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137B1 -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 Google Patents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137B1
KR101213137B1 KR1020120089805A KR20120089805A KR101213137B1 KR 101213137 B1 KR101213137 B1 KR 101213137B1 KR 1020120089805 A KR1020120089805 A KR 1020120089805A KR 20120089805 A KR20120089805 A KR 20120089805A KR 101213137 B1 KR101213137 B1 KR 10121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width
hem
length
hanb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주
Original Assignee
안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주 filed Critical 안현주
Priority to KR1020120089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00Patterns for cutting-out; 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such patterns, e.g. on the cloth

Abstract

본 발명은 겉감과 안감으로 이루어진 겹치마와, 겹치마의 상부에 마련된 조끼말기를 포함하는 한복치마의 제도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가슴둘레에 따라 치마폭의 상단 너비를 조절하여 마름질하는 한복치마의 제도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겹치마의 겉감은 여러 폭의 치마폭으로 구성되고, 상기 치마폭은, 중간 치마폭과, 상기 중간 치마폭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뒷자락 치마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는, [{(가슴둘레 +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겹침량) × 주름배수} / 치마폭의 수]로 하여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상단 너비는, [상기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 +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하단 너비 - 상기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 / 2}]로 하여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중간 치마폭의 길이와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길이는, [완성된 치마의 길이 + (단의 너비 × 2) + 시접]으로 하여 마름질한다.

Description

한복치마의 제도방법{DRAFTING METHOD FOR HANBOK CHIMA}
본 발명은 한복치마의 제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한복치마를 제작할 때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맵시를 살릴 수 있는 한복치마의 제도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복은 우리의 고유문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양식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계승하여 발전해 오면서 그 시대의 사회, 경제, 문화적인 변화요인에 따라 다양한 변천사를 엮어 왔다. 우리의 민속의상인 한복의 아름다움은 곧은 선과 은은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너그럽고 유연한 선의 흐름에 있다. 특히, 한복치마는 만들어지기 전에는 한 장의 보자기와 같지만 인체에 입혀졌을 때는 허리에 규칙적인 주름을 잡아 생동감이 있으며 풍성한 여유미가 생긴다. 또한, 착용하는 방법에 따라 변화를 보여주어 풍성하고 다양한 여유미를 표출할 수 있다. 즉, 치마의 만들어진 형태는 단순하나 감싸는 양식, 조이는 정도 등의 착용방법과 함께 여러 가지 장식적인 기법을 가미하여 다양한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다.
한복치마는 주름과 말기, 끈으로 구성되어 편리성과 간편함을 갖추면서 요권의(腰卷衣) 형식의 두르는 방식으로 인해 미적인 요소도 함께 지닌다. 또한, 한복치마는 평면구성의 직선으로 재단되지만, 착용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와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한복치마의 착용법은 이미 고정된 일반적인 스커트 형에 비해 착장자의 미의식을 나타내기에 효과적이며, 한복치마의 뒤트임은 개방성과 폐쇄성을 동시에 나타내어 고도의 은폐된 노출의 미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한복치마는 단순한 구조와 형태를 갖고 있지만, 착용방법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전통복식 중의 하나이다.
한복치마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겉감만으로 만든 홑치마, 홑치마에 안감을 넣어 만든 겹치마, 천을 두껍게 누벼서 만든 누비치마로 구분된다. 또한, 한복치마는 모양에 따라 양쪽으로 자락이 있어 둘러 입고 뒤를 여미는 풀치마(자락치마)와, 양쪽 자락이 없이 뒤가 막힌 통으로 만든 통치마가 있다.
치마 형태의 시대별 변천을 살펴보면, 20세기 초반의 치마 실루엣은 전체적으로 차분하게 떨어지는 형태였으며, 20세기 후반의 치마 실루엣은 겉주름 너비가 좁아지는 형태로 변형되었다. 또한, 20세기 후반에는 한복의 예복화가 진행되면서 주름의 개수와 안주름의 분량이 많아졌으며, 아랫단이 넓게 퍼지는 A라인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는 미적 기준의 변화로 인해 날씬해 보이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치마의 실루엣을 더욱 강조할 수 있도록 한복치마를 사다리꼴로 마름질하여 제작하는 봉제법이 나오게 되었다.
