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996B1 -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996B1
KR101212996B1 KR1020100115730A KR20100115730A KR101212996B1 KR 101212996 B1 KR101212996 B1 KR 101212996B1 KR 1020100115730 A KR1020100115730 A KR 1020100115730A KR 20100115730 A KR20100115730 A KR 20100115730A KR 101212996 B1 KR101212996 B1 KR 101212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heet
vacuum pump
silicon
hair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379A (ko
Inventor
윤석포
Original Assignee
윤석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포 filed Critical 윤석포
Priority to KR102010011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9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물에 이물질이나 기포 등이 개재되지 않은 상태로 미려하고 순수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직물의 무늬모양을 미려한 상태로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재료의 접합률을 높여 미려한 장식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판상의 강화유리를 소정 크기로 절단한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를 갖는 유리편을 부착하고, 그 베이스 상면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단위유리소재를 다수 개 배열하여 형틀을 형성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얻은 형틀의 내부로 실리콘 액체를 부은 후 진공펌프로 공기와 기포를 제거하고,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탈형하여 실리콘금형을 성형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서 얻은 실리콘금형 중 단위유리소재와 대응하여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진공펌프로 공기를 뺀 수지액을 주입한 후 소정 크기의 시트를 그 수지액 속에 인서트하고, 진공펌프로 공기를 제거한 후 건조기에서 굳히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에서 굳은 수지액의 상면을 평면 연삭하는 제4공정, 상기 제4공정을 거친 실리콘금형을 파괴하여 수지액과 시트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물을 얻는 제5공정을 포함하는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airpin}
본 발명은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핀에 부착하는 장식물에 이물질이나 기포 등이 개재되지 않은 상태로 미려하고 순수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직물의 무늬모양을 미려한 상태로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재료의 접합률 및 장식적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는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핀은 머리카락이 헝클어지지 않고 가지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머리를 치장 및 장식하여 외관상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신구의 일종이다.
오늘날에 있어 이러한 머리핀은 머리 형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적인 용도보다는 머리 장식용으로 쓰는 경향이 있다.
장식적인 기능을 얻기 위해서는 머리핀을 구성하는 기본 부재에 장식물을 독특한 형태로 구성하고, 장식물의 표면에는 다양한 모양이나 색채를 가미하게 된다.
머리핀용 장식물로 사용되는 부재 중의 하나인 에폭시 수지는 그 활용도가 매우 넓어서 머리핀 등의 액세서리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머리핀은 머리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와, 장식을 위한 장식부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장식부의 외측면에는 장식성 향상을 위해 각종 무늬가 부착되거나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머리핀용 장식부는 장시간 사용 시 표면의 장식이 쉽게 벗겨지거나 훼손됨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머리핀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머리핀용 장식부는 장식효과를 얻기 위해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특성상 제작시간과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있다.
