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306B1 -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 - Google Patents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2306B1 KR101212306B1 KR1020110138672A KR20110138672A KR101212306B1 KR 101212306 B1 KR101212306 B1 KR 101212306B1 KR 1020110138672 A KR1020110138672 A KR 1020110138672A KR 20110138672 A KR20110138672 A KR 20110138672A KR 101212306 B1 KR101212306 B1 KR 1012123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aulic
- locking member
- line
- attachment
- vibr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86—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using adapters, i.e. additional element to mount between the coupler and the too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2—Rippers
- E02F5/326—Rippers oscillating or vib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킷, 브레이커, 리퍼 등과 같은 어태치먼트들을 용이하게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도록 된 클램핑유닛을 포함하는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는 중장비의 붐 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유닛과,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클램핑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진동발생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편심 발생을 유도하는 편심웨이트를 포함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어태치먼트의 일측 고정핀이 걸리는 제1 걸림부재와, 상기 제1 걸림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부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어태치먼트의 타측 고정핀에 걸리거나 분리되는 제2 걸림부재와, 상기 프레임부 또는 제1 걸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림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걸림부재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는 중장비의 붐 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유닛과,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클램핑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진동발생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편심 발생을 유도하는 편심웨이트를 포함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어태치먼트의 일측 고정핀이 걸리는 제1 걸림부재와, 상기 제1 걸림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부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어태치먼트의 타측 고정핀에 걸리거나 분리되는 제2 걸림부재와, 상기 프레임부 또는 제1 걸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림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걸림부재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켓, 브레이커, 리퍼 등과 같은 어태치먼트들을 용이하게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도록 된 클램핑유닛을 포함하는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 또는 토목현장에서는 중장비를 통해 굴착, 파쇄, 굴삭, 다짐, 천공, 파일압입과 같은 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중장비의 붐 단부에는 작업 목적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어태치먼트들을 결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어태치먼트에는 버켓, 리퍼, 컴팩터, 커팅기 등이 있다.
이러한 어태치먼트는 고정핀을 통해 붐의 단부에 결합되는데, 이격된 두 개의 고정핀이 어태치먼트와 붐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어태치먼트와 붐이 상호 고정된다.
최근에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동을 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어태치먼트에 부착될수도 있으며, 어태치먼트와 붐의 사이에 설치되기도 하는데,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의 일 실시예가 한국등록특허 10-0741245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니퍼는 니퍼의 일측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나, 니퍼와 붐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연결구조가 수작업을 통해 고정핀을 체결해야 하므로 니퍼의 장착 또는 교체시간이 길어지고, 탈부착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16647호에도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진동 니퍼가 개시되어 있는데, 개시된 진동니퍼는 진동발생기를 통해 진동을 인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기는 하지만 바이브레이터가 니퍼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바이브레이터에 다른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부착할 수 없어 작업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종래의 바이브레이터 및 어태치먼트의 결합구조는 어태치먼트의 교체때마다 수작업으로 고정핀을 해체 및 체결해야 하므로 불편하며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바이브레이터에 어태치먼트들을 효율적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유압클램퍼를 포함하는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는 중장비의 붐 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유닛과,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클램핑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진동발생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편심 발생을 유도하는 편심웨이트를 포함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어태치먼트의 일측 고정핀이 걸리는 제1 걸림부재와, 상기 제1 걸림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부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어태치먼트의 타측 고정핀에 걸리거나 분리되는 제2 걸림부재와, 상기 프레임부 또는 제1 걸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림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걸림부재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프레임부 또는 제1 걸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바디와, 상기 실린더바디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고 상기 제2 걸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중장비의 유압공급부로부터 상기 유압모터로 공급되는 유압라인과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실린더는 작동유가 출입하는 제1, 제2 포트를 갖는 복동식 실린더이며, 상기 유압공급부와 유압실린더를 연결하는 유압연결부는 상기 유압공급부로부터 유압모터로 유압을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제1 유압라인과, 상기 유압모터로부터 배출되는 리턴라인과 연결되는 제2 유압라인과, 상기 제1 포트와 연결되는 제3 유압라인과, 상기 제2 포트와 연결되는 제4 유압라인과, 상기 제1, 제2 유압라인과, 제3, 제4 유압라인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3, 제4 유압라인으로 공급되는 공급방향을 단속하는 컨트롤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유압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는 상기 유압공급부에서 유압모터로 작동유가 공급되는 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보조공급라인과 입력부가 연결되고, 상기 작업장치로부터 회수되는 리턴라인과 보조리턴라인을 통해 리턴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조공급라인과 보조리턴라인은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바이패스라인에는 상기 구동기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감압릴리프밸브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제2 걸림부재와 제1 걸림부재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된 두 개의 고정핀을 포함하는 버켓, 리퍼, 파이프클램퍼, 컴팩터, 커팅기, 드릴 중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는 유압클램퍼를 포함하고 있어서 작업 어태치먼트들의 탈부착 및 교체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에 버켓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발생유닛을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진동발생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클램핑유닛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클램핑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1의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의 유압회로 구성을 도시한 유압회로도,