도 8은 일반적인 한복치마 중 풀치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풀치마의 구조 대해 살펴보면, 치마(10)와, 치마(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슴을 감싸는 조끼말기(20)와, 조끼말기(20)의 양측 단부에 마련된 치마끈(30)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 중 치마(10)는 여러 폭(통상적으로 6폭 또는 9폭)의 치마폭(도 9의 12)을 잇대어 만들며, 안정감 있는 우아함을 줄 수 있도록 A라인의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치마(10)를 A라인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치마폭(12)의 상단 너비(WU)가 하단 너비(WD)보다 좁도록 마름질하여야 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치마폭(12)을 마름질할 때 빗금 친 부분(14)을 제거해야만 A라인의 치마를 만들 수 있다.
종래에는 착용자의 신체치수(좀 더 상세하게는 가슴둘레 치수)와 관계없이 치마폭(12)의 상단 너비(WU)를 일률적으로 적용하였다. 예를 들어, 치마폭(12)의 상단 너비(WU)가 하단 너비(WD)의 1/2이 되도록 등분하여 A자 형태로 마름질을 하거나(도 9의 (a) 참조), 치마폭(12)의 상단 양측을 일정한 치수(6~7㎝ 또는 10~12㎝)로 제거하여 A자 형태로 마름질을 하였다(도 9의 (b)와 (c) 참조).
그런데 상술한 것처럼 치마(10)의 상단 너비를 일률적으로 제작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가슴둘레가 작은 사람의 경우 가슴 쪽에 주름이 많이 생겨 저고리의 도련 부분이 맵시 있게 착용되지 않으며, 가슴둘레가 큰 사람의 경우 가슴 쪽에 주름이 생기지 않아 한복치마의 드레이프성을 살릴 수 없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조끼말기(20)의 제도방법은 앞길과 뒷길의 어깨처짐을 똑같이 주고 있는바, 앞쪽 어깨끈(22)과 뒤쪽 어깨끈(24)의 길이가 같아져 풀치마(1)를 착용할 경우 앞처짐 분량이 생기지 않아 여성의 가슴높이로 인해 조끼말기(20)의 앞쪽 어깨끈(22)이 뒤로 넘어가게 된다. 또한, 어깨의 처짐을 주는 위치에 일률적으로 1㎝의 기울기를 적용하므로 조끼말기(20)의 어깨솔기(26)가 착용자의 어깨각도에 맞지 않아 뒤쪽 어깨끈(24)이 당기거나 어깨솔기(26)가 뒤로 넘어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앞쪽 어깨끈(22)과 어깨솔기(26)가 뒤로 넘어갈 경우 저고리의 앞길 쪽은 조끼말기(20)의 앞처짐 분량이 뒤로 당겨 올라가면서 저고리의 도련 밑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치마(10)의 조끼말기(20)에 연결된 치마(10)의 주름으로 인해 저고리가 들리게 되고, 반면 저고리 뒷길 쪽은 도련 밑으로 조끼말기(20)가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착용 시 앞처짐분량이 부족하여 착용자가 의도적으로 뒤쪽 어깨끈(24)을 앞쪽으로 당겨 올리고, 앞쪽 어깨끈(22)을 저고리 앞처짐분량만큼 끌어내려 앞 가슴 쪽에서 치마(10)의 끈으로 꽉 조여매어 착장하였다. 이 결과로 뒷자락의 치마길이는 원래의 길이치수보다 짧아지고 앞쪽은 원래의 치마길이치수보다 길어져 바닥에 끌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제도상의 문제점으로 한복착용이 맵시 있게 착용되지 않고, 신체에 압박을 가하면서 불편하다고 느껴져 한국 전통 의복인 한복이 불편한 옷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복치마를 제작할 때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맵시를 살릴 수 있는 한복치마의 제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한복치마의 제도방법은, 겉감과 안감으로 이루어진 겹치마와, 겹치마의 상부에 마련된 조끼말기를 포함하는 한복치마의 제도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겹치마의 겉감은 여러 폭의 치마폭으로 구성되고, 상기 치마폭은, 중간 치마폭과, 상기 중간 치마폭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뒷자락 치마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는, [{(가슴둘레 +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겹침량) × 주름배수} / 치마폭의 수]로 하여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상단 너비는, [상기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 +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하단 너비 - 상기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 / 2}]로 하여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중간 치마폭의 길이와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길이는, [완성된 치마의 길이 + (단의 너비 × 2) + 시접]으로 하여 마름질한다.
