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7Y1 -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7Y1
KR200300187Y1 KR20-2002-0030404U KR20020030404U KR200300187Y1 KR 200300187 Y1 KR200300187 Y1 KR 200300187Y1 KR 20020030404 U KR20020030404 U KR 20020030404U KR 200300187 Y1 KR200300187 Y1 KR 200300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skirt
fixed
chest
hanb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욱
Original Assignee
한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욱 filed Critical 한상욱
Priority to KR20-2002-0030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2Convertible garments in their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5/00Shoulder or like straps
    • A41F15/002Shoulder or like straps separable 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에 관한 것으로서, 치마몸체와 치마몸체 상단에 형성된 가슴말기와 가슴말기 양측단에 형성된 눈물고름을 갖는 한복치마에 있어서, 상기 가슴말기의 폭은 상하측으로 10∼15cm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겨드랑이를 가리면서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가슴말기의 중심측에는 상측으로 곡선으로 5∼8cm 돌출되게 연장되어 눈물고름으로 가슴부위 매듭시 착용자의 가슴부위 전체를 폭넓게 감싸게 형성하며, 가슴말기의 중심 양측에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어깨끈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착용시 가슴부위를 압박을 최소화하면서 필요에 따라 한복치마의 길이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Length modulation korean dress}
본 고안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에 관한 것으로서, 가슴말기의 폭을 상방향으로보다 크게 하고 가슴말기 중심부위를 상측으로 연장시키며 가슴말기 중심 양측에 길이가 조절되는 어깨끈을 구비하여 착용시 가슴부위를 압박을 최소화하면서 필요에 따라 한복치마의 길이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복(韓服)은 한민족(韓民族)의 고유한 의복으로, 당(唐), 원(元), 명대(明代)의 관복제도를 받아들여 한국 고유의 복식과 조화시키면서 발전시킨 것으로, 조선옷이라고도 한다.
한복은 직선과 약간의 곡선이 기본을 이루어, 옷의 선이 아름답다. 특히 여자 옷은 저고리와 치마가 상박하후(上薄下厚)하여 옷차림이 단정하고 아담하다. 옷 입은 의복 분위기는 동양적인 생활윤리가 깃든 초연한 멋이 저절로 풍긴다.
예복과 평상복의 구별이 있으며, 이에 속옷과 수식(修飾)이 따른다. 또한 남녀별 성인과 어린이용, 계절별로 나뉜다.
특히, 성인용 여자의 한복으로는, 예복으로 소례복(小禮服), 대례복(大禮服)이 있고, 상례에는 이에 따른 상복이 있었다. 소례복은 초록색 당의에 화관이나 족두리를 썼으며, 대례복은 다홍색 활옷에 화관을 쓰거나 초록색 원삼에 족두리를 썼다. 저고리는 삼회장저고리이며, 치마는 스란치마 또는 대란치마를 입었는데, 소례복에서는 스란치마를 입었다. 이 때 저고리는 속적삼 ·속저고리 ·겉저고리 등 삼작이며, 치마는 겉치마에 볼륨을 넣으려고 안에 무지기를 입었고, 때에 따라서는 대슘치마까지 받쳐 입었다. 무지기는 허리 부분을, 대슘치마는 아랫도리를 버티어 주었다. 평상복은 저고리 ·치마이며, 마고자 ·두루마기를 들 수 있다. 여자 두루마기는 방한용이어서, 남자의 경우와 같이 남의 집에 가서도 꼭 입고 있어야 할 필요는 없었다. 그런데 여자 옷의 특징은 속옷의 가짓수에 있다. 하의로는 단속곳 ·바지 또는 고쟁이 ·속속곳 ·다리속곳 ·너른바지와 어깨허리의 속치마이며, 상의로는 속적삼과 겨드랑이 및 가슴 가리개용 허리띠가 있다.
한복치마는 치마몸체와, 치마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가슴말기와, 가슴말기의 양측단에 각각 고정된 눈물고름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요즈음은 이에 치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조끼형태가 일체로 형성된 치마를 착용하기도 한다.
한복치마는 주로 3폭으로 치마몸체의 주름을 잡아 활동하기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미적으로도 기품있고 우아한 멋을 더해준다.