도 9는 어태치먼트로 리퍼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어태치먼트로 컴팩터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어태치먼트로서 커팅기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어태치먼트로서 파이프클램퍼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어태치먼트로서 드릴이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드릴의 보조유압모터에 공급되는 유압의 유압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발생유닛을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진동발생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클램핑유닛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클램핑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1의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의 유압회로 구성을 도시한 유압회로도,
도 9는 어태치먼트로 리퍼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어태치먼트로 컴팩터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어태치먼트로서 커팅기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어태치먼트로서 파이프클램퍼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어태치먼트로서 드릴이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드릴의 보조유압모터에 공급되는 유압의 유압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이하 '바이브레이터'라 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이브레이터(100)에 어태치먼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8에 바이브레이터(1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바이브레이터(100)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에 내장되는 진동발생유닛(120)과, 프레임부(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클램핑유닛(130)을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상기 진동발생유닛(120)이 내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단에는 굴삭기나 기중기 또는 페이로다와 같은 중장비의 붐에 연결될 수 있도록 붐고정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붐고정부(111)는 두 개의 체결핀이 설치될 수 있는 고정홀(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중장비의 붐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핀홀과 상기 붐고정부(111)의 고정홀(112)을 관통하도록 체결핀이 설치됨으로써 장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발생유닛(120)은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유압모터(121)와, 상기 유압모터(121)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제2 회전부(122,126)를 구비한다.
제1 회전부(122)는 상기유압모터(121)와 연결되어 유압모터(121)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프레임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회전축(123)과, 상기 제1 회전축(123)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기어(124)와, 제1 회전축(123)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회전부(122)의 무게중심이 제1 회전축(123)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방사상의 방향으로 벗어나게 하는 제1 편심웨이트(125)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 회전부(126)는 제1 회전축(123)과 나란하도록 프레임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축(127)과, 제2 회전축(127)에 설치되고 구동기어(124)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28)와, 제2 회전축(127)에 설치되어 제2 회전부(126)의 무게중심을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편심웨이트(129)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모터(121)가 중장비의 유압공급부(141)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구동하면 구동모터와 연결된 제1 회전부(122) 및 제1 회전부(122)와 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 회전부(126)가 회전하게 되며, 제1, 제2 회전부(122,126)가 제1, 제2 편심웨이트(125,129)에 의해 무게중심이 회전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에 제1, 제2 회전부(122,126)의 회전구동 중에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회전부가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두 개의 회전부가 종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의 회전부가 종과 횡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핑유닛(130)은 상술한 것처럼 프레임부(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어태치먼트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클램핑유닛(130)은 제1 걸림부재(134)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부재(131)와, 상기 브라켓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 걸림부재(135)와, 제2 걸림부재(135)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브라켓부재(131)는 프레임부(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베이스판(132)과, 베이스판(132)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측판(133)을 구비하는데, 이 브라켓부재(131)의 일측 단부에 어태치먼트의 일측 고정핀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걸림부재(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걸림부재(134)는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홈은 제2 걸림부재(135)의 위치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제2 걸림부재(135)는 양측 측판(133)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고정핀의 고정을 위해 인입되어 있는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인입홈이 프레임부(110)의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어태치먼트의 타측 고정핀이 파지되어 어태치먼트와 바이브레이터(100)를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제1 걸림부재(134)가 반대로 회전하면 어태치먼트의 고정핀을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제2 걸림부재(135)의 개구가 벌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걸림부재(135)가 상기 제1 걸림부재(1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고정핀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걸림부재(134)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걸림홈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2 걸림부재(135)가 제1 걸림부재(134)를 향해 회동이 이루어질 때 고정핀이 고정되도록 제1 걸림부재(134)를 향하는 방향으로 걸림홈의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술한 것처럼 제2 걸림부재(135)를 회전시켜 바이브레이터(100)와 어태치먼트를 상호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으로서 유압실린더(136)가 적용되었다.