상기 겹치마의 안감은 여러 폭의 치마폭으로 구성되고, 상기 치마폭은, 중간 치마폭과, 상기 중간 치마폭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뒷자락 치마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는, [{(가슴둘레 +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겹침량) × 주름배수} / 치마폭의 수]로 하여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상단 너비는, [상기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 +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하단 너비 - 상기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 / 2}]로 하여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중간 치마폭의 길이와 상기 뒷자락 치마폭의 길이는, [완성된 치마의 길이 + 시접]으로 하여 마름질한다.
상기 조끼말기는, 앞쪽 어깨끈이 뒤쪽 어깨끈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마름질한다.
이때, 상기 앞쪽 어깨끈의 어깨솔기는, 가로 {23㎝ - (가슴둘레 / 12)}, 세로 4.5㎝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하여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뒤쪽 어깨끈의 어깨솔기는, 가로 {23㎝ - (가슴둘레 / 12) - 2.5㎝}, 세로 {(가슴둘레 / 40) + 2㎝}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하여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조끼말기의 길이은, 저고리의 길이 - 3㎝ + 앞처짐 길이로 하여 마름질한다. 상기 조끼말기의 진동 길이는, 저고리의 진동 길이 - 2㎝로 하여 마름질한다. 상기 조끼말기의 반폭 너비는, (가슴둘레 / 2) + 1㎝로 하여 마름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복치마의 제도방법에 의하면, 한복치마를 제작할 때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착용자의 체형에 맞는 한복치마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한복을 맵시 있게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체형에 따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조끼말기의 경우 앞쪽 어깨끈의 어깨솔기와 뒤쪽 어깨끈의 어깨솔기의 기울기를 달리함과 동시에 앞쪽 어깨끈은 짧게, 그리고 뒤쪽 어깨끈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어깨선이 앞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조끼말기에 앞처짐이 생겨 가슴높이로 인해 치마가 들리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복을 더욱 맵시 있게 착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치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한복치마 중 치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4폭의 중간 치마폭과 2폭의 뒷자락 치마폭으로 이루어진 겉감의 제도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4폭의 중간 치마폭과 2폭의 뒷자락 치마폭으로 이루어진 안감의 제도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치마 중 조끼말기의 제도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끼말기 제도방법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끼말기의 제도방법에 의해 마름질한 조끼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반적인 한복치마 중 풀치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일반적인 한복치마 중 치마의 제도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일반적인 한복치마 중 조끼말기의 제도방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치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한복치마 중 치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치마는 양쪽으로 선단이 있어 둘러 입고 뒤를 여미는 풀치마(자락치마)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착용자의 하반신을 둘러 감싸는 치마(100)와, 치마(10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가슴을 감싸는 조끼말기(200)와, 조끼말기(200)의 양측 단부에 마련된 치마끈(300)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 중 치마(100)는 겉감(110)과 안감(120)으로 이루어진 겹치마이며, 겉감(110)과 안감(120)은 여러 폭의 치마폭을 잇대어 만든 치마이다. 즉, 겉감(110)은, 4폭의 중간 치마폭(112)과, 중간 치마폭(112)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2폭의 뒷자락 치마폭(11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안감(120)은 겉감(110)과 동일한 구성인 4폭의 중간 치마폭(122)과, 2폭의 뒷자락 치마폭(12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뒷자락 치마폭(114,124)은 겉자락과 안자락으로 구분되며, 한복치마 착용시 안자락의 일부가 겉자락의 안쪽에 위치된다.
