐름 속도를 가지며, 유입부(23) 상부에서 상기 흡입 유동과 예각으로 만나면 함께 분할된다. 이때, 상기 배출 이후에 일어날 수 있는 편향과 상관 없이, 추진 채널(30)의 상기 하나의 개구 축선(31)이 추진 스트림의 시작 방향을 규정한다. 상기 개구 축선(31)은 본 실시예에서 가늘어지는 섹션(32)의 중앙선의 가상의 연장으로써 형성된다.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용적식 펌프가 점차 더 많은 오일을 공급하고, 그 결과 특히 제2 분기 채널(22)에서의 공동형성 경향이 증가하면, 용적식 펌프의 토출측으로부터 추진 채널(30)에 오일이 공급된다. 이를 위해 추진 채널(30)이 압력 제어 밸브(11)에 의해 용적식 펌프의 토출측과 연결된다. 압력 제어 밸브(11)에는 토출측의 제어 압력이 공급된다. 토출관(8) 내 제어 압력에 대해 사전 설정된 값이 초과하면 압력 제어 밸브(11)가 개방되고, 그에 따라 초과압관(10)을 통해 오일이 토출관(8)으로부터 포트(12)를 지나 추진 채널(30) 내로 흐르게 된다. 상기 오일 또는 추진 스트림(29)은 추진 채널(30) 내에서 전술한 것처럼 추진 스트림로 가속되어 흡입 채널 시스템에 첨가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추진 채널(30)의 개구 축선(31)이 제1 분기 채널(21)로의 유입부(23)를 가로질러 제2 분 기 채널(22)로의 전이부(24)로 배향된다. 추진 스트림은 개구 축선(31)을 따라 배출되며, 대부분 유입부(23) 상부를 지난다. 그럼으로써 제1 분기 채널(21)에는 추진 스트림의 용적이 전혀 공급되지 않거나, 비교적 낮은 비율만 공급된다. 그에 반해 제2 분기 채널(22)은 바람직하게 80퍼센트 또는 90퍼센트 이상의 추진 스트림의 거의 대부분으로 충전된다. 또한 도 1에는 개구 축선(31)이 유입부(23)를 이격된 상태로 횡단한다. 즉, 개구 축선(31)은 임의의 간격을 두고 유입구(23)의 개구를 횡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진 스트림은 바람직하게 흡입 유동(28)의 유동층들 중 유입부(23)의 더 위쪽에서 또는 유입부의 개구로부터 더 이격되어 흘러 지나가는 유동층들을 상이하게 가속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추진 스트림은 목적한 대로 상기 유동층들을 제2 분기 채널(22) 내로 추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개구 축선(31)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유입부(23) 반대편에 놓인 주 채널(20)의 횡단면 반부에서 편심되어 안내된다. 그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개구 축선(31)을 주 채널(20)에 대해 임의의 작은 각도로 세팅함으로써 개구 축선(31)이 본 실시예에서처럼 유입부(23)를 일정한 간격으로 횡단하는 것이 아니라 점차 간격이 더 넓어지는 방식으로 횡단하고, 추진 스트림이 점프의 경우와 유사하게 유입부(23)를 가로질러 분출된다. 또한, 개구 축선(31)이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이 편심되어, 특히 상기 유입부(23) 반대편에 놓이는, 주 채널(20)의 횡단면의 1/3 지점에서, 유입부(23)를 횡단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이러한 특징적인 분출 제어로 인해 특히 공급률이 높을 때 주 채널(20) 내 흡입 유동(28)의 적절한 분할이 촉진되고, 제2 분기 채널(22)의 거의 대부분이 추진 스트림의 오일로 추가 충전된다. 추진 스트림은 전이 부(24)를 통과한 후, 유도 장치(33)로서 작용하는 제2 분기 채널(22)의 벽부에서 흡입 키드니(25) 쪽으로 편향된다. 이를 위해 벽부로서 구현된 상기 유도 장치(33)는 개구 축선(31)에 대해 적절한 방식으로 기울어지도록 세팅된다.