유압실린더(136)는 베이스판(13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바디(137)와, 이 실린더바디(137)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며 단부가 상기 제2 걸림부재(1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인출로드(138)를 구비하며, 복동식 실린더로서 유압에 의해 인출로드(138)가 인출 또는 인입됨으로써 제2 걸림부재(135)를 회전시킨다.
인출로드(138)가 인출될 때 상기 제2 걸림부재(135)가 고정핀을 클램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인출로드(138)가 실린더바디(137)로 인입될 때 제2 걸림부재(135)가 고정핀의 고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압실린더(136)는 유압모터(121)의 구동원이 되는 유압공급부(141)로부터 공급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에는 상기 유압실린더(136) 및 유압모터(121)의 구동에 대한 유압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의 유압공급부(141)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은 진동발생유닛(120)의 유압모터(121)를 구동하기 위해 공급라인(142)을 통해 작동유를 유압모터(121)에 공급하며, 유압모터(121)를 구동시킨 작동유는 리턴라인(143)을 통해 회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36)를 구동하도록 유압을 연결하는 유압연결부는 상기 공급라인(142)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며 유압실린더의 제1 포트(139)에 연결되는 제1 유압라인(144)과, 상기 리턴라인(143)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며 제2 포트(140)에 연결되는 제2 유압라인(145) 및 상기 제1, 제2 유압라인(144,145)에 설치되어 작동유의 유출입 경로를 단속하는 컨트롤밸브(148)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밸브(148)가 제1 유압라인(144)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1 포트에 유입되도록 하면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제1 유압라인(144)은 공급라인(142)으로부터 분기되어 작동유가 공급되며, 컨트롤밸브(148)가 제1 유압라인(144)과 제3 유압라인(146)을 연결하면 작동유는 제1 포트(139)를 통해 실린더바디(137)로 유입되어 인출로드(138)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리고 피스톤의 하부측 공간에 잔류하는 작동유는 제2 포트(140)를 통해 배출되며 제2 유압라인(145)을 통해 회수된다. 이 경우 인출로드(138)가 인출되므로 제2 걸림부재(135)가 어태치먼트의 고정핀을 파지하는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컨트롤밸브(148)가 제2 포트(140)를 통해 작동유를 공급하면 작동유는 실린더바디(137)의 피스톤 하부측으로 유입되어 인출로드(138)를 실린더바디(137) 내부로 인입시키며, 이 경우 제2 걸림부재(135)가 고정핀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므로 어태치먼트를 탈착 또는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밸브(148)와 유압실린더(136) 사이에 파일럿 체크밸브(147)가 설치되어 급격한 압력강하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본 실시예와는 달리 유압연결부는 상기 공급라인(142)과 리턴라인(143)에 각각 유압라인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잭이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36)의 제1 포트(139) 및 제2 포트(140)와 연결되는 두 개의 유압라인을 제2 걸림부재(135)의 가동방향에 따라 수작업으로 공급라인(142)측 유압잭 또는 리턴라인(143)의 유압잭으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유압라인의 교체 중 작동유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어태치먼트로서 버켓(10)이 적용되었다.