한복치마를 만들기 위해서는, 착용자의 신체치수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옷감을 마름질할 치수를 결정한다. 이는, 착용자의 신체치수에 따라 한복치마의 마름질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한복을 맵시 있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자의 체형별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4폭의 중간 치마폭(112)과 2폭의 뒷자락 치마폭(114)으로 이루어진 겉감(110)의 제도방법이다.
겉감(110)의 치마폭(112,114)을 마름질하기 위한 옷감은 6폭 치마인 경우 55㎝의 너비를 갖는 옷감을 사용한다. 또한, 중간 치마폭(112)과 뒷자락 치마폭(114)은, 상단 너비(112b,114b)가 하단 너비(112c,114c)보다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마름질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치마폭(112)은 양측 변의 길이가 동일한 등변사다리꼴 형태로 마름질되고, 뒷자락 치마폭(114)은 일측 변이 상단 및 하단과 직각을 이루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름질된다.
치마폭(112,114)의 길이(112a,114a)는, [완성된 치마의 길이 + (단의 너비 × 2) + 시접]으로 한다. 이때, 겉감(110)의 중간 치마폭(112)과 뒷자락 치마폭(114)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한다.
여기서, 완성된 치마의 길이는 착용자의 신장이 클수록 늘어난다. 일례로, 신장이 150㎝인 경우 완성된 치마의 길이는 105㎝로, 155㎝인 경우 109㎝로, 160㎝인 경우 111㎝로, 165㎝인 경우 114㎝로, 167㎝인 경우 116㎝로 한다. 또한, 단의 너비는 중간 치마폭(112)과 뒷자락 치마폭(114)의 밑단이 풀리지 않게 박음질을 할 수 있는 너비로 한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신장이 167㎝인 경우, 완성된 치마의 길이는 116㎝이다. 이때, 단의 너비가 2㎝이고 시접이 4㎝라 하면, 치마폭(112,114)의 길이(112a,114a)는, [116㎝ + (2㎝ × 2) + 4㎝= 124㎝]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중간 치마폭(112)의 하단 너비(112c)는 옷감의 너비와 동일한 55㎝로 한다.
중간 치마폭(112)의 상단 너비(112b)는, [{(가슴둘레 + 뒷자락 치마폭의 겹침량) × 주름배수} / 치마폭의 수]로 한다.
여기서, 가슴둘레는 가슴에서 가장 높은 곳인 유두를 지나는 가슴둘레이다. 또한, 뒷자락 치마폭(114)의 겹침량은 한복치마를 착용하였을 때 뒷자락 치마폭(114)의 겉자락과 안자락이 겹치는 너비이다. 이때, 뒷자락 치마폭(114)의 겹침량은 15㎝를, 주름배수는 2.2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가슴둘레가 80㎝인 경우, 중간 치마폭(112)의 상단 너비(112b)는, [{(80㎝ + 15㎝) × 2.2} / 6 = 34.8333㎝]로, 약 35㎝이다. 따라서 중간 치마폭(112)을 마름질할 때, 상단 너비(112b)가 35㎝되도록 옷감의 양쪽을 역직삼각형 형태로 제거한다. 이때, 제거되는 옷감(빗금 친 부분)의 상단 너비는 각 10㎝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뒷자락 치마폭(114)의 하단 너비(114c)는 옷감의 너비와 동일한 55㎝로 한다.
뒷자락 치마폭(114)의 상단 너비(114b)는,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 + {(뒷자락 치마폭의 하단 너비 -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 / 2}]로 한다.
예를 들어, 가슴둘레가 80㎝인 경우, 중간 치마폭(112)의 상단 너비(112b)는 약 35㎝이다. 이를 대입하여 뒷자락 치마폭(114)의 상단 너비(114b)를 계산하면, [35㎝ + {(55㎝ - 35㎝) / 2} = 45㎝]이다. 따라서 뒷자락 치마폭(114)을 마름질할 때, 상단 너비(114b)가 45㎝되도록 옷감의 한 쪽을 역직삼각형 형태로 제거한다. 이때, 제거되는 옷감(빗금 친 부분)의 상단 너비는 10㎝이다.