도 1에 따른 용적식 펌프의 또 다른 측면을 살펴보면, 하우징(1)이 2개의 분리 평면(15, 16)을 가진, 세 부분으로 된 주조 하우징(cast housing)으로 설계되어 있다. 특히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도면에서 하우징 하단부(19)는 배제실(2), 제1 분기 채널(21)의 한 섹션, 및 흡입 키드니(26)를 포함한다. 하우징 가운데 부분(18)은 분리 평면(16)에 의해 축방향으로 배제실(2)과 경계를 이루며, 주 채널(20), 유입부(23), 제2 분기 채널(22), 흡입 키드니(25), 추진 채널(30) 및 제1 분기 채널(21)의 나머지 섹션을 포함한다. 하우징 상단부(17)는 덮개로서 형성되어, 주 채널(20) 및 추진 채널(20)을 폐쇄한다. 중요한 점은, 주 채널(20), 추진 채널(30), 유입부(23) 및 그에 연결되는 제1 분기 채널(20)의 섹션이 분리 평면(15)쪽으로 개방되어, 주조 기술적으로 상기 분리 평면쪽으로 이형(demolding)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 채널(20)용 흡입 포트(7)뿐 아니라 추진 채널(30)용 포트(12)도 정확히 하우징 상단부(17)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입부(23)의 흡입 영역 내, 특히 유입부(23)의 만곡 벽부 내 권장 지점과 다른 지점에서도 추진 채널(30)로 통할 수 있다. 또한, 추진 채널(30)을 유입부(23) 내부로 그리고/또는 유입부 상부로, 특히 스파우트(spout) 형태로, 약간 돌출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도 1은 오일 순환계 내에 배치된 간략화된 용적식 펌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용적식 펌프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용적식 펌프의 분해도이다.

Claims (19)

  1. 흡입측으로부터 토출측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용적식 펌프로서,
    회전식 배출 유닛 및 흡입 채널 시스템을 위한 배제실(2)이 포함된 하우징(1)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 채널 시스템은 주 채널(20)과, 제1 분기 채널(21)과, 제2 분기 채널(22)을 포함하며, 상기 주 채널(20)은 하우징(1)으로의 흡입 포트(7)로부터 더 안쪽으로 안내되고, 제1 분기 채널(21)은 주 채널(20)로부터 한 유입부(23)를 통해 임의의 각도로 갈라지며, 이어서 주 채널(20)은 제2 분기 채널(22)로 계속 연장되며, 상기 제1 분기 채널(21) 및 제2 분기 채널(22)은 배제실(2) 내로 이어지며, 상기 용적식 펌프는 또한, 하우징(1) 내에 포함되며 흡입 채널 시스템으로 통하는 추진 채널(30)을 구비하며, 이 추진 채널은 토출측의 유체를 추진 스트림 상태로 가속화하기 위해 제공되고, 이 추진 스트림을 이용하여 흡입측 유체가 추진될 수 있으며, 상기 추진 채널(30)의 개구 축선(31)이 제1 분기 채널(21)을 가로질러 제2 분기 채널(22)을 향하는 용적식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채널(20)은 하우징(10) 외부에 있는 흡입 포트(7)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더 안쪽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채널(21) 및 제2 분기 채널(22)은 서로 대면하는 측(14a, 14b)에서 배제실(2)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분기(21)는 주 채널(20)로부터 90°± 15°의 각도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분기(21)의 횡단면은 제2 분기 채널(22)의 가장 좁은 지점보다 항상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채널(20)은 전이부(24)에서 제2 분기 채널(22)로 계속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채널(30)은 그의 개구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채널(30)은 유입부(23)의 영역에서 흡입 채널 시스템으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채널(30)은 유입부(23) 앞에서 또는 유입부(23)에서 또는 상기 유입부의 벽부에서 흡입 채널 시스템으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채널(30)은 주 채널(20)에 대해 예각으로 흡입 채널 시스템으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축선(31)은 유입부(23)를 이격된 상태로, 즉 유입부(23) 반대편에 놓인 주 채널(20)의 횡단면 반부에서 또는 유입부(23) 반대편에 놓인, 주 채널(20)의 횡단면의 1/3 지점에서 횡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축선(31)은 유입부(23)를 일정한 간격으로 또는 점점 더 멀어지는 형태로 횡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채널은 전이부(24) 이후에 유도 장치(33)에서 흡입 키드니(25) 쪽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복수의 하우징 부분들(17, 18, 19)로 구성되고, 추진 채널(30)과 주 채널(20)은 하우징 부분 중 하나(18)에 포함되며, 상기 하나의 하우징 부분(18)은 그 내부에 주 채널(20)과 추진 채널(30)이 주조 기술에 의해 성형되는 주형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 채널(20)과, 유입부(23)와, 추진 채널(30)은 상기 하나의 하우징 부분(18)의 분리 평면(15)쪽으로 이형(demolding)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하우징 부분(18)이 제2 분리 평면(16)에서 배제실(2)과 축방향으로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채널(30)은 압력 제어 밸브(11)에 의해 용적식 펌프의 토출측과 연결되고, 상기 압력 제어 밸브(11)에는 토출측 제어 압력이 공급되며, 그 제어 압력에 대해 사전 설정된 값이 초과되면 압력 제어 밸브(11)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식 펌프는, 공급 유량이 일정하거나 가변적이며,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부재를 구비한 내접 기어 펌프, 기어 링 펌프, 외접 기어 펌프, 로터리 베인 펌프 또는 진자 슬라이드 펌프(pendulum slide pu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채널의 개구 축선(31)이 상기 제2 분기 채널(22)로의 전이부(24)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식 펌프.
