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268Y1 - 악세서리용 시트 - Google Patents

악세서리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268Y1
KR200294268Y1 KR2020020022054U KR20020022054U KR200294268Y1 KR 200294268 Y1 KR200294268 Y1 KR 200294268Y1 KR 2020020022054 U KR2020020022054 U KR 2020020022054U KR 20020022054 U KR20020022054 U KR 20020022054U KR 200294268 Y1 KR200294268 Y1 KR 200294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attern
accessory
synthetic res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희
Original Assignee
김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희 filed Critical 김은희
Priority to KR2020020022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26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악세서리용 시트를 제조하는 과정 및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영구적으로 그 색상을 유지할 수 있는 악세서리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악세서리용 시트는 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1 시트, 무늬 및 색채가 인쇄된 무늬 시트 및 불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시트가 적층된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이용된 무늬 시트는 직물지, 사진, 옵셋 인쇄물, 지류(紙類)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악세서리용 시트는 불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시트, 무늬 및 색채가 인쇄된 무늬 시트 및 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1 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단계; 적층된 시트들을 압착하여 일체화시키는 단계; 일체화된 시트를 원하는 규격 및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절단된 시트를 머리의 형태에 맞게 굴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악세서리용 시트{Sheet for accessories}
본 고안은 악세서리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을 표현할 수 있는 악세서리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세서리, 특히 머리핀은 여성들의 머리카락이 헝클어지지 않고 가지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머리를 장식하여 외관상 아름다움을 추구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신구의 일종이다.
오늘날에 있어 이러한 머리핀은 머리 형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적인 면보다는 장식 기능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장식적인 기능을 얻기 위해서는 머리핀을 구성하는 기본 부재인 시트를 독특한 형태로 구성하고, 시트 표면에 다양한 모양이나 색채를 가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악세서리용 시트는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합성 수지로 제조되어 전체적인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공정은 비교적 간단하다. 예를 들어, 악세서리용 시트 표면에 꽃의 모양과 색채를 표현하고자 할 때, 먼저 도안된 꽃모양(무늬)에 맞추어 성형용(사출용) 금형을 제작한 뒤, 기본 시트를 제조한다. 그 후, 재료의 시트 표면에 형성된 모양에 원하는 색상의 잉크 또는 도료를 입히게 된다(inking 공정). 이후 재료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즉, 절단 및 휨 공정)함으로서 악세서리용 시트가 완성된다. 그러나, 사용된 재료의 특성 및 공정 조건들로 인하여 시트 표면에 다양한 모양이나 색상을 나타내는 과정 및 시트가 완성된 후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난다.
1. 재료 시트의 표면에 도안된 모양(무늬)를 형성하기 위하여 성형용(사출용) 금형을 먼저 제작하여야 하며, 따라서 다양한 무늬의 악세서리용 시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때 그때마다 금형을 제작하여야만 한다. 이는 제조 비용 및 제품의 가격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2. 매끄러운 재료 시트 표면에 모양에 맞추어 여러 가지 색상의 잉크(도료)를 입히는 과정도 쉽지 않으며, 또한 잉킹 과정이 완료된 재료 시트를 특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절단 및 휨 공정 동안에 재료 시트 표면에 형성된 잉크층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시트 표면에서 들뜨거나 벗겨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3. 또한, 제품으로 판매된 머리핀을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잉크층이 벗겨짐으로서 미적인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본 고안은 악세서리용 시트를 제조하는 과정 및 사용시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영구적으로 그 색상을 유지할 수 있는 악세서리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악세서리용 시트는 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1 시트, 무늬 및 색채가 인쇄된 무늬 시트 및 불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시트가 적층된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이용된 무늬 시트는 직물지, 사진, 옵셋 인쇄물, 지류(紙類)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악세서리용 시트는 불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시트, 무늬 및 색채가 인쇄된 무늬 시트 및 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1 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단계; 적층된 시트들을 압착하여 일체화시키는 단계; 일체화된 시트를 원하는 규격 및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절단된 시트를 머리의 형태에 맞게 굴곡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악세서리용 시트의 분리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악세서리용 시트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악세서리용 시트의 가장 큰 특징은 상부의 제 1 시트(10) 및 하부의 제 2 시트(30) 그리고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30) 사이에 위치하는 무늬 시트(20)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 1 시트(10)는 아크릴 판과 같은 투명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시트이며, 제 2 시트(30)는 불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시트이다. 무늬 시트(20)는 무늬 및 색채가 인쇄된 시트로서, 한정되지는 않지만 직물지, 사진, 옵셋 인쇄물, 지류(紙類) 등이다.
제 2 시트(30), 무늬 시트(20) 및 제 1 시트(10)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일체화하면 무늬 시트(20)에 형성된 무늬 및 색채는 제 1 시트(10)를 통하여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만일 무늬 시트(20)의 양면에 위치하는 제 1 시트(10)와 제 2 시트(30) 모두를 투명한 재료로 할 경우, 빛은 제 1 시트(10)와 제 2 시트(30)를 투과하여 얇은 두께의 무늬 시트(20)로 비추어지게 되며, 따라서 외부에서 무늬 시트(20)에 인쇄된 모양과 색상이 선명한 상태로 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제 1 및 제 2 시트(10 및 30)중 어느 한 시트, 즉 무늬 시트(20)의 인쇄가 되지 않는 면에 대응하는 제 2 시트(30)를 불투명 재질로 구성하였으며, 이 결과 무늬 시트(20)의 한 면(물론 제 2 시트(30)와 대응하는 면임)에는 빛이 비추어지지 않아 투명한 제 1 시트(10)를 통하여 무늬 시트(20)의 인쇄면이 선명하게 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악세서리용 시트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불투명 재질의 제 2 시트(30), 일정한 무늬 및 색채가 인쇄된 무늬 시트(20) 및 투명 재질의 제 1 시트(10)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제 1 시트(10)와 제 2 시트(30)를 일체화(접합)시킨다. 시트의 접합 공정은 초음파 접착, 고주파 접착, 고열 압착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접합 공정으로 진행한다.
제 1 시트(10)와 제 2 시트(30)의 접합 공정을 실행한 후, 접합된 제 1 및 제 2 시트(이하, 편의상 "접합 시트"라 칭함)를 원하는 규격 및 형상으로 절단하며, 이후 머리의 형태에 맞게 휨 공정을 실시한다.
이상과 같은 악세서리용 시트는 전, 후면의 합성 수지 시트에 의하여 무늬시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색상의 변화 또는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무늬가 형성되고 색상이 가미된 무늬 시트가 양 시트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시트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공정(사출 공정 또는 금형 제작 공정) 및 색채를 입히는 공정 등이 생략될 수 있어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무늬 시트에 형성된 무늬 및 색채의 손상없이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악세서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악세서리에 사용되는 기본 부재인 시트만을 포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보다 구체적으로 머리핀용 시트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 무늬 및 색채를 요구하는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머리핀 등과 같은 악세서리용 시트에 있어서,
    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1 시트;
    무늬 및 색채가 인쇄된 무늬 시트; 및
    불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시트가 적층된 상태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 시트는 직물지, 사진, 옵셋 인쇄물, 지류(紙類)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용 시트.
KR2020020022054U 2002-07-24 2002-07-24 악세서리용 시트 KR200294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054U KR200294268Y1 (ko) 2002-07-24 2002-07-24 악세서리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054U KR200294268Y1 (ko) 2002-07-24 2002-07-24 악세서리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268Y1 true KR200294268Y1 (ko) 2002-11-07