도 4는 4폭의 중간 치마폭(122)과 2폭의 뒷자락 치마폭(124)으로 이루어진 안감(120)의 제도방법이다.
안감(120)의 치마폭(122,124)을 마름질하기 위한 옷감은 6폭 치마인 경우 55㎝의 너비를 갖는 옷감을 사용한다.
치마폭(122,124)의 길이(122a,124a)는, [완성된 치마의 길이 + 시접(3~4㎝)]으로 한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신장이 167㎝인 경우, 완성된 치마의 길이는 116㎝이다. 이때, 시접이 4㎝라 하면, 치마폭(122,124)의 길이(122a,124a)는, [116㎝ + 4㎝= 120㎝]이다. 즉, 안감(120)의 치마폭(122,124)의 길이(122a,124a)는, 겉감(110)의 치마폭(112,114)의 길이(112a,114a)보다 (단의 너비 × 2)만큼 짧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중간 치마폭(122)의 하단 너비(122c)는 옷감의 너비와 동일한 55㎝로 한다.
중간 치마폭(122)의 상단 너비(122b)는, [{(가슴둘레 + 뒷자락 치마폭의 겹침량) × 주름배수} / 치마폭의 수]로 한다.
예를 들어, 가슴둘레가 80㎝인 경우, 중간 치마폭(122)의 상단 너비(122b)는, [{(80㎝ + 15㎝) × 2.2} / 6 = 34.8333㎝]로, 약 35㎝이다. 따라서 중간 치마폭(122)을 마름질할 때, 상단 너비(122b)가 35㎝되도록 옷감의 양쪽을 역직삼각형 형태로 제거한다. 이때, 제거되는 옷감(빗금 친 부분)의 상단 너비는 각 10㎝이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뒷자락 치마폭(124)의 하단 너비(124c)는 옷감의 너비와 동일한 55㎝로 한다.
뒷자락 치마폭(124)의 상단 너비(124b)는,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 + {(뒷자락 치마폭의 하단 너비 - 중간 치마폭의 상단 너비) / 2}]로 한다. 이때, 안감(120)의 뒷자락 치마폭(124)은 겉감(110)의 뒷자락 치마폭(114)과 박음질되므로, 이를 위하여 안감(120)의 뒷자락 치마폭(124)의 너비는 겉감(110)의 뒷자락 치마폭(114)의 너비보다 [단의 너비 × 2]만큼 좁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슴둘레가 80㎝인 경우, 중간 치마폭(122)의 상단 너비(122b) 약 35㎝이다. 이를 대입하여 뒷자락 치마폭(124)의 상단 너비(124b)를 계산하면, [35㎝ + {(55㎝ - 35㎝) / 2} = 45㎝]이다. 따라서 뒷자락 치마폭(124)을 마름질할 때, 상단 너비(122b)가 45㎝되도록 옷감의 한 쪽을 역직삼각형 형태로 제거한 후, 다른 쪽을 4㎝(단의 너비 × 2)의 너비로 제거한다.
상술한 치마(100)의 제도방법에 의하면, 착용자의 체형(좀 더 상세하게는 가슴둘레)을 고려하여 마름질 치수를 결정하므로, 착용자의 체형에 맞는 한복치마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착용자의 가슴둘레에 따라 적당한 주름이 생기므로 착용감이 우수하고, 저고리의 도련 부분을 맵시 있게 착용할 수 있으며, 주름에 의한 드레이프성을 강조할 수 있다. 특히, 착용자의 체형에 따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복치마 중 조끼말기의 제도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조끼말기(200)의 앞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 기준선(Y)을 기준으로 반을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조끼말기(200)의 길이(L1)은, [저고리의 길이 - 3㎝ + 앞처짐 길이(L4)]로 한다.