이런 한복치마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치마몸체 상단의 가슴말기는 펴서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둘른 다음, 가슴말기 양단의 눈물고름으로 가슴부위에서 매듭을 묶어 조여서 고정시키면 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한복치마는 사용자의 가슴부위에서 가슴말기 양측단의 눈물고름이 매듭으로 묶여 고정되기 때문에 한복치마의 착용시 사용자의 가슴이 조여지고 이에 따라 가슴이 답답하여 오랜시간 착용하기 어려웠고, 활동에 따라 점차로 흘러내려 자주 눈물고름을 다시 묶어야 되는 등의 착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종래의 한복치마는 재단시 한복치마의 길이가 재단작업자의 재단습관에 의해 약간 5mm정도 길어지고 짧아지는 길이를 보상할 수 없어 그 길이 차이에 의해 한복치마를 다시 재단하여야 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복치마의 길이가 처음 맞추었을 때의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굽이 높은 구두를 신게 되면 한복치마의 길이가 짧게 되어 보기 흉하게 되고, 보다 굽이 낮은 신발을 신게 되면 한복치마의 길이가 너무 길게 되어 바닥에 끌리게 되는 등 필요에 따라 한복치마의 길이를 조절하기가 무척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복치마의 가슴말기와 눈물고름을 없애고 치마의 상단에 조끼형태를 일체로 구성한 개량된 한복치마를 제공하여 한복치마의 흘러내림과 착용시 가슴부위의 불편함을 해결한 바 있으나, 이렇게 상부가 조끼형태로 구성된 한복치마는 활동 및 착용은 편한 반면, 필요에 따라 한복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그때마다 한복치마의 길이조절을 위한 재단을 다시 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슴말기의 폭을 상방향으로보다 크게 하고 가슴말기 중심부위를 상측으로 연장시키며 가슴말기 중심 양측에 길이가 조절되는 어깨끈을 구비하여 착용시 가슴부위를 압박을 최소화하면서 필요에 따라 한복치마의 길이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치마몸체와 치마몸체 상단에 형성된 가슴말기와 가슴말기 양측단에 형성된 눈물고름을 갖는 한복치마에 있어서;
상기 가슴말기의 폭은 상하측으로 10∼15cm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겨드랑이를 가리면서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가슴말기의 중심측에는 상측으로 곡선으로 5∼8cm 돌출되게 연장되어 눈물고름으로 가슴부위 매듭시 착용자의 가슴부위 전체를 폭넓게 감싸게 형성하며, 가슴말기의 중심 양측에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어깨끈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걸어 고정시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어깨끈은 가슴말기의 가슴받침부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된 일측고정끈과;
가슴말기의 일측 상단에 일단이 고정된 타측고정끈과;
양단에 각각의 고정끈에 걸림 고정되는 고리부가 형성된 걸고리를 갖고 일단이 걸고리에 감겨 고정고리 일측에 고정되어 고정고리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어깨지지끈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도 1은 본 고안 한복치마의 펼쳐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한복치마 10 : 가슴말기
12 : 가슴받침부 14 : 눈물고름
20 : 어깨끈 22 : 어깨지지끈
24 : 걸고리 25 : 고리부
26 : 고정고리 28 : 일측고정끈
29 : 타측고정끈 30 : 치마몸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한복치마의 펼쳐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로, 본 고안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1)는 치마몸체(30)와, 치마몸체(30) 상단에 형성되고 폭이 상하측으로 10∼15cm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겨드랑이를 가리면서 밀착되도록 형성된 가슴말기(10)와, 가슴말기(10) 양측단에 형성된 눈물고름(14)과, 가슴말기(10)의 중심측에는 상측으로 곡선으로 5∼8cm 돌출되게 연장되어 눈물고름(14)으로 가슴부위 매듭시 착용자의 가슴부위 전체를 폭넓게 감싸게 형성하는가슴받침부(12)와, 가슴말기(10)의 중심 양측에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어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걸어 고정되는 어깨끈(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깨끈(20)은 가슴말기(10)의 가슴받침부(12)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된 일측고정끈(28)과, 가슴말기(10)의 일측 상단에 일단이 고정된 타측고정끈(29)과, 양단에 각각의 고정끈(20)(29)에 걸림 고정되는 고리부(25)가 형성된 걸고리(24)를 갖고 일단이 걸고리(24)에 감겨 고정고리(26) 일측에 고정되어 고정고리(26)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어깨지지끈(22)으로 구성된다.