버켓(10)에는 상단에 상기 제1 걸림부재(134)와 제2 걸림부재(135)에 걸리는 고정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굴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굴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버켓(10)은 하천에서 작업을 할 때, 굴착하는 토사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홀(11)들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어태치먼트로서 첫번째 실시예의 버켓(10) 외에도, 리퍼(20), 컴팩터(30), 커팅기(40), 파이프클램퍼(50) 및 드릴(60)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리퍼(20)는 고착된 토사나 암반을 파쇄하는 것으로서, 상단에 상기 제1, 제2 걸림부재(134,135)에 걸릴 수 있게 고정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파쇄를 위한 파쇄부재(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파쇄부재(21)는 교체가 가능하며, 상기 진동발생유닛(1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서 더욱 용이하게 암반이나 지층을 파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컴팩터(30)는 상측에 상기 클램핑유닛(13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두 개의 고정핀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부의 하부에 평판형의 패드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컴팩터(30)가 진동발생유닛(120)에 의해 진동하게 되므로 붐을 상하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진동발생유닛(12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컴팩터(30)의 패드부(32)가 작업면을 수차례 가압하면서 다지게 된다.
도 11의 커팅기(40)는 상단에 상기 제1, 제2 걸림부재(134,135)에 의해 걸릴 수 있게 두 개의 고정핀을 갖는 고정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부(41)의 하부에 커팅롤(4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팅롤(42)은 핀과 베어링을 통해 고정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절단대상물을 커팅롤(42)이 회전하면서 절단하게 되는데, 특히 커팅롤(42)이 지날 대 진동발생유닛(12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절단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2는 파이프클램퍼(50)이다.
파이프클램퍼(50)는 프레임부(110)의 하부에 클램핑유닛(130)을 통해 결합되는 결합부(51)와, 이 결합부(51)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조(52)와, 상기 조(52)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결합부(51)에 설치되는 가동실린더(53)를 포함한다.
결합부(51)에는 두 개의 고정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 제2 걸림부재(134,135)에 걸려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조(52)는 각각의 일단이 결합부(51)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조(52)에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파이프(54)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파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52)는 가동실린더(53)를 통해 회동 구동하면서 파지홈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이 되도록 회전하면 파지홈에 파이프(54)가 밀착되면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반대로 각각의 조(52)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조(52)가 벌어지면서 파이프(54)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가동실린더(53)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린더바디와 실린더로드가 각각 결합부(51)와 조(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실린더로드의 인출 및 인입동작을 통해 조(52)를 회전 구동시킨다.
도 13에는 어태치먼트로서 드릴(60)이 적용되었다.
이 드릴(60)은 비트(61)를 회전시키도록 일측에 구동기로서 보조유압모터(62)가 설치되는데, 이 보조유압모터(62) 역시 상기 중장비의 유압공급부(141)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조유압모터(62)가 설치되어 있는 바디(63)의 내부에는 상기 비트(61)의 회전축(64)과 연결되어 있는 종동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 종동기어가 보조유압모터(62)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유압모터(62)의 구동을 통해 비트(61)가 회전하면서 천공 또는 연삭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보조유압모터(62)는 공급라인(142)으로부터 분기되는 보조공급라인(151)을 통해 작동유를 공급받으며, 공급된 작동유는 보조리턴라인(152)을 통해 상기 리턴라인(143)으로 이동해 회수된다.