조끼말기(200)의 진동 길이(L2)는, [저고리의 진동 길이(L3) - 2㎝]로 한다.
조끼말기(200)의 반폭 너비(W)는, [(가슴둘레 / 2) + 1㎝]로 한다.
이하, 조끼말기(200)를 제도함에 있어 기준선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기준선을 X, 수직 기준선을 Y, 수평 기준선 X와 수직 기준선 Y가 교차하는 지점을 O라 하겠다. 조끼말기(200)의 반폭 너비(W)의 시작 지점을 O, 끝 지점을 E이라 하고, 조끼말기(200)의 반폭 너비(W)의 가운데를 지나는 중심선을 C라 한다. 수평 기준선 X와 중심선 C가 교차하는 지점을 C1이라 한다.
또한, 지점 O에서 중심선 C 방향으로 [(B / 12) + 2.5㎝]만큼 이격된 위치의 수직선을 Y1이라하고, 수직선 Y1에서 중심선 C 방향으로 4㎝만큼 이격된 위치의 수직선을 Y2라 한다. 지점 E에서 중심선 C 방향으로 [(B / 12) + 2.5㎝]만큼 이격된 위치의 수직선을 Y3이라하고, 수직선 Y3에서 중심선 C 방향으로 4㎝만큼 이격된 위치의 수직선을 Y4라 한다.
또한, 지점 O에서 저고리의 진동 길이(L3)만큼 하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수평선을 X1이하라고, 지점 O에서 [조끼말기의 길이(L1) - 앞처짐 길이(L4)]만큼 하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수평선을 X2라 한다.
조끼말기(200)의 앞쪽 어깨끈(210)을 제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조끼말기(200)의 앞쪽 어깨끈(210)의 길이는, 착용자의 겨드랑점에서 앞쪽 어깨 끝점 사이의 길이와 동일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지점 O에서 중심선 C 방향으로 [B / 12]만큼 이격된 지점 P1과, 지점 O에서 중심선 C 방향으로 23㎝만큼 이격되고 하향으로 4.5㎝만큼 이격된 지점 P2를 지나는 사선 S1을 긋는다.
사선 S1과 수직선 Y1이 교차하는 지점 P3과, 조끼말기(200)의 진동점 P4를 잇는 제1곡선(212)을 긋는다. 이때, 제1곡선(212)은, 지점 O와 지점 P5(수평선 X1과 수직선 Y1이 교차하는 지점)를 잇는 사선 S2를 4등분하여 지점 P5에서 1/4 이격된 지점 P6을 지나가도록 제도한다.
또한, 사선 S1과 수직선 Y2가 교차하는 지점 P7과, 수평선 X1과 중심선 C가 교차하는 지점 C2를 잇는 제2곡선(214)을 긋는다. 이때, 제2곡선(214)은, 지점 C1과 지점 P8(수평선 X1과 수직선 Y2가 교차하는 지점)을 잇는 사선 S3의 일단(P8)에서 3.5㎝ 이격된 지점 P9를 지나가도록 제도한다.
상술한 제1 및 제2곡선(212,214)에 의해 조끼말기(200)의 앞쪽 어깨끈(210)이 만들어진다. 이때, 앞쪽 어깨끈(210)의 어깨솔기(216)는, 가로 {23㎝ - (가슴둘레 / 12), 세로 4.5㎝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형성된다.
조끼말기(200)의 뒤쪽 어깨끈(220)을 제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조끼말기(200)의 뒤쪽 어깨끈(220)의 길이는, 착용자의 겨드랑점에서 뒤쪽 어깨 끝점 사이의 길이와 동일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지점 E에서 중심선 C 방향으로 [B / 12]만큼 이격되고 상향으로 [B / 40]만큼 이격된 지점 P10과, 지점 E에서 중심선 C 방향으로 23㎝만큼 이격되고 하향으로 2㎝만큼 이격된 지점 P11을 지나는 사선 S4를 긋는다.