고정고리(26)는 길이조절수단으로 사각봉체의 중간부에 가로질러 일체로 되는 중간봉체가 형성된 것으로 중간봉체에는 연결지지끈(22)의 일단이 고정된다.
어깨끈(20)의 길이조절수단으로는 상기의 고정고리(26)외에도 공지의 단추나 스냅, 매직테이프 등과 같은 파스너(fastener)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어깨끈(20)의 어깨지지끈(22)은 내측에 고무줄과 같은 신축소재가 첨가되어 신축적으로 길이가 늘어나는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활동에 따라 약간씩 신축되도록 하는 것이 활동시에는 편하나, 신축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한복치마(1)의 길이가 유동적으로 신축되지 않고 항상 고정되게 구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착용자는 치마몸체(30) 상단의 가슴말기(10)의 가슴받이부(12)를 가슴부위에 위치시킨 다음, 양측 어깨끈(20)을 착용자의 어깨에 걸어 한복치마(1)를 지지한 후, 어깨끈(20)의 어깨지지끈(22)의 길이를 고정고리(26)의 이동으로 적당하게 조절한다.
이때, 어깨끈(20)의 중심부위에 도 1과 같은, 어깨지지끈(22)의 일단이 걸고리(24)에 감겨 고정고리(26) 일측에 고정됨에 따라 고정고리(26)와 걸고리(24)사이에 감겨진 여분의 어깨지지끈(22)은 고정고리(26)의 위치이동에 따라 길어지고 또한 짧아진다.
즉, 어깨끈(20)의 고정고리(26)를 어깨지지끈(22) 상에서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어깨지지끈(22)의 내측에 위치된 절첩부위의 어깨지지끈(22) 길이는 짧아지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어깨지지끈(22)의 길이는 길어져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진 한복치마(1)는 하측으로 서서히 내려가게 되며, 만약 착용자가 굽이 높은 구두를 신었을 경우에는 굽이 높은 구두를 가릴 정도로 한복치마(1)의 하단이 내려가게 되어, 착용자의 구두는 한복치마 안으로 감춰지게 되고 한복치마(1)의 길이는 적당하게 계속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어깨끈(20)의 고정고리(26)를 어깨지지끈(22)상에서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어깨지지끈(22) 내측에 위치한 절첩부위의 어깨지지끈(22) 길이는 길어지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어깨지지끈(22)의 길이는 짧아져 착용자의 한복치마(1)는 상측을 들어올려지게 되며, 만약 착용자가 굽이 낮은 고무신을 신었을 경우에는 한복치마(1)의 하단이 바닥에 너무 많이 끌리지 않고 적당하게 바닥면과 닿게 되어 적당한 한복치마(1)의 길이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착용자의 신발 높이 등에 따라 한복치마(1)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절한 후에는 가슴말기(10) 양단의 눈물고름(14)으로 두르고, 가슴 아래부위에서 매듭을 묶어 한복치마(1)를 고정시킨 다음, 저고리를 입으면 된다.
이때, 눈물고름(14)으로 착용자의 가슴부위에 조여진 가슴말기(10)의 폭은 상하측으로 10∼15cm 정도 형성된 것으로, 이 길이는 한복치마의 착용시 저고리의 겨드랑이 부위를 내측에서 가리면서 밀착되어 활동시, 겨드랑이 부위의 살이 드러나지 않게 된다.
또한, 눈물고름(14)으로 조여진 가슴말기(10)의 가슴받침부(12)는 가슴말기(10)의 중심측에서 상측으로 곡선으로 5∼8cm 돌출되게 연장되어 착용자의 가슴부위 전체를 폭넓게 감싸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가슴부위를 누르는 압박력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고, 보다 넓은 부위에서 가슴부위를 잡아주고 받혀주기 때문에 가슴말기(10)가 착용자에게 넓은 면적에서 밀착되어 착용됨에 따라 한복치마(1)의 착용감이 한결 향상된다.