삭제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이 간단하고 제품이 균일하며, 반영구적인 형태 유지가 가능하면서 다양하고 미려한 디자인 및 이미지를 용이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상의 강화유리를 소정 크기로 절단한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를 갖는 유리편을 부착하고, 그 베이스 상면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단위유리소재를 다수 개 배열하여 형틀을 형성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얻은 형틀의 내부로 실리콘 액체를 부은 후 진공펌프로 공기와 기포를 제거하고,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탈형하여 실리콘금형을 성형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서 얻은 실리콘금형 중 단위유리소재와 대응하여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진공펌프로 공기를 뺀 수지액을 주입한 후 소정 크기의 시트를 그 수지액 속에 인서트하고, 진공펌프로 공기를 제거한 후 건조기에서 굳히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에서 굳은 수지액의 상면을 평면 연삭하는 제4공정, 상기 제4공정을 거친 실리콘금형을 파괴하여 수지액과 시트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물을 얻는 제5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로써 머리핀용 장식물을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으면서 성형된 장식물 내부에 함침된 형태의 시트가 갖는 무늬모양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결합력의 증대로 인해 견고성이 향상되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시트를 초음파미싱기로 절단하여 이를 수지몰드에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균일한 제품 제작이 가능하고, 시트의 형상과 모양 및 색채에 따라 적절히 조화시켜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 및 연출할 수 있고, 아울러 시트와 수지의 결합력에 의한 내구성 및 견고성이 향상되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시트의 색상과 디자인에 의해 다양한 무늬모양의 연출 및 시각적 장식성을 제고할 수 있어 제품의 고급화 및 차별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게다가 시트가 수지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색상의 변화 또는 손상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다양한 형상의 장식물을 만들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흐름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미싱기를 이용하여 시트를 절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5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장식물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핀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제1공정은 형틀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판상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를 선택하여 가로 30~40cm 및 세로 30~40cm 정도의 크기로 절단한 후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베이스(10)의 가장자리에는 가늘고 길며 폭을 가지는 유리편(30)을 부착하여 소정의 깊이가 형성되도록 하고, 또 베이스(10) 상면에는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형상 및 모양을 갖는 단위유리소재(20)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하여 형틀을 형성한다.
삭제
삭제
제2공정은 실리콘금형(40)을 성형하기 위한 공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정에서 얻은 베이스(10)와 단위유리소재(20) 및 유리편(30)으로 이루어진 형틀 내부에 실리콘액체를 부어 채워주고, 이어서 진공펌프로 실리콘액체 내의 공기와 기포를 제거하고, 건조기로 건조하여 몰드한 후 탈형하여 실리콘금형(40)을 얻는다.
여기서, 실리콘금형(40)은 단위유리소재(20)의 형상 및 모양과 동일한 형태로 성형된다.
제3공정은 장식물을 성형하기 위한 공정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금형(40) 중 단위유리소재(20)와 대응하여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수지액(50)을 주입한 후 소정 크기의 시트(70)를 그 수지액(50) 속에 인서트하고, 이어서 시트(70)가 인서트된 실리콘금형(40) 내의 수지액(50) 속의 공기를 진공펌프로 제거한 후 건조기에서 굳힌다.
즉, 시트(70)에 수지액(50)이 함침되면서 수지몰드가 형성된다.
이때, 사용하는 수지액(50)은 진공펌프로 공기를 뺀 순수한 수지액이며, 시트(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미싱기(60)를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시트(70)는 직조섬유, 사진, 옵셋 인쇄물, 지류(紙類)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시트(70)의 폭이나 길이는 직조섬유, 사진, 옵셋 인쇄물 및 지류에 나타나는 무늬모양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미싱기(60)는 수직형과 로울러형 모두가 적용이 가능하고 초음파절단으로 순간 절단면을 얻기 때문에 시트(70)의 절단면은 미려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제4공정은 실리콘금형(40)에 채워진 상태로 굳은 수지액(50)의 상면을 평면 연삭하는 공정으로, 실리콘금형(40)에 주입시 고르지 못한 면을 가지면서 굳는 수지액(50)의 상면을 평면 연삭함으로써 고른 면을 가짐과 동시에 미려한 면을 얻도록 한다.