사선 S4와 수직선 Y3이 교차하는 지점 P12와, 수평선 X1과 수직선 Y5(E점을 지나는 수직선)가 교차하는 지점 P13을 잇는 제3곡선(222)을 긋는다. 이때, 제3곡선(222)은, 지점 E와 지점 P14(수평선 X1과 수직선 Y3이 교차하는 지점)를 잇는 사선 S5를 3등분하여 지점 P14에서 1/3 이격된 지점 P15를 지나가도록 제도한다.
또한, 사선 S4와 수직선 Y4가 교차하는 지점 P16과, C2를 잇는 제4곡선(224)을 긋는다. 이때, 제4곡선(224)은, 지점 C1과 지점 P17(수평선 X1과 수직선 Y4가 교차하는 지점)을 잇는 사선 S6의 일단(P17)에서 4㎝ 이격된 지점 P18을 지나가도록 제도한다.
상술한 제3 및 제4곡선(222,224)에 의해 조끼말기(200)의 뒤쪽 어깨끈(220)이 만들어지며, 뒤쪽 어깨끈(220)의 어깨솔기(226)는 가로 {23㎝ - (가슴둘레 / 12) - 2.5㎝}, 세로 {(가슴둘레 / 40) + 2㎝}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조끼말기(200)가 앞가슴이 많이 파인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곡선(212)을 상향으로 보정할 수 있고, 끝단(240)의 상하길이가 짧은 경우 제3곡선(222)을 상향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저고리의 길이가 긴 경우 제5곡선(230)을 하향으로 보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조끼말기(200)는, 앞쪽 어깨끈(210)이 뒤쪽 어깨끈(220)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앞쪽 어깨끈(210)과 뒤쪽 어깨끈(220)을 연결하는 어깨솔기(216,226)가 서로 다른 기울기로 제작된다. 따라서 어깨솔기(216,226)가 뒤로 넘어가지 않고 앞으로 처지므로 한복치마의 앞자락이 들리지 않아 한복을 더욱 맵시 있게 착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치마 110: 겉감
112: 중간 치마폭 120: 안감
122: 중간 치마폭 124: 뒷자락 치마폭
200: 조끼말기 210 : 앞쪽 어깨끈
220: 뒤쪽 어깨끈 216,226 : 어깨솔기
300: 치마끈

Claims (5)

  1. 겉감(110)과 안감(120)으로 이루어진 겹치마(100)와, 겹치마(100)의 상부에 마련된 조끼말기(200)를 포함하는 한복치마의 제도방법에 있어서,
    상기 겹치마(100)의 겉감(110)은,
    중간 치마폭(112)과, 상기 중간 치마폭(112)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뒷자락 치마폭(114)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치마폭(112)의 상단 너비(112b)는, [{(가슴둘레 + 상기 뒷자락 치마폭(114)의 겹침량) × 주름배수} / 치마폭의 수]로,
    상기 뒷자락 치마폭(114)의 상단 너비(114b)는, [상기 중간 치마폭(112)의 상단 너비(112b) + {(상기 뒷자락 치마폭(114)의 하단 너비(114c) - 상기 중간 치마폭(112)의 상단 너비(112b)) / 2}]로,
    상기 중간 치마폭(112)의 길이(112a)는, [완성된 치마의 길이 + (단의 너비 × 2) + 시접]으로,
    상기 뒷자락 치마폭(114)의 길이(114a)는, [완성된 치마의 길이 + (단의 너비 × 2) + 시접]으로,
    상기 중간 치마폭(112)의 하단 너비(112c)와 상기 뒷자락 치마폭(114)의 하단 너비(114c)는 각각 55㎝로, 하여 마름질하고,
    상기 겹치마(100)의 안감(120)은,
    중간 치마폭(122)과, 상기 중간 치마폭(122)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뒷자락 치마폭(124)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치마폭(122)의 상단 너비(122b)는, [{(가슴둘레 + 상기 뒷자락 치마폭(124)의 겹침량) × 주름배수} / 치마폭의 수]로,
    상기 뒷자락 치마폭(124)의 상단 너비(124b)는, [상기 중간 치마폭(122)의 상단 너비(122b) + {(상기 뒷자락 치마폭(124)의 하단 너비(124c) - 상기 중간 치마폭(122)의 상단 너비(122b)) / 2}]로,
    상기 중간 치마폭(122)의 길이(122a)는, [완성된 치마의 길이 + 시접]으로,
    상기 뒷자락 치마폭(124)의 길이(124a)는, [완성된 치마의 길이 + 시접]으로, 하여 마름질하며,
    상기 조끼말기(200)는,
    앞쪽 어깨끈(210)과 뒤쪽 어깨끈(220)을 포함하고,