그리고 보조공급라인(151)과 보조리턴라인(152) 사이에는 바이패스라인(15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바이패스라인(154)에 감압릴리프밸브(155)가 마련되어 상기 보조유압모터(62)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어태치먼트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상기 클램핑유닛(130)에 의해 진동발생유닛(120)이 내장되는 프레임부(110)에 결합될 수 있게 고정핀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클램핑유닛(130)을 통해 어태치먼트의 탈부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상에서 서술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바이브레이터
110; 프레임부
120; 진동발생유닛
121; 유압모터
122; 제1 회전부
123; 제1 회전축 124; 구동기어
125; 제1 편심웨이트
126; 제2 회전부
127; 제2 회전축 128; 종동기어
129; 제2 편심웨이트
130; 클램핑유닛
131; 브라켓부재 134; 제1 걸림부재
135; 제2 걸림부재 136; 유압실린더
141; 유압공급부
142; 공급라인 143; 리턴라인
144~147; 제1 내지 제4 유압라인 148; 컨트롤밸브
151; 보조공급라인 152; 보조리턴라인
62; 보조유압모터 154; 바이패스라인
155; 감압릴리프밸브
110; 프레임부
120; 진동발생유닛
121; 유압모터
122; 제1 회전부
123; 제1 회전축 124; 구동기어
125; 제1 편심웨이트
126; 제2 회전부
127; 제2 회전축 128; 종동기어
129; 제2 편심웨이트
130; 클램핑유닛
131; 브라켓부재 134; 제1 걸림부재
135; 제2 걸림부재 136; 유압실린더
141; 유압공급부
142; 공급라인 143; 리턴라인
144~147; 제1 내지 제4 유압라인 148; 컨트롤밸브
151; 보조공급라인 152; 보조리턴라인
62; 보조유압모터 154; 바이패스라인
155; 감압릴리프밸브
Claims (5)
- 중장비의 붐 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유닛과;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클램핑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부재와,
어태치먼트에 형성되는 두 개의 고정핀 중 일측 고정핀이 걸리도록 상기 브라켓부재에 고정 형성되는 제1 걸림부재와,
상기 제1 걸림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어태치먼트의 타측 고정핀이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제2 걸림부재와;
상기 브라켓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걸림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2 걸림부재에 타측 고정핀이 걸리거나 상기 타측 고정핀으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브라켓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바디와, 상기 실린더바디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고 상기 제2 걸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중장비의 유압공급부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클램프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작동유가 출입하는 제1, 제2 포트를 갖는 복동식 실린더이며,
상기 유압공급부와 유압실린더를 연결하는 유압연결부는 상기 유압공급부로부터 유압모터로 유압을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1 포트를 연결하는 제1 유압라인과, 상기 유압모터로부터 배출되는 리턴라인과 유압실린더의 제2 포트를 연결하는 제2 유압라인과, 상기 제1, 제2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유압의 공급경로를 단속하는 컨트롤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클램프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유압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는 상기 유압공급부에서 유압모터로 작동유가 공급되는 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보조공급라인과 입력부가 연결되고, 상기 작업장치로부터 회수되는 리턴라인과 보조리턴라인을 통해 리턴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조공급라인과 보조리턴라인은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바이패스라인에는 상기 구동기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감압릴리프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클램프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 -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제2 걸림부재와 제1 걸림부재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된 두 개의 고정핀을 포함하는 버켓, 리퍼, 파이프클램퍼, 컴팩터, 커팅기, 드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클램프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8672A KR101212306B1 (ko) | 2011-12-20 | 2011-12-20 |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8672A KR101212306B1 (ko) | 2011-12-20 | 2011-12-20 |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12306B1 true KR101212306B1 (ko) | 2012-12-13 |