이에 따라 한복치마(1)의 착용자는 별도의 가슴가리개를 하지 않아도 가슴말기(10)의 가슴받침부(12)가 착용자의 가슴부위와 밀착되어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한복치마는 가슴말기의 폭을 상방향으로보다 크게 하고 가슴말기 중심부위를 상측으로 연장시키며 가슴말기 중심 양측에 길이가 조절되는 어깨끈을 구비하여 착용시 가슴부위를 압박을 최소화하면서 필요에 따라 한복치마의 길이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치마몸체와 치마몸체 상단에 형성된 가슴말기와 가슴말기 양측단에 형성된 눈물고름을 갖는 한복치마에 있어서;
    상기 가슴말기(10)의 폭은 상하측으로 10∼15cm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겨드랑이를 가리면서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가슴말기(10)의 중심측에는 상측으로 곡선으로 5∼8cm 돌출되게 연장되는 가슴받침부(12)를 형성하여 눈물고름(14)으로 가슴부위 매듭시 착용자의 가슴부위 전체를 폭넓게 감싸게 형성하며, 가슴말기(10)의 중심 양측에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어깨끈(20)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걸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20)은 가슴말기(10)의 가슴받침부(12)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된 일측고정끈(28)과;
    가슴말기(10)의 일측 상단에 일단이 고정된 타측고정끈(29)과;
    양단에 각각의 고정끈(28)(29)에 걸림 고정되는 고리부(25)가 형성된 걸고리(24)를 갖고 일단이 걸고리(24)에 감겨 고정고리(26) 일측에 고정되어 고정고리(26)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어깨지지끈(22)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KR20-2002-0030404U 2002-10-11 2002-10-11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KR200300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404U KR200300187Y1 (ko) 2002-10-11 2002-10-11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404U KR200300187Y1 (ko) 2002-10-11 2002-10-11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7Y1 true KR200300187Y1 (ko) 2003-01-14

Family

ID=4932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404U KR200300187Y1 (ko) 2002-10-11 2002-10-11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8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976B1 (ko) * 2005-04-25 2007-05-02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다리용 마사지기
KR101213137B1 (ko) 2012-08-17 2012-12-18 안현주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KR200476944Y1 (ko) * 2014-10-21 2015-04-16 방미숙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조립체
KR20190015157A (ko) 2018-08-28 2019-02-13 강영숙 한복 치마
KR20210155902A (ko) * 2020-06-17 2021-12-24 최선희 멜빵 탈부착 양면 랩 스커트 방식의 한복치마
KR102599070B1 (ko) 2023-10-05 2023-11-03 최지은 기능성 한복 속바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976B1 (ko) * 2005-04-25 2007-05-02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다리용 마사지기
KR101213137B1 (ko) 2012-08-17 2012-12-18 안현주 한복치마의 제도방법
KR200476944Y1 (ko) * 2014-10-21 2015-04-16 방미숙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조립체
KR20190015157A (ko) 2018-08-28 2019-02-13 강영숙 한복 치마
KR20210155902A (ko) * 2020-06-17 2021-12-24 최선희 멜빵 탈부착 양면 랩 스커트 방식의 한복치마
KR102454670B1 (ko) * 2020-06-17 2022-10-14 최선희 멜빵 탈부착 양면 랩 스커트 방식의 한복치마
KR102599070B1 (ko) 2023-10-05 2023-11-03 최지은 기능성 한복 속바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4942B2 (en) Undergarment
US6035439A (en) Wholly and partially removable garment
US8769718B2 (en) Garment
US8250675B2 (en) Leg garment
US8316464B2 (en) Convertible swimwear
US6016569A (en) Swimsuit with displaceable crotch
US3036574A (en) Bathing suit
US6738988B2 (en) Thong-type garment with wireframe construction
US5717998A (en) Swimsuit with displaceable crotch
US8832862B1 (en) Method for making and using a torso top outer garment, and resulting garment
US20190053558A1 (en) Garment clip
US5956765A (en) Wholly and partially removable garment
US20090300817A1 (en) Multi-use and multi-style garment
US20110067162A1 (en) Torso top outer garment
KR20150141298A (ko) 배코드
KR200300187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
JP2004137608A (ja) 簡易着装式和服のための着物および帯
JP2007016372A (ja) 伝統的な和服姿の美しさに重点を置きながら、誰でも簡単に着用できるほど単純でありながら、着崩れの心配もなく、からだを締め付ける圧迫感や動きの不自由さを解消して快適な着用感を実現した上下二部式の和服および長襦袢。
KR200349786Y1 (ko) 배커버
EP1696754B1 (en) Garment that dresses at least the pelvis
KR200314634Y1 (ko) 장례용 한복
US11950641B1 (en) Bra cover and an adjustable and removable bra using it
CN213604426U (zh) 一种具有拼接结构的塑身衣
CN209883108U (zh) 一种晚礼服
CN220529297U (zh) 一种新型塑身连体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