Family

ID=7312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054U KR200294268Y1 (ko) 2002-07-24 2002-07-24 악세서리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2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996B1 (ko) * 2010-11-19 2012-12-18 윤석포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2666565B1 (ko) * 2022-06-30 2024-05-16 섬밋헬스케어 주식회사 다층 다색으로 혼합색상이 표출되는 부직포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996B1 (ko) * 2010-11-19 2012-12-18 윤석포 머리핀용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2666565B1 (ko) * 2022-06-30 2024-05-16 섬밋헬스케어 주식회사 다층 다색으로 혼합색상이 표출되는 부직포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4268Y1 (ko) 악세서리용 시트
JP2007216417A (ja) 模様付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模様付成形体
JP6748403B2 (ja)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法
KR100830597B1 (ko) 가죽패드를 구비한 키홀더의 장식부 형성방법
KR100528302B1 (ko) 장식용 보석 스티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17653B1 (ko) 심미성 및 조형성을 높인 압화물 제작방법
JP5511435B2 (ja) 加飾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加飾成形体
JP5202898B2 (ja) コンパクト容器用加飾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コンパクト容器用加飾成形体。
KR200217798Y1 (ko) 인쇄문양장신구
KR100512775B1 (ko) 장식용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172167Y1 (ko) 의류용 입체라벨
KR100512773B1 (ko) 장식용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251816Y1 (ko) 장식 순금판
KR100407638B1 (ko) 인조손톱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인조손톱
JPH07265498A (ja) 遊技台の装飾部構造
KR200319385Y1 (ko) 크리스탈 장식용 부재
JP3566676B2 (ja) プラスチック装飾レイヤウェーブテンプルの製造方法
KR200258948Y1 (ko) 자동차용 시이트 카바
KR100315950B1 (ko) 라벨용 열전사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제조된 라벨용 열전사지
KR200289178Y1 (ko) 반짝이 입체 스티커
KR200213766Y1 (ko) 입체감을 살린 표지를 갖는 앨범
CN2441659Y (zh) 金属雕刻框画
JP3039073U (ja) 皮革製品の装飾具取付構造
KR101712497B1 (ko) 특이 질감을 제공하는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4230748B2 (ja) カメラの外装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