Family
ID=4790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8672A KR101212306B1 (ko) | 2011-12-20 | 2011-12-20 |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2306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06451A (zh) * | 2013-12-29 | 2014-04-09 | 上海上鸣机械科技有限公司 | 高频破碎锤 |
CN103736545A (zh) * | 2013-12-29 | 2014-04-23 | 上海上鸣机械科技有限公司 | 高频破碎锤双马达破碎装置 |
WO2014092244A1 (ko) * | 2012-12-14 | 2014-06-19 | (주)대동이엔지 | 충격흡수식 진동브레이커 |
KR101424110B1 (ko) | 2014-02-12 | 2014-08-01 | (주) 대동이엔지 | 고하중 진동완충기 |
KR101562185B1 (ko) | 2014-07-08 | 2015-10-20 | (주) 대동이엔지 | 고하중 진동완충기 |
KR102587016B1 (ko) * | 2022-06-21 | 2023-10-10 | (주)대동이엔지 | 수직 가이드유닛을 구비한 진동체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7307A (ja) | 1997-10-07 | 1999-04-20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作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
-
2011
- 2011-12-20 KR KR1020110138672A patent/KR1012123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7307A (ja) | 1997-10-07 | 1999-04-20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作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92244A1 (ko) * | 2012-12-14 | 2014-06-19 | (주)대동이엔지 | 충격흡수식 진동브레이커 |
KR101505646B1 (ko) * | 2012-12-14 | 2015-03-24 | (주) 대동이엔지 | 충격흡수식 진동브레이커 |
CN103706451A (zh) * | 2013-12-29 | 2014-04-09 | 上海上鸣机械科技有限公司 | 高频破碎锤 |
CN103736545A (zh) * | 2013-12-29 | 2014-04-23 | 上海上鸣机械科技有限公司 | 高频破碎锤双马达破碎装置 |
KR101424110B1 (ko) | 2014-02-12 | 2014-08-01 | (주) 대동이엔지 | 고하중 진동완충기 |
KR101562185B1 (ko) | 2014-07-08 | 2015-10-20 | (주) 대동이엔지 | 고하중 진동완충기 |
KR102587016B1 (ko) * | 2022-06-21 | 2023-10-10 | (주)대동이엔지 | 수직 가이드유닛을 구비한 진동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2306B1 (ko) | 결합용클램퍼를 구비한 바이브레이터 | |
KR200271162Y1 (ko) | 굴삭기의 굴착장비 착탈용 커플러 | |
US420241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inking a cased borehole for producing cased pile foundations | |
KR101471177B1 (ko) |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장치 | |
KR102227205B1 (ko) | 배관 인입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 |
JP6762947B2 (ja) | 掘削機および一般的な建設機械用油圧装置 | |
WO2016201590A1 (zh) | 高频振动纵向铣挖头及具有该铣挖头的铣挖机和掘进机 | |
CN104532842B (zh) | 一种套管回转摩擦型分断法拔桩施工方法 | |
JP2005002785A (ja) | 切削工具 | |
KR20100024713A (ko) | 굴삭기 버킷의 진동장치 | |
KR102265056B1 (ko) | 사이드그립을 갖는 바이브로 해머 | |
JP3389184B2 (ja) | 地盤掘削機の掘削器駆動装置 | |
KR200433903Y1 (ko) | 호환성을 구비한 중장비용 바이브레이터 | |
KR101119894B1 (ko) | 진동 파일 드라이버 장치 | |
KR101479423B1 (ko) | 틸팅클램프 로 파일작업 효율화 | |
KR102138899B1 (ko) | 진동고무를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 |
KR102138893B1 (ko) |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 |
JP3839819B2 (ja) | リバースサーキュレーションドリル | |
KR102666633B1 (ko) | 암반천공장치 | |
JP7072922B1 (ja) | 地中孔掘削装置における固定プレートの強制張戻方法 | |
WO1997002385A1 (fr) | Engin de travaux | |
KR102577312B1 (ko) | 회전식 커플러 | |
FI129550B (fi) | Järjestelmä, poralaite ja menetelmä porareiän tekemiseksi alustaan | |
JP2018178358A (ja) | バケットへのブレーカー取付構造 | |
JP5961441B2 (ja) | 鋼矢板埋設用掘削装置、及び鋼矢板の埋設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8 |