KR1020090099744A 2008-10-20 2009-10-20 용적식 펌프 KR101214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52367 2008-10-20
DE102008052367.4 2008-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122A KR20100044122A (ko) 2010-04-29
KR101214054B1 true KR101214054B1 (ko) 2012-12-20

Family

ID=4221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744A KR101214054B1 (ko) 2008-10-20 2009-10-20 용적식 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214054B1 (ko)
CN (1) CN101956702B (ko)
DE (1) DE102009050143A1 (ko)
IN (1) IN2009KO012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9833A1 (de) * 2015-05-28 2016-12-01 Eckerle Industrie-Elektronik Gmbh Zahnradmaschine
DE102015112829A1 (de) * 2015-08-05 2017-02-09 Robert Bosch Automotive Steering Gmbh Verdrängerpumpe und hydraulisches System
DE102016102433B3 (de) * 2016-02-11 2017-05-11 Steyr Motors Gmbh Gear Pump
CN109826704A (zh) * 2019-02-01 2019-05-31 浙江派尼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离润滑二冲程割灌机动力结构及工作方法
CN109915258A (zh) * 2019-02-01 2019-06-21 浙江派尼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离润滑分层扫气二冲程割灌机动力结构及工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357Y1 (ko) 2004-03-05 2004-05-20 주식회사 청석 물의 순환이 양호한 자흡식 펌프
US20040219044A1 (en) 2003-05-02 2004-11-04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Reciprocating pump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43598A1 (fr) 1978-12-08 1980-07-04 Renault Dispositif d'alimentation a recuperation d'energie d'une pompe
DE4138516A1 (de) * 1991-11-23 1993-05-27 Luk Fahrzeug Hydraulik Pumpe
DE4436505A1 (de) 1994-10-13 1996-04-18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utomatgetrieb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19836628A1 (de) * 1998-08-13 2000-02-17 Luk Fahrzeug Hydraulik Pumpe
DE10037080A1 (de) * 2000-07-27 2002-02-14 Luk Fahrzeug Hydraulik Pumpe
US7150607B2 (en) * 2002-11-18 2006-12-19 International Remote Imaging Systems, Inc. Uniform flow displacement pu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9044A1 (en) 2003-05-02 2004-11-04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Reciprocating pump
KR200351357Y1 (ko) 2004-03-05 2004-05-20 주식회사 청석 물의 순환이 양호한 자흡식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09KO01235A (ko) 2015-08-14
KR20100044122A (ko) 2010-04-29
DE102009050143A1 (de) 2010-07-15
CN101956702A (zh) 2011-01-26
CN101956702B (zh)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054B1 (ko) 용적식 펌프
KR102056112B1 (ko) 압축기, 배기가스 터보차저 및 내연기관
US9617998B2 (en) Roots-style blower with leakage mechanisms
JP5314685B2 (ja) 主流から取り出された水流を注入する手段を備える水力機械
CN111051657B (zh) 用于内燃机的汽缸盖油分离器(流动受控的油分离器)
CA2911772C (en) Nozzle-shaped slots in impeller vanes
KR20090093779A (ko) 터빈 및 이것을 구비한 터보 과급기
CN108138785A (zh) 汽提塔中具有抽提管的侧通道机器(压缩机、真空泵或风机)
CN101932501A (zh) 推动系统
JP2008518140A (ja) 燃料ポンプおよび該燃料ポンプを備えた、自動車の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供給装置
KR19980019058A (ko) 유동 펌프(flow pump)
JP2013148075A (ja) 遠心式流体機械
CN105317540A (zh) 涡轮增压器
CN101096954B (zh) 离心泵装置
JP2017210930A (ja) 渦流ポンプ
US10634145B2 (en) Self-priming pump assembly
JP4190588B2 (ja) 損失を生ぜしめる渦形成を回避するための吸い込み蓋内に側通路を有している渦流式ポンプ
CN110388291B (zh) 用于内燃机的进气段的进气管的管区段
JP6806243B2 (ja) 遠心圧縮機
RU2338095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компрессор
CN108691763B (zh) 用于燃料分配器的齿轮泵
JP2018502254A (ja) オイル噴射式真空ポンプ要素
CN101988523B (zh) 自吸喷射泵的防空气倒流式导流罩
JP4859329B2 (ja) ロータリベーンポンプ
JP6713362B2 (ja) 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