    상기 앞쪽 어깨끈(210)의 어깨솔기(216)는, [가로 {23㎝ - (가슴둘레 / 12)}, 세로 4.5㎝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상기 뒤쪽 어깨끈(220)의 어깨솔기(226)는, [가로 {23㎝ - (가슴둘레 / 12) - 2.5㎝}, 세로 {(가슴둘레 / 40) + 2㎝}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하여 마름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끼말기(200)의 길이(L1)은, [저고리의 길이 - 3㎝ + 앞처짐 길이(L4)]로,
    상기 조끼말기(200)의 진동 길이(L2)는, [저고리의 진동 길이(L3) - 2㎝]로,
    상기 조끼말기(200)의 반폭 너비(W)는, [(가슴둘레 / 2) + 1㎝]로,
    하여 마름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쪽 어깨끈(210)이 상기 뒤쪽 어깨끈(220)보다 짧게 형성되게 마름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겉감(110)의 상기 뒷자락 치마폭(114)의 겹침량과 상기 안감(120)의 상기 뒷자락 치마폭(124)의 겹침량은, 15㎝로 하여 마름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배수는, 2.2로 하여 마름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KR1020120089805A 2012-08-17 2012-08-17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KR10121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05A KR101213137B1 (ko) 2012-08-17 2012-08-17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05A KR101213137B1 (ko) 2012-08-17 2012-08-17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137B1 true KR101213137B1 (ko) 2012-12-18

Family

ID=4790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805A KR101213137B1 (ko) 2012-08-17 2012-08-17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079B1 (ko) * 2019-09-03 2020-08-05 박효희 원피스형 여성용 개량한복의 제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7Y1 (ko) 2002-10-11 2003-01-14 한상욱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7Y1 (ko) 2002-10-11 2003-01-14 한상욱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079B1 (ko) * 2019-09-03 2020-08-05 박효희 원피스형 여성용 개량한복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11646A (ja) サポート要素付き下半身衣類
ITMI20120904A1 (it) Pantalone, in particolare un pantalone per modellare la natiche ed i fianchi femminili
CN104757707B (zh) 隐藏控制腰带服装
CN102429334B (zh) 一种轻薄型西服的制作方法
WO2019224885A1 (ja) ブラジャー
CN105661722B (zh) 一种惠安女上衣的裁制方法
JP2007509253A (ja) シームレスニット衣服
US20150107004A1 (en) Bottom Garment
KR101213137B1 (ko)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KR101213138B1 (ko)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KR101443338B1 (ko)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KR101362079B1 (ko) 말림 방지 구조를 가진 속옷
JP6422602B1 (ja) 衣服
WO2013008283A1 (ja) ズボン及びズボンスーツ
US20160219954A1 (en) Curved pleate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pleated product
CN202496413U (zh) 一种轻薄型西服
CN207428437U (zh) 长文胸及内衣组件
CN206675012U (zh) 一种无钢圈聚拢定型无缝内衣
CN214629974U (zh) 拼接式连衣裙
JP3225032U (ja) パンツ
CN210226949U (zh) 镂空花纹连衣裙
CN209788523U (zh) 一种尺寸可调式卫衣
CN211407716U (zh) 翻领t恤
CN211268779U (zh) 一种衣服的透气结构
KR101371283B1 (ko) 라운드 깃을 갖는 양복의 제조방법 및 그 양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