삭제
삭제
제5공정은 수지액(50)과 시트(70)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물(80)을 얻기 위한 공정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금형(40)을 파괴하여 수지액(50)과 시트(70)가 일체화된 장식물(80)을 분리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액(50) 속에 시트(70)가 인서트된 상태의 합성수지계 장식물(80)을 얻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해 완성된 머리핀용 장식물(80)은 표면을 매끈하게 가공한 후 머리핀의 본체에 부착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려한 머리핀(9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머리핀용 장식물(80)은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액(50)의 내부에 특정 무늬와 색채를 가지는 시트(70)가 인서트된 형태를 이루고 있어 제작시간과 인력이 절감됨은 물론 재료의 손실이 거의 없어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시트(70)가 수지액(50)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변색 또는 손상되지 않는 장식물(80)을 만들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시트(70)를 포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머리핀용 장식물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형상, 무늬 및 색채를 갖는 소재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10; 베이스 20; 단위유리소재
30; 유리편 40; 실리콘금형
50; 수지액 60; 초음파미싱기
70; 시트 80; 장식물

Claims (4)

  1. 판상의 강화유리를 소정 크기로 절단한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를 갖는 유리편을 부착하고, 그 베이스 상면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단위유리소재를 다수 개 배열하여 형틀을 형성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얻은 형틀의 내부로 실리콘 액체를 부은 후 진공펌프로 공기와 기포를 제거하고,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탈형하여 실리콘금형을 성형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서 얻은 실리콘금형 중 단위유리소재와 대응하여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진공펌프로 공기를 뺀 수지액을 주입한 후 소정 크기의 시트를 그 수지액 속에 인서트하고, 진공펌프로 공기를 제거한 후 건조기에서 굳히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에서 굳은 수지액의 상면을 평면 연삭하는 제4공정;
    상기 제4공정을 거친 실리콘금형을 파괴하여 수지액과 시트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물을 얻는 제5공정;
    을 포함하는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의 시트는 직조섬유, 사진, 옵셋 인쇄물, 지류(紙類)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00115730A 2010-11-19 2010-11-19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1212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730A KR101212996B1 (ko) 2010-11-19 2010-11-19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730A KR101212996B1 (ko) 2010-11-19 2010-11-19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379A KR20120054379A (ko) 2012-05-30
KR101212996B1 true KR101212996B1 (ko) 2012-12-18

Family

ID=4627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730A KR101212996B1 (ko) 2010-11-19 2010-11-19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9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268Y1 (ko) * 2002-07-24 2002-11-07 김은희 악세서리용 시트
JP2007195766A (ja) 2006-01-27 2007-08-09 Hirota Osada 装身具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268Y1 (ko) * 2002-07-24 2002-11-07 김은희 악세서리용 시트
JP2007195766A (ja) 2006-01-27 2007-08-09 Hirota Osada 装身具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379A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463B1 (ko) 인조손톱 제조방법
CN101961166A (zh) 覆盖指甲用假指甲及利用该假指甲覆盖指甲的方法
KR101212996B1 (ko)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0776617B1 (ko) 인조손톱세트
KR20140103408A (ko) 입체감을 갖는 하부 구조로 된 인조 손톱 및 그 제조 방법
CN105648676A (zh) 一种湘南布贴绣的制作方法
JP2008296398A (ja) 人造大理石の加飾方法
KR101157957B1 (ko) 싸개 단추의 제조 방법
KR100830597B1 (ko) 가죽패드를 구비한 키홀더의 장식부 형성방법
KR101062289B1 (ko) 입체 유리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34376B1 (ko) 몰드 프레임을 이용한 한지트로피 제조방법
CN217039007U (zh) 全自动免啤胶片直接注塑束头
JP2017213747A (ja) 加飾合成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73178B1 (ko) 입체문양 창호 한지 및 그 제조방법
JP3078818U (ja) 不透明背景層を含むつけ爪
KR200394844Y1 (ko) 비누 성형틀
CN207291462U (zh) 一种新中式画装裱框及用新中式装裱框装裱的新中式画
CN201736715U (zh) 一种珐琅饰品
CN202088772U (zh) 一种树脂工艺饰品
KR200266825Y1 (ko) 털원단을 내장한 아크릴 프레이트
KR101206981B1 (ko) 모조 장식품 제조용 왁스사출물 제조방법 및 그 사출몰드
JP3612490B2 (ja) ジクソーパズルのパズルピース製造方法
CN209825548U (zh) 一种带有宝石状纹路的甲片
KR200294268Y1 (ko) 악세서리용 시트
JP2009207596A (ja) 大小模造亀製作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